•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기업의 사업다각화 연구: 이지바이오 그룹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기업의 사업다각화 연구: 이지바이오 그룹을 중심으로"

Copied!
14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경제학석사 학위논문

농기업의 사업다각화 연구

-이지바이오그룹을

중심으로-2012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경제사회학부

남 윤 지

(3)

농기업의 사업다각화 연구

-이지바이오그룹을

중심으로-지도교수

김 완 배

이 논문을 경제학석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

2012년 8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경제사회학부

남 윤 지

남윤지의 경제학석사 학위논문을 인준함

.

2012년 8월

위 원 장

(인)

부 위 원 장

(인)

위 원

(인)

(4)

국 문 초 록

농기업의 사업다각화 연구

-이지바이오그룹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경제사회학부

남 윤 지

농산물 시장 개방이 본격화 되면서 우리농업은 노동집약적 저부가가치 산업이라는 한계로 산업경쟁력이 열위하여 사양화될 가능성이 크다. 농 업의 개방화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개념 중 하나가 농업의 융·복합화 이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농업의 영역을 1차 산업에 국한하지 않고 바이 오·정보기술 등을 융·복합하여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산업으로 보고 기업의 진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농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업경영의 도입과 농업의 영역확대를 통한 글로벌 농 식품 기업,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축산계열화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 성 공적인 농기업 다각화 전략의 사례연구를 통해 신사업진출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다각화를 고려하는 농기업이 벤치마킹 할 수 있도록 그 틀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지바이오 그룹을 사례로 농업에 기반을 둔 기업이 다각화 와 수직계열화 전략을 통한 성장과정을 분석하여 기업이 경쟁상황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한 핵심역량과 외부환경요인이 무엇인지 밝힌다. 외부 환경분석은 Porter.M의 5Forces 모형을 사용하였고, 내부경영자원 분석 은 사례기업의 가치사슬분석을 통해 본원적, 지원적 활동상에 드러난 경 영자원을 파악하였다. 이렇게 도출한 외부환경요인과 내부경영자원을 토 대로 비즈니스모델 타당성 분석인 BMO테스트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하여 전략타당성을 평가하였다.

(5)

사례기업의 다각화 과정은 크게 사료첨가제→사료부문, 사료→양돈부 문, 양돈→양계부문, 관련다각화부문으로 분류되는데 다각화 타당성분석 에서 관련다각화는 제외되었다. 연구결과 다각화와 내·외부요인 적합하 여 타당성이 높은 전략은 양계, 양돈, 사료부문 다각화 순으로 나타났고, 전략타당성 분석 결과에서 농기업 사업다각화에 대한 뚜렷한 성공요인과 전략상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외부환경요인 상의 특징은 신규사업 진입전략은 시장규모가 크 고, 수익성이 보장되는 매출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방향성을 정한다. 반 면 낮은 성장률과 치열한 산업에서 사업을 영위할 경우 발생하는 위험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펴는데 주로 전방통합전략을 통해 규모를 키 우고, 점유율 신장을 통해 지배력을 키우는 것이다. 또한 기존 사업의 구 매자·공급자·대체재 위험 가운데 주요한 위험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전략 을 진행하며, 진입산업에 내재된 위험에 대해 후속전략을 세워 대응하고 있다. 또한 까다로운 기준의 위생·품질에 대한 사회적 규제에 대응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함으로써 기회요인으로 활용하 고 있다. 둘째, 농기업의 다각화전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내부 경영자원은 기술, 금융, 인적자원이다. 사례기업의 다각화는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신사업진입 시 높은 이해력과 적용가능성을 높여 전략수행을 성공적으로 이루어냈다고 평가된다. 또한 기존 사업에서 축 적한 자금력을 체계적인 재무관리로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신사업기회가 포착되었을 때 즉각적인 진입이 가능하게 되어 M&A의 성공률을 높이 는 주요한 자원이다. 인적자원의 경우 관련경력과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경영진의 전폭적인 지원과 축산관련 노하우와 전문성을 가진 인재 는 다각화 전 과정을 성공으로 이끈 핵심역량이라고 평가된다. 셋째, 비교적 낮은 활용도를 보인 원재료조달능력, 유형자원, 조직자원 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발견하고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성공적인 전략수립 및 실행이 가능하다. 사례기업은 후속전략으로 영향력이 큰 투입요소에 대한 원재료조달을 내부화하는 노력을 기울여 곡물, 사료, 종돈(종계) 등 을 그룹 내에서 운용하고 있다. 사례기업의 유형자원은 축산관련 인프라

(6)

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이루어졌고 점차 그 활용성이 높아지는 특성을 보였다. 또한 조직자원은 조직구조와 지역적인 분절성, 독립적 의 사결정으로 통합의 어려움을 보였고 현재 조직통합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어떻게 하면 다각화를 고려하는 농기업의 전 략이 성과를 낼 수 있는지와 적합한 외부요인과 경영자원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며, 불리한 환경요인이나 미흡한 자원에 대한 후속전략이 무엇인 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지바이오에 대한 단일사례연 구이므로 도출되는 이론을 널리 객관화하기에는 많은 제한이 있다고 보 나 한 농기업이 진입하고자하는 산업의 외부환경요인과 적합한 경영자원 에 대한 연구결과는 타기업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 다. 주요어: 농기업, 다각화, 수직계열화, 5Forces, 가치사슬, 이지바이오 학 번: 2010-21162

(7)

<목 차>

제 1 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3 제 3절 연구방법 및 범위 3 제 4절 선행연구검토 5 1. 농업부문 가치사슬에 대한 연구 5 2. 농업부문의 다각화에 대한 연구 6 제 5절 논문의 구성 10

제 2장 이론적 배경

11

제 1절 다각화 이론 11 1. 다각화의 정의 11 2. 다각화의 동기 12 3. 다각화의 수단과 유형 14 제 2절 전략에 대한 관점과 가치사슬 16 1. 산업조직론적 접근 16 2. 자원거점적 접근 18 3. BMO법 (사업타당성평가) 24 제 3장 축산물 관련 산업현황 25 제 1절 사료첨가제 및 사료산업 현황 25 1. 사료첨가제 및 약품시장현황 25

(8)

2. 사료산업 현황 26 3. 사료산업의 외부환경분석 27 제 2절 양돈관련 산업현황 29 1. 양돈업 현황 29 2. 도축·가공업 현황 31 3. 돈육의 수급동향 34 4. 양돈부분의 5Forces 분석 35 제 3절 양계관련 산업현황 37 1. 양계업 현황 37 2. 도계·가공업 현황 39 3. 계육의 수급동향 39 4. 양계부문의 외부 환경분석 40

제 4장 사례기업의 가치사슬분석

43

제 1절 지원적 기능 43 1. 기업하부구조 43 2. 인적자원 및 관리 45 3. 생산관리 및 조달 47 4. 연구개발 48 제 2절 본원적 기능 51 1. 생산요소의 투입활동 51 2. 생산활동 55 3. 도축·가공 및 유통 56 제 3절 가치사슬 분석의 시사점 61

(9)

제 5장 사례기업의 다각화 현황 및 전략타당성 분석

65

제 1절 이지바이오 그룹의 다각화 개황 65 제 2절 이지바이오 그룹의 다각화 과정 68 1. 사료첨가제→사료 부문 68 2. 사료→양돈 부문 70 3. 양돈→양계 부문 73 4. 관련분야 다각화 및 지역다각화 75 제 3절 다각화전략 타당성분석 78 1. 다각화 성공요인 분석지표 78 2. 사료첨가제→사료부문의 다각화 전략평가 83 3. 사료→양돈부문의 다각화 전략평가 87 4. 양돈→양계 부문의 다각화 전략평가 91 제 4절 다각화 전략분석의 시사점 102

제 6장 요약 및 결론

108

참고문헌

115

부록

124

Abstract

131

(10)

<표 목차>

<표2-1> 5Forces모형 17 <표3-1> 동물약품 및 사료첨가제 산업 현황 25 <표3-2> 배합사료 사료생산량 26 <표3-3> 농림업 생산액과 돼지 생산액 30 <표3-4> 돼지 사육두수 및 사육농가 수 추이 31 <표3-5> 돼지 도축 두수 32 <표3-6> 돼지고기 수급동향 34 <표3-7> 농림업 생산액과 닭 생산액 38 <표3-8> 육계사육 현황 38 <표3-9> 도계량 추이 39 <표3-10> 닭고기 수급전망 40 <표4-1> 기업의 소유구조 44 <표4-2> 직원현황 46 <표4-4> 사료 및 사료첨가제 업체의 생산품목 및 생산량 53 <표4-5> 복체인솔루션 55 <표4-6> 도축, 도계, 도압, 가공부문 시설 57 <표4-7> 이지바이오 그룹 내 도축 및 도계량 추이 59 <표4-8> 이지바이오 제품매출 비중 60 <표4-9> 이지바이오의 가치사슬 통합 64 <표5-1> 이지바이오 그룹 다각화 현황 68 <표5-2> 배합사료 시장점유율 70 <표5-3> 시장점유율 73 <표5-4> 양계부문의 시장점유율 74

(11)

<표5-5> 성공요인 분석지표 78 <표5-6> 매출이익가능성에 대한 배점 79 <표5-7> 성장률에 대한 배점 80 <표 5-8>원재료조달력 척도 82 <표5-9> 다각화 성공요인분석 95

(12)

<그림 목차>

<그림1-1> 농업의 가치사슬 6 <그림1-2> 연구의 구성 10 <그림2-1> 다각화 의사결정차원 11 <그림2-2> Rumelt의 다각화 유형분류 15 <그림2-3> 제조업 부문의 가치사슬 21 <그림2-4> 축산업 가치사슬 23 <그림5-1> Farm to Table (이지바이오의 전략계획) 66 <그림5-2> 사료부문의 확장 69 <그림5-3> 사료업진출 전략타당성 분석 86 <그림5-4> 양돈업진출의 사업타당성 평가 90 <그림5-5> 양계업 진출의 사업타당성 분석 94 <그림5-6> 다각화전략 타당성 통합평가 102

(13)

제 1 장 서론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993년 UR타결 이후 농산물시장 개방이 본격화되면서 한국 농촌경제 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경상 GDP에서 농업생산의 비중이 1995년 5.5%에서 2010년 2.1%로 감소하고 도·농 소득 격차가 점차 확대되는 한 편, 농가부채는 10년간 3배 이상 증가하였다. 향후 DDA협상이 타결되면 모든 농산물의 완전 개방화가 이루어질 전망이며, EU, 미국, 중국 등으 로 FTA체결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농산물 시장의 개방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개방화 추세에서 국내농업은 전통적인 1차 산업형태가 지닌 노동집약적 저부가가치 산업이라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기업의 진출이 지체되어 산업경쟁력이 열위한 상 황이며, 현 상황이 장기화 될 경우 농업은 향후 사양산업으로 전락할 가 능성이 크다. 한국농업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농업의 기업적 경영의 확산을 통해 지식기반 경제시대에 걸맞은 형태의 산업구조로 변화시켜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키울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영 세농, 고령농으로 대표되는 농가들이 경영마인드를 갖추고 선진화된 경 영시스템을 도입하여 농기업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 라서 성공적인 농업경영 사례의 연구를 통해 그 함의를 찾고 농기업이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농업의 개방화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는 개념 중 하나가 농업의 융·복 합화이다. 융·복합화는 농업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사양산업으로 분류되 는 현황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통적으로 농업은 땅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1차 산업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선진국의 농업은 농작물을 가공하여 식품의 형태로 판매하고, 농작물에서 특정성 분을 추출해 의약품을 만드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확대되면서 농업을

(14)

생명산업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생물과 식물, 동물 등 살아있는 모든 것을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는 산 업을 모두 농업으로 봐야 한다는 관점이다. 1차 산업인 농업에 2, 3차 산 업이 융합되고, 각 산업의 융합기술이 포괄되어 그 이상의 시너지를 내 는 형태인 6차 산업으로 성장케 해야 한다는 것이다. 농업이 컨버전스 산업으로 거듭나게 된 데는 바이오기술, 정보기술, 녹 색기술, 문화기술 등의 융복합에 힘입은 바가 크다. 특히 생명공학기술은 농업관련기술의 발달을 촉진하여 농업을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매력 적인 산업으로 변모시키고, 나아가 기업의 농업분야로의 진출을 지속적 으로 확대하는데 일조하고 있다. 다른 한편 농업생명공학기술은 막대한 R&D비용을 필요로 하여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기존에 농업관련 산업부문을 선점한 대기 업 또는 다국적 기업들의 농업지배가 유지되고 있다. 이를 토대로 종자 의 개발에서 가공식품의 제조와 유통에 이르는 식품사슬(Food-Chain)의 전 과정이 수직적으로 통합되어 가는 추세이며, 이와 동시에 기업의 글 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다(박민선, 2001). 우리농업이 이같은 추세에 효과 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생명공학 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농업의 영역을 확대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농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앞서 언급한 경쟁력 있는 농업경영체의 양성, 생명공학기술을 통해 경 쟁력을 갖춘 초우량 농기업의 육성 외에도 우리농업의 회생을 위해 수직 및 수평계열화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계열화는 유통단계를 축소하여 유통단계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을 줄이고, 소비자 들의 요구를 유통 및 생산과정에서 즉각 반영할 수 있어 소비층 확보와 대응이 용이하다. 즉, 축산계열화는 농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세계적 으로 추진되고 있는 전략이며 정부의 축산계열화 활성화 정책, 기업농, 전업농의 증가 등과 같은 현황과 맞물려 진행되고 있는 농산업의 구조적

(15)

인 변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축산계열화 추세에 따라 축산기업 의 경쟁력 제고와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 한 축산기업의 다각화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성공적인 계열화의 요건 을 파악하여 벤치마킹함으로써 계열화기업을 육성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 성이 대두되고 있다.

제 2절 연구의 목적

본 논문의 주요목적은 농기업의 다각화 추진 시 성공 가능한 조건과 요소들을 찾아내어 사업확장과 다각화를 고려하는 기업 및 농업인에게 경영능력 제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보다 세부적인 목적은 첫째, 개방화에 대응하여 성공한 농업 경영체의 가치사슬을 분석하여 경쟁우위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역량을 찾아낸다. 이때의 핵심역 량은 이종의 타 사업분야에서도 적용되어 경쟁우위를 창출하는 역량이 다. 둘째, 사례연구 대상기업의 다각화 전략과 외부환경요인, 내부경영자원 과 적합성을 평가하여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이를 통해 다각화를 고려하 는 농기업이 고려해야 할 내외부요인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 3절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Porter M.(1985)의 5forces모형을 통해 외부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각화 유인요소를 밝히고 전략방향과의 정합성 을 평가한다. 내부역량의 파악을 위해서는 가치사슬분석을 사용하며 경 쟁우위를 창출하는 핵심역량을 규명한다. 사례분석 대상기업의 다각화의 과정을 네 가지로 분류하고 전략과 내부 경영자원, 외부환경요소 간의

(16)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업 적합성 측정모형인 BMO테스트를 사용한 다. 관련다각화 분야는 다양한 산업을 포함하므로 제시된 지표에 적합하 지 않아 BMO테스트에서 제외한다. 또한 사회과학의 주요 연구방법 중 기술적 연구와 탐색적 연구를 병행 하는 것으로 한다. 기술적 연구는 1차적으로 사료조사, 자료조사 및 인터 넷 등의 외부 자료수집을 선행하고, 관련문헌과 이론고찰을 통해 개념의 이해와 분석의 틀을 모색한다. 이는 농기업이 속한 산업들의 개요 및 특 성을 고찰하고, 이는 사례분석 대상 기업인 이지바이오의 자료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탐색적 연구는 2차적으로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자료수집 및 인터뷰를 실행한다. 이는 이지바이오사의 각 사업 분야 실 무자 및 경영진 면담을 통해 실증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한 것이 다. 수집된 자료는 기존자료 정리와 인터뷰 노트 정리로 나누어 분석하 는데, 사례는 기본사항, 특이사항, 경영사항으로 분류되어 작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농업부문 계열화 중에서도 그 중요성이 강조되 고 있는 축산분야 계열화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분석대상으로 이지바이 로 택하여 그룹 내 계열화 양상에 대해 연구한다. 사례대상기업인 이지 바이오그룹은 사료에서 쌓은 지식과 노하우를 통해 양돈계열화의 선도기 업으로 성장하였으며 최근 양계분야로의 진출과 동시에 시장점유율 2위 를 기록한 축산분야에 남다른 저력을 가진 농기업이다. 또한 계열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는 물론 생명공학에 대한 연구개발을 통해 향후 발전가 능성이 높이 평가되는 기업이다. 해당사례에서 경쟁력을 갖춘 농업경영 체의 핵심역량을 찾아내며, 이들 기업의 다각화, 계열화 과정을 면밀히 살펴 성공요인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해당사례기업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사료첨가제, 사료, 양돈, 양계 산업이며, 외부환경분석은 사료산업, 양돈, 양계로 국한 하여 실시되었다. 가치사슬의 분석을 위해 양돈과 양계의 본원적 활동들 을 연구대상으로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양돈부문에는 양돈 농가와 도

(17)

축, 가공장, 판매가 속하고, 양계에는 양계농가, 도계, 가공장, 판매 분야 를 포함하며 산란계부문은 제외된다. 양계분야는 오리부문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각화란 기업의 전략적인 관점에서 기업의 내·외적 사업 환경의 변화가 제공하는 사업기회를 기업성장에 활용하기 위한 장기적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다각화의 범주를 제품다각화의 관련다각화에 해당하는 수평계열화와 수직계열화와 지리적 시장다각화인 국제다각화를 다각화의 영역으로 다루고 비관련다각화는 제외하였다. 또 한 농업부문의 수직적 계열화는 농업이라는 1차 산업과 가공산업(2차산 업), 유통, 서비스산업(3차산업)을 하나의 경영체(계열주체)가 관리하는 방식으로 정의하였다.

제 4절 선행연구검토

1. 농업부문 가치사슬에 대한 연구 박현태 외(2009)는 가치사슬과 가치농정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우리 나라 농산업에서 영향력이 있는 과수, 과채, 노지채소, 화훼, 특작부문별 가치사슬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농림수산식품부(2008)는 우리나라 주요 25개 품목들을 대상으로 생산 에서 유통, 판매까지 단계별 현황 및 문제점을 정리하고, 생산단계, 가공 단계, 유통단계, 수출입단계별 비용을 분석하여 각 단계별 비용절감 방안 을 제시했다. 정훈희 외(2009)는 지속가능한 농업경영을 위해 친환경농업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Porter의 가치사슬구조에서 농업의 가치사슬구 조를 도출하였다. 황의식, 조용원(2009)은 농업부문에서 수평적 조직화와 수직적 계열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가치창출을 위한 전략적 네트워크 구 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정호근(2005)은 경쟁력 제고를 위해 수직통합조직

(18)

사례의 심층 분석을 통한 비용절감, 수입안정, 위험분산 등 경쟁력 제고 효과 및 구조적인 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김영생 외(2005)는 농업부문의 성공적인 사례들을 경영분석과 가치사슬 구조분석을 통하여 개인농가, 신가치창조 농기업, 대규모 농기업, 조합형 등 사례를 통해 성공모형과 전략평가를 실시하고, 대규모 농기업 관련하여 하림과 도드람 영농조합 사례를 분석하였다. 김연중 외(2010)는 쌀, 방울토마토, 느타리버섯에 한정하여 본원적 활동과 지원활동을 포함한 각 부문별 가치 실현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림1-1> 농업의 가치사슬 자료: 주요농산물의 가치사슬분석, 김연중(2010) 2. 농업부문의 다각화에 대한 연구 농업부문의 다각화 선행연구는 농기업의 다각화, 양돈 및 양계부문을 포함한 농축산물 수직계열화, 농업부문에 가치사슬을 적용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19)

(1) 농기업의 다각화 윤병선(2004)은 지구적 규모의 농식품 조달체제 안에서 농업생산자로 부터 최종소비자까지를 묶는 농식품 복합체의 다각화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농식품 관련 초국적 자본의 활동영역이 확장되는 과정을 계 약생산 및 수직적 통합, M&A, FDI의 범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전형적 인 다국적 곡물 메이져 카길의 사례를 인용하여 분석하였다. 박민선 (2001)은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해 농업, 식량관련 기업 중 농업과 식량을 통제하는 농화학 회사, 종자, 제약회사의 M&A를 통한 사업확장에 연구 하였다. 몬산토와 카길, 노바티스와 ADM 등의 수직적 계열화 사례를 통 해 소개하고 식량자원에 대한 거대기업의 지배력 강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정만태(1998)은 한국농기계 산업의 수직적 통합에 대해 거래비용이론 에 입각하여 농기계 산업 기업들에 대해 자산, 인적자원, 기술수준 특정 성 등 변수로 수직통합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하였다. 김경필(2008)은 수 출여건 개선을 위해 수출주체의 조직화, 규모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례연 구로서 목우촌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인력조달 및 보상체계(성과급), 물 류시스템 및 배송체계를 성공요인으로 꼽았다. (2) 양돈계열화 우리나라의 축산계열화에 관한 연구는 주로 기업의 수직적 결합 형태 및 효과 등에 관심을 두고 추진되었다. 김정주(1993)는 사례비교를 통하여 계열화 체계가 개별경영체계에 비 해 생산비 절감효과가 있고 계열농가의 두당 수익성은 일반농가보다 높 아, 양돈계열화 체계를 시장개방에 대응할 전략으로 채택해야 한다고 주 장하였다. 정홍우 외(1999)는 계열업체 지정 및 지원에 있어서 계열업체의 신규

(20)

지정보다는 이미 선정된 부분계열화업체가 완전 계열화로 발전할 수 있 도록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규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분 계열화보다는 완전계열화 체계를 구축한 업체를 지원해야 함을 주장하였 다. 허덕 외(1999)는 축산계열화를 농가의 입장에서 재조명하고 계열화를 유형화하여, 유형별 계열화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농가의 자금 능력, 경쟁능력, 시장능력 등에 따라 개별대응과 조직대응의 유리성을 비교하여 농가 능력별 권장유형을 제시하였다. 이현희(2002)는 양돈 계열화사업에 관한 이론적 배경과 해외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준으로 국내 양돈 계열화사업의 사업운영현황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최승철(2001; 2003)에서는 각각 양돈과 한우를 대상으로 현재의 생산 및 유통구조분석을 바탕으로 농업협동조합이 주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협동통합을 경쟁력 강화와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조광호 외(2005)는 양돈 계열화 사업의 조직을 기업형, 조합형, 영농법인형 등으로 분류하고 원자재 조달과 운영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외국 사례를 근거로 양돈 계열화의 합리적인 계열화 모형과 적정규모를 제시하였다. (3) 양계계열화 김정주(1992)는 육계계열화 사업 참여농가의 수익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을 분석한 결과, 사육규모와 같은 내생변수보다 일당 증체량, 사료 요구 율, 생존율 등 병아리의 유전적 형질이나 사료의 질적 차이에 의한 외생 변수에 의해 수익이 좌우됨을 증명하였다. 박성태(1998)는 양계분야 수 직계열화의 선도자인 하림의 수직적 계열화 체계와 경쟁원천을 밝히기 위해 하림의 성장과정, 경영전략을 시장경쟁관계, 산업환경, 핵심성공요 인, 경쟁우위와 진입장벽 등으로 분석하였다.

(21)

김진석(1999)은 경상남도에서 육계 수출단지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검 토하던 육계계열화 사업에 대해 계열화의 경영주체로서 참여하게 될 육 계농가와 계열업체의 재무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육계 산업의 기술수 준, 경영능력, 시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시설투자 소요액, 연간 생산비 및 판매수입 등을 산출하고, 장기적으로 예상수입 및 비용을 현재 가치화하 여 재무적 투자수익률을 계측하고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김정주(2008)는 육계 계열화가 85%정도 달성되었으나 여전히 닭고기 유통과정에서 분쟁원인의 원인이 되는 닭고기 가격결정구조에 대한 문제 를 제기하였다. 닭고기 유통단계별 가격 결정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일본 등 육계 선진국의 가격결정 제도를 분석하고 도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축산경제연구원(2010)은 사육농가와 계열업체와의 갈등, 생계중심 으로 이뤄지는 도계육 가격결정 체계, 병아리와 사료 등 원자재에 대한 품질 불만, 농가 사육시설 현대화 미흡, 종계 및 부화장 등에 대한 기초 통계의 부족, 계열업체와 농가간의 의사소통 부족 등 육계산업 전반에 대한 포괄적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중요성은 다각화 전략 성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아닌 다각화 결정시의 외부 환경적 요소와의 적합성, 자사 보유 경영자원과의 적합성을 통한 전략타당성에 대한 분석이라는 점이다. 사실 다각화 전략 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연구들은 아직까지도 그 결론을 내릴 수 없다. 유형이나 전략수립 자체만으로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 문이다. 하지만 다각화 전략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시간이 지날수록 증대되는 만큼 실제로 다각화 전략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는 성공기업의 사례를 전략수립과 실행과정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것으로부터 유의미한 시사점을 찾아낼 수 있다.

(22)

제 5절 논문의 구성

본 논문의 구성은 <그림1-2>와 같다. <그림1-2> 연구의 구성 제 2장에서는 관련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기존 연구에서 기업의 다각화 전략의 평가의 틀을 마련한다. 제 3장에서는 다각화를 위해 진출한 산업인 사료, 양돈, 양계산업의 현 황을 파악하고, 5forces 모형으로 외부환경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가치사슬분석을 통해 기업 내부의 자원을 파악하고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핵심역량을 찾아낸다. 제 5장에서는 이지바이오의 다각화현황과 전략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 고, 외부적 요인과 내부역량과 전략과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제 6장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 시사점 도출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 시하였다.

(23)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다각화 이론

1. 다각화의 정의 다각화에 대한 정의는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Gort(1962)는 시장의 수에 근거한 산출물의 이질성1)(heterogeneity of output)의 증대로 정의했으며, Steiner(1969)는 새로운 제품 종류, 공정, 시장진출로 정의하였다. 또한 Berry(1975)는 기업이 활동하는 산업의 수 증가로 정의하였다. Booz, Allen, and Hamilton(1985)은 기업성장과 위험 감소를 위해 사업의 기반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으로 정의 하였다.

Ramanujam and Varadarajan(1989)는 그림<2-1>2)과 같이 의사결정

차원에서 다각화를 설명하였는데 기업 또는 사업단위가 내적개발 혹은 인수에 의해 기업의 관리구조, 시스템, 관리과정에 변화를 수반하는 새로 운 활동분야로 진출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그림2-1>과 같이 다 각화 결정, 방향, 다각화유형, 다각화의 진입방법, 조직구조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의사결정을 포함하는 복잡한 주체라고 설명하였다. . <그림2-1> 다각화 의사결정차원 1) 이질성이란, 두 제품에 대한 수요의 교체탄력성이 낮고, 제조와 분배에 필요한 자원의 이동이 단기간에 힘든 것을 말한다.

2) V. Ramnujam and P. Varadarajan, “Research on corporate diversification: A synthesi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Vol.10, 1989,pp.526.

(24)

기존의 여러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다각화란 기업의 관련정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존재하지만 기업이 기존 제품과는 다른 제품을 생산 또는 판매하여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여 기업을 성장시켜 나가는 경영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다각화의 동기 다각화의 전략적 목적은 성장추구, 위험의 감소, 범위의 경제성, 시장 지배력, 내부시장의 활용 등이다(장세진, 1996). (1) 성장추구 기업의 성장은 종업원에게 보다 많은 승진의 기회를 제공하며, 기업 이 소유와 경영이 잘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최고 경영자에게 높 은 효용을 줄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성장에 따른 규모의 확대는 국가의 자본시장이 낙후되고 불완전한 상황에서 기업들이 금융시장에서 자본을 조달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의 외형규모를 키우는 다각화 를 선호하고, 이러한 다각화 사업을 모기업 내의 사업부로 존속시키기보 다는 계열사로 독립시키는 것을 선호한다. (2) 위험분산 기업은 주력사업 분야의 경기순환에서 오는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다 각화를 전개한다. 축산업은 반도체나 조선과 같이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 복적으로 순환되는 사업분야이다. 이러한 경우 다각화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 고정비용이 높은 기업은 불경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경 기변동에 민감하지 않은 사업군 혹은 주력사업군과 경기변동의 싸이클이 반대인 사업에 진출함으로써 자금순환에 유동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위 험을 분산하려 하는 것이다.

(25)

(3) 범위의 경제성 한 기업이 두 가지 제품을 동시에 생산할 때 소요되는 비용이 별개의 두 기업에서 각각 한 제품씩 개별적으로 생산할 때에 소요되는 비용의 합보다 훨씬 작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범위의 경제성을 기업들은 ‘시너 지’라는 명칭으로 불러왔다. 범위의 경제성이 나타나는 이유는 두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공통적으로 투입되는 생산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범위의 경제성을 발생시키는 경영자원의 종류는 유형자원, 무형자원, 인 적자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유형자원에서 발생하는 범위의 경제성은 한 기업이 여러 가지 제품 을 동시에 생산하게 되면서, 투입요소나 생산단계의 중복을 제거함으로 써 실현된다. 무형자원에서 발생하는 범위의 경제성은 기업이 가진 브랜 드와 명성, 그리고 기술로 기존 사업분야에서 신규 사업분야로의 이전이 용이하고 추가적인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조직상의 능력에서 발생하 는 범위의 경제성은 각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기능별 혹은 사업부에서의 핵심역량을 새로이 조합하여 신제품을 만들어 내는 경우에 적용된다. (4) 시장지배력 다각화된 대형 기업이 시장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은 약탈적 가격결정, 상호구매, 상호경쟁자제 등을 들 수 있다. 약탈적 가격결정은 다각화된 기업은 경쟁자의 신규진입을 저지하기 위하여 다른 사업 분야에서 발생 한 수익을 기반으로 가격경쟁을 벌임으로써 특정시장에서 자신의 비용이 하로 가격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경쟁자를 쫓아내는 것이다. 또한 상호구 매를 통해 경쟁을 자제하고 서로 암묵적인 담합을 한다. 상호경쟁자제는 두 다각화된 기업이 서로 경쟁을 하고 있는 경우, 두 기업이 여러 시장 에서 상대방과 충돌하게 되면서, 충돌이 일어나는 여러 시장에서 서로가 상대방과의 경쟁을 자제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현상이다.

(26)

(5) 내부시장의 활용 대규모 다각화 기업이 다각화를 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 갖는 큰 경쟁 우위중의 하나는 자본 또는 인력을 보다 쉽게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특히 다각화된 기업은 여러 사업 분야에서 안정된 자금의 흐름을 확보할 수 있는 내부 자본시장이 있고, 필요한 기술 및 관리인력 등을 신규 사 업 분야로 진출시켜 신규인력을 훈련시키는데 지출되는 시간과 비용을 상당부분 절감할 수 있다. 3. 다각화의 수단과 유형

Goldberg(1973)는 다각화의 수단을 내적 확장(Internal Expansion)과 외적 취득(External Acquisition)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내적 확장이란 새로운 사업을 내부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으로 기업이 가지고 있는 내부 의 자원(Resource)과 역량(Capability, Competence)을 활용하여 기존사업 분야와 다른 분야에 참여하는 방법이다. 외적 취득이란 기업외부에 있는 경영자원을 취득함으로써 새로운 사업에 참여하는 방법이다. 다각화를 추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보편적인 방법 으로는 내부개발, 인수합병, 합작투자가 있다. 그러나 다각화된 기업이 모두 똑같은 형태로 다각화를 이룬 것은 아니다. 제품이나 판매지역 측 면에서 관련된 산업에 집중하여 다각화하는 관련다각화(related diversification)가 있고, 한국의 재벌기업처럼 전혀 관련되지 않은 산업에 진입하는 비관련다각화(unrelated diversification)도 있다. 생산과정 모두 를 한 기업에서 운용하는 수직적 통합(vertical integration)도 다각화의 한 가지 유형이다. 관련다각화란 제품이나 판매망, 기술 또는 생산방식, 원재료 등이 서로 연관성을 갖도록 다각화하는 경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관련 다각화에

(27)

서는 기술이나 조직구성원의 기능, 판매망, 경영노하우, 제품 등이 시너 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때 바람직한 전략으로 인식된다. 이와 같은 시너지효과는 여러 요소들 간의 유사성이 있거나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을 때 실현될 수 있으며, 관련된 요소들이 많을수록, 요소간의 관계가 복잡할수록 시너지효과는 증대하게 된다. 반면 비관련다각화란 사업영역 간의 관계와 상관없이 이루어지는 다각화의 유형을 말하며, 시너지를 추 구하기보다는 위험의 분산이나 재무적인 적합성 등을 추구하기 위한 방 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재무적 적합성이란 내부자금시장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위험 분산에 따르는 파산위험의 감소나 기업의 크기 가 증대함으로써 발생되는 자금조달능력의 확대를 의미한다(장세진, 2006). <그림2-2> Rumelt의 다각화 유형분류 Rumelt(1974)는 다각화 유형을 특화율과 관련비율, 수직비율에 따라 분류된다. 이때 특화율이란 최대단일사업의 매출액/총매출액을 말하고, 관련비율이란 총매출액 중에서 시장, 기술, 유통, 연구개발 등에서 상호 관련성을 갖는 최대사업 분야로부터 얻는 매출액의 구성비를 말하며, 수

(28)

직비율은 수직적 통합부문으로부터의 매출액이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다. Rumelt는 특화율과 관련비율을 가지고 단일사업기업, 수직적 통합기업, 주력사업중심기업, 관련다각화기업, 비관련다각화 기업 5가지 로 분류하였다. 그에 따르면 기업은 특화율과 관련비율을 기준으로 주력사업 내에서 매출이 95%이상을 발생하는 기업을 단일사업기업(Single Business), 수 직적으로 통합된 사업 내에서 매출의 70% 이상이 발생하는 기업을 수직 적통합기업(Vertically Integrated Firm), 주력사업 내에서 70~95%의 매 출이 발생하는 기업을 주력사업 중심기업(Dominant Diversifier), 관련사 업에서 70% 이상의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을 관련다각화기업(Related Diversifier), 관련사업 내에서 70%에 미치지 못하는 매출이 발생하는 비 관련다각화기업(Unrelated Diversifier)으로 각각 총 5가지 유형으로 분류 될 수 있다. 최근 Jay와 William은 다각화란 기업의 다각화 전략에 대하여 한 기업 이 복수의 산업 또는 시장에서 동시에 복수의 사업들을 영위할 때 그 기 업은 기업 다각화 전략을 실행한다고 정의 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다 각화를 크게 제품다각화, 지리적 시장다각화로 나누었다.

제 2절 전략에 대한 관점과 가치사슬

다각화 연구는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의 관점에서 크 게 두 가지 접근방법으로 구분되는데 기업의 외부환경요인을 중심으로 한 산업조직론적 접근방법과 기업의 내부요인을 강조하는 자원거점적 접 근으로 나뉜다. 1. 산업조직론적 접근 산업조직론적 접근은 일반적 환경과 산업특성 등을 고려하는 외부적

(29)

분석이다. 일반적 환경에는 거시적 환경요인, 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사회적 요인, 기술적 요인, 인구통계적 요인, 국제적 요인이 포함된다. 산 업조직론의 분석방법은 시장구조와 시장성의 인과관계를 강조하는 구조 론적인 분석방법이고, 하나는 시장행동과 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강조하는 행동론적인 분석방법이다. 따라서 기업의 성과는 다각화 유형에 의한 영 향보다 산업특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으므로 다각화를 통 한 산업구조의 변화에 중점을 두어야 된다고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산 업조직론은 산업측면에서 기업들이 다각화를 하는 동기는 설명할 수 있 지만 개별기업의 다각화전략으로 확대하여 이해하기 어렵다는 구조적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해 마이클 포터는 산업의 경쟁성격 및 경쟁전략 으로 관심을 옮겨 기업의 경쟁력은 그 기업이 어떤 환경에 놓여있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 주장하였다. <표2-1> 5Forces모형 자료: 마이클포터 경쟁론

(30)

기업 외부환경분석의 대표적인 모형이 된 마이클 포터의 산업구조분석 모형(1980), 5Forces model이다. 이는 기업의 성장전략을 집중화전략과 다각화전략 두 가지로 구분하고 산업매력도와 기업의 경쟁지위의 적합성 을 고려하여 자사의 경쟁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는 이론이다. 포터는 잠재적 진출기업의 진입, 기존 기업들 간의 경쟁,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대체상품의 위협 요인에 기초한 산업 한경 분석 틀을 <그림2-3>과 같이 제시하였다. 기업은 호의적인 환경 및 잠재적 이윤이 많은 산업에서 경영활동을 영 위할 시 성과를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신이 속한 산업이 매우 매력적인 분야인 경우 그 산업에 자원을 집중하거나 기존산업과 신 규산업 간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관련된 산업 분야로 다각화함으 로써 기존 산업에서 활용하였던 제조 및 판매, 기술을 광범위하게 유용 할 수 있다. 결국 높은 수익률과 성장률을 보이는 산업에 속한 기업은 관련다각화를 추구하며 낮은 수익률과 성장률을 보이는 산업에서의 기업 은 비관련다각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주장 인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조직론적 접근방법은 많은 실증연구에서 그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기업의 성과에 영향이 미치는 결정 요인이 단지 외부적 환경요인만에 의한 것이 아닌 다른 중요한 결정요인 이 있음을 보여준다. 2. 자원거점적 접근 자원거점론은 다각화 전략의 결정요인을 기업의 내부환경요인에서 찾 는 견해로 Wernerfelf(1984)에 의해 자원분석의 필요성이 인식된 후 제 기된 접근방법이다. 먼저 자원에 대해 Penrose(1959)는 자원을 잠재적인 서비스패키지로 정의하였고, Hofer & Schendal(1978)은 자원을 재무자

(31)

원, 물리적 자원, 인적 기술자원, 명성, 조직자원의 여섯 종류로 나누었 다. Collis(1991)는 자원을 차별화된 기술적 능력, 학습능력, 보완적 자산 등을 포함한 핵심역량, 조직이 습득한 동태적 일상성으로서의 무형자산, 주체적으로는 기업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경영능력을 포괄하는 조직능력과 무형적 문화유산과 물질적 유 산 등 조직의 제약조건으로 주로 작용하는 관리유산으로 구분해 설명하 였다. 자원은 축적의 의미이며, 이에 반하여 흐름의 개념을 갖는 것이 능력 이라 볼 수 있다. 기업의 가치활동들이 기업의 능력이고 이러한 능력들 이 결합하여 기업 내 특유의 경쟁자산으로 축적된다(신철호 1994). 기업 의 자원과 능력은 경쟁우위의 획득뿐만 아니라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시 켜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기업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요인으 로 인식되었다(Barney1991 ; Grant 1991). Barney(1991)는 기업이 경쟁우위를 획득하고 유지하는데 있어서 기업 특유의 독특한 자원이 수행하는 역할을 강조했고, 기업은 지속적으로 우 수한 경영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치 있고 희소하며 경쟁자의 모방이 어 려우며, 대체가 어려운 자원을 개발해야 한다고 하였다. Grant(1991)는 일부 기업들이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지속적으로 승리 할 수 있는 것은 그 기업들이 경쟁기업들이 흉내 낼 수 없는 가치를 창조하는 자원 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자원거점론은 기업능력 중시관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원천으로 보며 환경의 중요성도 인식하지 만 환경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역량을 우선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앞서 언급한 산업조직론과 자원거점론, 이 두 관점을 모두 고려하여 전략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외부 환경적 요 인에 의하여 다각화 유인이 발생 시에 다각화전략을 수행할 자원이나 능 력이 보유되지 않는다면 실행이 없기 때문에 두 요인 모두를 고려하는 것이 다각화전략 분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32)

(1) 핵심역량 및 가치사슬

기업내부에 초점을 맞추어 볼 때,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차 지하기 위해서는 경영전략보다는 조직의 능력이 강조된다.

Prahalad & Hamel(1990)은 핵심역량을 기업의 경쟁우위의 근본이며 여러 시장에 걸쳐서 활용될 수 있는 경영자원이라고 정의하였다. Teece, Pisano And Shuen(1997) 역시 기업의 핵심역량을 기업특유의 유형 또는 무형의 경영자원으로 경영자원간의 오랜 상호작용으로 창조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장세진(2000)은 핵심역량을 기업의 여러 가지 경영자원을 경쟁기업에 비하여 훨씬 우월한 능력, 즉 경쟁우위를 가져오는 기업의 능력’이라 정 의하였다. 경쟁우위를 가져오는 핵심역량은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 으며 경영자원을 효과적으로 배치하고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나 지식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의 기업은 현재의 핵심역량을 올바르게 적출해내고, 이 를 새롭게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핵심역 량은 경쟁사에 대비하여 차별적 요소일 뿐 아니라, 경쟁의 주도권을 쥐 게 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핵심역량을 가진 선도적 기업이 그 핵심역량에 의존하는 수많은 최종 제품 시장에 참가할 수 있으며 경쟁우 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핵심역량의 분석은 기업이 활동에 관련된 가치사슬 개념을 통해 가능 하다. 종래의 기능별전략은 기능 상호간의 관련성을 중요시하지 않고 각 기능별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해왔으나 Porter(1985)의 가치사슬이 론을 통해 각 기능별 전략을 서로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전략 시스템이 되도록 기능별 전략을 서로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다. 가치사슬이론은 경쟁우위전략 수행을 위하여 여러 가지 가치 활동이 어떻게 구성되고 어 떻게 상호관련을 가지고 작용해야 하는 지를 밝히고 있다(류진국 1995).

(33)

Porter(1985)는 기업의 경쟁요인은 각 기업의 제반 활동인 디자인, 생 산, 마케팅, 운송 등 주요활동과 이들 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을 통하여 발 생하고, 이러한 각각의 활동은 기업의 원가를 낮추고 차별화를 달성한다 고 주장하였다. 경쟁우위의 원천은 개별기업이 수행하는 모든 활동과 제 반 활동들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가에서 알 수 있다. 가치사슬은 한 기업의 활동을 전략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몇 개의 활동 들로 나누어 원가의 형태와 내재된 차별화의 원천을 이해하기 위해 도입 된 개념이다. 기업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활동을 경쟁자보다 저렴하게 혹 은 더 좋은 방법으로 수행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각 기업의 가치사슬은 각 기업의 역사, 전략, 기업 활동에 있어서 성 공여부가 다르고 기업진출범위, 상호의 연관성, 지리적 시장범위, 제반 기업 활동의 통합 정도에 의해 경쟁자와 다른 양상을 띤다. 일반적인 제조기업의 가치사슬은 <그림2-3>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각 서로 연계되어 있는 9개의 본원적인 가치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치 사슬은 특정기업이 어떻게 제반 활동을 통해 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 는가를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 <그림2-3> 제조업 부문의 가치사슬 자료: M.Porter 경쟁전략

(34)

가치활동은 크게 본원적 활동과 지원활동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본원 적 활동은 제품제조의 물리적 과정과 판매 그리고 구매자에게 전달되는 물적 유통과정과 애프터서비스 활동이 포함된다. 지원활동은 본원적 활 동과 다른 지원활동을 보조해 주는 활동으로 구매되는 투입요소 기술 인 적자원과 기타 회사 하부구조를 포괄한다. 그런데 그림에서 지원활동에 점선이 그려진 것은 이들 활동이 개별활동을 지원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전반적으로 전체 가치사슬을 지원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기업 하부구조는 특정 본원적 활동을 지원하지 않고 전체 가치사슬만을 지원 한다. 따라서 가치활동은 경쟁우위 원천이 되는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활동에는 경제적 논리가 반영되어 경쟁에 대한 기업의 원가지위를 결 정하고 구매자 욕구를 반영하며 차별화를 가져온다. (2) 농업부문의 가치사슬 경영학에서의 개념과 마찬가지로 농업부문의 가치사슬은 농업경영과정 에서 부가가치의 생성과 관련된 모든 직·간접 활동을 뜻한다. 농업부문 의 주요활동은 종자, 종구 구입, 생산, 선별, 포장, 저장, 가공, 수송 및 판매, 수출 등의 현장 업무활동이 포함된다. 이와 관련된 지원활동으로는 생산기반시설 구축, 기술개발 및 교육 조직화 전문화, 사후관리 등이 있 다.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요소는 각 가치 활동이 상호의존적으로 연계되어 내는 시너지이다. 과거에는 개별 및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생 산증대, 품질개선. 유통시설의 현대화, 농업인 교육, 브랜드, 정보공유 등 부문별 핵심요인을 최적화하는 방법만을 모색하였다. 하지만 가치사슬은 단계별 구매자가 구입한 상품의 만족도에 따라 가치가 평가되기 때문에 생산·유통·가공 등 단계별 활동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가치 창출되는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협력할 때 비로소 경쟁력 제고와 동시에 새로운 부가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김연중, 2010). 농축산물의 가치사슬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각 단계가 유기

(35)

적으로 연계되며 상호조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가치사 슬 간 수직적 통합의 정도가 높은 경우에는 후방산업과 전방산업 간의 조정이 용이하기 때문에 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가치를 증 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농업 가치사슬에서는 수요자의 소비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웰빙트렌드 등은 식생활 문화의 변화로 안정성이 입증된 식품에 대한 니 즈(Needs)가 증대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니즈에 맞추어 고품질의 안전농축산물의 생산이라는 공통된 목표 하에 모든 관련 활동들을 체계 적으로 관리·통제 할 수 있는 일괄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렇게 소비자의 트렌드를 빠르게 읽어냄과 동시에 원활한 상호조정이 이루어 질 때 비로소 가치사슬 운영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축산업의 가치사슬에서 중요한 것은 종돈, 종계에서부터 생산, 도축·가 공, 소비자 단계까지 이어지는 축산업 가치사슬의 주체들은 각각의 위치 에서 고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가치사슬의 모든 단계에서 지원조직과 기업, 조합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는 점이다. 축산업 가치사슬3)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그림2-4> 축산업 가치사슬 3) 본 가치사슬은 김영생(2009), 김연중(2010)의 연구에서 제시된 가치사슬을 재구성함.

(36)

3. BMO법 (사업타당성평가)

BMO(Bruce Merrifield-Ohe) 방법은 Bruce Merrifield(Continental Group기술부문 부회장) 박사가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 와튼스쿨 교수로 재직 시 제안한 것으로 본래는 연구개발 테마 선정을 위해 개발된 기업 이다. 이것을 일본의 오오에(Ohe) 교수가 신규사업 및 아이템 선정을 위 해 적합도 판정기법으로 수정한 사업추진 타당성평가 방법론이다. Merrifield의 제약성분석(Constraint Analysis)은 BMO의 기본이 되는 모 델이다. 이 모델은 고성장 가능성을 지닌 벤처를 찾아내는 기준을 양적 (Quantitative)으로 나타내는 모델로 그 예측 정확도가 실제 연구를 통해 검증된 모델이다. 미국의 실제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통계 적으로 80%이상의 예측력을 보여주었다(Merrifield, 1978). 이러한 제약 성분석을 BMO법이라 하며, 사업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론이다. 이 방법은 사업 가능성을 120점 만점으로 체크하는데, 매력도 60점, 자사적합도 60점으로 구분하고 있다. 매력도는 외부요인4)으로 시장수요 측면, 기술 및 정책적 측면 등을 고려하고, 내부적 요인5)은 해당 아이템 의 사업화를 위한 자사의 역량을 체크하게 된다. 또한 BMO 테스트의 판별기준에 의하면 외부요인에 의한 사업매력도, 즉 시장환경 등은 최소 한 35점 이상이 되어야 하고, 자사 역량 적합도는 최소한 20점 이상은 되어야 한다. 유망 아이템으로 선정되기 위해서는 사업매력도와 자사 역 량 적합도의 합이 80점 이상이 일 때 타당성이 80% 이상이라고 평가된 다. 본 모형은 신규사업진입시의 성공확률을 평가하는 방법론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다각화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정되어 사용되었다. 또 한 12개의 척도를 각 10점 만점으로 총점이 120점으로 평가하는 BMO모 형을 11개의 척도, 5점 만점으로 총점 55점으로 수정하였다. 따라서 총점 35점 이상의 전략이 타당하다고 평가하였다. 4) 매출규모, 시장성장률, 경쟁양상, 위험분산도, 업계재구축가능성, 특별한 사회적 상황 5) 자금력, 마케팅력, 제조력, 기술력, 원재료조달력, 경영지원

(37)

연도 2007 2008 2009 2010 2011 판매액 4,099 4,294 4,703 5,594 5,953 전년대비성장률 -0.5 4.7 11 18.9 6.5

제 3장 축산물 관련 산업현황

제 1절 사료첨가제 및 사료산업 현황

1. 사료첨가제 및 약품시장현황 2011년 전체 동물약품 시장의 규모는 약 6천억 원이며 배합사료 시장 규모는 4조 5천억 원으로 사료첨가제 시장은 사료시장규모의 약 13%수 준이다. 약품 및 사료첨가제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지난 5년 성장률 평균은 8.1%로 배합사료의 성장률보다 높은 수준에 있 다. 그러나 매출액 증감은 사료업체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그 증감 의 폭과 양상이 유사하다. 동물약품 및 기능성 첨가제의 주요 수요처는 배합사료 업체 및 양축업 체이며, 사료첨가제의 주요한 수요처는 배합사료업체이다. 수요자가 불특 정 다수로 구성되는 일반 소비재시장과는 달리 수요처가 특정업체로 한 정되는 생산재시장이다. 동물약품 및 기능성첨가제산업은 제품의 효능과 기능이 중요한 경쟁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토대로 마케팅이 이루어지며, 판매 전후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기술 설명과 지도를 제공이 필요한 산업특성 을 가진다. <표3-1> 동물약품 및 사료첨가제 산업 현황 (단위: 억 원, %) 자료: (사)한국동물약품협회 분류별 판매동향

(38)

2011년 7월부터 시행된 완전배합사료 내에 항생제 사용이 전면 금지되 면서 동물약품 첨가제의 시장수요가 천연제제로 돌아섰다. 이는 화학제 제가 야기하는 생물학적 질서의 파괴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어 소비 자의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화학제제에서 천연제 제로 수요 대체가 일어났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천연제제의 성능과 가격 경쟁력은 아직까지 화학제제에 비해 열위하므로 이를 보완하는 상품을 개발하기 위한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2. 사료산업 현황 미국, 캐나다, 중국, 호주로부터 수입한 원료곡을 성장단계별로 적합한 비율로 배합하여 배합사료를 제조한다. 사료업체의 경우 생산, 판매 이외 에도 수의, 경영진단, 임신진단, 시설진단 등의 서비스를 농가에 제공한 다. 사료산업에는 농협과 사료협회 소속업체(사협), 기타업체를 포함하여 63여개 업체가 성업 중이다. 2011년 사료시장 규모는 4조 5천억 원 수준 이며 총 16,706천 톤이 생산되었다. 생산량추이는 <표3-2>과 같다. <표3-2> 배합사료 사료생산량 (단위: 천 톤, %) 축종 물량 비중 물량 비중 물량 비중2007 2008 2009 물량2010비중 물량2011비중 양돈 5,409 33.5 5,307 32.9 5,332 32.3 5,535 31.6 4,482 26.8 양계 4,403 27.3 4,286 26.6 4,463 27.1 4,658 26.6 4,748 28.4 비육우 3,880 24.0 4,165 25.8 4,310 26.2 4,761 27.2 4,792 28.7 낙농 1,449 9.0 1,370 8.5 1,311 7.9 1,292 7.4 1,240 7.4 기타 1,006 6.2 1,003 6.2 1,066 6.5 1,287 7.3 1,444 8.7 합계 16,148 100 16,131 100 16,481 100 17,534 100 16,706 100 전년대비 성장률 4.3 -1.0 3.7 6.4 -4.7 자료: 농림수산식품부 양축용 배합사료 생산실적

(39)

2011년 배합사료 생산량은 구제역으로 인한 가축 두수의 감소로 전년 보다 –4.7% 감소한 16,706천 톤이다. 이로 인해 2010년 생산량 비중은 양돈용 31.46%, 양계용, 비육우용 순이었으나, 2011년에는 비육우 배합사 료 생산량 비중이 28.68%로 가장 높고, 양계용, 양돈용 사료가 그 뒤를 이었다. 이를 토대로 배합사료의 생산량은 양축농가의 사육규모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사육규모에 대한 영향은 특정측정 에서 질병발생 시 배합사료수요량에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나며, 지난 5년 간 평균 성장률은 1.7%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3. 사료산업의 외부환경분석 체계적인 산업환경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2장에서 살펴본 마이클포터의 5Forces모형을 이용하여 기존경쟁자의 경쟁, 신규진입자의 위협(진입장 벽), 공급자교섭력, 구매자교섭력, 대체재의 위협으로 구분하여 사료산업 을 분석하도록 한다. 첫째, 기존 경쟁자와의 경쟁현황을 살펴보면 현재의 배합사료 시장은 완전경쟁에 가까운 포화상태라 할 수 있다. 배합사료산업은 축산물 생산 비의 50-60%를 차지하는 등 축산업에 있어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으로 현재 민간 기업과 농협을 포함 총 63여개의 생산공장을 운영 중에 있다. 이처럼 경쟁기업의 수가 많고, 이들 경쟁기업들의 규모가 비 슷하여 산업집중도6)가 낮아 높은 수준의 경쟁양상을 띄고 있다. 이와 더 불어 배합사료시장은 장치산업이라는 특성으로 높은 고정비, 재고비, 철 수비용으로 부가가치가 낮아 타 제조업에 비해 수익률이 낮은 편이다(김 종호, 2005). 또한 산업 성장률이 지난 5년 평균 1.7%로 낮은 수준을 보 이며 배합사료의 희박한 상품차별성 등을 종합하여 사료산업은 경쟁이 과열된 시장으로 파악할 수 있다. 6) 산업집중도는 CR3평가법을 사용하였고 사료산업의 CR3는 25.4%로 집중도가 낮은 수 준임.

(40)

둘째, 사료산업의 진입장벽은 규모의 경제성과 설비투자 비율, 제도적 인 영향을 받는다. 먼저 사료산업은 제조업의 일종으로 초기 높은 고정 비용을 일정 수준 생산량을 초과 시 경제성이 발생하는 규모의 경제성을 가진다(김형화,1981). 많은 사료회사는 설립된 지 오래되어 제조설비가 노후되었으나 장치산업으로 인한 높은 신규투자비용과 낮은 이익률로 진 입장벽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존설비로도 생산에 큰 어려움이 없어 사업 의 철수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반면 사료 관리법에 의해 운영되 던 사료산업이 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었으며 중소기업 고유업종에서 해제되었다는 점은 신규진입자의 진입이 쉬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사료업에 대한 공급자의 교섭력은 원재료 조달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 배합사료 제조비용 중 원료곡의 비중은 80-85%를 차지하고 있 고, 98%에 달하는 원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원료는 옥수수, 대두, 소 맥 등 곡물과 기타 첨가제 등이 있는데 곡물의 경우 차별성이 낮다. 반 면 원재료에 대한 대체가능성이 낮다는 점과 곡물메이저에의 의한 거래 는 공급자의 정보력이 높다는 점 그리고 앞서 언급한 원재료가 사료사업 의 생산 및 경영활동에 명백히 큰 영향을 미치므로 공급자의 교섭력이 강하게 작용한다고 평가된다. 원재료 수급의 문제는 현재 중국을 비롯한 신흥 아시아 국가들의 원자 재 수요가 급격히 줄지 않는 한 수급불안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함께 호주 등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벌크선 체선 현상도 쉽게 해결 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또한 농업생산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식량의 연료화 추세로 원료곡의 안정적인 확보가 수익성유지의 관건이 다. 넷째, 구매자의 교섭력은 높다. 사료업에 있어 구매자는 양축농가인데 총 생산비용 중 사료비용으로 소요하는 비중이 50-60%에 달한다. 이에 따라 구매자들은 유리한 가격위주나 선별적 제품 구매의 경향을 보인다. 또한 배합사료산업 내 기업들 간의 시장점유율이 비슷한 수준이며, 배합

(41)

사료의 차별성이 희박하고, 교체비용이 거의 들지 않기 때문에 자유로운 변경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구매자인 양축농가의 상대적으로 낮은 정보력과 낮은 후방통합가능성은 특성이 있으나 종합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섭력을 발휘한다고 평가된다. 다섯째, 조사료 비중이 높은 축우부문을 제외하고 배합사료의 대체재 는 사실상 찾아보기 힘들다. 배합사료와 조사료 모두 수입된 원재료로 생산되기는 하나 조사료의 경우 국내에서 생산되는 작물로 생산이 가능 하여 수입원재료 가격 상승에의 대안으로 제시되고나 그 활용도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이렇게 배합사료의 대체재역할을 조사료가 할 수 있도 록 정부에서는 조사료 작물의 개발과 조사료TMR7)공장에 대해 지원을 늘리고 있다.

제 2절 양돈관련 산업현황

1. 양돈업 현황 돼지는 국내 농림업 생산액에서 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 지한다. 2011년 농림업 생산액은 총 43조 5,233억 원이며 축산업 생산액 은 17조 4,714억 원으로 40.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돼지 생산액은 5 조 3,227억 원으로 12.2%이고 이는 전 축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낸 다. 지난 5개년 평균성장률은 10.9%이며, 농림업 생산액 중 돼지 생산액 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양돈업은 수요증가와 1990년대 수출위주의 양돈정책에 힘입어 전 업농을 중심으로 규모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1989년 돼지가격파동 시기에는 사육두수가 감소하였지만, 돼지고기 수출촉진정책으로 2000년 대까지 사육두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돼지사육의 전업화와 규모화 추

(42)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농림업 생산액(A) 363,893 358,372 396,626 429,951 435,233 축산업 생산액(B) 116,763 112,773 135,929 164,840 174,714 돼지 생산액(C) 36,093 33,197 40,853 54,734 53,227 양돈비중(C/A) 9.9 9.3 10.3 12.7 12.2 양돈비중(C/B) 30.9 29.4 30.1 33.2 30.5 (단위: 억 원, %) 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가축질병, 분뇨처리, 곡물가 격상승에 따른 사료비 상승, 시설투자비 과다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표3-3> 농림업 생산액과 돼지 생산액 자료: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생활수준향상으로 양돈소비 증가에 따른 급속한 성장을 보였으나, 수 요와 공급 균형으로 900만두에서 1000만두의 규모를 유지해왔다. 성장둔 화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패턴변화에 따른 친환경 국산 양돈 수요 및 식 육업계의 브랜드 차별화로 양돈 소비가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2010년 말 발생한 FMD8)의 영향으로 332만두를 매몰·처분하여 703만두 까지 감소하였다가 2011년 말 사육 두수는 817만 두로 회복되었다. 이처 럼 질병에 따른 수급변동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돼지를 사육하는 농가의 유형은 일관사육, 번식전문, 비육위탁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일관사육 농가는 후보 모돈을 종돈장으로부터 구입하여 자본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돈을 비육시켜 시장에 출하하는 유형이다. 돈 사를 분만사, 육성사, 비육사로 구분하여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돼지 가 성장함에 따라 해당돈사로 이동하면서 비육한다.

(43)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사육두수 9,606 9,087 9,585 9,881 8,170 사육가구수 9,832 7,681 7,962 7,347 6,349 농가별사육두수 977 1,183 1,204 1,345 1,287 우리나라의 경우 일관사육농가가 주를 이룬다. 번식전문농가는 모돈 을 종돈장에서 구입하고 자돈을 생산한 후, 비육위탁농가에 공급한다. 경 우에 따라 6kg전후의 이유자돈을 공급하거나 30kg전후의 자돈을 비육위 탁농가에 공급하기도 한다. 비육위탁농가는 6kg전후의 자돈을 공급받아 약 110kg까지 사육하여 시장에 출하한다. <표3-4>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으나 사육가구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영세농가는 양돈에서 철수하 고, 1,000두 이상 대규모 농장이 사육의 규모화를 이루었음을 의미한다. <표3-4> 돼지 사육두수 및 사육농가 수 추이 (단위: 천두, 호수) 자료: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연평균자료 2. 도축·가공업 현황 국내 도축장의 영세화에 따른 비위생적인 도축 및 예냉시설의 미비, 수송과정에서의 비위생적 처리로 인한 오염, 식육판매점의 영세화로 인 한 냉온저장시설 미비 등의 문제점은 국내 식육유통의 국제경쟁력을 약 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축가공업에 종사하는 업체가 많아 포화상태에 직면한 상황이나 정부 의 도축장 구조조정법을 통해 규모화, 시스템화된 도축·가공시설은 경쟁 력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축산물 도축, 가공산업은 질병관리가 핵심적인 요건이다. 구제역이나 콜레라 등 질병이 발생되면 원재료 (생축)의 감소 로 이어지며 그로인해 원재료 가격과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그 영향은

(44)

년도 2007 2008 2009 2010 2011 도축두수 13,675 13,806 13,919 14,629 10,833 전년대비 성장률 5.16 0.09 0.08 5.1 -0.26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2010년 말 구제역의 발생으로 향후 5년간 수출이 중단되어 식육업체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수직계열화를 통한 질병관리로 위생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축산업은 식품가공위생법 및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해 도축시설, 가공 시설의 위생 및 그 시설에 관한 규제를 받고 있다. 음식점 및 햄, 소시지 가공품의 원산지표시제가 도입됐고, 모든 국내산 식육 판매장에는 도축 장명 표기를 의무화되었다. FTA타결 후 외적으로 식육산업의 성장을 압 박하는 환경으로, 국내 도축산업 경쟁력강화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도축장 구조조정법에 따라 전국 80여 곳 도축장을 2015년까지 36곳으 로 축소될 예정이다. 도축장의 관리를 더 용이하게 하고 그것을 통해 소 비자에게 더 안전한 식육을 공급하고자 하는데 목적의 정책이 시행중에 있다. 이를 통해 낙후된 도축장들의 폐업을 도모하거나 소규모 도축장을 통합하여 식육부문의 국가적 경쟁력제고를 목표로 한다. 도축장 구조조 정을 통하여 거점도축장(20곳) 및 통합도축장(6곳)을 선정, 육성 지원하 게 되며 도축장 HACCP기준 및 운영실태 점검을 강화하고 위생관리정 보 공개, 장기휴업 도축장 허가취소 등의 방침을 세우고 있다. <표3-5> 돼지 도축 두수 (단위: 천두) 자료: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도축현황통계 도축장은 1980년 179개소에서 2011년 87개로 감소하였다. 또한 2012년 영세하고 낙후된 5개소를 폐쇄하였다. 도축두수 추이를 보면 2005년에서 2010년까지 13,000두 선을 주지하였으나 2010년 말 발생한 FMD로 인한 출하량 급감으로 인해 2011년 도축 마리 수는 2010년보다 26.0% 감소한

참조

관련 문서

-Spray drying : 물에 분산된 작은 입자를 고온 공기 상에 분사... 일정 압력에서 냉각,

비용을 지불한 일부 조직이 다시 공격 대상이 되는 경우도 확인됨 처음 요구된 비용을 지불 한 후에 일부 피해자는 약속한 복호화 비용보다 더 많은 금액의

② Head rest 상하조절은 각도 조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head rest를 경사지게 하려면 각도조절 핸들을 먼저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head rest를 잡고 내리면 임의의 각도로

◦ 사업 대상을 구체화하면 보조 비중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면서도 부정 수급 가능성과 행정 비용을 낮출 수 있을 것임..

동해안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우리나라의 원자력 경제성은 우리나라의 위치 만큼 불변의 고정 상수.. 우리보다 먼저

합주협주곡은 콘체르티노(concertino)라는 소수의 악기들로 이루어진 그룹과 리피에노(ripieno)라는 많은 악기들의 그룹을 대 조시킨 형식으로,

지난 11년 동안 인천 지역의 청소년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온 &lt;썸머 페스티벌&gt;은 수준 높은 연주는 물론 친절한 해설, 눈높이에 맞춘 프로 그래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