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양돈업 현황

돼지는 국내 농림업 생산액에서 쌀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 지한다. 2011년 농림업 생산액은 총 43조 5,233억 원이며 축산업 생산액 은 17조 4,714억 원으로 40.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돼지 생산액은 5 조 3,227억 원으로 12.2%이고 이는 전 축종 중 가장 높은 비중을 나타낸 다. 지난 5개년 평균성장률은 10.9%이며, 농림업 생산액 중 돼지 생산액 이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양돈업은 수요증가와 1990년대 수출위주의 양돈정책에 힘입어 전 업농을 중심으로 규모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다. 1989년 돼지가격파동 시기에는 사육두수가 감소하였지만, 돼지고기 수출촉진정책으로 2000년 대까지 사육두수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돼지사육의 전업화와 규모화 추

7) Total Mixed Ration의 약자. 완전혼합사료

구분 2006 2007 2008 2009 2010 농림업 생산액(A) 363,893 358,372 396,626 429,951 435,233 축산업 생산액(B) 116,763 112,773 135,929 164,840 174,714 돼지 생산액(C) 36,093 33,197 40,853 54,734 53,227

양돈비중(C/A) 9.9 9.3 10.3 12.7 12.2 양돈비중(C/B) 30.9 29.4 30.1 33.2 30.5

(단위: 억 원, %)

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2000년대 들어서면서 가축질병, 분뇨처리, 곡물가 격상승에 따른 사료비 상승, 시설투자비 과다 등으로 둔화되고 있다.

<표3-3> 농림업 생산액과 돼지 생산액

자료: 농림수산식품 주요통계

생활수준향상으로 양돈소비 증가에 따른 급속한 성장을 보였으나, 수 요와 공급 균형으로 900만두에서 1000만두의 규모를 유지해왔다. 성장둔 화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패턴변화에 따른 친환경 국산 양돈 수요 및 식 육업계의 브랜드 차별화로 양돈 소비가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2010년 말 발생한 FMD8)의 영향으로 332만두를 매몰·처분하여 703만두 까지 감소하였다가 2011년 말 사육 두수는 817만 두로 회복되었다. 이처 럼 질병에 따른 수급변동이 매우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돼지를 사육하는 농가의 유형은 일관사육, 번식전문, 비육위탁으로 구 분할 수 있다. 일관사육 농가는 후보 모돈을 종돈장으로부터 구입하여 자본을 생산하고, 생산된 자돈을 비육시켜 시장에 출하하는 유형이다. 돈 사를 분만사, 육성사, 비육사로 구분하여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돼지 가 성장함에 따라 해당돈사로 이동하면서 비육한다.

8) FMD: foot and mouth disease 의 약자. 구제역을 의미함.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사육두수 9,606 9,087 9,585 9,881 8,170 사육가구수 9,832 7,681 7,962 7,347 6,349 농가별사육두수 977 1,183 1,204 1,345 1,287

우리나라의 경우 일관사육농가가 주를 이룬다. 번식전문농가는 모돈 을 종돈장에서 구입하고 자돈을 생산한 후, 비육위탁농가에 공급한다. 경 우에 따라 6kg전후의 이유자돈을 공급하거나 30kg전후의 자돈을 비육위 탁농가에 공급하기도 한다. 비육위탁농가는 6kg전후의 자돈을 공급받아 약 110kg까지 사육하여 시장에 출하한다.

<표3-4>에서 파악할 수 있듯이 사육두수는 지속적으로 소폭 상승하고 있으나 사육가구수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영세농가는 양돈에서 철수하 고, 1,000두 이상 대규모 농장이 사육의 규모화를 이루었음을 의미한다.

<표3-4> 돼지 사육두수 및 사육농가 수 추이

(단위: 천두, 호수)

자료: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연평균자료

2. 도축·가공업 현황

국내 도축장의 영세화에 따른 비위생적인 도축 및 예냉시설의 미비, 수송과정에서의 비위생적 처리로 인한 오염, 식육판매점의 영세화로 인 한 냉온저장시설 미비 등의 문제점은 국내 식육유통의 국제경쟁력을 약 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도축가공업에 종사하는 업체가 많아 포화상태에 직면한 상황이나 정부 의 도축장 구조조정법을 통해 규모화, 시스템화된 도축·가공시설은 경쟁 력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축산물 도축, 가공산업은 질병관리가 핵심적인 요건이다. 구제역이나 콜레라 등 질병이 발생되면 원재료 (생축)의 감소 로 이어지며 그로인해 원재료 가격과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그 영향은

년도 2007 2008 2009 2010 2011 도축두수 13,675 13,806 13,919 14,629 10,833 전년대비성장률 5.16 0.09 0.08 5.1 -0.26 소비자에게 돌아간다. 2010년 말 구제역의 발생으로 향후 5년간 수출이 중단되어 식육업체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수직계열화를 통한 질병관리로 위생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축산업은 식품가공위생법 및 축산물가공처리법에 의해 도축시설, 가공 시설의 위생 및 그 시설에 관한 규제를 받고 있다. 음식점 및 햄, 소시지 가공품의 원산지표시제가 도입됐고, 모든 국내산 식육 판매장에는 도축 장명 표기를 의무화되었다. FTA타결 후 외적으로 식육산업의 성장을 압 박하는 환경으로, 국내 도축산업 경쟁력강화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도축장 구조조정법에 따라 전국 80여 곳 도축장을 2015년까지 36곳으 로 축소될 예정이다. 도축장의 관리를 더 용이하게 하고 그것을 통해 소 비자에게 더 안전한 식육을 공급하고자 하는데 목적의 정책이 시행중에 있다. 이를 통해 낙후된 도축장들의 폐업을 도모하거나 소규모 도축장을 통합하여 식육부문의 국가적 경쟁력제고를 목표로 한다. 도축장 구조조 정을 통하여 거점도축장(20곳) 및 통합도축장(6곳)을 선정, 육성 지원하 게 되며 도축장 HACCP기준 및 운영실태 점검을 강화하고 위생관리정 보 공개, 장기휴업 도축장 허가취소 등의 방침을 세우고 있다.

<표3-5> 돼지 도축 두수

(단위: 천두)

자료: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도축현황통계

도축장은 1980년 179개소에서 2011년 87개로 감소하였다. 또한 2012년 영세하고 낙후된 5개소를 폐쇄하였다. 도축두수 추이를 보면 2005년에서 2010년까지 13,000두 선을 주지하였으나 2010년 말 발생한 FMD로 인한 출하량 급감으로 인해 2011년 도축 마리 수는 2010년보다 26.0% 감소한

1,083만 마리였다.

국내 도축장은 위생적이고 안전한 육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식품위해요 소중점관리기준9)을 도입하고 있지만 도축장 여건에 따라 운용수준의 차 이가 있다. 도축장 HACCP 운용수준은 상위, 중위, 하위 등급으로 구분 된다. 2011년도 도축장 HACCP 운용수준평가에는 소 돼지 도축장 50개 소 중 상위 등급으로 평가된 도축장의 수는 22개소로 44%이다. 이는 여 전히 위생 및 안정성에 대해 부적격한 도축업체가 시장에 존재함을 의미 하며 도축구조조정법에 대한 당위적 이유가 된다.

소, 돼지 도축 이후 축산물로 가공, 포장하는 식육 가공장은 전국에 2011년 기준 3,638개소가 있다. 식육 가공장은 도축장 및 도매시장으로부 터 지육을 조달하여 부분육으로 가공한 후 정육점, 중간유통업체, 요식업 체, 대량급식처 등에 공급한다. 도축장 내에 위치하여 축산물을 가공하는 식육 가공장의 수가 적어 지육상태로 운송되는 양이 많다. 그러나 지육 으로 운송되는 과정에서 식품위해 요인이 생길 수 있는 상황이다. 도축 장 혹은 도매시장으로부터 지육을 조달하여 부분육으로 가공, 포장하여 주로 요식업체로 등에 공급하는 식육 가공장의 수는 3,638개이고, 식육판 매업체의 수는 53,083개소에 달한다. 축산물의 경우 반드시 도축장을 거 쳐 가공되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데 일반 농산물보다 유통단계가 많고 복잡하며, 유통접점 마다 관계하는 주체가 많고 영세하여 유통비용을 증 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유통단계가 복잡해지면 위생 및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도축장 내에 가공장을 두어 부 분육 유통 및 육가공을 진행할 수 있는 종합식육처리시설의 필요성이 대 두되고 있다.

돈육의 유통단계에서 어떤 경로를 거치더라도 경유하게 되는 곳이 도 축장이다. 도축, 가공업의 공급자는 원재료(생축)을 제공하는 양돈농가로

9)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이하 HACCP

구분 2007 2008 2009 2010 2011

공급

전년이월 47.7 57.6 44.0 48.0 47.5 생산 709.6 709.3 722.2 761.1 575.8 수입 248.3 214.3 209.8 179.5 370.4 계 1005.7 981.2 976.0 988.6 993.7

수요

소비 931.4 926.8 915.5 940.6 993.7 수출 12.6 10.4 12.5 0.5 0.3 차년이월 57.5 44.0 48.0 47.5 53.4

계 1005.7 981.2 976.0 988.6 993.7 1인당소비(kg) 19.2 19.1 19.1 19.2 19.2 볼 수 있는데 양돈농가의 질병에 따른 공급량 변화가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철저한 질병 및 위생관리가 경쟁력 확보의 수단이 된 다.

3. 돈육의 수급동향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2010년에 비해 2011년 도축량의 감소로 2011 년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도보다 24.7% 감소한 576천 톤이었다. 2011년 돼지고기 수입량은 FMD로 국내생산량이 부족함에 따라 긴급할당관세 26만 톤이 수입되는 등 2010년보다 106.3% 증가한 370천 톤이었다.

2011년 1인당 소비량은 전년과 비슷한 19.2kg이다. 수입돈육이 차지 하는 비중은 지난 5년 평균 244천 톤으로 평균 24.7%수준이다. 돈육수급 에서 특징적인 것은 수입이 평균 24.7%인 것에 대비해 수출량은 매우 낮다.

<표3-6> 돼지고기 수급동향

(단위: 천 톤)

자료: 농림수산식부,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내 돈육수급상의 특수성은 삼겹살에 대한 선호가 높아 1인당 9kg의 삼겹살을 섭취하는데 이는 전체 1인 소비량에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이 렇게 삼겹살에 집중된 소비특성은 국내조달의 한계로 연간 9만 톤이 수 입으로 연결된다(삼성경제연구원, 2012).

4. 양돈부분의 5Forces 분석

양돈산업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5Forces 모형의 기존경쟁자의 경쟁양상, 진입장벽, 공급자·구매자교섭력, 대체재의 위협으로 분류하여 분석하며 다음과 같다.10)

첫째, 기존경쟁자의 경쟁양상은 일반 경쟁현황과 농가 간 경쟁, 계열업 체의 경쟁으로 집약된다. 먼저 국내의 공급되는 돈육량 중 수출이 차지 하는 비중은 1% 미만으로 매우 작으므로 99% 이상이 국내에서 소비됨 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산되는 돈육의 사육은 88%가 사육두수 1천 두 이상의 전업농에 의해 생산될 만큼 양돈업이 규모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첫째, 기존경쟁자의 경쟁양상은 일반 경쟁현황과 농가 간 경쟁, 계열업 체의 경쟁으로 집약된다. 먼저 국내의 공급되는 돈육량 중 수출이 차지 하는 비중은 1% 미만으로 매우 작으므로 99% 이상이 국내에서 소비됨 을 알 수 있다. 또한 생산되는 돈육의 사육은 88%가 사육두수 1천 두 이상의 전업농에 의해 생산될 만큼 양돈업이 규모화 되어가는 추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