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체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체계"

Copied!
10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발간등록번호 K52-2007-72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체계

2007. 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

연 구 진

연구책임자

최윤정(건강보험심사평가원 책임연구원)

연 구 자

(3)

목 차

연구 요약 ···i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내용 ···1 3. 연구방법 ···2 제 2 장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체계 관련 기관 사례 분석 ···3 1. 미국 ···3 가. 미국의 보건의료제도 ···3

나.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기구(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4

○ AHRQ 소개 및 역사 ···4

○ AHRQ 조직 구성 ···5

○ AHRQ 홈페이지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 ···6

○ 보건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HCUP, Healthcare Cost & Utilization Project) ···8

○ 의료지출 패널 설문조사(MEPS,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 18

○ NCHS 소개 및 데이터시스템 ···27

○ 자료의 공개와 활용 ···29

○ NCHS의 자료 관리방법 ···31

2. 영국 ···35

가. 영국의 보건의료제도 ···35

나. 정보센터(IC, The Information Center) ···35

○ IC 소개 ···35

○ IC 위원회의 구성 ···36

○ IC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36

○ 자료의 배포와 정보공개 방법 ···39

○ 병원 에피소드 통계(HES, Hospital Episode Statistics) ···39

(4)

다. 국가 통계청(ONS, The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42 ○ ONS 소개 ···42 ○ 생성 지표 ···42 ○ 보건계정의 구성 ···43 3. 캐나다 ···45 가. 캐나다의 보건의료제도 ···45

나. 캐나다 보건정보기구(CIHI,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46 ○ CIHI의 소개와 역할 ···46 ○ 구성 및 제공 서비스 ···46 ○ 자료의 공개 ···49 ○ 자료의 접근 단계 ···52 다. 캐나다 통계청(SC, Statistics Canada) ···52 ○ SC의 소개와 조직 구성 ···52 ○ 자료의 관리 및 공개 ···53 4. 호 주 ···57 가. 호주의 보건의료체계 ···57

나. 호주 보건복지 기구(AIHW,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57

○ AIHW의 소개와 주요 역할 ···57

○ AIHW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포함된 서비스 ···59

○ 자료의 공개 및 이용 ···60

○ 자료의 비밀유지 ···63

5. 국제기구 ···64

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64

○ 개요 ···64

○ 자료 및 통계 ···64

○ 세계보건기구 통계정보체계(WHOSIS, WHO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65

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68

(5)

○ 보건데이터 및 지표(OECD Health Data and Indicators) ···68 ○ 자료공개 방법 ···70 제3장. 각 국의 보건의료 데이터 비교와 시사점 ···71 1. 조직 및 운영 체계 ···71 2. 정보수집 방법 및 자료의 범위 ···72 3. 정보 관리 및 공개 ···73 4. 시사점 및 결론 ···76 참고문헌 ···79

(6)

표 목 차

<표 1> AHRQ 서비스 영역 ···6 <표 2> NIS 요약 사례 ···13 <표 3> MEPS Topics: 주제별 구성 ···20 <표 4> NCHS 주제별 자료 이용 ···31 <표 5> IC의 영역별 주요 통계 및 내용 ···37 <표 6> 보건의료 기능에 따른 보건계정시스템의 분류 ···43 <표 7> 보건의료 재정에 따른 보건계정시스템의 분류 ···44 <표 8>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자에 따른 보건계정시스템의 분류 ···44 <표 9> CIHI 데이터베이스 구성 ···46 <표 10> CIHI 자료의 질 평가기준 ···48 <표 11> Quick Stat 주제별 검색 ···49 <표 12> 보건 지표 데이터 표와 맵 ···53

<표 13> 세계보건기구 주요 건강 지표들(Core Health Indicators) ···66

(7)

그 림 목 차

[그림 1] AHRQ 조직 구성도 ···5 [그림 2] HCUP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9 [그림 3] HCUPnet 사용자 쿼리 생성 시작 화면 ···16 [그림 4] HCUPnet 사용자 쿼리 생성 과정 ···17 [그림 5] HCUPnet 사용자 쿼리 생성 결과 ···17 [그림 6] MEPS 데이터파일 다운로드 화면 ···23 [그림 7] MEPS Publication 검색 화면 ···24 [그림 8] MEPSnet/HC Query 1단계 ···25 [그림 9] MEPSnet/HC Query 2단계 ···25 [그림 10] MEPSnet/HC Query 3단계 ···26 [그림 11] MEPSnet/HC Query 4단계 ···26 [그림 12] MEPSnet/HC Query 5단계 ···27 [그림 13] VitalStats 화면 ···30 [그림 14] CDC WONDER 화면 ···30

[그림 15] NCHS Downloadable Data Files ···30

[그림 16] CDC Data and Statistics 홈페이지 ···34

[그림 17] HES Data Dictionary 사례 ···40

[그림 18] CIHI 포탈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50 [그림 19] CIHI 자료접근에 대한 모식도 ···52 [그림 20] AIHW 조직도 ···58 [그림 21] 만성질환 지표 양방향 데이터베이스 화면 ···61 [그림 22] 장애인 데이터큐브 화면 ···61 [그림 23] 국가 보건의료 지출 큐브 화면 ···62

(8)

연구 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삶의 질에 대한 욕구는 건강의 기대수준을 높이고 있음 ○ 보건의료에 대한 세부적이며 전문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 증가 ○ 건강보험과 관련된 의료비 및 의료의 질 등에 대한 진료경향 정보체계 구축에 대한 수요 증가 □ 증거기반의 보건의료체계 운영을 위한 거시적 및 미시적 자료의 제공에 대한 필요성 ○ 주요국의 보건의료 분야의 진료경향 정보체계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용가능한 방안 을 모색하고자 함 ○ 구체적으로는 의료비용 및 진료량을 측정할 수 있는 생산지표(변수)와 통계 자료, 정 보공개 부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함 □ 우리나라에서도 다각도에서 보건의료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있음 ○ 통계청,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관리공단, 암센터 등 관련 기관에서 대단위 및 소단위 자료가 생성되고 있음 ○ 진료내역에 관련된 의료비용, 사용량, 특성 등을 분석 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 할 수 있는 곳은 한정됨 ○ 심평원에서 진료경향 정보체계를 마련하여 보건의료의 세부적인 자료인 진료비용, 빈 도, 의료내용 등에 대한 자료를 사용자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음 - 본 연구는 이러한 체계 구축을 위해 주요국의 선진사례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세부 지표 및 생성방식, 정보 분석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함 □ 연구 방법은 해당 국가들의 관련 기관 및 국제기구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며, 관련 보고서 및 문헌을 고찰하여 정리하고자 함

(9)

제2장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체계 관련 기관 사례 분석

1. 미국

□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기관(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산하기구 ○ 미국의 보건서비스의 질, 비용, 결과 및 환자 안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 연

방정부 기관임

○ 서비스 영역은 임상정보, 기금 운용, 연구 결과, 특정 인구집단, 소비자 및 환자, 자료 및 동향조사, 의료의 질 및 환자 안전 7개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음

○ 보건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HCUP, Healthcare Cost & Utilization Project) - 연방-주 정부-산학 협동을 통해 개발된 보건의료 데이터베이스와 관련 소프트웨어 도구 및 제품 담당 유관 기관이며, AHRQ의 후원을 받음 - 각 주의 정보기구, 병원 협회, 민간 정보조직 및 연방정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국 가적 정보 자료 제공 - 미국 내 최대의 종단적 병원 자료, 모든 지불자 자료가 1988년부터 포함되어 있음 - 보건 서비스의 비용과 의료의 질, 진료 패턴, 보건 프로그램 접근성, 치료 효과(국가, 주,지역별) 등의 보건 정책 현안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자료 제공 - 자료의 공개는 HCUPnet(http://hcupnet.ahrq.gov/)을 통하여 보건의료 데이터베이 스에 직접 접속할 수 있게 된 온라인 쿼리 시스템으로 제공 ․ 국가 및 지역별 통계와 미국 내 병원 동향에 대한 표와 그래프 생성가능 ․ AHRQ 질 지표에 근거한 통계자료를 제공

○ 의료비용 패널 조사(MEPS,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 1996년 가족 및 개인,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대상으로 대규모로 조사로 보건 의료 및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비용 및 이용 자료원임 - 특정 건강서비스 사용량, 비용, 지불체계, 범위, 건강보험의 보장범위 등의 자료 - 주요 구성요소는 두 가지이며 첫째, 가구 구성요소: 개별 가구 및 세대원으로부터 얻 어지고 의료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보완된 자료 둘째, 보험 구성요소: 직장 중심 건강 보험 자료 제공

- MEPS 온라인 양방향 도구(Interactive Tools): MEPSnet/HC는 보건의료 이용, 지출비 용, 지불원, 보험 보장범위 등에 대한 대표적 통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분석 도구임

(10)

․ 자료원과 변수를 선택해서 이용자가 원하는 기술통계를 산출 가능

- MEPSnet/IC 경향 쿼리는 도구를 이용하면 국가 및 주 단위의 고용주기반의 건강보 험에 대한 통계와 경향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음

․ MEPS 보험 구성요소 테이블로부터 1996년부터 2005년 자료를 생성할 수 있음

□ 국가 보건통계청(NCH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 NCHS는 우리나라의 질병관리본부에 해당하는 정부기관인 CDC(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산하 기관들 중 하나로서 미국인의 건강 향상을 위한 활동 및 정책에 지침이 되는 통계 정보를 제공함 ○ NCHS 조사 및 데이터시스템 - 조사 및 데이터 시스템은 연단위로 계속하는 것과 주기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있음 - 데이터 시스템은 두 가지인데 첫째, 개인 인터뷰 또는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포함하는 인구집단에 기반한 시스템과 둘째, 인구통계 및 의무기록으로부터 수집된 자료에 기반한 시스템이 있음 ○ 자료의 공개 및 이용 - Faststats site는 공공 보건의 주요 주제에 대한 통계에 빨리 접속할 수 있도록 알파 벳 순으로 링크가 연결되어 있음

- Vital Statistics On line는 인구통계에 대한 자료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임 ○ 통계 출간 자료: 출생 및 사망 등 관련 자료 ○ 양방향 온라인 자료 이용 도구로 - VitalStats: 사용자가 구조화된 양방향 테이블을 열람 및 조작할 수 있고, 공개된 데 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만의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도표 등 자료의 도식화도 조정할 수 있다. - WONDER: 사용자가 CDC 자료원, NCHS 출생 및 사망 자료로부터 질의를 추출 할 수 있게 함 ○ 자료이용 가능 화일: 공개된 자료 파일로 독립적인 연구 및 분석에 이용할 수 있음

(11)

2. 영국

□ 정보센터(The IC, The Information Center)

○ 정보센터는 영국의 보건사회 통계 정보 생산 및 제공하는 기구로서 국가보건서비스 (NHS: National Health Service) 및 사회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자 료를 제공함

○ 자료수집 시스템은 진료 제공 과정에 최소한의 영향을 주며 신속하게 수집될 수 있 도록 함

○ 정보이용자는 NHS 관리자, 임상의료인, 정보전문가 및 진료전문인, 정책 결정자, 환 자 및 대중매체이며 필요 시 웹사이트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음

○ 병원 에피소드 통계(HES, Hospital Episode Statistics)

- 영국 내 병원 입원 및 외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웨어하우스임 - NHS의 보건의료 분석을 위한 광범위한 자료원으로서 정부, 기타 관련기관, 일반 개 인에게도 자료원으로 이용됨 - 1987년 병원 정보 수집 및 사용 관련 보고서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입원 에피소드별로 상세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하면서 2004-05년에는 천2백만 건의 입원건과 천 4백만 건의 에피소드가 수집됨 - 데이터 딕셔너리(Data Dictionary)가 있어서 세부 데이터의 입력양식, 형태 등을 알 수 있음 ○ 자료의 배포 또는 정보공개 방법 -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의 연보: 보건비용의 지출과 투자 프로그램 및 동반되 는 시스템 개혁과 관련된 종합적인 개요를 포함 - 웹사이트를 통한 자료 공개: 연보 및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예, HES Online)를 웹사 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

□ 국가통계청(ONS,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 사회 및 경제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를 수집하고 발표하는 정부 기관이며 또한 인구 조사 및 영국과 웨일스 지방 내 필수적인 사안에 대한 등록도 관할하고 있음

(12)

3. 캐나다

□ 캐나다 보건정보 기구(CIHI,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 독립적 비영리 기관으로 보건 시스템과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필수 자료와 분석을 제공하고 있음 ○ 생산 자료는 보건의료 관련 서비스, 비용, 자원 , 공중 보건 등임 ○ 기대 수명 또는 일인당 의료비 지출 등의 국가 보건 지표를 통해 국민들의 건강상태 와 보건의료 시스템의 성과 및 특성을 분석함 ○ 보고서, 분석 보고서, 특정 연구 등으로 출간되며 교육 분야와 각종 세미나 등도 운 영되고 있음 ○ 구성 및 제공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는 조직적 자료 수집, 공유 및 분석이 필요하여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과 업무 협조 - 보건의료인력, 보건의료 비용, 보건 서비스 세 가지로 분류되며, 각 하부 데이터 베이스로 총 24개를 운영되고 있음 - 자료의 질 관리체계는 질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데이터베이스의 한계 및 역량을 평가하고 기록하며 5개의 범주, 19개의 특성 및 58개의 기준으로 구성됨 ○ 데이터 딕셔너리(Data Dictionary) - CIHI의 건강 관련 데이터 요소들의 표준화된 정의를 검색할 수 있음 - 이용자 가이드와 전체 데이터 상세내역을 내려받을 수 있음 - 데이터 구성요소는 기본적으로 자료의 상태를 완전 및 보류로 구분하고 생성일과 버 전이 제시됨 - 속성은 3가지로 나뉘는데 첫째, 구분 및 정의(코드, 형태, 정의 등) 둘째, 관계성, 대 표성, 내부 기억장치 속성(크기, 형태, 레이아웃 등) 셋째, 관리 속성(변수명, 자료원 등) 등임

○ 연보(CIHI Annual Report)

- 조직 운영의 전반을 볼 수 있는 연간 보고서로 지난 회계연도 기준으로 성과 및 회 계 감사 내역의 요약과 다음 연도의 우선순위를 보여줌

(13)

○ Quick Stat - 무료 자료열람을 제공함 - 웹사이트에서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는데, 첫째는 미리 정해진 테이블 형식에 따 라 자료를 보여주는 것으로, 종종 매체를 통해 공개된 출간물인 경우 - 둘째는 역동적인 건강통계를 보여주는 양방향 자료를 제공해서, 사용자가 조작하고 인쇄하거나 다른 파일 형태로 변환이 가능함 ․ Quick Stat 검색의 형태는 주제별, 자료원으로 가능함

□ 캐나다 통계청(SCI, Statistics Canada)

○ 캐나다 정부기관으로 캐나다의 인구, 자원,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통계 생산 ○ 제공되는 자료의 내용 - 일반적 건강상태 - 신체장애 정도 - 질병 및 건강상태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강서비스 성과 및 이용도 - 손상 - 건강유지방법 - 정신건강 및 웰빙 - 질병의 예방 및 조기진단 ○ 자료공개 방법 - 보건리포트: 매달 주기로 발행되는 보고서 - 보건지표들: 건강 및 보건시스템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지표 - 캐나다 사회경향: 분기별 발행 보고서 - 이스텟(E-stat): 캐나다 사회 및 경제에 대한 온라인 양방향 분석도구 4. 호 주

(14)

○ 호주의 보건, 복지 통계 및 정보를 담당하는 국가 기관

○ 1987년 호주 보건 및 복지기구 법안(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Act) 에 의해 설립된 이 기관의 미션은 ‘더 나은 건강과 웰빙을 위한 더 나은 정보와 통계 (Better information and statistics for better health and wellbeing)’임

○ 자료의 공개 및 이용에서 주제별 분류 중 일부 주제에 대해서는 데이터 큐브(Data Cube)를 이용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 정보를 빠르고 세부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해주는 다차원적 데이터 표현 도구임 5. 국제기구

□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유엔(UN, United Nations) 산하에서 보건 관련 업무를 관장하는 기관임

- 세계 보건 문제들과 보건 연구, 기준 확립, 근거에 기반을 둔 정책 마련, 각 나라별 건강 동향(Health trend)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을 제공 ○ WHO의 기원은 1945년 국제기구(UN) 창설을 위한 외교 회담 시 논의된 부분 중의 하나인 세계 보건 기구 조직에 대한 부분을 기반으로 추진되어 1948. 4. 7일 됨 - UN에 가입한 모든 국가가 WHO의 회원국이 될 수 있고, 그 이외의 국가는 신청을 하면 세계보건의회 다수 투표에 의해 승인을 받을 수 있음

○ 자료 및 통계(Data and Statistics)

- WHO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WHOSIS)

사망율, 질병율, 위험 요인, 서비스 보장영역, 보건 시스템에 대한 50여 주요 지표가 들어 있는 국가 통계임

- WHO Global InfoBase Online

모든 WHO 회원국의 만성질병 및 그 위험요인과 관련된 자료가 있음 - Global Health Atlas

국가별, 지역별, 전 세계 수준의 감염성 질환에 대한 표준화된 자료 및 통계 포함 - Regional Statistics

WHO 지역 사무소로부터 얻어진 통계적 정보 - WHOSIS(WHO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지표

(15)

- WHO 통계정보시스템(WHOSIS)에서 지표들의 구성과 연도별, 국가별 지표값 및 세 부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를 공개하고 있음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 OECD는 40년 이상 세계에서 가장 크고 신뢰성 있는 비교가능한 통계적, 경제적, 사 회적 자료를 통해서 경제 개발 및 사회변화 등에 대한 경향 모니터링(trend monitoring), 분석 및 예측을 해 온 국제기구임 ○ 보건 분야에서는 좋은 건강상태가 국민으로 하여금 노동자, 가족 구성원, 소비자 등 으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근거 하에서, 건강 향상이 OECD 국 가들의 경제 성장과 향상된 복지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요건으로 간주됨 ○ 보건데이터(Health data) 및 지표 - 각국 비교를 통해 자국과 타국의 보건의료시스템을 평가하려는 노력이 나타남에 따 라 국제비교를 가능케 하는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점차로 늘고 있음 - OECD 보건데이터는 회원국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보건의료서비스 투입물 및 결과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정책적 분석을 실시함 - OECD 사무국은 1980년대 중반부터 보건통계자료를 생성하였으며 많은 지표의 경우 1960년대까지 포함하고 있음 ○ 데이터 가용성 - 데이터에는 1960년 이후 장기적 시계열 자료 1,200개로 구성되어 있음 - 대부분이 1980~1990년대까지 다루고 있고 많은 경우 2002년, 2003년까지이며, 일부 데이터의 경우 2004년까지인 것도 있음 ○ OECD의 보건파일은 다음의 열 가지 주제로 분류되어 있음 - 보건상태(Health Status)

- 보건의료자원(Health Care Resources) - 보건의료이용(Health Care Utilization) - 보건지출(Expenditure on Health) - 보건의료재원(Health Care Financing) - 사회보호(Social Protection)

(16)

- 의약품시장(Pharmaceutical Market)

- 비의료적 결정요인(Non-medical Determinants of Health) - 인구학적 참고자료(Demographic References) - 경제 참고자료(Economic References) ○ 자료의 공개 - 홈페이지 상에서 보건데이터(Health Data 2007)를 공개 - 사용자가 결과 형태를 조작할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 도구 형태는 아니지만, CD로 제공되고 있는 통계자료와 같은 방식으로 OECD 지표별 통계를 볼 수 있음

(17)

- ix -< 표 > 조사 결 과 요 약 미국 영국 캐나 다 호주 국제기 구 WHO OECD 1. A H R Q 산하기 구 ( 1) H C U P ( 2) M E P S 2. N CH S 1. T he Inf or m at ion Ce nt er 2. O N S 1. C IH I 2. S ta ti st ic s Canada 1. A IHW W HO OECD 1. 정부 산 하 기관 2. 정부 산 하 기관 1. 정부 산 하 기 관 2. 정부 산 하 기 관 1. 독 립적 비 영 리기 관 2. 정부 기 관 독립 적 비영 리기 관 국제 협 력기 구 국제 협 력기 구 1. H C U P :국 가 표 본으로 부 터 얻 어 진 입원 , 퇴원 , 외 래 , 응 급 진료센 터 정보 2. M E P S: 가족 , 개인 , 의료 서비 스 제공 자들 로 구성 된 패널을 통해 자 료 수 집 1. T he I C : N H S 산하 조 직 전 체 대상으 로 정 해 진 규 칙에 따라 데 이터를 제 출받 음 2. O N S: 정 부에서 데이터 입력 관 리 , T he IC 와 연 계 1. C IH I: St at is ti cs C an ad a 협조 하 에 24 개 데이 터베이 스 구 성 2. St at is ti c C anad a: Su rv ey 및 인구 통계 자 료 에 근 거한 데 이터 테 이 블 1. 자 체 자 료 수 집 및 기 타 협 력기관 과 의 연 계 를 통 한 자료 수집 회원 국 대상 , 지역 사 무소 자 료 수 집 회 원국 대 상 , 지역 사 무 소 자 료 수집 1. 데이터 베이스 상 세 내 역 공개 (변수 , 입력 형 태 , 포함 정보 등 ) D ata D ic ti on ar y D ata D ic ti on ar y 자 료의 질 관리 ME T eO R : 온 라인 메 타데이 터 자 료 의 질 관 리 WH O SI S( 통 계정보시 스 템 ) OE C D H ea lt h D at a 양방향 데이터 분 석 도 구 1. H C U P ne t 2. M E P Sn et 3. V it al S ta ts 양 방 향 데 이터 분 석 도구 1. H E S O nlin e 양 방 향 데 이터 분 석 도구 1. e -r ep or t 2. E -S ta t 양방향 데이터 분 석 도 구 1. I nt er ac ti ve D at a C u be WH O SI S( 통 계정보시 스 템 ) O nlin e O EC D H ea lth Da ta 의 료 서 비스의 접근성 이용도 의료의 질 건강보 험 비 용 연 구 인 구 통 계 및 공 공 보 건 회 계 및 성 과 건 강 및 생 활 병원 진 료 인구 학 / 지 리학적 정 보 일차 진 료 , 검진 , 인력 보 건의료 인 력 보 건의료 비 용 보건 서 비 스 건강 (보건 ) 상태 비 의 료적 건 강결 정 요 인 보건시 스 템 성 과 지역사 회 및 보 건 시스 템 보건 상 태 보건서 비 스 보 장영역 보건 시 스 템 보건 상 태 보 건의료 자 원 보 건의료 이 용 보건 지 출 등 10 개분 야

(18)

제3장 각 국의 보건데이터 비교와 시사점

1. 조직 및 운영체계 □ 주요 선진국에서는 보건의료의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많 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주요 보건통계는 국가 기관이 관장하며 주요지표를 선정하여 이에 따라 자료를 수집, 생산, 제공하는 체계를 갖고 있음 ○ 이러한 자료는 국가 보건의료 정책, 관리, 질 향상 등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되고 있음 - 보건의료 비용과 관련된 경향 등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주제를 정하여 시기별 보고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질적으로 향상된 보건통계 생산을 위해 각 정보체계 및 관장 기관 간에 긴밀한 협조 를 통해 부족한 정보는 보완 2. 정보수집 방법 및 자료의 범위 □ 자료에 포함되는 인구범위, 정보수집방법, 서비스 포함 내용 및 서비스 정의 방법이 다 양하게 존재함 ○ 동일 국가 내에서 생성되는 보건정보라 하더라도 관장 기관이나 주요 사용 목적에 따라 보건정보시스템을 다르게 설계할 수 있음 ○ 국가 내 상이한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국가별 데이터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공통적인 데이터 지표 개발 및 표준화 필요 □ 국제적으로 OECD 등에서와 같이 국가별로 분류방식이나 분류 단계의 차이를 지속적으 로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하며 공통적으로 데이터 지표 및 표준화하고 있음 ○ 보건서비스 자원(인적, 물적), 보건 서비스 이용도, 지출비용, 의료의 질 영역으로 크 게 구분될 수 있음 ○ 자료 생성 및 이러한 자료를 근거로 정책적 함의를 찾기 위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함 - 주요 시기별, 정책별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야 함 □ 우리나라는 전 국민 보건의료 자료를 통합하고 있으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의료정보 및 비용관련 내용의 분석체계를 구체적으로 갖고 있지 못함

(19)

○ 점차 보건의료정보 제공에 대한 양방향 요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국가 차 원의 보건의료 정보 제공 체계 구축에 대한 노력이 요구됨 ○ 주요국의 사례별 지표 및 정보 제공방식 및 활용 형태를 잘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적 용하여야 함 ○ 현재, 심평원에서는 건강보험통계연보 및 진료, 약제 사용량 및 질 평가에 대한 정보 를 공개하고 이를 정책적으로 비용과 연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음 - 이러한 자료와 함께 진료(입원, 외래), 처치 및 수술, 약제, 재료 등의 주제별 내용을 과 진료비와 빈도 등의 정보로 생성하여 문제점 및 정책적 변화를 즉각적으로 감지 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임 - 추후, 질 향상 및 결과평가 등의 내용의 평가가 동시에 연계된다면 증거기반의 정책 자료로서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3. 정보관리 및 공개 □ 주요국에서는 이용자 편의를 돕기 위한 양방향 데이터 분석도구들을 개발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공개하고 있음 ○ 상세데이터를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전담기구나 부서가 있으며 자료 제공 도 탄력적으로 하고 있음 4. 시사점 및 결론 □ 향후 우리나라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관리에 있어서 정부의 지속적 관리지원 필요 □ 정보생산과 함께 정보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세부 계획을 마련하여 완성도 높은 자료가 생산되며 보건의료 정보의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임 - 관리주체의 연계성과 통합 또한 요구되며 자료생성의 반복이 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의사소통 체계가 마련되어야함 - 사용자 기반의 자료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정책가, 보건의료 제 공자, 환자 등 관련 이용자가 양방향으로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료가 구체적으 로 제공되어야 할 것임 - 데이터의 질 관리와 접근성 향상, 포괄적인 정보의 제공이 앞으로의 진료경향 정보 체계 구축의 지향해야함

(20)

□ 우리나라도 데이터의 공개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 필요

○ 자료의 량에 따른 비용 산정 또는 자료 추출 및 노력에 대한 인건비 등을 감안한 비 용 산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 요구

○ 양방향 데이터 도구 도입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고려 ○ 정보의 관리 및 공개에 소요되는 비용마련에 대한 고려 필요

(21)

제 1 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국민 생활수준 향상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많아지며 건강의 기대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에 대한 세부적이며 전문적인 정보에 대한 요구 증가하며 구체적인 건강보험 관련 의료비용 및 의료의 질 등에 대한 진료경향 정보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촉구되고 있다. 많은 국가들이 보건 의료 및 정책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른 국가의 경험을 고찰하고 있으 며 국가 간 비교 자료 활용을 위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Reinhardt 등, 2002). 현재 국가 차원 에서 보건의료체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주요한 진료경향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보건 정책 개발 및 평가에 있어 국가적인 비용 지출 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는 필수적이다(de Bekker-Grob EW, et al, 2007). 우리나라에서도 다각도 에서 보건의료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데 통계청,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건강보험관리공단, 암센터 등 관련 기관에서 대단위 및 소단위 자료가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진료내역에 관련된 의료비용, 사용량, 특성 등을 분석 할 수 있는 정보체계는 제한적이 다. 현재 심평원에서 진료경향 정보 체계를 마련하여 보건의료의 세부적인 자료인 진료비용, 빈 도, 의료내용 등에 대한 자료를 사용자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와 함께 국가 차원 의 보건의료체계 정보 통합 및 정보 제공에 대한 연계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주요국의 선진사례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에 적용 가능한 세부 지표 및 생성방식, 정보 분석 등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증거기반의 보건의료체계 운영을 위한 거시적 및 미시적 자료의 제공을 위해 주요국의 보건의 료 분야의 진료경향 정보체계를 살펴보고 적용 가능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고자 한다. 본 연 구는 주요국의 정보체계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추후, 보다 구체적이며 세부적인 내용 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2. 연구 범위 및 내용 ○ 주요국의 진료경향 모니터링 정보를 제시하는 기관의 구조를 분석하고 세부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자 한다.

(22)

- 주요국으로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를 비롯하여 세계보건기구(WHO)와 경제협력개 발기구(OECD) 등 국제기관에서 생성되는 보건데이터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대상기관은 다음과 같다.

∙ 미국: 보건의료연구 및 질 기관(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국가 보건통계청(NCHS,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 영국: 정보센터(The IC, The Information Center), 국가통계청(ㅒ, 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

∙ 캐나다: 캐나다 통계(Statistic Canada), 캐나다 보건정보 기구(CIHI, Canadian Institute for Health Information)

∙ 호주: 호주 보건복지기구(AIHW,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 국제기구: 세계보건기구(WHO),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 환자 수, 진료비용, 방문건수 등의 주요 진료경향생산지표에 대한 정보를 중심으로 조사 하였다. - 생산지표 및 변수(입원과 외래/검사, 수술, 약제 등)와 제시 방법(시계열로 시기 분류 및 환자수, 총비용, 방문건수 제시 등)의 내용과 관리체계를 요약하였다. - 진료경향 정보 체계 및 운영을 요약하였다. 3. 연구방법 ○ 주요국의 관련 기관 및 국제기구의 인터넷 사이트를 조사하여 보고서 및 구조를 파악하였 다. 또한 국내외 관련 문헌으로 보고서 및 저널 등에 주요 단어인 보건의료 정보체계, 보 건의료비, 보건의료비용 경향 등을 위주로 고찰하였다.

(23)

제 2 장 주요국의 진료경향 정보 체계 관련 기관 사례 분석

1. 미국 가. 미국의 보건의료제도 미국의 전반적인 보건행정은 정부의 역할을 최소화하고 지방의 자치성과 자율성을 강조하 는데 이는 주의 자치권을 보장한 헌법에 기초한 것이다. 따라서 연방정부가 입안한 보건사업은 반드시 지역시민위원회의 자문과 검토를 거쳐야 하는 등 지방자치 및 민간의 의사결정이 우월 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에서 정부주도의 의료보장 조직으로는 1966년부터 65세 이상에 게 사회보장 지원을 하는 메디케어(Medicare) 제도와 빈곤 노인층, 장애자, 부모가 없거나 실직 혹은 근로할 수 없는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의료비를 지불해주는 메디케이드(Medicaid) 제도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메디케어는 1966. 7. 1일부터 시작되어 사회보장 지원을 받는 65세 이상에게 의료비를 제 공하였으며, 1972년 개정 이후는 사회보장 프로그램 적용대상이 아니더라도 65세 이상인 사람 이 보험료를 지불하고 가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의사에 대한 보수 지불은 행위별 수가제를 유지 하고 있었는데 1989년 총괄예산 조정법안(Omnibus Budget Reconcilitation Act 1989)에 의해 1992년 1월 1일부터는 상대가치를 고려한 행위별 수가제를 통해 의사의 보수를 지불하기 시작 하였다. 메디케이드 제도는 1999년 회계연도 기준으로 현재 4천만 명 이상 인구가 메디케이드 적용을 받고 있으며 2000 회계연도의 메디케이드 지출(연방 및 주 총계)은 2278억 달러에 달했 다. 이중 40% 이상의 비용이 장기요양 서비스에서 지출되었는데, 노령화가 진행되는 것과 함께 이런 장기요양비용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민간의료보험 조직으로 관리의료(Managed Care), 건강보호기구(HMO, Health Maintenance Organization), 선호제공자기구(PPOs, Preferred Provider Organization), Point-of-Service Plans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관리의료는 넓은 의미로 의료제공자가 의료소비자(환자)의 의 료이용을 관리하는 위치에 있게 되는 의료전달체계이다. 관리의료의 주요 특성으로는 의료제공 자 집단의 선택, 포괄적 의료서비스, 의료의 질 관리, 의료이용 평가, 그리고 비용 통제를 들 수 있다. 1980년대 이전까지의 민간의료보험은 Blue Cross/Blue Shield이었는데, Blue Cross/Blue Shield는 미국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최대의 민간의료보험제도이다. 둘째로 건강보호기구 (HMO)는 일차의료의사를 통해서 전문의 진료를 위한 후송, 진단 검사, 기타 모든 수술적 치료 등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민간의료보험 조직을 말한다. HMO에서는 자신이 속한 건강보호기구

(24)

의 일차의료 의사를 통하지 않고서 받은 진료에 대해서는 환자 자신이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으므로 일차 의료의사의 사례관리계획에 의한 서비스를 받게 되고 그에 따라 비용이 적절히 통제된다는 것이 기본적인 건강보호기구의 운영근거가 된다. 셋째로 선호제공자기구는 제한된 수의 의료제공자들이 한정된 인구집단에 대해서 협상된 행위별수가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 의료제공자의 진료비가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 등록된 환자에게는 선호제공자를 이용 할 유인으로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HMO와 PPOs가 혼합된 형태의 관리의료기구인 Point-of-Service Plans는 여기에 등록된 사람이 일차의료의사를 선택하고 이 일차의료의사는 진 료나 예방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환자를 전문의에게로 후송하는 역할을 하는 민간의료 보험 조직을 말한다. 환자는 일정한 본인부담금을 지불하는데 자신이 등록된 기구에 속하지 않 는 의료제공자를 이용하는 경우 본인부담금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나.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기구(AHRQ,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 AHRQ 소개 및 역사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기구(AHRQ)는 우리나라의 보건복지부에 해당하는 미국 보건성 산 하기관 중 하나로 보건서비스의 질, 비용, 평가 및 환자 안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미국 연 방정부 기관이다. 이 기관의 전신은 1989년 보건성 산하에 설치된 보건의료 정책 및 연구 기구 (AHCPR,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이다. 이후 1999년 12월 6일 클린턴 대 통령이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관리법(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ct)을 승인하면서 AHCPR을 2005년 말까지 재인가하게 된다. 이 법안을 통해서 기관의 역할 및 업무에 대한 업 무개요를 수립하게 되었고, 기존의 기관을 새롭게 개편하면서 AHCPR은 1995년 이래 처음으로 정식으로 국회의 적정 절차를 거쳐 운영기금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새 법안 후 가장 눈에 띄는 결과로 AHCPR에서 현재의 AHRQ로 명칭을 바꾼 것을 들 수 있다. AHRQ라는 명칭으로 바꾸면서 이 기관이 과학적 연구 기관이라는 점을 재확인하고, 명칭에서 정책)이라는 단어를 제외함으로써 연방 보건의료 정책이나 법규를 결정하는 기관이라 는 혼돈을 바로잡고자 함이었다. 또한 의료의 질(Quality)이라는 단어를 명칭에 넣음으로써 AHRQ는 의료의 질 연구 및 보건의료서비스 연구의 질 향상 노력을 조정하는 앞선 연방기관으 로서의 새로운 역할을 확립하고자 했다. AHRQ로 개칭하면서 또 하나의 변화는 그 동안의 업 무였던 임상진료지침개발 지원과 관련된 업무를 1996년으로 모두 종료하고 현재 진행 중인 12 개 근거기반 진료센터를 통한 근거중심의 연구보고서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점이다.

(25)

AHRQ에서 수행하는 연구의 주요 영역은 아래와 같다 - 의료의 질 향상 및 환자 안전과 보호 - 진료의 결과 및 효율성 - 임상적 진료 및 기술 평가 - 보건 의료 조직 및 전달 체계 - 예방 서비스를 포함한 일차 진료 - 의료비용 및 재원조달방법 AHRQ의 주요 자금원과 기술적인 지원은 미국 대학들 및 관련 의료서비스 기관들에 서 받고 있으며, 민간 및 공공 영역과의 업무 교류를 통해 정책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지식을 축적하고 있다. ○ AHRQ 조직 구성 [그림 1] AHRQ 조직 구성도 AHRQ는 모두 4개의 실과 5개의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1). 이 중 보건의료비용 및 재정연구를 진행하고 지원과 관리를 담당하며 정책 및 행동연구와 분석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 터세트를 개발하는 기구는 재정, 접근과 비용 경향 센터(CFACT, Center for Financing, Access and Cost Trends)이다. CFACT의 연구 및 개발 활동은 보건의료 지도자들과 정책개발자들이

(26)

<표 1> AHRQ 서비스 영역

영역 세부 서비스

임상 정보 (Clinical Information)

▪근거기반 지침(Evidence-based Practice) ▪결과 및 효율성(Outcomes & Effectiveness) ▪효과적인 의료서비스(Effective Health Care) ▪기술적 평가(Technology Assessment) ▪예방적 서비스(Preventive Services) ▪임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s) ▪National Guideline ClearinghouseTM

기금 운용 (Funding Opportunities)

▪AHRQ 연구 일정(Research Agenda) ▪기금 공개(Funding Announcements)

▪전자 연구기금 신청(Electronic Grant Applications)

보건의료 재정, 접근성, 보장 및 비용에 대한 의사 결정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정보와 도구를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CFACT 산하에는 모두 네 개의 부(division)가 있는데 각 부서의 상세업무는 다음과 같다. ∙ Division of Modeling and Simulation: 현행 법률 체계와 보건의료정책 체계 내에서

가구별 영향에 대한 미시적 분석, 보건비용의 지출경향 분석, 분석모델 및 데이터베 이스 제공의 역할을 담당한다.

∙ Division of Social and Economic Research: 전체인구를 대상으로 보건의료의 접근 성, 의료이용량, 보건의료비용, 민간보험 시장의 유용성, 보건의료자원에 대한 기본 적인 기술 분석과 행태 분석을 제공한다.

∙ Division of Statistical Research and Methods: 보건의료 연구 설계에 필요한 통계적 방법을 개발하고 실질적인 통계업무를 진행하는 부서이다.

∙ Division of Survey Operations: CFACT에서 수행중인 연구들을 기획, 실행 및 점검 하는 부서이다.

○ AHRQ 홈페이지에서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

AHRQ 서비스 영역은 <표1>과 같이 7개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자료 및 동향조사에 초점을 두고, 이와 관련된 부서나 기구에 대한 자료를 집중적으로 검토했다.

(27)

영역 세부 서비스 ▪연구 방침(Research Policies)

▪연구기금 수탁 절차(Grants Process)

▪연구기금 온라인 데이터베이스(Grants On-Line Database) ▪훈련 및 교육(Training and Education)

▪계약(Contracts)

연구 결과 (Research Findings)

▪연구활동(Research Activities: Online Newsletter) ▪연구주제(Research Topics: Fact Sheets/Syntheses) ▪일차진료(Primary Care) ▪정신보건(Mental Health) ▪관리의료(Managed Care) ▪장기질환(Long-term Care) ▪시장(Markets) ▪도구(Methods) ▪공공보건준비도(Public Health Preparedness)

특정 인구집단 (Specific Populations) ▪여성(Women) ▪어린이(Children) ▪소수자(Minorities) ▪노인(Elderly) ▪농촌보건(Rural Health) ▪장애인(Disabilities) ▪저소득층(Low Income) ▪도시빈민층(Inner City) ▪만성질환(Chronic Care) ▪말기환자(End of Life) 소비자 및 환자 (Consumers & Patients)

▪적극적인 의료 소비자 되기(Be an Active Health Care Consumer) ▪건강상태/질병(Health Conditions/Diseases)

▪건강보장 제도(Health Plans) ▪처방(Prescriptions)

▪예방 및 건강(Prevention & Wellness) ▪진료의 질(Quality of Care)

▪소비자 참여(Questions Are the Answer) ▪금연(Quit Smoking)

▪수술(Surgery)

자료 및 동향조사 (Data & Surveys)

▪MEPS(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HCUP(Healthcare Cost & Utilization Project) ▪HCUPnet(Interactive Tool for Hospital Statistics) ▪HIV & AIDS Cost & Use

의료의 질 및 환자 안전 (Quality & Patient Safety)

▪보건정보 및 기술(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National Quality Measures ClearinghouseTM

(28)

영역 세부 서비스 Systems)

▪보건의료 개혁변화(Health Care Innovation Exchange)

▪보건의료 질 평가 (Measuring Healthcare Quality: Quality and Disparities Reports)

▪의료과오 및 환자 안전(Medical Errors & Patient Safety) ▪환자안전네트워크(Patient Safety Network)

▪웹통계: 질병률 및 사망율(Web M&M: Morbidity & Mortality Round)

▪질 지표(Quality Indicators)

▪질 관련 정보 및 향상(Quality Information & Improvement) ▪질 평가 도구(Quality Tools)

▪소비자 참여(Talking Quality: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 보건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HCUP, Healthcare Cost & Utilization Project) (1) HCUP 개요

보건의료 비용 및 이용 프로젝트(HCUP, Healthcare Cost & Utilization Project)는 연 방정부와 주 정부의 산학 협동을 통해 개발된 보건의료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의 생성과 관리는 AHRQ에서 총괄하고 있다. HCUP 데이터베이스는 주별 정보기구, 병원 협회, 민 간 정보조직 및 연방정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2차적으로 가공 하여 대규모 국가적 차원의 의료이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으로 HCUP에는 미국 내 최대의 종단적 병원 자료, 모든 보험자 자료가 1988년부터 포함되어 있다. 이런 데이 터베이스들은 보건 서비스의 비용과 질, 진료 패턴, 보건 프로그램 접근성, 치료 효과(국 가, 주, 지역별) 등의 보건 정책 현안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가능하도록 한다. 모든 보험자, 각종 협회, 주별 입원환자정보, 외래수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가장 큰 데이터베이스라는 장점은 있지만 임상적인 세부적 정보가 미흡하고 검사결과와 투약정보 가 충분히 포함되어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각 주별 포함된 환자정보와 관련하여 포함 자료의 연도나 요양기관 정보가 일관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Steiner, 2002). (2) HCUP 데이터베이스

(29)

스군이다. 다섯 가지 정보에 대한 세부설명은 다음과 같다.

- The State Inpatient Databases (SID): 참여한 주 내 입원환자 퇴원요약 정보

- The Nationwide Inpatient Sample (NIS): 1,000개 이상의 병원이 넘는 국가적인 표본으 로부터 얻어진 입원환자 정보

- The Kids' Inpatient Database (KID): 소아과 퇴원환자에 대한 전국적 정보 - The State Ambulatory Surgery Databases (SASD): 외래 수술 정보

- The State Emergency Department Databases (SEDD): 응급진료센터 정보

[그림 2] HCUP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3) HCUP 도구 및 소프트웨어

- HCUPnet: 병원 진료 통계와 상호 작용하는 도구로 NIS 및 SID 데이터베이스의 Data 를 사용해 일반적인 통계를 테이블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 AHRQ Quality Indicator(QIs): 병원 입원환자 행정적 자료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보 건의료 질 측정 도구로 질 평가에서 3가지 주요 측정기준으로 구성되어 있다.

- Clinical Classification Software(CCS): 이 소프트웨어는 HCUP Data로 개발되었고, 다 운로드도 가능하다. CCS는 진단명 또는 시술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범주로 분류하 는 도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통계 보고로 통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30)

- Comorbidity Software: 병원 퇴원기록에 존재하는 Condition 변수를 규명하는 소프트 웨어이다.

- Cost-to-Charge Ratio (CCR) Files: NIS 및 SID에 있는 데이터 요소들을 보충해주는 병원 Level의 파일이다. 각각의 NIS, SID 등의 데이터베이스 안에 총 비용(Total Charge)은 들어있으나, 좀 더 상세한 비용내역을 연결하여 조사하고자 하는 연구자들 은 이 파일을 받으면 병원단위로 수가와 행위비용을 연결하여 변환시켜주기 때문에 비 용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Hospital Market Structure (HMS) Files : NIS, KID, SID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요소 들을 보충하기 위해 설계된 파일이다.

- Procedure Classes: 시술이 (a) 진단적 또는 치료적인지 (b) 침습적인지, 그리고/또는 자원 이용 측면에서 최소 혹은 최대인지를 규명함으로써 병원관리 자료를 사용한 병원 서비스의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 Chronic Condition Indicator: 사용자들로 하여금 ICD-9-CM 진단 코드를 만성질병군 또는 만성질병군이 아닌 질병으로 쉽게 분류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도구는 또한 ICD-9-CM 진단코드를 신체 시스템별로 18가지로 분류할 수 있게 한다.

- Utilization Flags: 보건 의료 서비스 이용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UB-92 세입 코드와 ICU-9-CM 시술 코드로부터 정보를 결합하여 이용도의 표식 또는 지표를 보는 것이다. 시술 및 서비스를 이용해서 ICU, CCU, NICU와 특정 진단적 검 사 및 치료를 평가할 수 있다.

(4) 보고 자료들: 웹 자료 제공

- 최근 보고 및 출간물: 이것은 HCUP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연구들의 출간물로 홈페이 지 상에서 저자별 목록을 정리하여 공개하고 있고, 일부는 초록을 볼 수 있다.

- HCUP 통계 브리프(Statistical Briefs): 이것은 간단하게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질병상 태, 병원 이용도 등과 관련된 특정 주제별로 HCUP 자료를 이용한 분석을 한다. 이 브리프는 매월 약 10 장 정도의 자료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는데, 각 브리프 별로 담겨있는 자료는 최소 1년간의 자료 혹은 수년간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고 특 정 주제별(예, 우울증, 위험도 보정 병원 사망률, 소아암환자 병원이용 등)로 정리한 것이 특징이다.

(31)

것이다(예를 들어 당뇨병의 경제적 및 건강 비용).

- 국가 통계: 1992년부터 1996년까지 HCUP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한 광범위한 정보(입원, 진단명, 시술 등)의 내역을 볼 수 있는 문서들이 요약되어 있다. 1993년부터의 진료 경향 정보(Trend Information)는 HCUPnet(무료 온라인 통계지원 서비스)을 이용할 수 있다. - HCUP 자료와 그림: 2005년도 병원 재원(Hospital Stay)에 대한 국가 통계 및 1993년부

터의 경향(Trend)에 대한 개요이며 관련 데이터테이블과 그래픽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 HCUP 방법 시리즈들(Methods Series): HCUP 데이터베이스와 소프트웨어 도구(Software

Tool)들에 대한 방법론적 정보들에 대한 보고서들이다.

- HCUP 데이터베이스 보고서: HCUP 데이터베이스들의 설계 및 이용에 초점을 맞춘 보 고서들이며 데이터베이스의 연도별 설계, 변수 업데이트 정보, 경향리포트(Trend Report; 재원일수, 사망률 등) 등이 포함되어 있다.

(5) 데이터베이스의 운영 및 관리

- 주 입원 데이터베이스(SID, State Inpatient Database)

주 입원 데이터베이스(SID, State Inpatient Database)는 참여하는 주 단위의 병원 데이 터베이스로 참여하는 주 전체 입원환자의 퇴원 요약정보를 포함하고, 다른 주와 비교 및 분석이 용이하도록 일원화되어있다. 또한 SID는 미국 전체 병원 퇴원의 약 90% 자료를 포함하는데, 일부 주는 급성정신병원과 같은 전문 병원으로부터의 퇴원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SID는 보험자와 상관없이 모든 환자의 임상적 및 비임상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 며 일원화된 정보에서 추가적으로 환자의 인종과 같은 다른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주로 한 개의 주를 대상으로 연구할 때 SID를 주로 이용하지만 시장영역의 다양성 분 석, 입원환자이용도, 접근성, 비용 및 결과에 대한 경향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주를 비교 할 때에도 이용한다. 현재까지 총 23개 데이터 제공기관이 HCUP에 참여하기로 동의하고 SID 파일들을 HCUP 주요 배부처를 통해 배부해오고 있다. 각 주별 데이터베이스들은 HCUP의 일원화된 틀에 맞추어 자료가 생성되며, AHRQ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100% 반 영한다. 그러나 참여한 데이터 제공기관들이 특정 데이터 요소들의 배포를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현재 AHRQ가 데이터 제공기관들의 1990-2005년 SID의 배포를 지원하고 있다. SID는 병원 식별번호 배포를 허가하지 않은 주를 제외하고는 AHA의 연간 설문조사로부 터 병원 수준의 데이터에 연결될 수 있고, 보건전문영역자원국(Bureau of Health Profession's Area Resource)로부터 카운티 수준의 데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32)

- 전국 입원환자 표본(NIS, Nationwide Inpatient Sample) NIS는 병원 입원환자 재원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연구자들과 정책 결정자들 은 보건 의료 이용도, 접근성, 비용, 질 및 결과의 동향을 파악하고 추적, 분석하기 위해 서 NIS를 이용한다. NIS 는 미국 내 공적으로 이용 가능한 가장 큰 규모의 전체 입원환 자 진료 데이터베이스로서 미국 병원 중 약 20%에 해당하는 1,000개 정도의 병원에서 수 집된 8백만 건의 재원일수(Hospital Stay)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NIS는 1988년부터의 자료를 가지고 있어 시대적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NIS는 보험 자와는 상관없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민간 보험과 보험에 들지 않은 사람을 모두 포함 한 비용정보를 가진 유일한 국가적 병원 데이터베이스이다. NIS의 방대한 표본 규모는 선천성 기형과 같은 희귀한 질병상태, 장기 이식 같은 특수한 치료, 보험에 들지 않은 인 구와 같은 특정한 환자 집단도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NIS의 입원일 정보에는 임상적인 그리고 퇴원 요약에서 전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된다. 1998년부터는 몇 종류 의 자료 요소는 삭제하고, 몇 가지는 추가되는 등 코딩의 변화와 표본 추출 등에서 자료 의 대표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었다. NIS의 접근은 자료 사용 허가를 받은 사 용자에게 개방되어 있고, 연구자 및 통계보고를 취합하는 분야로 한정하고 있다. NIS에 포함된 입원환자 정보로는 입원일, 입원월, 입원경로, 입원형태(응급/긴급/선택 적/신생아 등), 입원 시 연령, CCS(임상적 분류 소프트웨어) 구분, 자료원, 진단명, 진단그 룹(DRG, Diagnosis Related Group), 퇴원 분기, 퇴원 가중치, 퇴원 연도, 환자 소인(퇴원 상태), 상해 및 중독의 외부 원인, 환자 성별, 병원 정보 , 재원 일수, 환자 지역정보, 주 진단명분류(MDC), 환자 ZIP 코드에 따른 가계수입 중앙값, 신생아/모성 여부, 보험정보, 의사 식별 종합정보, 시술 정보, 환자의 인종, 기록 확인 종합 정보들이 있다. NIS의 특징은 전수조사가 아니기 때문에 일반화를 위한 계층변수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 NIS에서는 다섯 가지 병원표본 추출계층을 정의하는데, 이는 AHA 연간 설문조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병원 특성들에 의거한 것으로 구체적인 계층화 변수들은 다음과 같다. ① 지리학적 지역: 미국 총인구조사에 의거한 지역 분류를 사용한다. ② 위치: 도시 및 지역( 대도시 지역은 urban으로 간주함)

③ 교육기관 여부: 의학교육석사인증(ACGME, Accreditation Council for Graduate Medical Education) 로부터 수련병원 인증을 받은 교육 병원인 곳, 병원교육 위원

(33)

<표 2> NIS 요약 사례 자료 발행 형식 1988-1992년 Œ1988년 8개 주 Œ1989-1992년 11개주 5년간의 데이터가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된 6개 CD Set 각 연도별로 퇴원 10% 세부 Sample Œ1993년 17개주 Œ1994년 17개주 Œ1995년 19개주 Œ1996년 19개주 Œ1997년 22개주 Œ1998년 22개주 Œ1999년 24개주 Œ2000년 28개주 Œ2001년 33개주 1년간의 데이터가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된 2개 CD Set 각 연도별로 퇴원환자 10% 세부표본 2개 Œ2002년 35개주 Œ2003년 37개주 Œ2004년 37개주 1년간의 데이터가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된 2개 CD Set 각 연도별로 퇴원환자 10% 세부표본 2개 중증도 도구의 4가지 다른 Set와 함께 제공되는 파일 Œ2005년 37개주 1년간의 데이터가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된 2개 CD Set 중증도 도구의 4가지 다른 Set와 함께 제공되는 파일

회(COTH, Council of Teaching Hospitals), 또는 정규 시간 과 동등한 인턴 및 전 공의 비율이 병상 수의 0.25 혹은 그 이상일 때 교육기관으로 본다.

④ 경영주체: 비연방 정부 사립법인 또는 사립(투자자 개인 소유) ⑤ 병상규모: 대, 중, 소로 구분한다.

※ 매체․발행 형태: ASCII 포맷 CD- ROM

- 아동 입원 데이터베이스(KID, The Kid's Inpatient Database)

아동 입원 데이터베이스(KID, The Kid's Inpatient Database)는 미국 내 소아 환자들의 병원 이용에 대한 연구를 위해 설계되어 병원 이용, 결과 비용에 대한 유일한 데이터세트 이다. KID는 HCUP에 참여 중인 주에서 재활병원이 아닌 모든 지역사회 병원으로 구성 된 퇴원 표본이다. 전체 소아환자 퇴원 건수를 포함하며, 소아 환자 퇴원은 입원 시 20세 또는 그 이하의 환자의 퇴원으로 정의한다.

(34)

는 사람을 모두 포함한 비용정보를 가진 유일한 국가적 병원 데이터베이스이다. KID의 방대한 표본 규모는 선천성 기형과 같은 희귀한 질병상태, 장기 이식 같은 특수한 치료, 보험에 들지 않은 인구와 같은 특정한 환자 집단도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소아 질 병의 경제적 부담, 서비스의 접근성, 진료의 질과 환자 안전, 보건 정책 변화에 미치는 영 향과 같은 광범위한 주제를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KID의 입원일 정보에는 임상적인 정보 그리고 퇴원 요약에서 전형적으로 얻을 수 있 는 정보가 포함된다. KID는 병원 식별번호 배포를 허가하지 않은 주를 제외하고는 AHA 의 연간 설문조사로부터 병원수준의 데이터에 연결될 수 있고, Bureau of Health Profession's Area Resource 로부터 카운티(미국 각 주를 구성하는 지역단위) 수준의 지역 정보에 연결될 수 있다. 2003년 KID는 2000년보다 11개 주가 더 포함되어 36개 주가 참 여했다. KID의 특징으로는 NIS와는 달리 2단계의 표본 추출 절차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 다. 대신 KID는 모든 병원의 소아 퇴원 표본을 포함한다. 표본추출을 할 때, 소아 환자 퇴원 건수들은 합병증이 없는 병원 출산, 합병증이 있는 병원 출산과 기타 환자 사례들로 구분한다. 각 병원 소아 환자에 대한 정확한 Case-Mix를 위해 주별, 병원별, DRG별, 그리 고 각 DRG내 무작위 번호별로 퇴원을 분류한다. 각 Frame으로부터 시스템화된 무작위표 본 추출이 사용되어 합병증 없는 병원 출산 중 10%, 합병증이 있는 병원 출산 중 80% 및 기타 사례를 선택한다.

- 주 외래 수술 데이터베이스(SASD, The State Ambulatory Surgery Database) 외래 수술 데이터베이스(SASD, Ambulatory Surgery Database)는 HCUP의 한 영역으 로 환자가 당일에 입원 및 퇴원을 하며 시행된 수술을 선택적으로 담은 데이터베이스이 다. SASD는 참여하는 주 내 외래 수술 요약 정보를 포함하며, 여러 주별 비교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일원화된 형식으로 변환되어 있다. 모든 환자들의 임상적, 비임상적 정보의 핵심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고 보험자와 관계없이 메디케어, 메디케이드, 민간보험 및 보 험이 없는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성 중에는 환자의 인종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연구자들과 정책결정자들은 SASD를 입원 수술환자 자료와 외래 수술 자료의 비교 를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외래 수술의 이용도, 접근성, 비용, 결과의 주 특성 을 규명하고, 시장영역 연구 및 소지역 변이 분석을 시행하기 위함이다.

(35)

을 통해 배포하는 것에 동의했다. 개별 주의 데어터베이스들은 HCUP의 일원화된 형식과 같다. 그러나 참가하는 자료제공 기관들이 특정 자료 요소들의 배포를 관리하고 있다. AHRQ는 현재 1997-2005 SASD 배포를 담당하고 있는 자료제공 기관을 지원하고 있다.

- 주 응급처치 데이터베이스(SEDD, The State Emergency Department Database) 주 응급처치 데이터베이스(SEDD, The State Emergency Department Database)는 HCUP의 한 영역으로 응급실 내원 후 입원하지는 않은 모든 방문과 관련된 퇴원 정보를 요약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응급실에 내원했다가 입원한 환자의 정보는 입원데이터베이스 (SID, State Inpatient Database)에 포함된다. 모든 응급실 내원 정보를 확인하려면 SEDD 정보와 SID 정보를 합해야 한다. SEDD는 참여하는 주 내 응급실 요약 정보를 포함하며, 여러 주별 비교 및 분석이 가능하도록 일원화된 형식으로 변환되어 있다. 모든 환자들의 임상적, 비임상적 정보의 핵심 Set을 포함하고 있고 보험자와 관계없이, 메디케어, 메디케 이드, 민간보험 및 보험이 없는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으며 데이터 구성에는 환자의 인종 등이 포함되기도 한다. 연구자들과 정책결정자들은 SEDD를 변화하는 보건 의료 시장 영역에서 의료 접근성 을 조사하기 위해 이용하는데 이는 응급실의 이용도, 접근성, 비용, 결과의 주 특성을 규 명하고, 시장영역 연구 및 소지역 변이 분석을 시행하기 위함이다. AHRQ는 현재 1999-2005 SEDD 배포를 하고 있는 자료제공을 지원하고 있다. (6) 자료의 배포 및 공개 방법 - 데이터베이스 구입 및 교육: HCUP의 데이터베이스는 웹사이트를 통해 신청 및 구매할 수 있으며 웹 기반의 데이터 사용법 강좌가 있으며 사용자를 위한 오프라인 심포지엄 등도 개최된다. - HCUPnet(http://hcupnet.ahrq.gov/)을 통한 온라인 통계 지원 프로그램 (7) HCUPnet HCUPnet은 공개되는 가장 큰 규모의 총 보험자 보건의료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할 수 있게 된 온라인 쿼리 시스템이다. HCUPnet의 쉬운 단계적 쿼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직접 국가 및 지역별 통계와 미국 내 병원 동향에 대한 표와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HCUPnet에 참여하고 있는 주의 병원 자료도 이용가능하다.

(36)

[그림 3] HCUPnet 사용자 쿼리 생성 시작 화면

지역사회병원은 단기, 비연방, 종합 및 기타로 정의하며, 기관에 설치된 병동은 제외한 다. 국가 및 지역적 HCUP 자료에는 산부인과, 이비인후과, 정형외과, 소아과, 보건, 의과 대학 병원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장기 요양, 재활, 정신과, 알콜 중독 및 약물 의존 치료 병원이 제외되나, 이런 형태의 퇴원이 지역사회 병원에서 이루어지면 HCUP에 포함된다.

HCUPnet은 HCUP의 NIS, KID, SID 자료를 이용한 통계를 생성하며 보다 상세한 분 석을 원할 경우 CUP 데이터베이스를 구매할 수 있다. 구매는 HCUP Central Distributor 에서 담당하며 HCUP NIS를 적용하여 AHRQ 질 지표(Quality Indicator)에 근거한 통계 자료를 제공하고 웹을 통한 다운로드 및 자료 분석도 가능하다.

다음의 그림들은 사용자가 직접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의 일부를 보여 주는 것으로 사 용자와 양방향이 원하는 통계 쿼리를 직접 생성하여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37)

[그림 4] HCUPnet 사용자 쿼리 생성 과정

(38)

○ 의료지출 패널 설문조사(MEPS, 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 (1) 개요

의료비용 패널 조사연구(Medical Expenditure Panel Survey)는 1996년 시작된 미국의 가족 및 개인,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을 대규모로 조사하는 대규모 조사연구로 보건의료 및 건강보험 보장에 대한 비용 및 이용에 대한 대표적인 자료 중 하나이다. MEPS는 미국인들이 사용하는 특정 건강서비스에 관련된 자료 즉 얼마나 자주 이용하 는지, 각 서비스의 비용이 얼마인지, 어떻게 지불하는지에 대한 것과 또한 비용, 범위, 건 강보험의 보장범위 등에 대한 자료도 수집하고 있다. (2) 주요 구성요소

MEPS는 가구구성요소(Household Components), 의료공급자구성요소(Medical Provider Components), 보험구성요소(Insurance Components)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Cohen, 2003).

- 가구구성요소(Household Components)

가구구성요소는 개별 가구 및 세대원으로부터 얻어지고 의료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보 완된 자료로 개별 가구 및 세대원으로부터 얻어지는 자료는 미국 전역에 걸쳐 선정된 가 구 및 개인 표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한다. 또한 미국 보건통계센터(National Center for Health Statistics)에서 시행하는 국가 보건의료 면접조사(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에 참여한 가구 중 대표성이 있는 표본들을 가져온다. 가구별 인터뷰를 시행하는 동안 MEPS는 한 가구를 구성하는 각 사람으로부터 상세한 정보 즉, 인구학적 특성, 건강 상태, 의료 서비스 이용, 비용 지불 및 소득원, 의료서비스 의 접근, 만족도, 건강보험 보장범위, 수입, 및 고용형태 등도 조사한다. 조사연구의 패널 설계는 2년 동안 여러 차례의 인터뷰 조사를 반영하며, 조사대상자들의 상기 항목들의 대 한 변화를 진단할 수 있게 된다. 자료는 MEPS 웹사이트 내 데이터 테이블에서 이용할 수 있고, 자료 파일들을 내려 받 을 수도 있다 또한 양방향 데이터 도구를 이용할 수도 있다.

- 의료공급자구성요소(Medical Provider Components)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마케팅조사계획 수립 Creating Research Design!. 마케팅조사계획 수립

USDA 연구교육경제국은 농업연구소(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주 협동연구교육원(Cooperative State Research, Education and Extension

Mobilization, Knowledge Creation and Development. The innovation indicators used to analyse the structure system functions are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reason for for for for the the the necessity the necessity necessity of necessity of of of doing doing doing doing research research research on research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Mental Health in Korean adults; Using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This study aims to analyse various psychological elements inherent in adolescents and to identify what effect art activities using collage have on mental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NTIS-1711139325) and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n

This research, as a part of the first year research of &#34;Basic Research for Preparation of the 3rd National Communi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