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7년 제2회 운영자워크숍 자료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7년 제2회 운영자워크숍 자료집"

Copied!
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www.naks.org

편집 : 지수경

발행처 : 재미한국학교협의회

발행인 : 이승민

후원 : 재외동포재단

협찬 : 전주시 한지사업 지원센터

2017 NAKS / 2017년 8월 발행

Copyright ⓒ2017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Schools, Inc. All rights reserved.

(3)

환영 및 전체 안내

환영사 이승민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총회장

4

워크숍 개요

5

워크숍 일정

7

강의록 및 학교 운영사례 보고서

강사소개

8

강의록 1 현지화, 세계화를 위한 한국학교 위상과 운영자의 역할

10

강의록 2 현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제 2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16

학교 운영사례 보고서

20

참가자 명단

51

재미한국학교협의회 18대 집행부, 이사회 임원

52

(4)

환영사

작은 변화를 통한

효율적인 학교 운영을 위하여…

한국학교 운영자 워크숍에 참석하신 모든 운영자 선생님들을 환영합니다.

한국의 언어와 문화 그리고 뿌리 교육을 선도하는 한국학교는 미주 이민사와

그 뿌리를 함께 하고 있으며 차세대들이 한국과의 연결 고리를 이어갔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으로 시작되었습니다. 협의회는 이러한 학교들이 좀 더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소속 교사들과 화목

과 소통 그리고 교감의 장을 만들어 나가고 더 나은 수업 체계를 만들어 나가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한국학교의 정 교사는 한국에서 수학한 1세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작 학습자들은 2세대에서 3세대

로 그리고 4세대로 바뀌고 있는데, 선생님의 구성과 학교의 운영은 1세대적인 부분에 학습자의 눈높이를 맞추

지 못하고 있는지 점검해 보고자 합니다. ‘21세기 아이들을 20세기 교사가 19세기 교실에서 가르친다’는 이

야기는 교육의 변화의 필요성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교육을 바라보는 참신하고 신세대적 안목을 키워

야 합니다. 발전하지 않고 과거의 안일함에 안주만 한다면 교육의 변화는 영원히 이룰 수 없습니다. 지역과

학교 특성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수용하는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변화하고 있는 미국의 교육정책과 미국 내에서 한국어 교육의 방향과 정책

에 대해서도 우리 한국학교들이 눈 여겨 보아야 합니다.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다 보니 어느덧 운영자의 자리에 올라 학교를 운영

하고 있는 우리를 발견하게 됩니다. 학교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하기를 희망하는 선생님들을 한데 모

아 서로 나누고 도와주는 한국학교 운영자 워크숍을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워크숍을 통해 한국학교를 운영하면서 대면하여야 하는 장학, 학사, 교육과정, 일반 행정, 차세대 학

생의 이해, 비전 공유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작은 변화를 만들어 내어 효율적인 학교 행정 운영이 될 수

있도록 서로 도움을 주고 받았으면 합니다.

이 승 민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총회장

(5)

워크숍 개요

1. 추진 배경 및 목적

미국의 주말 한국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현지에 맞는 교육이어야 한다. 미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은 한국어를 제2외국어로 배운다. 그러므로 역사교육 또한 쉬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나의 뿌리가 어디인지를 분명 히 알고 내가 서 있는 자리에서의 역사를 앎이 중요하다 하겠다. 또한 이민 1세대가 이민 2세대에게 전하는 한국의 역사, 문화, 언어 뿐 아니라 이민 2세대가 다음 세대를 교육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 그러므로 이번 운영자 모임을 통해 차세대를 어떻게 양성하여 이들이 다음 세대의 교육을 어떻게 책임질 지 함께 고민하고 발전적인 안을 수립해 보고자 한다.

2. 운영자 워크숍 교육 계획

1) 초청주제강연 1 : 현지화, 세계화를 위한 한국학교 위상과 운영자의 역할 2) 초청주제강연 2 : 현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제 2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3) 학교 운영사례 나눔 4) 역사 교육의 실제와 차세대 양성사례 발표 5) 내가 교육하고 싶은 역사교육안 만들기와 발표 6) 차세대 양성을 위한 방안 7)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특별활동 찾기 8) 한국학교 재정 후원을 위한 방안

3. 기대효과

1) 한국어 교육의 현지화를 위해 운영자로서 해야 할 일을 생각하고 운영자간끼리 또는 기관과의 협력관계를 구축할 기회를 얻을 수 있다. 2) 이민 1.5세대, 즉 차세대를 육성하고, 차세대가 한국학교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다각도로 알아본다. 3) 현지에 맞는 역사 교육안을 만들어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고 재미있는 역사수업의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

(6)

4. 운영자 워크숍 시행 계획

1) 신청 자격 : NAKS 회원학교 운영자( 교장 또는 교감 우선)로서 학술대회 신청자 2) 인원 : 50명 3) 특전 ① 참가자 전원에게 수료증 발급 ② 식사 2회 무료 제공( 수, 목 점심 ) 4) 등록 방법 및 과정 ① 재미한국학교협의회 웹사이트(www.naks.org)를 통하여 등록 ② 학술대회 등록 —-> 운영자 워크숍 등록(자기 소개글 작성)—-> 호텔예약 5) 등록 신청 및 마감 : 2017년 3월1일~2017년 6월 25일 6) 학교 운영 사례 제출 : 6월 25일까지 지수경 낙스 웹간사에게 제출 7) 문의 : 지수경 웹간사 (web@naks.org/703-653-4265)

(7)

2017 NAKS 한국학교 운영자 워크숍 일정표

일시 및 순서

집중 강의

강사

8/9 (수요일) 운영자를 위한 강연과 활동 개회식 9:00~9:30 개회식 강의1 9:30~10:45 초청 주제 강연 1 신현숙 교수님 현지화, 세계화를 위한 한국학교 위상과 운영자의 역할 강의2 10:50~12:00 역사 교육의 실제와 차세대 양성 사례발표 전체 및 조별활동 점심 12:00~1:00 점심식사 강의 3 1:00~3:00 내가 교육하고 싶은 역사교육안 만들기와 발표 전체 및 조별활동 강의4 3:15~4:30 초청 주제 강연2 강사희 교수님 현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제 2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강의5 4:40~6:15 차세대 양성을 위한 방안 전체 및 조별활동 저녁 6:15~7:30 저녁식사 강의6 7:30~8:45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특별활동 찾기 전체 및 조별활동 8/10 (목요일) 강의7 9:00~10:15 한국학교 재정 후원을 위한 방안 전체 및 조별활동 수료식 10:25~11:30 수료식 및 한국어 교육의 현지화를 위해 우리가 할 일 개인 발표 점심 11:40~ 기념 사진 촬영 및 점심 식사 강의 내용과 일정은 사정에 따라 수정될 수 있습니다.

(8)

강사소개

신현숙

(申鉉淑 SHIN, HYON SOOK)

• 소속/직위 상명대학교 명예교수 • 전공/학위 건국대학교 문학 박사, 문학 석사 상명대학교 문학 학사, 인천(현 경인)교육대학 졸업 • 연구분야 국어학, 언어학, 국어교육학, 한국어교육학

주요저서/논문

• 한국어 특강 4. 한국어 음운 정보 -현상과 규칙. 푸른사상 (2016) • 한국어 특강 3. 문법과 문법 교육. 푸른사상 (2014) • 한국어특강 2 한국어와 한국어 교육 Ⅰ,Ⅱ (공). 푸른사상 (2014) • 한국어 어휘 정보: {모양/모양이다}. 한국어 의미학 42. 한국어 의미학회 (2013) • 한국어특강 1 의미와 의미 분석 (공). 푸른사상 (2012) • 의미망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한국어문학연구 56.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냄새}. 한국어 의미학 36. 한국어 의미학회 (2011)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정보: {소리}. 문법 교육 13호. 문법교육학회 (2010) • 한국어 교육의 어제와 오늘. 한국어문학연구 53.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09) • 간판 매체 언어의 사회․문화 특징. 국어 교육 130. 한국어교육학회 (2009) • 의미로 분류한 한국어․일본어 학습 사전 (공). 서울: 한국문화사 (2001) • 의미로 분류한 현대 한국어 학습 사전 (공). 서울: 한국문화사 (2000) • 의미로 분류한 한국어․영어 학습 사전 (공). 서울: 한국문화사 (2000) • 의미로 분류한 한국어․중국어 학습 사전 (공). 서울: 한국문화사 (2000)

주요경력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1980-2016) • 문화체육관광부 국어심의회 부위원장, 언어정책분과 위원장 (2011-2015) • 한국어의미학회 회장 (2009-2011) • 교과용도서 (검정) 심의회 심의위원장 (2009-2011)

• Visiting Professor, University of Hawaii (Center for Korean Studies) (2008-2009) • 상명대학교 기획부총장 (2006-2007)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회장 (2005-2007)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부총장 (2004-2005)

• Conference Chair, 9th International Cognitive Linguistics Conference (2004-2005)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회장 (2001-2003)

•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장 (2000-2004) • 담화인지언어학회 회장 (1999-2001) • 상명대학교 사범대학 학장 (1997-1999)

• Exchange Professor, University of Alberta (Dept. East Asian Studies) (1993-1994) • Visiting Professor, University of Hawaii (Center for Korean Studies) (1987-1988)

(9)

강사희 교수

(Sahie Kang)

학력

• 1990 Ph.D. in Linguistics, University of Florida

• 1982 M.A. in Linguistic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Buffalo • 1980 M.A. in Korean Linguistics, Ewha Woman’s University

• 1978 B.A.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wha Woman’s University

경력

• 2014-현재, 미들베리 대학교 (Middlebury College) 한국어학교 초대 원장 및 교수 • 2015- 현재, 미연방정부 국방외국어대학 (Defense Language Institute) 명예교수

• 2015-2018, 북미한국어교육학회 회장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Korean, www.aatk.org) • 2015-현재,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외국어교육표준 위원, 미국외국어교육카운슬 (American Council on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 2009-2015, 미연방정부 국방외국어대학고급과정다언어학교 학장 (Advanced Multi Language School)

• 2007-2009, 미연방정부 국방외국어대학 한국어학교 학장 (Korean School) • 2002-2007, 미연방정부 국방외국어대학 중동어학교 학장 (Middle East School II) • 1997-2015, 미연방정부 국방외국어대학 종신 교수; 1991-1997, 조교수

• 2015,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언어평가론 강의 • 2011, 이화여자대학교 인문대학 초빙교수, 사회언어학 강의 • 2010, 한글유공자 보관 문화훈장 수상

• 2006-2009 & 2012-2015, 미국외국어교육카운슬 () 내 한국어분과 (Korean Special Interest Group)설립 및 초 대 및 3대 회장

• 2005-2007,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관계 부회장

• 2002-현재 Master Trainer and tester for the ACTFL OPI (말하기 평가) & WPT (쓰기 평가) • 1993-현재 ACTFL ILR OPI Master Tester

(10)

현지화, 세계화를 위한 한국학교 위상과 운영자의 역할

신 현 숙 (상명대학교 명예교수)

머리말

다음과 같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 현지화, 세계화를 위한 한국학교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초점을 맞추어 한국학교 위상과 운영자의 역할을 살펴보 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 한국학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 한국학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어떤 운영자가 필요한가? • 현지화: “한국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현지에 맞는 교육이어야 한다. “ (NAKS) • 세계화: “재미 한국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한국 언어문화, 한국 문화, 한국학 세계화와 함께 글 로벌 인재 양성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신현숙)

한국학교의 위상

• 한국학교는 한국어, 한국 언어문화, 한국문화 교육에 기여하고 있다. - 차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한 한국어 언어 기능 또는 언어 능력을 교수-학습하는 한국어 교육 현장 - 한국 언어사회와 언어문화 ‘languaculture’ 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항목과 요소를 교수-학습하 는 한국 언어문화 교육 현장 - 차세대와 미래세대가 경험하지 못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한국문화를 경험하고 나아가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는 한국 문화 교육 현장 - Agar(1995)에서는 언어문화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Languaculture is a term meaning a language that includes not only elements such as grammar and vocabulary, but also past knowledge, local and cultural information, habits and behaviours.”

• 한국학교는 창의적 인재, 글로벌 인재 육성에 기여한다.

-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칠 수 있는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 현장이다. - 세계 무대에서 자신의 역량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 현장이다.

(11)

로젝트형, 과제형 등 교수-학습자가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면 그 성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다. - 민병갑 (2017): “한국인의 미국이민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50년이 지난 지금 재미동포는 경제·사회·정치적으 로 미국 주류사회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가장 높은 선거직에 해당하는 미 연방의원을 살펴보면, 15명의 아시아계 의원 중 한국계 의원은 단 한 사람도 없다. 이는 재미동포사회가 앞으로 더욱 활발한 정치발전 을 이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 김태련 (2016): “21세기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비전”에서 인용 “한국인의 Vision을 만들자 1. 상상력과 창의력을 가질 때다 2. 홍익인간 정신과 교육혁명 3. 진정한 다문화 사회를 건설하자 4. 참선과 명상을 통해 병든 현대인을 치유하자 5. 세계시장을 보는 안목과 용기 6. 세계가 함께 꿈꾸는 Korean Dream을 만들자 7. 한국은 세계적 나비효과의 진원지 8. 홍익인간과 한국의 기업문화의 혁신 9. 병세의식과 새로운 동북아 공동체 (참조: 幷世意識 contemporary consciousness) 10. G2 시대 : 한국사에서 외교 상상력을 키워라 11. G20 사무국을 한국에 설치하자 12. 효도와 한국의 미래 : 한국의 미래 발전의 청사진 역할을 할 미래의 가치를 효孝 사상으로 본다. “ • 한국학교는 한국과 현지의 언어, 문화, 정치, 경제 등 국가와 민족을 이어주는 거점이 된다. - 한국학교는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확산시키는 전진기지이다. - 한국학교 교수-학습자는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고 확산하는 홍보대사이다. - 한국학교 교수-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은 곧 한국과 한국인의 성장과 발전을 의미한다. • 지역사회와 현지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한국어, 한국 언어문화, 한국문화, 한국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한국학 교의 위상은 한층 더 높아질 것이다. - 실리콘벨리 한국학교(교장 김현주)에서 열린 ‘한류’ 주제 청소년 특강 (2017. 4) 최철순 SF교육원장 “오늘 특강을 계기로 학생들이 한류 홍보대사가 되어 본인들이 속한 학교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알리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해 주길 기대한다.” (K.D Times 2017. 4. 25) • 한국학교는 교육 현장일 뿐만 아니라 인적 자원 네트워크와 교류의 중심이자 정보와 사회적 자본을 통합하는 거점 이 된다.

(12)

• 한국학교의 인적 자원: 교육자, 학습자, 운영자, 프로그램 참여자 등 • 한국학교의 사회적 자본: 교육자 네트워크, 학습자 운영자 네트워크, 운영자 네트워크, 참여자 네트워크, 지역사회 네트워크, 국가 네트워크, 민족 네트워크 등 • 한국학교에서 축적되고 생성된 인적자원과 사회적 자본은 한 개인의 성장 발전은 물론 한국 사회 나아가 인류의 미 래 사회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신기욱 (2017):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에서 인용 - “재외 동포 대학생이나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국내 기업 연수나 각자의 전문 분야에서 한 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특성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가령 언어나 문화적 이해뿐 아니라 거주국에서 외교 안보분야에서 일하기를 원하거나 일하고 있는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반도가 처한 지정학적 상황이나 외교 안보 현안에 대한 좀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 등이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비슷한 프로그램을 의료계, 법조계, 학계, 언론 계, 문화산업 및 예술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다. - “세계각지에 살고 있는 재외동포는 한국에 커다란 자산이다. 이들의 인적 자원을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들 이 갖고 있는 사회적 자본을 활용하여 거주국과 한국과의 가교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 한국학교는 교육 현장일 뿐만 아니라 언어 교류의 장場 이자 문화 교류의 장 나아가 국제교류의 장이다. 따라서 한 국학교 교수-학습자는 지역사회, 현지인과 가장 가까운 한국의 외교관이다. -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는 교수-학습자가 참여하는 교육 현장 - 다양한 관심과 흥미를 가진 교수-학습자 참여하는 교육 현장 - 다양한 능력과 역량을 가진 교수-학습자가 참여하는 교육 현장 - 다양한 언어사회와 언어문화에 관심을 가진 교수-학습자가 참여하는 교육 현장 • 다양하면서도 개방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예컨대 다문화 프로그램, 융복합 프로그램, 현지화, 세계 화를 함께 고려한 열린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운영할 수 있다. 열린 한국학교를 운영한다면, 한국학교와 교수-학 습자의 위상과 역할은 더욱 높아지고 커질 것이다.

한국학교 운영 방향

• 한국학교는 한국어, 한국 언어문화 교육기관이자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생성하고 전파하는 한국 문화의 중심이자 거 점으로 세계 곳곳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글로벌 시대에 한국학교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 글로벌 인재 육성에 전세계가 전력을 다하는 현 시점에서, 다중 언어와 다문화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학

(13)

교는 가장 효과적으로 글로벌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기관이다. - 글로벌 인재 육성 기관이 되기 위하여 글로벌 인재 역량이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프로그램 개발 과 운영에 반영하고 공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재외 한국학교에서 육성해야 하는 글로벌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 - 교육과정평가원(2015: 50)에서 인용한 표로, 보고서에 따르면 위 결과는 재외 한국학교에서 육성해야 하는 글로 벌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에 대하여 교육 전문가 24명의 의견을 델파이 조사를 통해 조사한 것임. • 글로벌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다중언어 소통 능력, 문화적 융합 능력, 공동체 의식과 정체성 등은 지금까지 한국 학교에서 추구한 교수-학습 방향과 일치한다. 따라서 글로벌 공동체를 이끌어가는 데 필요한 인지 능력, 이해 능 력, 공감 능력, 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개발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14)

•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다. - 교수-학습자가 함께 꿈을 실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 - 교수-학습자가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 - 교수-학습자의 잠재력을 적극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 - 교수-학습자의 현재와 미래를 함께 성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인가? • 어떤 프로그램을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한국학교의 위상은 달라진다. - 교수-학습 목표를 한국어 교육< 한국 언어문화< 한국문화< 한국학 < 한국학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 교육으로 확장 - 교수-학습 대상을 한국어 교수-학습자<한국 언어문화 교수-학습자< 한국문화 교수-학습자< 한국학 교수-학습자< 한국학을 기반으로 한 세계시민 교육 교수-학습자로 확대 - 교수-학습자가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위하여 적극 활용할 수 있고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내용, 교육 자 료, 교육 정보 구축 - 교수-학습자가 즐겁게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 - 교수-학습자의 관심과 능력을 고려한 유연한 교육 단위 구성

한국학교 운영자의 역할

• 프로그램을 누가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한국학교의 위상은 달라진다. - 한국어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한국 언어문화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한국 문화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한국에 초 점을 맞춘 운영자 등 - 교수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학습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교수-학습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등 - 인재 발굴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인재 활용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등 - 운영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기획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지원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운영과 기획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운영과 지원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등 - 전통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현대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미래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등 - 지역 사회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글로벌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등 • 프로그램 운영자가 어떤 태도로 참여하느냐에 따라서 한국학교의 위상은 달라진다. 다음과 같은 운영자가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운영한다면 한국학교 위상과 역할은 한층 높아지고 커질 것이다. -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운영자 -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운영자 - 긍정적으로 참여하는 운영자 - 열린 마음으로 참여하는 운영자 • 운영자가 어떻게 운영하느냐에 따라서 교육환경은 달라진다.

(15)

• 교육환경에 따라서 운영자의 역할도 달라진다. • 따라서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국가, 정부, 지역사회, 학부모의 끊임없는 지원과 노력이 필요하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참여하는 모든 참여자의 뜨거운 열정과 지혜가 필요하다.

맺음말

• 한국학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 - 한국학교의 전통적 역할과 글로벌 시대의 역할을 조화롭게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다. - 교수-학습 목표를 교수-학습자의 성장과 발전, 특히 교수-학습자를 글로벌 인재로 육성하는 데 둔다. - 글로벌 인재 육성에 필요한 교수-학습 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 자료와 정보를 구축한다. - 교수-학습 대상과 범위를 한국, 한국인, 한국문화 등에 관심을 가진 교수-학습자로 확대한다. - 교수-학습 단위를 교수-학습자 관심과 역량에 맞추어 유연하게 구성한다. - 글로벌 인재 육성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 교수-학습에 초점 맞춘 운영자 - 교육자와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맞춘 운영자 - 기획자, 운영자, 지원자 역할을 함께 하는 운영자 - 시간과 시대의 흐름을 적극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는 운영자 - 현지, 지역사회와 적극 소통하면서도 국제 사회/세계인과의 소통에 적극 참여하는 운영자 • 능동적으로, 긍정적으로, 적극적으로, 열린 마음으로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에 참여하는 운영자

참고문헌

• 교육과정평가원(2015),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한 재외 한국학교 교육과정 정책 개선. • 교육부(2014), 2014 교육부 업무 보고-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 인재. • 김태련(2016), 21세기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비전, NAKS 제1회 운영자 워크숍 자료집. • 민병갑(2017), 동포의 정치참여와 거주국 주류사회 진출, 재외동포재단 창립 20주년 기념 2017 세계한인학술대회 자료집. • 신기욱(2017),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위한 재외동포의 역할, 재외동포재단 창립 20주년 기념 2017 세계한인학술 대회 자료집. • K.D Times(2017. 4. 25), ‘한류’ 주제 청소년 특강, 실리콘벨리 한국학교서 열려 (2017. 7. 9 검색).

(16)

현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제 2 외국어로서 한국어 교육

강사희(미들베리대학 교수)

“미국의 주말 한국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현지에 맞는 교육이어야 한다. 미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 은 한국어를 제 2 외국어로 배운다. 그러므로 역사교육 또한 쉬운 것이 아니다. 따라서 나의 뿌리가 어디인지를 분명히 알고 내가 서 있는 자리에서의 역사를 앎이 중요하다 하겠다….” 위의 글은 운영자 워크샵의 추진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 는 첫글이다. 이 강의는 역사교육에 대한 중요성에 초점을 둔 것이 아니고 그것을 위한 배경, 미국에서의 제2외국어로 서의 한국어가 어떤 위치에 있는지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을 바탕으로 현지에 맞는 교육으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해 생 각해 보고자 한다.

1. 미국에서 한국어 교육의 현주소

미국사회는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고 있는 사회임에도 모든 초중고등학교에서 제 2 외국어 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선정 하고 있지는 않다. 미국외국어교육협의회 (ACTFL)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미국 전체의 초중고대학에서 외국어 수강생 수는 전체적으로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2007년에는 전체 외국어 수강률이 18.5%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1) 다행히

도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report에 따르면 2007년과 2008년 사이에 중고등학생들의 79% 정도가 외국어를 수강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이 수치는 그 보다 10년전의 88%에 비하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2) 그럼 이 전체의 외국어 수강생들중에서 한국어 수강생은 몇명이나 될까?3) 최근에 발표된 American Council의 조 사에 따르면 17778개로 추산되는 16개의 주요 외국어 프로그램중에서 한국어 프로그램은 전국 50개주에 43개가 존재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불과 0.24%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중국어 6.43%, 일본어 2.44%에 비해서 적은 수이 다. 물론 전체 프로그램의 70% 가까이가 전통적으로 스페인어와 불어가 차지한다는 것을 감안할 때 한국어 프로그램의 위치가 절망적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주말 한국학교에서의 한국어 수강생의 수는 공식적인 보고에 의하면 훨씬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UCLA 의 National Heritage Resource Center내의 National Coalition of Community-Based Lan-guage Schools의 게승언어(Heritage Languages) 학교 조사보고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139개의 프로그램 중에 한국어프로그램은 단 5 개 (0.03%)로 보고되고 있다.4) 물론 이 수치는 조사에 참여한 학교들의 수치를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의 숫자와

1) https://www.actfl.org/news/reports/foreign-language-enrollments-k-12-public-schools-are-students-ready-global-society 2) AMERICA’S LANGUAGES Investing in Languag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macad.org/multimedia/pdfs/

publications/researchpapersmonographs/language/Commission-on-Language-Learning_Americas-Languages.pdf 3) https://www.americancouncils.org/sites/default/files/FLE-report-June17.pdf, The national K-12 foreign language enrollm

ent survey report. 여기서 조사된 전국 고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외국어는 16개로 Arabic, American Sign Language, Azeri, Chine se, French, German, Greek, Hindi, Japanese, Korean, Latin, Persian, Portuguese, Russian, Spanish, Turkish이다. 4) The National Heritage Language Resource Center (NHLC), 는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의 부속

(17)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조사는 계속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학교들도 적 극 참여하여서 공식적인 존재감을 높여야 하겠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미국 정부차원의 관심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현재 1000개 이상의 한국학교들이 미국에 있다고 추산되는데, 이 학교들이 모두 자기 프로그램을 보고하게 되면, 아마 도 미국 정부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큰 자원이라고 생각하고 그에 상응하는 관심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된다.5) 그동안 해외의 한국학교 또는 한글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한국정부의 큰 관심 속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받고 있고, 미국의 한국학교 연합회에서도 학생들의 교과서 지원 등의 학습지원이나 교사연수 같은 일들에 미국의 정부기관보다는 한국정부에 더 의지하고 도움을 요청했었다. 물론 한국정부의 지원이 한국학교의 발전과 한국이민 차세대의 교육에 크 게 도움이 되었지만, 앞서 “현지에 맞는” 교육을 해야한다는 명제와 미국사회 속의 교육의 장이라는 맥락 속에서 미국정 부의 정책에 대해 이해하고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미국정부는 우리 주말 한국학교를 어떻게 생 각하고 있는지 어떤 지원을 하기를 원하는지 우리는 알고 있는지 생각해 볼 시점이 되었다. 물론 미국 정부에서는 한국어만이 아니고 다양한 외국어의 교육에 지원을 해야 하기에 당연히 존재를 알리고 지원을 요청하는 단체에 먼저 지원을 할 것이 자명하다. 한국과는 달리, 정부가 학교들의 결정에 관여하지 않는 미국에서는 결 국 자기의 존재를 알리고 도움의 필요성을 홍보하는 단체에는 지원이 이루어지겠지만, 한국어교육기간이 미국 내에 몇 개나 존재하는지도 모르는 상황에서는 정부가 지원을 해 주려고 결정할 수조차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한국학교는 미국에서 자라고 있는 한인 이민 차세대 학생들에게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정체성을 심어 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그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객관적인 한국과 한국어, 한국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바탕으 로 확립되어야 하며, 그럼으로써 다른 모든 미국사회의 시민들에게서 존중 받게 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민족적 우수성을 중시하는 내용도 중요하지만 미국에서 살아가는 세계속의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한국어와 문화를 계승하고 다 른 문화도 존중하면서 그로 인해서 미국사회에 긍정적인 공헌을 할 수 있는 차세대를 길러 주기 위한 한국어교육의 목표 를 세워야 할 것이다. 이제는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장점들을 좀 더 과학적인 근거로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 도 더 설득력이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특히 아직도 국민의 79% 정도가 영어만을 사용하는 미국에서 정부와 많은 교육 관련 기관에서 외국어의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현상황을 생각해 볼 때 1000개 이상의 주말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계승하고 있는 우리의 차세대는 분명 미국과 미국정부에 있어서는 엄청나게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2. 한국어 또는 외국어 교육의 중요성

현실적으로 연방정부에서는 이미 한국어를 미국의 국익과 국방에 중요한 언어들 (Critical Lan-guages)중 하나라고 지정했고, 국익과 국방을 위해 이 언어들을 잘 사용할 수 있는 인력을 많이 길러낼 것을 강조하고 있다.6) 또한 세계에 서의 분쟁지역들의 갈등을 해소하고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그 지역의 언어와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

기관으로서 연방정부의 교육부가 지원하는 미 전국 16개 대학의 언어자원센터(Language Resource Centers) 중 하나이다. 이 기관은 계승언어 (Heritage Languages)의 발전과 그에 대한 연구 및 지원을 위해서 일하고 있고, 그 사업중의 하나로 National Coal ition of Commu-nity-Based Heritage Language Schools를 발족해서 한국학교 같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계승언어 교육기관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지원과 교육사업을 하고 있다. 이 사업의 목적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계승언어 교육기관들의 소통을 진작시키고 미국의 교육제도 안에서 이 기관들의 존재감을 높이고 미국내에서 다양한 계승언어가 어디에서 얼마나 일어나고 있는지를 기록하고자 한다. http://international.ucla.edu/nhlrc/resources/article/143931 5) NHLC은 계승언어 교육에 대한 좀더 정확한 기록을 위해서 다음의 링크에서 설문조사를 하고 있다. https://www.surveymonkey.co m/r/HLProgram 6) https://www.nsep.gov/content/mission-and-objectives

(18)

는 것이 중요하며, 그 언어를 잘 사용하는 인력들이 분쟁으로 무너진 지역들을 새롭게 건설하고 인도적인 지원을 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이런 정부에서의 움직임 때문만이 아니라, 미국의 많은 학자들은 다양한 연구들 통해서 외국어학습의 학습자들에게 어 떤 혜택이 되는지를 조사해 그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ACTFL(American Council on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항목에서의 외국어 학습 또는 제 2외국어 학습의 혜택을 설명하고 있다. 1. 외국어학습은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외국어학습은 학습자들의 인지 발달에 도움을 준다. 3. 외국어학습은 또 다른 언어와 문화를 접할 때의 태도와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여기서 먼저 외국어학습이 어떻게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연구자들은 언어 학습이 SAT나 ACT등의 다양한 표준 시험들의 성취도와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외국어의 학습이 자신의 모국어의 독해력을 향상시키는데 상관 관계가 있다든지, 한 외국어를 배운 학습자는 다른 외국어를 더 잘 배운다 든지 등의 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또 외국어 학습자들이 대학에서의 학업 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높다는 연구도 있고, 외 국어를 학습하면서 언어학적인 통찰력이 발달되게 되고 그것을 자신의 모국어나 다른 외국어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능 력들을 보인다는 보고들도 있다. 또한 가족을 위해서 통역과 번역을 늘 하던 계승 언어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높은 학 습성취도와 학습능력을 보인다는 연구도 있다. 이런 연구들은 어떤 지엽적인 자료들을 바탕으로 한 연구일 수도 있고 과장된 면이 있을 수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확실 한 것은 외국어를 학습한 사람들의 언어적인 (Verbal) 지능과 그와 관련 지능이 다른 사람들보다 발달해 있다는 연구는 널리 인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두번째, 언어 학습이 어떻게 학생들에게 혜택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연구에서 조기 외국어학습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중언어 사용이 인지 발달에 큰 상관 관계가 있다 는 증거들을 보여 주는 연구들도 있다. 또한 많은 연구들이 이중언어 사용자들한테서 노년에 발생할 수 있는 인지 능력 의 쇠퇴가 지연되는 현상들을 보고하고 있고, 이중언어 사용자들이 인지 능력에 필요한 집중력을 더 잘 보인다는 연구들 도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 이중언어의 사용과 기억력의 상관 관계라든지 문제해결 능력과의 상관관계, 언어적, 공간적 능력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보고들도 있다. 사실 위에 언급된 연구들은 그에 대한 반론들도 꽤 있는 연구들이지만 세번째의 외국어학습은 또 다른 언어와 문화를 접할 때의 태도와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내용은 상당히 신빙성이 있다고 하겠다. 많은 연구들이 외국어나 제2외국어 학습자들은 그 언어의 원어민들과 문화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 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들이 그 언어를 배울 때 그때까지 잘 모르고 있던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고, 새로 운 세계를 접하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원어민들의 사고방식, 시각, 행동양식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 이런 이해를 통해서 더 나아가 세계속의 소통과 이해, 평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7) 위의 연구들은 학계에서 연구되고 발표되고 있는 과학적인 사실들이다. 여기에 외국어 대신 한국어를 대비해 보면 경 험적으로 많은 연구 결과들이 설득력 있게 다가올 것이다. 물론 과학적인 연구들도 오류가 있고 그에 반대되는 결과들

(19)

이 증명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합리적인 사고와 객관적 사실들을 중심으로 사고하고 비판하기를 강조하는 미국 현 지의 교육환경에서 우리의 차세대들은 이런 설명들이 좀더 설득력있게 받아들여 지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최근의 미국의 교육계에서는 21세기 기술 (21st Century Skills)을 기준으로 삼아 20세기에는 강조하지 않던 다양한 기술들을 모든 교육의 목표로 삼음으로서 차세대가 21세기에 공헌할 수 있는 인력으로 자라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별히 21세기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와 사용에 대한 기술의 교육과 학습을 강조하고 있고 세계인으로서 의사소통과 협력에 방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도 예외가 아니고, 21세기에 필요한 기술들 중에서 언어를 사용할 수 있 는 기술/능력을 두번째로 강조한다. ACTFL에서도 이미 1996년에 여러 외국어 교육기관과 합의하여 발간한 외국어교 육 표준서에 21세기 기술들을 반영시켜서 2015년에는 “세계를 준비하는 외국어 교육 표준지침서 (World Readiness Standards for Language Learners)”라는 제목으로 수정본을발간하였다. 이 표준지침서에서는 외국어 능력이, 또는 한국어 능력이 학습자들의 평생의 경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 차세대 학생들도 이러한 미국내 외국어 학계에서의 일환으로서의 한국어 학습이 자신들의 평생의 경력을 쌓아나가는 데 있어서 고립된 한국어 사용 사회 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전체적인 외국어학습자들과 어깨를 나란히 해, 국가적으로, 더 나아가 세계적으로 한 몫을 한다 는 점에서 그 중요성을 더 인식하게 되리라고 생각된다.

References

AMERICA’S LANGUAGES Investing in Languag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https://www.amacad.org/ multimedia/pdfs/publications/researchpapersmonographs/language/Commission-on-Language-Le arning_Americas-Languages.pdf

Framework for 21st Century (2015), http://www.p21.org/storage/documents/docs/P21_Framework_Defini tions_New_Logo_2015.pdf

The national K-12 foreign language enrollment survey report (2017) https://www.americancouncils.org/sit es/default/files/FLE-report-June17.pdf,

The National Standards Collaborative Board. (2015). World-Readiness Standards for Learning Languages. 4th ed. Alexandria, VA: Author.

What the research shows (2015): http://www.actfl.org/advocacy/what-the-research-shows#sthash.F9deb90 k.dpuf

(20)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맥클린한국학교 / 워싱턴지역협의회 / 교장 이은애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 역사, 한국전통문화, 미술, 음악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이순신 글짓기 공모전에 참석을 권유하여 역사 공부를 하게 만들며 코리안벨가든 어린이 글짓기, 어린이 한복경 연대회, 코러스 등에 참여시킨다.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직접 참여를 하게 함으로써 연구, 조사를 하게되고 체험을 한다.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어려운 과제는 학생들이 싫어하지만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는 데 동기부여를 시킨다.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학교에서 수준별로 공부하는 교제에 나오는 역사와 문화를 공부함으로 자연히 수준별 기준이 된다. 일주일에 한번 하는 수업으로 교재에 나오는 예만 가지고도 충분한 것 같다. 지역별 이민역사 : 성인반에서는 가끔 이야기로써 하고 있다.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따로 없음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나이: 13세 ~ 14세, 명수: 3명 (전체 학생수의 3.7%)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수업에 보조선생님으로 일부 참여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수업에 보조 선생님으로 일부 참여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보조선생님으로 봉사하는 학생들에게 매 학기 한글 자음 획순대로 바로 쓰기, 교실에서 어린 아이들 보는데서 스

(21)

마트폰 하지않기 등 교사로서의 자세를 훈련한다.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4) 성인반 운영사례 한국말을 못하는 1.5세, 2세 학부모들에게 무료로 성인반 강의를 듣게 함으로서 한글을 배우러 오는 학생들의 어려움을 알게하고 서로 공부에 도움이 되게 한다.

(22)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밀워키 한국학교 / 중서부지역협의회 / 교장 소선주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 수업: 2시간 한국 역사: 15분 한국 문화: 45분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나이나 수준으로 크게 두 반으로 나누어 진행- 유아반 (3~6살), 초등이상반 (6살이상 어른까지) 유아반: 노래로 배우기, 동영상 보기, 보고 들은 내용 이야기 해보기, 그림으로 표현하기 초등이상반: 매달 역사적 인물을 하나 정하고 한글 수업 시작하기 전에 전체 모이는 자리에서 교장 주도로 이달 의 인물 소개 및 역사에 대한 설명, 몇 가지 퀴즈 등으로 역사 이야기를 나누고 각 반에서 그 반별로 수준에 맞게 질의 응답 시간을 갖고 있습니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사 문화: 명절과 국경일을 바탕으로 현지 국경일과 연관한 역사 문화수업 개인사 가족사와 관련된 수업 역사에 관계된 문화 행사 및 풍습 매주 5분 10분씩 진행 하기 쉬운 역사 교육의 예: 오늘은 몇일인가요? 무슨 날인가요? 생일인 사람 있나요? 로 시작해서 그 주 또는 그 달에 태어난 인물을 알아본 다. 이 달의 인물을 설명하고 인터넷에서 찾아온 동영상을 함께 보고 이야기 나눈다. 매주 같은 인물을 4주동안 이야기 할 수 있도록 동영상의 경우도 드라마처럼 부분부분을 보고 다음 주를 기대하게 한다. 기본적으로 4주를 반복하면 아이들에게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우리 역사나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다른 곳에서 배울 수 없는 신기한 이야기와 낯설은 이름이나 단어를 배울 기회를 갖고 있습니다. 내용을 이해하고 영어로 설명할 수 있도록 연습하여 다른 미국인에게 알려줄 수 있 음으로 한국과 미국을 연결하는 다리가 되게 합니다.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23)

한 번 가르쳐준 내용을 오래 기억하지 못하므로 반복이 필요한데 시간이 많이 부족하다. 한국 인물이나 단어들에 대한 획일적인 철자가 없어서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통일 된 로마자 표기가 있 어야 할 것 같습니다.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나이 및 한국어 학생의 연령 및 선행학습도를 기준으로 유아반에서 꼭 다루어야 할 주제와 초등반 이상의 나이에서 수준별로 배 워야할 주제들을 교과과정 설계할 때 마련해 두어야 할 것 같습니다.(현재 연구 중입니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사 문화: 세계사(특히 사는 지역의 역사, 예를 들어 미국의 역사, 위스콘신 주의 역사)와 연결 된 한국역사 또는 기독교인 경우 성경에 나오는 역사 내용과 한국사를 연결할 수 있는 역사 수업, 문화 수업 에서도 각 나라별, 종교별 연결된 명절을 비교하고 차이를 배우게 합니다. 한국문화 체험관: 현재 밀워키에는 문화체험관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한국학교에서 특활 시간들을 통해서 전통적인 예술 문화 분야에 대해 공부합니다. 지역별 이민역사: 역시 밀워키에 이민오신 1세대이후 선조들에 대한 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서 한인회나 한국학교 를 통해서 이민 오신 조부모를 가진 학생들을 파악하고 그 세대에 대한 연감 같은 것을 만들어 보고자 기획 은 하고 있습니다. 아직 현실화 되지 않았으나 한국어를 잘하지 못하는 학생들이라도 조상에 대한 설문 조사 를 시작하여 영어와 한글로 만들어 내고 싶습니다.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8학년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고등학생인 경우 주로 자원봉사로 일합니다.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보조교사 (한국어 반, 특별활동, 교무실) 고등학생들 중에서 honor’s club에 있는 학생들이 자주 자원봉사를 하고자 신청이 들어오고 있으며 한국학교 에서 공부했던 아이들이 선배가 되어 어린 학생들을 도와 주러 오는 것도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합니다. 간혹 형 제가 여럿인 경우 동생이 학교에 와야 하는데 형이나 누나가 운전까지 해서 데리고 다니는 경우를 보면 보람이 있습니다.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아직 특별한 교육프로그램은 없습니다.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역사 토론 수업이나 세미나 형태의 차세대(고등학생 대학생)를 대상으로한 수업이 있었으면 합니다.

(24)

4) 성인반 운영사례 입양아인 경우 한국어 한국 문화를 배우러 오는 사람도 있고 입양아 부모님들이 한국에 대해 먼저 배우고자 해 서 수업을 만든 적이 있습니다. 주로 영어를 쓰면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데 쉽게 익숙해 지지 않고 질문은 엄 청 많이 나옵니다. 성인반을 위한 일정 교과 과정도 만들어 두어야 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례로는 한국에서 태어나 조기 유학생으로 중, 고등과정을 미국에서 공부하는 학생이 대학에 가기 전에 한 국사를 알고 싶다고 가르쳐달라고 요구가 들어와서 역사 수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 학생들은 이미 미국의 역사, 유럽사, 아시아 역사 등을 배운 상태였기 때문에 그 배경에 맞추어 한국의 역사와 기록들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토론도 하였습니다. 선생님으로서 공부할 것이 무척 많았습니다.

6. 사용하고 있는 서식집의 예

1)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식집. 학교 등록원서, 특활 수업 신청서, 설문조사서등 최근 학교에서 직접 만들어 사용한 부분을 첨부하겠습니다.

(25)
(26)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벨뷰 통합 한국학교 / 서북미지역협의회 / 교장 이세라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수업(역사, 문화수업 포함), 특활반수업(태권도, 한국무용, 바둑)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졸업후 학생들의 한국학교 참여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졸업식과 졸업장 수여를 몇 년전에 계획했으나 성공적으로 유지하지 못했다. 현재 8학년에서 10학년까지 다니 다, 그만두는 경우가 많다. 전체학생수 420명에서 5%정도가 졸업생이라 볼 수 있다. 우리 학교 특성상, 유아 유 치반과 초등학교 저학년 반의 기초와 중급반의 조교 수요도가 높다. 중고등부 중고급반에 다닌던 학생들이 9학 년이나 10학년이 되면서 학교 보조 교사로 봉사하는 경우가 많다.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앞으로 졸업생 관리를 어떻게 해야할 지가 우리의 연구과제이다.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우리 학교 특성상, 유아 유치반과 초등학교 저학년 반, 기초와 중급반의 조교 수요도가 높다. 중고등부 중고급반 에 다닌던 학생들이 9학년이나 10학년이 되면서 학교 보조 교사로 봉사하는 경우가 많다. 교사의 지시를 알아듣고, 기본적인 한글과 단어를 하는 졸업생도 기초반에서 봉사할 수 있다.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우리 학교는 매 수업 전 미팅을 통해, 옷차림 부터, 어떻게 담임 교사를 도와야 하는지 기본 지침을 나눈다. 매 수업 후 ‘조교 자기 평가서’를 작성한다. 두세 질문에 답한다. 질문은 예를들어, 오늘 봉사하면서 힘든 점, 새롭게 배운 점, 다음 수업에 더 잘 도와주고 싶은 학생과 이유, 어떻게 도와줄 건지 마음가짐이나 구체적인 방법, 등등.

(27)

조교들도 고등학생, 학생들이기 때문에, 교내 학생들을 위한 인성교육을 매주 미팅 때마다 한다. 그리고 조교들 사이, 협력과 팀원으로 관심과 보살핌을 주도록 격려한다. 대통령 봉사상과 협의회 봉사상을 일년에 한 번 수여함으로 동기 부여를 한다. 타지에서 전학을 온 고등학생들이 한국학교에서 조교로 봉사하면서, 자연스레 미국 학교 생활에 적응한 사례도 종종 보았다.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교민 1.5, 2세들에게, 가정에서 영어와 한국어 권으로 소통언어가 달라 멘토역할을 받지 못하는 조교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우리 학교는 이제 한국어를 많이 접해보지 못한 한인3세 초등학생이 많다. 이들에게도 정체성 확립 과 멘토를 해 줄 수 있는 건강하고 영향력있는 리더 선배들이 계속해서 양성되면 좋겠고, 멘토역할을 할 수있는 선배들과의 만남을 협의회차원에서 주선하면 좋겠다. 각 한국학교 차원에서 벗어나 투명하고 차세대를 위한 건강한 한인 공동체를 지역협의회 부터 만들어가면 좋겠 다. 회비와 재동이나 영사관에서 보조되는 지원금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협의회 회계 감사가 있어야 하고, 여러 학교가 함께 프로그램과 행사를 도울 수 있도록 열린 운영이 되었으면 한다. 4) 성인반 운영사례 – 없음

6. 사용하고 있는 서식집의 예

1)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식들 지도안, 출석부, 교사지침서, 조교 자기평가서, 학교 규칙, 조교 규칙, 학부모 규칙, 교사 휴직 시 인수인계 확인서, 교사 미팅 보고서, 등 2) 학교에서 필요한 서식은? 학교 여러 사고 발생 시 프로토콜.

(28)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사랑의 한국학교 / 동남부지역협의회 / 교장 이명희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 역사문화, 미술,축구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각반 선생님이 매주 20분 정도 모든 학년이 공통교과 과정으로 교육합니다.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한국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교사들의 적극적인 의지 필요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한국을 찾아라 교재를 따름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사 문화-교사교육필요 한국문화 체험관-적극 활용하게 되길 바람 지역별 이민역사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영어로 가르쳐야하는 학생들 반에서 봉사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29)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영어를 기반으로 하는 티칭 프로그램 필요 4) 성인반 운영사례 한국드라마와 게임에 관심으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함.

6. 사용하고 있는 서식집의 예

1)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식들. 후원회, 등록원서, 교사지원서, 교사지침서, 성적표

(30)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샌프란시스코 한국학교 / 북가주지역협의회 / 교장 김소현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한국역사/한국문화/전통미술반/음악반/특별반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인물 중심의 역사 수업(관련 인물에 대한 강연회(안중근의사/안창호 선생) 인물 중심의 역사 수업 진행, 역사적 인물에 관련한 인사 초청 강연 및 질문 응답,관련 비디오 시청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좋은 영향-역사적 인물에 관련된(도산 안창호 선생의 손자 초청) 분을 초청 강연을 함으로써 살아 움직이는 역사 를 느낄 수 있다. 질문,답변을 통해서 학생들이 관심있어 하는 부분으로 직접 접근할 수 있다.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강연 후 역사적인 장소에 직접 탐방 수업을 해야 하나 시간적으로 여유가 없다.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지금 현재로는 초등 1학년부터 역사 수업 진행 문화 수업은 각반의 수준에 맞게 진행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졸업후 학생들의 한국학교 참여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자원 봉사자로 봉사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각반의 보조교사로 봉사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 특별 연수 프로그램 4) 성인반 운영사례 - 수준별 수업을 진행(두 그룹으로 진행)

6. 사용하고 있는 서식집의 예

(31)

1. 한국학교/소속협의회

성로렌스 한국학교/ 콜로라도지역협의회 / 교장 이승연

2. 한국 학교 수업의 구성

한국어 수업, 역사수업, 문화수업, 만들기 및 음악수업.

3. 역사 문화 수업에 관한 소개와 역사 문화 수업이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점과 수업

진행의 어려운점

1)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수업 또는 문화 수업 교육안 별첨(수업안) 2) 학생들에게 끼치는 좋은 영향 미국에 사는 한국인으로서 자신의 뿌리에 대한 인지를 높인다.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현재 유행하고 있는 한국의 Pop culture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한국에 대해 심도있는 이해를 하며, 더 나아가 다른 사람들이 잘못알고 있는 한국문화에 대한 편견을 바로 잡을 수 있다. 3) 수업 진행의 어려웠던 점과 해결 방법 학급내의 학생들의 수준별 차이 : 성로렌스 한국학교의 경우, 학생들의 반별 역사적 인지 및 수준별 차이가 현격 하여 한 학급 내에서의 수준별 차이를 고려하여 학습계획을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교재 선정: 체계적이고 적합한 교재의 부재로 인하여 학습 교재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음 역사수업에 대한 아이들의 흥미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었음 4) 역사 문화 수준별 교육 프로그램의 기준: 성로렌스 한국학교의 경우, 한국의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한국의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 을 유도하며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기본 방향으로 함. 역사적 사실에 읽기, 말하기, 만들기등 다양한 활동을 접목함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체험학습을 유도함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사 문화 한국 고유의 명절 (설, 추석) 고유의 명절의 풍습 (어른에게 절하기, 차례지내기, 성묘하기, 널뛰기, 제기차기등등) 한국 역사의 개괄적 시대적 흐름에 대한 이해 한국 위인들의 대한 이해

(32)

한국문화 체험관 전통놀이를 이용한 야외활동 (제기차기, 투호, 연날리기. 공기놀이, 고무줄놀이등) 김장 담그기, 한국 문화 발표회 (가을 학기) 시장놀이, 운동회 (봄학기) 지역별 이민역사 개괄적인 이민의 역사를 알아본 후, 자신들의 부모님이 미국에 이민 오신 계기와 다른 가족들이 타주에 있다면 언제, 왜 오시게 되었는지를 짚어봄 지역별로 한국 이민자들이 많이 있는 지역을 짚어보며 우리 부모님들의 상황과 비교해 봄 매일 5분 또는 10분 이루어지고 있는 역사 또는 문화 수업이 있다면 그 예 한국 역사의 연대기적 흐름을 뒤짚어 보며 오늘 우리가 알아보는 인물, 혹은 역사적 놀이들이 어느 시대 의 유산인 지를 상기시킨다. 예를 들어 한석봉에 대해서 읽기수업을 하는 동시에 한석봉이 어느 연대기 에 속한 인물인지 한국 역사의 전체적인 연대기 흐름을 다시 한번 짚어 본다.

4. 졸업생들의 관리 감독-졸업후 학생들의 한국학교 참여

1) 한국학교 졸업생의 나이, 명 수(전체 학생수의 몇%): 5% 고등학교 졸업자. 2) 졸업 후 한국학교와의 연계:

5. 차세대 양성 사례

1) 졸업생이 한국학교에서 봉사하는 예: 각반의 보조교사로 봉사 2) 차세대 양성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자체 내 교육이나 교내 외 프로그램의 예 3) 차세대 양성을 위해 지역협의회나 재미한국학교 협의회를 통해 이루어졌으면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 보조 교 사를 위한 세미나 및 지원 4) 성인반 운영사례

6. 사용하고 있는 서식집의 예

1) 학교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식들 34주 교육안, 일일 교육안, 한국학교 등록신청서, 조퇴 신청서 등

(33)

(별첨 수업안 첨부)

세종대왕반 숙제 (10/22/2016)

※ 다음의 글을 읽고 질문에 답하세요.

여러분, 신데렐라 이야기를 모두 아시지요? 저는 신데렐라와 한국의 콩쥐팥쥐 이야기를 서로 비교해봤습니다. 두 이야기 를 비교하면서 문화도, 생활 방식도 다르지만 정말 놀랄 만큼 줄거리와 주제가 비슷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두 이야기의 공통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주인공 신데렐라와 콩쥐는 모두 착한 사람입니다. 그리고 두 이야기에는 착 한 주인공을 괴롭히는 새어머니와 못된 언니가 모두 등장합니다. 마지막에는 착한 주인공들은 멋진 왕자를 만나서 결혼해 서 행복하게 살게 됩니다. 이 두 이야기에는 모두 착한 일은 한 사람은 복을 받고 나쁜 일을 한 사람은 벌을 받는다는 권선징학의 교훈이 담겨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이야기는 미국과 중국에서도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세계의 다양한 문화에서 비슷한 이야기들이 있다는 점 을 알게 되어서 놀라웠습니다. 민족이나 문화는 달라도 여러 나라 사람들이 비슷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니까 이 제 다른 나라의 문화가 그리 별로 낯설지 않게 느껴집니다. 1. 다음의 단어들의 뜻을 영어로 찾아보세요. 문화, 줄거리, 비슷하다, 괴롭히다, 못된, 벌, 교훈, 낯설다, 낯설지 않게 느껴지다, 생각, 공통점, 비교하다, 주제, 주인공, 새어머니, 복, 권선징악, 민족, 그리, 별로, 생활 방식 2. 이 글은 무엇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까? ① 두 이야기의 줄거리에 대해 ② 두 이야기의 공통점에 대해 ③ 두 이야기에 나온 배경에 대해 3. 위의 내용과 같은 것은 무엇입니까? ① 문화는 다르지만 생활 방식은 비슷한 점이 많다. ② 비슷한 이야기를 다른 나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③ 두 이야기 모두 마음씨 착한 새어머니와 언니가 나온다. 4. 두 이야기의 교훈은 무엇입니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위의 내용에 맞게 다음 그림의 말풍선을 채워보세요.

참조

관련 문서

What season, it in your country, What’s the weather like, what’s your

③ → He thinks that his parents still treat him like a child and want to know everything about him.. ④ → He wants to say to his parents

나는 이것이 고객구분보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양성 선택에 근거하기 때문에 이를 다양성 근거의 포지셔닝(vari ety based positioning)이라고 부른다... 예를

• Plastic behavior: At what point does permanent deformation occur?. What

Average of the indexed values of the following data: (1) Total value of the indexed score for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the number of years lost due to illness,

Figure 1.4 shows an example of one of the IDEFO diagrams that the research team developed and relates to the major functions involved in pre-project planning. Underlying

reason for for for for the the the necessity the necessity necessity of necessity of of of doing doing doing doing research research research on research

Being firmly based o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prediction, the KMA is also involved in a wide variety of matters, from research into earthquakes, volcan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