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Copied!
59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계임│김상효│허성윤│최재현│박인호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www.krei.re.kr

2

0

1

8

기초분석보고서

(2)
(3)
(4)

김상효︱부연구위원︱가구 내 식품 구입 및 소비행태, 식생활 허성윤︱전문연구원︱외식 소비행태 최재현︱연구원︱식품 정책 인식 박인호︱부경대학교︱표본 설계 및 가중치 산출 E16-2018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 기초분석보고서 등 록︱제6-0007호(1979. 5. 25.) 발 행︱2018. 12. 발행인︱김창길 발행처︱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321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인쇄처︱동양문화인쇄포럼 I S B N︱979-11-6149-288-9 93520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5)

경기 불확실성 증대,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등의 경제· 사회·인구여건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달 및 시장 개방의 영향으로 소비자의 식 품소비행태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정부 식품정책의 목표도 양적인 공급에서 고품질·안전 식품에 대한 안정적 공급으로 전환되고, 적정 영양 섭취를 통한 건강 식생활 보장까지 확대되고 있다. 식품소비 관련 통계는 지출액이나 개별 식품의 구입행태 등의 조사로 한정 되어 있어서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식품소비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사회적 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소비행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 고, 식품산업 발전과 식품의 원활한 수급 및 식품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는 대표성 있는 표본을 구축하여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분석이 필요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2013년부터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식품소비행태 통계를 구축하기 위해 ‘식품소비행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에서 전국적인 대표성을 확보하며, 조사 내용은 가구 내 식품소비행태 뿐만 아니라 외식 행태, 라이프스타일, 농식품 소 비자 역량과 식품의 표시‧안전성 등 식생활 전반에 관한 인식을 포함한다.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가 향후 정부의 식품 관련 정책 수립과 기업의 시 장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구에 참여해 주 신 외부 전문가 여러분과 설문에 응해주신 소비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18.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김 창 길

(6)
(7)

요 약

연구의 배경 식품소비행태의 변화에 대응하여 식품소비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조 사가 필요함. 식품소비 관련 정부승인통계는 지출액 조사 이외에는 매우 미흡 한 수준으로 식품소비행태 전반을 포괄하지 못함. 식품소비행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생산활동 및 정책개발 시 유용한 분석 기반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표성 있는 표본을 구축하여 주기적으로 식품소 비행태에 대해 조사·분석할 필요가 있음. 연구 방법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는 일부 표본을 통계청 집계구로부터 추가적으로 추출하고 기존의 표본조사구들을 활용하여 혼합 표본을 설계함. 조사 대상 분야는 식품구입 및 소비실태, 식생활(식품, 영양, 건강 관련)에 대 한 소비자 인식, 소비자 특성 평가, 외식소비행태, 식생활만족도 평가, 식생활 교육 및 홍보 현황, 라이프스타일,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 주요 정책이슈 등 임. 조사표는 가구 조사표와 가구원 조사표로 구성되며, 가구 조사표는 가구 내 식품의 주 구입자를 대상으로 가정식 식품소비 현황이나 가구 특성에 대해 조 사하는 내용으로 구성됨. 가구원 조사표는 조사 대상 가구의 13세 이상 75세 미만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며, 가정 외 식품소비 현황과 개별 식생활 인 식 관련 문항으로 구성됨. 청소년층의 경우 식품소비 경험이 제한적이라는 점 을 감안하여 성인용 설문과 별도로 작성함. 연구 결과 및 시사점 가구의 식품 구입 빈도는 주 2∼3회 41.4%, 주 1회 44.2%로 주 1∼3회가 대 다수(85.6%)이며, 주요 식품 구입 장소는 대형 할인점(33.2%), 동네 중소형 슈 퍼마켓(30.5%), 대기업 운영 중소형 슈퍼마켓(17.7%)순으로 이용 비중이 높음.

(8)

인터넷으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36.8%)의 가격 및 품질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각각 3.7점, 3.8점이며, 친환경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55.1%)의 가격 및 품질 만족도는 각각 3.5점, 3.7점임. 가구의 74.9%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 며, 비타민 및 무기질(58.7%)과 인삼류(44.7%)를 섭취하는 가구가 많음. 가구에서는 쌀을 2∼3개월에 1회(59.1%) 조달하는 비중이 가장 높음. 채소 류는 주 1회(44.5%) 조달하는 가구가 가장 많고, 소포장에 비해 벌크 형태 구 입 비중(51.9%)이 높음. 과일류는 주 1회 구입이 51.9%에 달하고, 성인 가구원 은 사과와 수박을 선호하였으며, 20대 이하는 딸기와 사과를 다른 과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가구 내 식품 주 구입자가 채소류와 과일류 구입 시 우선 확인하는 정보는 신선도와 원산지 및 가격이며, 채소류의 경우 원산지를 고려하는 비중이 15.0%에 달함. 가구에서 축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하는 정보는 신선도(31.7%), 원산지(17.6%)의 순서임. 가구의 26.8%는 미 국산 수입 쇠고기를 소비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호주산 수입 쇠고기 에 대해서는 ‘먹겠다(47.3%)’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수입 돼지고기는 가구의 38.4%가 ‘먹지 않겠다’고 응답함. 가구에서는 김치를 주로 ‘가족·친척(47.5%)’으로부터 조달받으며, 상당수는 ‘직접 만들어(42.0%)’ 조달 하는 것으로 나타남. 가구에서 평가하는 식생활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3.5점이며, 개 인 식생활 만족도는 청소년 3.7점, 성인 3.5점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성인은 식재료가 국산 농산물인지 여부(3.5점)에 관심이 있으며, 지역 농산물(3.3점)· 친환경 식품(3.3점)인지 여부에 대한 관심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됨. 청소년은 식재료의 국산 농산물(3.3점)·지역 농산물(3.1점)·친환경 식품(3.0점) 여부에 대 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성인에 비해 낮음. 가구 단위 외식은 2주일에 1회(30.5%)가 가장 많고, 외식 선택 시 음식의 맛 (40.8%)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함. 가구의 74.8%가 가정 내 식사에 배달·테이크 아웃을 이용하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이용 비중이 높은 편임. 가구 단위 배 달·테이크아웃의 주요 메뉴는 치킨 등 닭요리(40.6%)로 나타났으며, 배달·테이 크아웃을 이용하지 않는 주요 이유는 값비싼 가격(26.9%), 맛이 없음(18.3%),

(9)

화학 조미료 사용(14.1%)순으로 조사됨. 식품 관련 소비 정책 중 성인은 ‘식품 안전 보장’을 34.0%로 가장 중시함.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관심이 있는 성인과 청소년은 10명 중 각각 5명, 3명 정 도이며, 성인의 64.2%는 안전한 식품을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 다고 응답함. 국내산 식품 품목별 안전성 인식은 평균 5점 만점에 성인과 청소 년 모두 3.5∼4.1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으며, 수입산 식품 품목별 안전성 인식은 평균 5점 만점에 2.1∼3.5점 수준으로 국내산보다 상대적으로 낮음. 성인의 식품 안전관리 주체별 중요도 평가 결과는 생산자가 가장 중요하 고, 그 다음으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유통 및 판매업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함. 성인의 경우 식품 표시사항과 관련하여 청과물과 육류 구입 시 가격 및 원산지를 가장 많이 확인하고, 가공식품 구매 시는 유통기한 및 가격을 우 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식품 표시제도의 인지도는 원산지 표시제도 (96.4%)와 유기농 인증제도(91.0%)가 가장 높음. 성인 가구원이 응답한 음식에 관한 기초 지식을 교육하기에 적절한 시기로는 초등학교 저학년(39.0%), 초등 학교 고학년(21.6%), 중학생(18.4%), 유아기(14.6%)순으로 조사됨. 식품소비행태조사는 향후 정부의 식품 관련 정책 수립과 기업의 시장 분석 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조사 결과의 신뢰성과 활용도 제고 를 위해 통계 수요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사추진체계를 개선하고, 철저한 사 후관리 및 조사통계 공개 등을 추진할 계획임.

(10)

ABSTRACT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18

Research Background

As a response to the changing food consumption behaviors, it is necessary to conduct multi-faceted surveys on a continuous basis to identify food consumption trends. However, statistics the government have approved in food consumption focus only on the survey regarding food spending, while the surveys on the other areas remain very insufficient. There has not been any survey performed to show the overall aspect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s. To understand food consumption behaviors in detail and to use them as a useful analytical basis for production activities and policy development, a representative sampling is necessary. With the samples, surveys should be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for research and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behaviors.

Research Method

For the 2018 survey, we designed a new combined sample using both existing and newly extracted samples from census output areas of Statistics Korea.

This survey includes the key areas as follows: consumers’ perception on their food consumption patterns (e. g. food choices, nutrition, health, etc.) on food purchase and on consumption behaviors; food consumer characteristics; eating-out patterns; consumers’ self-evaluation on their food consumption patterns; the current status of food consumption education and promotion; lifestyle, agri-food consumer empowerment index, and key policy issu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wo-step survey. First, the household-level survey was designed to ask the primary food purchaser of a household regarding food consumpti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Secondly, the household member-level survey was designed to ask any household members (13∼74 years of age) with regards to their food consumption status outside

(11)

of home and individual perceptions on food consumption. Adolescent respondents were provided a different set of questionnaire in consideration of their limited experiences in food consumption.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survey found that 41.4% of the households surveyed buy food twice to three times per week and 44.2% of them buy food once a week. This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the households surveyed or 85.6% purchase food once to three times per week. For the question about the preferred place for grocery shopping, 33.2% said they buy food at large-scale retail stores, followed by 30.5% who buy food at medium or small-sized local grocery stores or supermarkets. 17.7% of the family visit medium or small-sized grocery stores run by major companies. 36.8% of the households surveyed buy their food on the online grocery shop and they gave 3.7 points and 3.8 points on a five-point scale as a score respectively for price level and quality satisfaction. Environment-friendly food buyers who account for 55.1% of the respondents gave 3.5 points for price level and 3.7 points for quality satisfaction. 74.9% of the surveyed households are found to consume functional foods, and in particular specific food supplements such as vitamin (58.7%) and red ginseng/ginseng (44.7%) are consumed at a high percentage. For the purchase frequency of rice, the households who buy rice every two to three months account for 59.1%. For the purchase frequency of vegetables, 44.5% of the households surveyed replied once a week and they prefer bulk buying to the small-package purchase (51.9%). For the purchase frequency of fruits, 51.9% said once a week. Adult household members are found to prefer apples and watermelons, while the household members aged 20 or below relatively prefer strawberries and apples to other fruits. The critical consumer considerations for vegetable and fruit purchase include freshness, country of origin and price. When it comes to vegetables, country of origin comes first (15.0%). The key consumer considerations for meat purchase are freshness (31.7%) and country of origin (17.6%). 26.8% of the households surveyed had no intention to purchase imported beef from the United States, but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47.3%) expressed ‘intention to eat’ imported beef from Australia. 38.4% of the households surveyed answered ‘no intention to eat’ imported pork.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households are getting kimchi for their own consumption from ‘family members/relatives

(12)

(47.5%)’ and many households make kimchi on their own (42.0%).

Homemakers surveyed gave 3.5 points for their satisfaction level on a five-point scale with the current food consumption patterns. At the individual level, adults’ satisfaction score for their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adolescents’ are 3.5 points and 3.7 points respectively. Adults are interested in whether food ingredients are domestically produced (3.5 points), and the levels of interest in local produce (3.3 point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3.3 points) produce are similar. By contrast, adolescents showed relatively lower levels of interest in the characteristics of food ingredients, such as domestic production (3.3 points), local production (3.1 points) or green production (3.0 points).

Those who said the family eats out once per two weeks account for 30.5%, and food's taste (40.8%) is as the most crucial factor to choose restaurants. About 74.8% of the households surveyed use food-delivery or take-out services for family dining. When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higher, families tend to use more of food delivery or take-out services. The first choices of delivery/take-out food are chicken dishes (40.6%) including fried chicken. Those who don’t use food delivery/take-out services cited high prices (26.9%), bad taste (18.3%), and over-use of chemical seasoning (14.1%) as the reasons for avoiding food-delivery/take-out services.

The questions concerning food-related consumption policy show that adults (34.0%) chose ‘ensuring foo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policy. Around three adolescents out of ten and five adults out of ten were interested in food safety issues, and 64.2% of the adult respondents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y higher prices for more safe food. On the scale of 1 to 5 where 5 is the highest score for the safety perception, adult and adolescent respondents gave above 3.5 points on domestic food, which are relatively high scores. In respect of individual imported items, the safety perception score is around 2.8 point. which show lower than domestic counterparts. For the question regarding who should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food safety management, the food producers top the list, follow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government, food distributors and food retailers. Concerning food labeling, adult consumers are likely to check prices and countries of origin most on the purchase of vegetables and meat, whereas they check the expiration date and prices as a priority consideration on the purchase of processed foods. Concerning the awareness of food labeling programs, country of origin labeling system (96.4%) and organic farming

(13)

certification system (91.0%) are the most well known. 39.0% of the adult respondents chose low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best time for basic food education, followed by higher grades of the elementary school (21.6%), middle school (18.4%) and early childhood (14.6%).

The survey on food consumption behavior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research for the government when it establishes food policies and for companies when they conduct market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the credibility and utilization of the survey outcomes, feedback from the survey users needs to be collected and be used to revise the survey design. In addition, follow-up management will be done, and statistics in the survey will be open for the public.

Researchers: Lee Kyei-im, Kim Sang-hyo, Heo Seong-yoon, Choi Jae-hyun, Park In-ho

Research period: 2018. 1. ∼ 2018. 12. E-mail address: lkilki@krei.re.kr

(14)
(15)

차 례

제1장 서 론 1. 조사 배경과 목적 ···1 2. 조사 개요 ···3 3. 조사의 특징 및 기대효과 ···9 제2장 조사 설계 1. 표본 설계 ···11 2. 조사 결과 요약 ···15 3. 표본 가중치 ···16 4. 추정 ···23 제3장 조사 내용과 방법 1. 조사 구성 및 조사 문항 ···33 2. 실사 준비 및 진행 ···34 3. 자료 입력, 검증 및 데이터 처리 ···44 4. 가구 및 가구원 특성 ···48 제4장 가구 내 식품 구입 및 소비행태조사 결과 1. 전반적인 식품 구입과 소비행태 ···55 2. 곡물 구입과 소비행태 ···88 3. 채소·과일·견과류 구입과 소비행태 ···104 4. 축산물 구입과 소비행태 ···133 5. 수산물 구입과 소비행태 ···181 6. 가공식품 구입과 소비행태 ···188

(16)

제5장 외식 소비행태 분석 1. 가구 외식 행태 ···233 2. 성인 외식 행태 ···270 3. 청소년 외식 행태 ···304 제6장 식생활 행태 1. 식사 현황 및 전망 ···329 2. 식생활 만족도 ···361 3. 식재료 관심도 및 지불 의향 ···368 4. 식품류별 건강 영향 인식 ···373 5.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현황 ···375 제7장 식품소비 정책 1. 식품소비 정책에 대한 인식과 평가 ···391 2. 식품 안전성 ···404 3. 식품 표시 사항 ···419 4. 식품 관련 교육·홍보·정보 ···435 5. 식품 피해구제 ···445 6. 농식품 소비자 역량 ···453 제8장 요 약 ··· 471 부 록 조사표 1. 가구 내 식품 주 구입자용 설문 ···479 2. 가구 구성원(성인)용 설문 ···514 3. 가구 구성원(청소년)용 설문 ···538 참고문헌 ··· 557

(17)

표 차례

제1장 <표 1-1> 2017년 대비 2018년에 변경된 조사표 내용-주 구입자용 ···6 <표 1-2> 2017년 대비 2018년에 변경된 조사표 내용-성인용 ···7 <표 1-3> 2017년 대비 2018년에 변경된 보기 문항-청소년용 ···8 제2장 <표 2-1> 2017년 조사 집락당 표본응답가구 분포(집락수) ···13 <표 2-2> 2018년 조사 집락당 기대표본응답가구규모 분포(집락수) ···13 <표 2-3> 표본 종류별 응답 구분 ···15 <표 2-4> 표본 A 권역별 주 구입자 최종 가중치 분포 ···17 <표 2-5> 표본 A 권역별 성인 최종 가중치 분포 ···18 <표 2-6> 표본 A 권역별 청소년 최종 가중치 분포 ···18 <표 2-7> 표본 B 권역별 주 구입자 최종 가중치 분포 ···18 <표 2-8> 표본 B 권역별 성인 최종 가중치 분포 ···19 <표 2-9> 표본 B 권역별 청소년 최종 가중치 분포 ···19 <표 2-10> 주 구입자 혼합 가중치 산출에 고려된 비율특성 ···20 <표 2-11> 혼합표본 권역별 주 구입자 혼합 가중치 분포 ···20 <표 2-12> 성인·청소년 가구원 혼합가중치 산출에 고려된 비율특성 ··· 21 <표 2-13> 혼합표본 지역별 성인 혼합 가중치 분표 ···21 <표 2-14> 혼합표본 권역별 청소년 혼합 가중치 분포 ···22 제3장 <표 3-1> 지역별 면접원 교육 일시 및 장소 ···36 <표 3-2> 면접원 교육 진행방식 및 내용 ···36

(18)

<표 3-3> 식품소비행태조사 진행률 ···43 <표 3-4> 조사 방법별 가구원 참여 현황 ···44 <표 3-5> 가구의 지역별 분포 ···48 <표 3-6> 가구의 규모별 분포 ···48 <표 3-7> 가구의 소득별 분포 ···49 <표 3-8> 가구의 주거유형별 분포 ···49 <표 3-9> 가구의 맞벌이 여부별 분포 ···49 <표 3-10> 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0 <표 3-11> 성인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 ···51 <표 3-12> 성인 가구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2 <표 3-13> 청소년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 ···53 <표 3-14> 청소년 가구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3 제4장 <표 4-1> 가구 유형별 식료품 구입 주기 비교 ···57 <표 4-2> 가구 유형별 식료품 구입 장소 비교 ···59 <표 4-3> 가구 유형별 식품 구입 장소 선택 이유 비교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 ···61 <표 4-4> 가구 유형별 식품 구입 장소 선택 이유 비교(대형 할인점) ··· 62 <표 4-5>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식품소비 지출액 변화 비교 ··· 64 <표 4-6>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식품소비 지출액 증가 이유 비교 ··· 66 <표 4-7>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체감 장바구니 물가 수준 평가 비교 ··· 67 <표 4-8> 가구 유형별 올해 대비 내년도 식품소비 지출액 전망 비교 ··· 69 <표 4-9> 가구 유형별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기 비교 ···71 <표 4-10>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기 변화 비교··· 73 <표 4-11> 가구 유형별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장소 비교 ···74 <표 4-12> 가구 유형별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요 이유 비교 ···76

(19)

<표 4-13> 가구 유형별 친환경 식품 구입 주기 비교 ···78 <표 4-14>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친환경 식품 구입 빈도 변화 비교 ··· 80 <표 4-15> 가구 유형별 친환경 식품 구입 장소 비교 ···82 <표 4-16> 가구 유형별 기능성 식품의 소비 여부 비교 ···84 <표 4-17> 가구 유형별 기능성 식품의 소비 현황 비교 ···86 <표 4-18> 가구 유형별 쌀(백미, 현미) 조달 주기 비교 ···89 <표 4-19> 가구 유형별 쌀(백미, 현미)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 91 <표 4-20> 가구 유형별 백미 구입 포장 단위 비교 ···93 <표 4-21> 가구 유형별 쌀 구입 가격(20kg 기준) 비교 ···95 <표 4-22> 가구 유형별 특정 쌀 구입(가끔 또는 자주) 비중 비교 ···98 <표 4-23> 가구 유형별 자주 먹는 밥 종류 비교 ···101 <표 4-24> 가구 유형별 가장 많이 구입하는 잡곡 비교 ···103 <표 4-25> 가구 유형별 채소류 조달 주기 비교 ···105 <표 4-26> 가구 유형별 채소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108 <표 4-27> 가구 유형별 과일류 조달 주기 비교 ···110 <표 4-28> 가구 유형별 과일류 조달 방법 비교 ···112 <표 4-29> 가구 유형별 과일류 구입 형태 비교 ···113 <표 4-30> 가구 유형별 과일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115 <표 4-31> 가구 유형별 과일 소비 개수 비교 ···117 <표 4-32> 성인 특성별 선호 과일 종류 비교 ···119 <표 4-33> 청소년 특성별 선호 과일 종류 비교 ···120 <표 4-34> 가구 유형별 견과류 조달 주기 비교 ···123 <표 4-35> 가구 유형별 견과류 구입 형태 비교 ···125 <표 4-36> 가구 유형별 견과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126 <표 4-37> 가구 유형별 세척·절단 제품 구입 빈도 비교 ···129 <표 4-38> 가구 유형별 양채류 구입 빈도 비교 ···130 <표 4-39> 가구 유형별 신품종·외래품종 과일 구입 빈도 비교 ···131 <표 4-40> 가구 유형별 친환경 인증 제품 구입 빈도 비교 ···132

(20)

<표 4-41> 가구 유형별 GAP 인증 제품 구입 빈도 비교 ···132 <표 4-42> 가구 유형별 축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134 <표 4-43> 가구 유형별 다소비 육류 비교 ···136 <표 4-44> 가구 유형별 쇠고기 조달 주기 비교 ···139 <표 4-45> 가구 유형별 쇠고기 구입 형태(냉장/냉동) 비교 ···140 <표 4-46> 가구 유형별 쇠고기 구입 형태(포장/비포장) 비교 ···141 <표 4-47>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부위(구이용) 비교 ···144 <표 4-48>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부위(국거리용) 비교 ··· 145 <표 4-49>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원산지(구이용) 비교 ··· 147 <표 4-50>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원산지(국거리용) 비교 ···147 <표 4-51>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등급(구이용) 비교 ···149 <표 4-52> 가구 유형별 쇠고기 주 구입 등급(국거리용) 비교 ··· 150 <표 4-53> 가구 유형별 미국산 수입 쇠고기 소비 의향 비교 ···152 <표 4-54> 가구 유형별 호주산 수입 쇠고기 소비 의향 비교 ···154 <표 4-55>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조달 주기 비교 ···156 <표 4-56>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구입 형태(냉장/냉동) 비교 ···157 <표 4-57>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구입 형태(포장/비포장) 비교 ··· 158 <표 4-58>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주 구입 단위(구이용) 비교 ··· 161 <표 4-59>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주 구입 단위(찌개/반찬용) 비교 ···161 <표 4-60>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주 구입 부위(구이용) 비교 ··· 162 <표 4-61> 가구 유형별 돼지고기 주 구입 부위(찌개/반찬용) 비교 ···163 <표 4-62> 가구 유형별 수입 돼지고기 소비 의향 비교 ···166 <표 4-63> 가구 유형별 닭고기 조달 주기 비교 ···168 <표 4-64> 가구 유형별 닭고기 구입 형태(냉장/냉동) 비교 ···169 <표 4-65> 가구 유형별 닭고기 구입 형태(포장/비포장) 비교 ···171 <표 4-66> 가구 유형별 주 구입 닭고기 부위 비교 ···172 <표 4-67> 가구 유형별 수입 닭고기 소비 의향 비교 ···174 <표 4-68> 가구 유형별 계란 구입 단위 비교 ···179

(21)

<표 4-69> 가구 유형별 우유 구입 단위 비교 ···180 <표 4-70> 가구 유형별 수산물 구입 형태 비교 ···183 <표 4-71> 가구 유형별 수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비교 ···185 <표 4-72> 가구 유형별 수산물과 육류 소비 비중 비교 ···187 <표 4-73> 가구 유형별 김치 조달 방법 비교 ···189 <표 4-74> 가구 유형별 김치 구입 이유 비교 ···190 <표 4-75> 가구 유형별 김치 구입 단위 비교 ···192 <표 4-76> 가구 유형별 고추장 조달 방법 비교 ···194 <표 4-77> 가구 유형별 된장 조달 방법 비교 ···196 <표 4-78> 가구 유형별 국간장 조달 방법 비교 ···198 <표 4-79> 가구 유형별 고추장 조달 주기 비교 ···201 <표 4-80> 가구 유형별 된장 조달 주기 비교 ···202 <표 4-81> 가구 유형별 국간장 조달 주기 비교 ···203 <표 4-82> 가구 유형별 고추장 구입 이유 비교 ···206 <표 4-83> 가구 유형별 된장 구입 이유 비교 ···207 <표 4-84> 가구 유형별 국간장 구입 이유 비교 ···207 <표 4-85> 가구 유형별 고추장 구입 단위 비교 ···209 <표 4-86> 가구 유형별 된장 구입 단위 비교 ···210 <표 4-87> 가구 유형별 국간장 구입 단위 비교 ···211 <표 4-88> 가구 유형별 다소비 음료 비교 ···213 <표 4-89> 성인 특성별 음주 빈도 비교 ···216 <표 4-90> 성인 특성별 선호하는 술의 종류 비교 ···218 <표 4-91> 가구 유형별 음식 조리 시 사용 유지류 비교 ···220 <표 4-92> 가구 유형별 음식 조리 시 사용 설탕류 비교 ···222 <표 4-93> 가구 유형별 음식 조리 시 사용 소금류 비교 ···224 <표 4-94> 가구 유형별 음식 조리 시 사용 물 비교 ···226 <표 4-95> 가구 유형별 식음 이용 시 사용 물 비교 ···227 <표 4-96> 가구 유형별 간편식(HMR) 구입 주기 비교 ···230

(22)

<표 4-98> 가구 유형별 간편식(HMR) 구입 이유 비교 ···231 제5장 <표 5-1> 가구 유형별 가구 구성원과 외식 여부 비교 ···235 <표 5-2> 가구 유형별 가구 구성원과 외식하는 이유 비교 ···237 <표 5-3> 가구 유형별 가구원과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비교 ··· 239 <표 5-4> 가구 유형별 주로 이용하는 외식 장소 비교 ···241 <표 5-5> 가구 유형별 외식 선택 시 고려 기준 비교 ···243 <표 5-6> 가구 유형별 외식 빈도 비교 ···245 <표 5-7> 가구 유형별 외식하는 가구 구성원 수 비교 ···247 <표 5-8> 가구 유형별 한 달 평균 외식 비용 비교 ···249 <표 5-9> 가구 유형별 1회 평균 외식 비용 비교 ···251 <표 5-10>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여부 비교 ···254 <표 5-11>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비교··· 256 <표 5-12> 가구 유형별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비교 ··· 258 <표 5-13>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비교 ··· 260 <표 5-14>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비교 ···262 <표 5-15>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을 함께 이용하는 가구원 수 비교 ··· 263 <표 5-16> 가구 유형별 한 달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비교 ··· 265 <표 5-17> 가구 유형별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비교 ···267 <표 5-18> 전년 대비 가구 유형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변화 비교 ··· 269 <표 5-19> 성인 특성별 외식 여부 비교 ···271 <표 5-20> 성인 특성별 외식하는 이유 비교 ···273 <표 5-21> 성인 특성별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비교 ··· 275 <표 5-22> 성인 특성별 주요 외식 장소 비교 ···277 <표 5-23> 성인 특성별 외식 시 고려 기준 비교 ···279 <표 5-24> 성인 특성별 외식 빈도 비교 ···281 <표 5-25> 성인 특성별 한 달 평균 외식 비용 비교 ···283

(23)

<표 5-26> 성인 특성별 1회 평균 외식 비용 비교 ···285 <표 5-27>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여부 비교 ···288 <표 5-28>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이유 비교 ··· 290 <표 5-29>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비교··· 292 <표 5-30> 성인 특성별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비교 ··· 294 <표 5-31>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비교 ··· 296 <표 5-32> 성인 특성별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비교 ···298 <표 5-33>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비교 ···300 <표 5-34> 성인 특성별 전년 대비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이용 빈도 변화 ··· 301 <표 5-35> 성인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주문 시 가장 빈번한 주문 방법 ··· 303 <표 5-36> 청소년 특성별 외식 여부 비교 ···304 <표 5-37> 청소년 특성별 외식하는 이유 비교 ···306 <표 5-38> 청소년 특성별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비교 ··· 307 <표 5-39> 청소년 특성별 주로 이용하는 외식 장소 유형 비교 ··· 309 <표 5-40> 청소년 특성별 주요 외식 장소 비교 ···310 <표 5-41> 청소년 특성별 외식 선택 시 고려 기준 비교 ···312 <표 5-42> 청소년 특성별 외식 빈도 비교 ···313 <표 5-43> 청소년 특성별 1회 평균 외식 비용 비교 ···315 <표 5-44> 청소년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여부 비교 ···317 <표 5-45> 청소년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이유 비교 ···318 <표 5-46> 청소년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비교 ···319 <표 5-47> 청소년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비교 ··· 321 <표 5-48> 청소년 특성별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비교 ··· 322 <표 5-49> 청소년 특성별 배달 음식 이용 빈도 비교 ···324 <표 5-50> 청소년 특성별 테이크아웃 음식 이용 빈도 비교 ···324 <표 5-51> 청소년 특성별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비교 ··· 325 <표 5-52> 청소년 특성별 배달・테이크아웃 주문 시 가장 빈번한 주문 방법··· 327

(24)

제6장 <표 6-1> 가구 유형별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비교 ··· 330 <표 6-2> 가구 유형별 가구원과 함께 식사하는 횟수 비교 ···332 <표 6-3> 가구 유형별 내년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전망 비교 ··· 333 <표 6-4> 성인 특성별 일주일 아침식사 현황 비교 ···336 <표 6-5> 청소년 특성별 일주일 아침식사 현황 비교 ···337 <표 6-6> 성인 특성별 일주일 점심식사 현황 비교 ···338 <표 6-7> 청소년 특성별 일주일 점심식사 현황 비교 ···339 <표 6-8> 성인 특성별 일주일 저녁식사 현황 비교 ···340 <표 6-9> 청소년 특성별 일주일 저녁식사 현황 비교 ···341 <표 6-10> 성인 특성별 식사를 거르는 이유 비교 ···342 <표 6-11> 청소년 특성별 식사를 거르는 이유 비교 ···343 <표 6-12> 성인 특성별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비교 ···345 <표 6-13> 청소년 특성별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비교 ··· 346 <표 6-14> 성인 특성별 내년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전망 비교 ··· 347 <표 6-15> 성인 특성별 주로 먹는 아침식사 종류 비교 ···349 <표 6-16> 청소년 특성별 주로 먹는 아침식사 종류 비교 ···350 <표 6-17> 성인 특성별 식사시간 규칙성 여부 비교 ···352 <표 6-18> 청소년 특성별 식사시간 규칙성 여부 비교 ···352 <표 6-19> 성인 특성별 식사시간 불규칙적인 이유 비교 ···354 <표 6-20> 청소년 특성별 식사시간 불규칙적인 이유 비교 ···355 <표 6-21> 청소년 특성별/장소별 간식 비중 비교(하루 1회 이상) ··· 357 <표 6-22> 청소년의 장소별 간식 횟수 ···358 <표 6-23> 청소년 특성별 학교 간식 메뉴 비교 ···359 <표 6-24> 청소년 특성별 길거리·음식점 간식 메뉴 비교 ···360 <표 6-25> 청소년 특성별 가구 내 간식 메뉴 비교 ···360 <표 6-26> 가구 유형별 식생활 만족도 비교 ···362

(25)

<표 6-27> 성인 특성별 개인의 식생활 만족도 비교 ···363 <표 6-28> 청소년 특성별 개인의 식생활 만족도 비교 ···364 <표 6-29> 가구 유형별 학교급식 만족도 비교 ···365 <표 6-30> 청소년 특성별 학교급식 만족도 비교 ···366 <표 6-31> 청소년 특성별 학교급식 품질 만족도 비교 ···367 <표 6-32> 성인 특성별 식재료 유형별 관심도 비교 ···369 <표 6-33> 성인 특성별 국산 농식품 지불 의향 비교 ···371 <표 6-34> 성인 특성별 유기농 수입 식품 유형별 지불 의향 비교 ···372 <표 6-35> 성인의 식품류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식 ···373 <표 6-36> 청소년의 식품류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식 ···374 <표 6-37>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양에 대한 의견 ···376 <표 6-38> 전년 대비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양의 변화 ···378 <표 6-39> 가구 유형별 거주지역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방식 ··· 380 <표 6-40>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유형 ···382 <표 6-41>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노력 여부 ···384 <표 6-42>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노력 방법 ···386 <표 6-43> 가구 유형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대한 중요성 인식 ···389 제7장 <표 7-1> 성인 특성별 식품소비 정책의 분야별 중요도 비교 ··· 392 <표 7-2> 성인 특성별 정부 차원 중점 추진 식품소비 정책 인식 비교 ····394 <표 7-3> 성인 특성별 국민 건강 추구를 위한 정부 중점 추진 정책 인식 비교 ···396 <표 7-4> 청소년 특성별 국민 건강 추구를 위한 정부 중점 추진 정책 인식 비교 ···397 <표 7-5> 성인 특성별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만족도 비교 ···399 <표 7-6> 성인의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별 만족도 ···399 <표 7-7>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변수의 기술통계량··· 401

(26)

<표 7-8>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402 <표 7-9> 안전한 식품 지불 의향 결정요인 분석 변수의 기술통계량 ··· 403 <표 7-10> 안전한 식품 지불 의향 결정요인 분석 ···403 <표 7-11> 성인 특성별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비교 ···405 <표 7-12> 청소년 특성별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비교 ···406 <표 7-13> 성인 특성별 식품 안전성 체감도 평가 비교 ···407 <표 7-14> 청소년 특성별 식품 안전성 체감도 평가 비교 ···408 <표 7-15> 성인 특성별 안전한 식품 지불 의향 비교 ···410 <표 7-16> 성인의 수입 식품 안전성 평가 ···412 <표 7-17> 성인의 국내산 식품 안전성 평가 ···413 <표 7-18> 성인의 식사 장소별 안전성 평가 ···414 <표 7-19> 청소년의 식사 장소별 안전성 평가 ···414 <표 7-20> 성인의 식품 위해요인별 안전성 평가 ···415 <표 7-21> 성인 특성별 가장 우려하는 식품 위해물질 비교 ···416 <표 7-22> 성인의 식품 안전 관리 주체별 중요도 평가 ···418 <표 7-23> 청소년의 식품 안전 관리 주체별 중요도 평가 ···418 <표 7-24> 성인 특성별 식품 표시 활용도 비교 ···420 <표 7-25> 청소년 특성별 식품 표시 활용도 비교 ···421 <표 7-26> 성인이 청과물 구매 시 확인하는 식품 표시 사항 ···422 <표 7-27> 성인이 육류 구매 시 확인하는 식품 표시 사항 ···422 <표 7-28> 성인/청소년이 가공식품 구매 시 확인하는 식품 표시 사항 ··· 423 <표 7-29> 성인 특성별 식품 표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 비교 ··· 427 <표 7-30> 성인 특성별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활용도 증가 비교 ··· 429 <표 7-31> 청소년 특성별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활용도 증가 비교··· 430 <표 7-32> 성인 특성별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신뢰도 향상 비교 ··· 431 <표 7-33> 청소년 특성별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신뢰도 향상 비교··· 432 <표 7-34> 성인 특성별 식품 관련 정보 획득 경로 비교 ···436 <표 7-35> 청소년 특성별 식품 관련 정보 획득 경로 ···439

(27)

<표 7-36> 성인 특성별 과거부터 지금까지 교육/홍보 참여도 비교 ···440 <표 7-37> 성인 특성별 음식 기초 지식 습득 적정 시기에 대한 인식 비교 ···442 <표 7-38> 청소년 특성별 음식 기초 지식 습득 적정 시기에 대한 인식 비교···444 <표 7-39> 성인 특성별 과거부터 지금까지 식품 관련 피해 경험 비교 ··· 445 <표 7-40> 성인 특성별 식품 피해 유형 비교 ···447 <표 7-41> 성인 특성별 피해 식품 종류 비교 ···448 <표 7-42> 성인 특성별 피해 식품 구입처 비교 ···449 <표 7-43> 성인 특성별 식품 피해 대응 방법 비교 ···451 <표 7-44> 성인 특성별 농식품 표시이용 ···455 <표 7-45> 성인 특성별 농식품 정보활용 ···457 <표 7-46> 성인 특성별 농식품 구매환경 ···459 <표 7-47> 성인 특성별 건강한 식생활 ···461 <표 7-48> 성인 특성별 안전한 식생활 ···463 <표 7-49> 성인 특성별 전통 식생활 ···464 <표 7-50> 성인 특성별 소비자의 권익 ···466 <표 7-51> 성인 특성별 소비자의 책임의식 ···468 <표 7-52> 성인 특성별 소비자의 문제해결 ···470

(28)

그림 차례

제3장 <그림 3-1> 자료 수집 면접원 현황 ···37 <그림 3-2> 가구 방문 이력 등록 페이지(CAPI) ···38 <그림 3-3> 가구원 명부 등록 페이지(CAPI) ···38 <그림 3-4> 가구별 지도 확인 페이지(CAPI) ···40 <그림 3-5> 부재 가구 제공 자료 ···41 <그림 3-6> 식품소비행태조사 진행률 ···43 <그림 3-7> 자료 검증 단계 ···45 <그림 3-8> 방문 회차별 이력확인 CAPI 시스템 ···46 제4장 <그림 4-1> 식료품 구입 주기 ···56 <그림 4-2> 식료품 구입 장소 ···58 <그림 4-3> 식품 주 구입 장소 선택 이유 ···60 <그림 4-4> 전년 대비 식품소비 지출액 변화 ···63 <그림 4-5> 전년 대비 식품소비 지출액 증가 이유 ···65 <그림 4-6> 전년 대비 체감 장바구니 물가 수준 평가 ···67 <그림 4-7> 올해 대비 내년도 식품소비 지출액 전망 ···68 <그림 4-8>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기 ···70 <그림 4-9> 전년 대비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기 변화 ···72 <그림 4-10>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장소 ···74 <그림 4-11>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주요 이유 ···75 <그림 4-12> 온라인을 통한 식품 구입 만족도 ···76 <그림 4-13> 친환경 식품 구입 주기 ···77

(29)

<그림 4-14> 전년 대비 친환경 식품 구입 빈도 변화 ···79 <그림 4-15> 친환경 식품 구입 장소 ···81 <그림 4-16> 친환경 식품 구입 만족도 ···83 <그림 4-17> 기능성 식품의 소비 현황 ···85 <그림 4-18> 기능성 식품의 소비 이유 ···87 <그림 4-19> 전년 대비 기능성 식품 구입 빈도 변화 ···87 <그림 4-20> 쌀(백미, 현미) 조달 주기 ···88 <그림 4-21> 쌀(백미, 현미) 조달 방법 ···90 <그림 4-22> 쌀(백미, 현미)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90 <그림 4-23> 백미 구입 포장 단위 ···92 <그림 4-24> 현미, 잡곡 구입 포장 단위 ···94 <그림 4-25> 쌀 구입 가격(20kg 기준) ···94 <그림 4-26> 특정 쌀 구입(가끔 또는 자주) 비중 ···97 <그림 4-27> 수입 쌀 취식 의향 ···99 <그림 4-28> 자주 먹는 밥 종류 ···100 <그림 4-29> 가장 많이 구입하는 잡곡 ···102 <그림 4-30> 채소류 조달 주기 ···104 <그림 4-31> 채소류 조달 방법 ···106 <그림 4-32> 채소류 구입 형태 ···106 <그림 4-33> 채소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107 <그림 4-34> 과일류 조달 주기 ···109 <그림 4-35> 과일류 조달 방법 ···111 <그림 4-36> 과일류 구입 형태 ···113 <그림 4-37> 과일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114 <그림 4-38> 과일 소비 개수 ···116 <그림 4-39> 성인 선호 과일 종류 ···118 <그림 4-40> 청소년 선호 과일 종류 ···120 <그림 4-41> 성인 선호 과일 유형 ···121

(30)

<그림 4-42> 청소년 선호 과일 유형 ···121 <그림 4-43> 견과류 조달 주기 ···122 <그림 4-44> 견과류 조달 방법 ···123 <그림 4-45> 견과류 구입 형태 ···124 <그림 4-46> 견과류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126 <그림 4-47> 특정 제품 구입 빈도 ···128 <그림 4-48> 축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133 <그림 4-49> 다소비 육류 ···135 <그림 4-50> 성인 선호 육류 ···137 <그림 4-51> 청소년 선호 육류 ···137 <그림 4-52> 쇠고기 조달 주기 ···138 <그림 4-53> 쇠고기 주 구입 단위(구이용) ···142 <그림 4-54> 쇠고기 주 구입 단위(국거리용) ···142 <그림 4-55> 쇠고기 주 구입 부위(구이용) ···143 <그림 4-56> 쇠고기 주 구입 부위(국거리용) ···143 <그림 4-57> 쇠고기 주 구입 원산지(구이용) ···146 <그림 4-58> 쇠고기 주 구입 원산지(국거리용) ···146 <그림 4-59> 쇠고기 주 구입 등급(구이용) ···148 <그림 4-60> 쇠고기 주 구입 등급(국거리용) ···150 <그림 4-61> 미국산 쇠고기 소비 의향 ···151 <그림 4-62> 호주산 쇠고기 소비 의향 ···153 <그림 4-63> 돼지고기 조달 주기 ···155 <그림 4-64> 돼지고기 구입 형태(포장/비포장) ···158 <그림 4-65> 돼지고기 주 구입 단위(구이용) ···159 <그림 4-66> 돼지고기 주 구입 단위(찌개/반찬용) ···160 <그림 4-67> 돼지고기 주 구입 부위(구이용) ···162 <그림 4-68> 돼지고기 주 구입 부위(찌개/반찬용) ···163 <그림 4-69> 돼지고기 주 구입 원산지(구이용) ···164

(31)

<그림 4-70> 돼지고기 주 구입 원산지(찌개/반찬용) ···164 <그림 4-71> 수입 돼지고기 소비 의향 ···165 <그림 4-72> 닭고기 조달 주기 ···167 <그림 4-73> 닭고기 구입 형태(냉장/냉동) ···169 <그림 4-74> 닭고기 구입 형태(포장/비포장) ···170 <그림 4-75> 주 구입 닭고기 부위 ···171 <그림 4-76> 주 구입 닭고기 원산지 ···173 <그림 4-77> 수입 닭고기 소비 의향 ···174 <그림 4-78> 우유 조달 주기 ···175 <그림 4-79> 요구르트 조달 주기 ···176 <그림 4-80> 계란 조달 주기 ···176 <그림 4-81> 치즈 조달 주기 ···177 <그림 4-82> 육가공 제품 조달 주기 ···178 <그림 4-83> 계란 구입 단위 ···178 <그림 4-84> 수산물 조달 주기 ···181 <그림 4-85> 수산물 구입 형태 ···183 <그림 4-86> 수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 정보 ···184 <그림 4-87> 수산물과 육류 소비 비중 ···186 <그림 4-88> 김치 조달 방법 ···188 <그림 4-89> 김치 구입 이유 ···190 <그림 4-90> 김치 조달 주기 ···191 <그림 4-91> 김치 구입 단위 ···192 <그림 4-92> 고추장 조달 방법 ···193 <그림 4-93> 된장 조달 방법 ···195 <그림 4-94> 국간장 조달 방법 ···197 <그림 4-95> 고추장 조달 주기 ···199 <그림 4-96> 된장 조달 주기 ···200 <그림 4-97> 국간장 조달 주기 ···200

(32)

<그림 4-98> 고추장 구입 이유 ···205 <그림 4-99> 된장 구입 이유 ···205 <그림 4-100> 국간장 구입 이유 ···206 <그림 4-101> 고추장 구입 단위 ···209 <그림 4-102> 된장 구입 단위 ···210 <그림 4-103> 국간장 구입 단위 ···211 <그림 4-104> 가구 내 다소비 음료 ···212 <그림 4-105> 성인 선호 음료 ···214 <그림 4-106> 청소년 선호 음료 ···215 <그림 4-107> 성인 음주 빈도 ···215 <그림 4-108> 성인이 선호하는 술의 종류 ···217 <그림 4-109> 음식 조리 시 사용 유지류 ···219 <그림 4-110> 음식 조리 시 사용 설탕류 ···221 <그림 4-111> 음식 조리 시 사용 소금류 ···223 <그림 4-112> 음식 조리 시 사용 물 ···225 <그림 4-113> 식음 이용 시 사용 물 ···225 <그림 4-114> 간편식(HMR) 구입 주기 ···229 <그림 4-115> 간편식(HMR) 구입 이유 ···231 제5장 <그림 5-1> 지역별 가구 구성원과 외식 여부 비교 ···234 <그림 5-2> 가구 구성원과 외식하는 이유 ···236 <그림 5-3> 가구원과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238 <그림 5-4> 가구의 주요 외식 장소 ···240 <그림 5-5> 가구의 외식 선택 시 고려 기준 ···242 <그림 5-6> 가구 외식 빈도 ···244 <그림 5-7> 외식하는 가구 구성원 수 ···246 <그림 5-8> 가구의 한 달 평균 외식 비용 ···248

(33)

<그림 5-9> 가구의 1회 평균 외식 비용 ···250 <그림 5-10> 가구의 외식 유형별 전년 대비 이용 빈도 변화 ···252 <그림 5-11> 가구에서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 255 <그림 5-12> 가구에서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257 <그림 5-13> 가구의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 259 <그림 5-14> 가구의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261 <그림 5-15> 배달・테이크아웃을 함께 이용하는 가구원 수 ···263 <그림 5-16> 가구의 한 달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264 <그림 5-17> 가구의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266 <그림 5-18> 전년 대비 가구의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변화 ···268 <그림 5-19> 성인이 외식하는 이유 ···272 <그림 5-20> 성인이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274 <그림 5-21> 성인의 주요 외식 장소 ···276 <그림 5-22> 성인의 외식 선택 시 고려 기준 ···278 <그림 5-23> 성인의 외식 빈도 ···280 <그림 5-24> 성인의 한 달 평균 외식 비용 ···282 <그림 5-25> 성인의 1회 평균 외식 비용 ···284 <그림 5-26> 전년 대비 성인의 외식 유형별 이용 빈도 변화 ···286 <그림 5-27> 성인이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이유 ···289 <그림 5-28> 성인이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 291 <그림 5-29> 성인이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293 <그림 5-30> 성인의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 295 <그림 5-31> 성인의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297 <그림 5-32> 성인의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299 <그림 5-33> 전년 대비 성인의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이용 빈도 변화 ··· 301 <그림 5-34> 청소년이 외식하는 이유 ···305 <그림 5-35> 청소년이 외식을 거의/자주 하지 않는 이유 ···307 <그림 5-36>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외식 장소 유형 ···308

(34)

<그림 5-37> 청소년의 주요 외식 장소 ···309 <그림 5-38> 청소년의 외식 선택 시 고려 기준 ···311 <그림 5-39> 청소년의 외식 빈도 ···313 <그림 5-40> 청소년의 1회 평균 외식 비용 ···314 <그림 5-41> 청소년의 외식 유형별 이용 빈도 변화 ···315 <그림 5-42> 청소년이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는 이유 ···317 <그림 5-43> 청소년이 배달・테이크아웃을 거의/자주 이용하지 않는 이유 ··· 319 <그림 5-44> 청소년의 배달・테이크아웃 음식 선택 시 고려 기준 ···320 <그림 5-45>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배달・테이크아웃 메뉴 ···322 <그림 5-46> 청소년의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323 <그림 5-47> 청소년의 1회 평균 배달・테이크아웃 지출 비용 ···325 <그림 5-48> 전년 대비 청소년의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빈도 변화 ··· 326 제6장 <그림 6-1> 가구의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330 <그림 6-2> 가구원과 함께 식사하는 횟수 ···331 <그림 6-3> 내년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전망 ···333 <그림 6-4> 성인의 일주일 식사 현황 ···334 <그림 6-5> 청소년의 일주일 식사 현황 ···335 <그림 6-6> 성인이 식사를 거르는 이유 ···342 <그림 6-7> 청소년이 식사를 거르는 이유 ···343 <그림 6-8> 성인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344 <그림 6-9> 청소년 전년 대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345 <그림 6-10> 성인 내년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전망 ···346 <그림 6-11> 청소년 내년도 밥류 취식 횟수 변화 전망 ···347 <그림 6-12> 성인 주로 먹는 아침식사 종류 ···348 <그림 6-13> 청소년 주로 먹는 아침식사 종류 ···350 <그림 6-14> 성인·청소년 식사시간 규칙성 여부 ···351

(35)

<그림 6-15> 성인 식사시간 불규칙적인 이유 ···353 <그림 6-16> 청소년 식사시간 불규칙적인 이유 ···354 <그림 6-17> 성인의 건강한 식생활 위한 중요사항 인식 ···356 <그림 6-18> 청소년의 건강한 식생활 위한 중요사항 인식 ···356 <그림 6-19> 청소년의 장소별 간식 비중(하루 1회 이상) ···357 <그림 6-20> 청소년의 장소별 간식 메뉴 ···359 <그림 6-21> 가구의 식생활 만족도 ···361 <그림 6-22> 성인의 개인 식생활 만족도 ···362 <그림 6-23> 청소년의 개인 식생활 만족도 ···363 <그림 6-24> 가구의 학교급식 만족도 ···365 <그림 6-25> 청소년의 학교급식 만족도 ···366 <그림 6-26> 성인의 식재료 유형별 관심도 ···368 <그림 6-27> 청소년의 식재료 유형별 관심도 ···370 <그림 6-28> 성인의 국산 농식품 유형별 지불 의향 ···370 <그림 6-29> 성인의 유기농 수입 식품 유형별 지불 의향 ···371 <그림 6-30>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양에 대한 의견 ···375 <그림 6-31> 전년 대비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양의 변화 ···377 <그림 6-32> 가구 거주지역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방식 ···379 <그림 6-33>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유형 ···381 <그림 6-34>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노력 여부 ···383 <그림 6-35>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노력 방법 ···385 <그림 6-36>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감소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 이유 ··· 387 <그림 6-37>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대한 중요성 인식 ··· 388 제7장 <그림 7-1> 성인의 식품소비 정책의 분야별 중요도 ···392 <그림 7-2> 성인의 정부 차원 중점 추진 식품소비 정책 인식 ··· 393 <그림 7-3> 성인의 국민 건강 추구를 위한 정부 중점 추진 정책 인식 ··· 395

(36)

<그림 7-4> 청소년의 국민 건강 추구를 위한 정부 중점 추진 정책 인식 ··· 397 <그림 7-5> 성인의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만족도 ···398 <그림 7-6> 성인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404 <그림 7-7> 청소년의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 ···406 <그림 7-8> 성인의 식품 안전성 체감도 평가 ···407 <그림 7-9> 청소년의 식품 안전성 체감도 평가 ···408 <그림 7-10> 성인의 안전한 식품 지불 의향 ···410 <그림 7-11> 성인이 가장 우려하는 식품 위해물질 ···416 <그림 7-12> 성인의 식품 표시 활용도 ···419 <그림 7-13> 청소년의 식품 표시 활용도 ···421 <그림 7-14> 성인의 전반적인 식품 표시 현황에 대한 만족도 ··· 424 <그림 7-15> 청소년의 전반적인 식품 표시 현황에 대한 만족도 ··· 424 <그림 7-16> 성인의 식품 표시 신뢰도 ···425 <그림 7-17> 청소년의 식품 표시 신뢰도 ···425 <그림 7-18> 성인이 식품 표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 ···426 <그림 7-19> 청소년이 식품 표시를 신뢰하지 않는 이유 ···427 <그림 7-20> 성인의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활용도 증가 ··· 428 <그림 7-21> 청소년의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활용도 증가 ····430 <그림 7-22> 성인의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내용 신뢰도 향상 ··· 431 <그림 7-23> 청소년의 전년 대비 식품 표면/포장 표시 내용 신뢰도 향상 ··· 432 <그림 7-24> 성인의 식품 표시에 대한 인지도 ···433 <그림 7-25> 성인의 식품 표시 인증마크별 구매 빈도 ···434 <그림 7-26> 성인의 식품 관련 정보 획득 경로 ···435 <그림 7-27> 성인의 식품 관련 정보 획득 방송 프로그램 ···437 <그림 7-28> 청소년의 식품 관련 정보 획득 경로 ···438 <그림 7-29> 청소년의 식품 관련 정보 획득 방송 프로그램 ···439 <그림 7-30> 성인의 교육/홍보 참여 경험이 식생활에 도움을 준 정도 ··· 441 <그림 7-31> 성인의 음식 기초 지식 습득 적정 시기에 대한 인식 ···442

(37)

<그림 7-32> 청소년의 음식 기초 지식 습득 적정 시기에 대한 인식 ··· 444 <그림 7-33> 성인의 식품 피해 유형 ···446 <그림 7-34> 성인의 피해 식품 종류 ···448 <그림 7-35> 성인의 피해 식품 구입처 ···449 <그림 7-36> 성인의 식품 피해 대응 방법 ···450 <그림 7-37> 성인의 식품 피해 발생 시 미신고 이유 ···451 <그림 7-38> 성인의 식품 피해에 대한 처리 결과 만족도 ···452

(38)
(39)

서 론

1.

조사 배경과 목적

1.1. 식품소비행태조사 구축 배경

◦우리 국민의 식품소비행태는 경기 불확실성 증대, 1인 가구 증가, 고령화 등 의 경제·사회·인구 여건 변화와 과학기술의 발달 및 시장 개방의 가속화 등 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 식품소비와 소비자 니즈 동향에 대한 지속적 이고 다각적인 조사·분석이 필요함. ◦기존 식품소비 관련 통계는 지출액과 영양섭취 조사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식품소비행태 및 정책 관련 인식 조사는 일부 품목이나 특정 정책 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임. 표본 구성의 대표성 또한 부족하여 조사 결과 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상황이며, 조사 대상 식품의 분류와 조사 항목 도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식품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기에 불충분함. ◦사회적 여건 및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한 식품소비행태의 구체적인 파악, 식품산업 발전과 식품의 원활한 수급 및 식품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 는 대표성 있는 표본을 구축하여 지속적으로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양질의 조사·분석이 필요함.

(40)

◦농식품 생산활동의 경쟁력 제고, 식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와 식품정책에 대한 정책 수요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식품소비 행태조사 결과가 해당 정책 개발 및 관련 연구에 유용한 분석기반으로 활용 되어야 함.

1.2. 식품소비행태조사 구축 목적

◦대표성 있는 표본/조사 구축과 행태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행태 및 선호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식품 공급자인 농업 및 식품산업의 경쟁 력을 제고하고 식품 수요자인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할 목적으로 추진됨.

1.3. 주요 연혁

◦식품소비행태조사를 중장기 계획 하에 추진하기 위해 조사 문항 및 조사 방 법 등에 대해 사전적으로 검토하고, 조사 계획을 수립하고자 2012년 9월∼ 2013년 3월에 기초연구가 수행됨. ◦ 2013년에 식품소비행태조사가 처음으로 수행되었으며, ‘2013 식품소비행태 조사 기초분석보고서’와 ‘2013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보고서’가 발간됨. 2014년에는 두 번째로 식품소비행태조사가 추진되었으며, 조사 대상은 만 75세 이하이며 청소년의 경우 온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음. ◦ 2015년은 식품소비행태조사 3년차로, 전문가와 소비자 대상 조사를 통해 식 품 관련 주요 이슈를 특별 주제로 선정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식품군에 대한 식품소비행태를 심도 있게 파악함. 또한 청소년과 1인 가구 등 조사 대상자를 만나기 어려운 경우 온라인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음.

(41)

◦ 2016∼2017년에는 4∼5차 식품소비행태조사가 추진되었음. 2016년 조사부 터는 관련 전문가들과 협업을 통해 ‘농식품 소비자 역량지수’ 문항을 구성 하고 성인 가구원 조사에 이를 포함하여 조사를 수행하고 있음. ◦ 2013년 식품소비행태조사가 시작된 이래 통계 대표성 확보와 엄격한 품질 관리를 위해 한국통계학회에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를 위탁 함. 실사는 외부 조사기관에 의해 수행되고 있으며 공개입찰을 통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기관을 선정함. 2013∼2015년 조사는 ㈜한국리서치가 선 정되어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016년~2018년 조사는 ㈜마크로밀엠브레인 이 조사기관으로 선정되어 조사를 수행함. ◦ 2013∼2017년 5개년은 식품소비행태조사를 구축하고 안정화하는 시기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이 기간을 ‘식품소비행태조사 제1기(CBSF Wave 1)’ 로 명명하고자 함.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식품소비행태조사 제2기(Wave 2)’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식품소비행태를 보다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조사문항의 다양성 및 유연성을 향상하고 특별조사 형태로 각종 이슈를 필 요에 따라 조사문항에 포함하고자 하였음. - 2018년 조사에는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행태 및 저감 노력’ 추가

2.

조사 개요

2.1. 조사 대상

◦조사는 만 18세 이상에서 만 75세 미만인 식품 주 구입자(주부)와 만 13세 이상에서 만 75세 미만인 가구원(성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함.

(42)

2.2. 조사 내용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조사표는 기초연구에서 수행된 ① 국내외 관련 문헌 검토, ② 전문가 자문회의, ③ 전문가 대상 통계수요조사를 거쳐 초안을 작 성하였으며, ④ 소비자 대상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을 수정하고 확정함.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소득 양극화, SNS 확대 등 새롭게 등장한 경제·사 회·인구 특성에 따른 식품소비 트렌드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소비자 특 성 및 식품 구입행태 관련 조사 문항이 설계됨. ◦식품소비행태조사 대상 분야는 식생활(식품소비, 영양, 건강 관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식품 구입 및 소비 실태, 소비자 특성 평가, 외식 소비행태, 식 생활 만족도 평가, 식생활 교육 및 홍보 현황, 주요 정책 인식 및 평가, 농식 품 소비자 역량지수 등임. ◦식품군별 조사를 기본으로 하며 주요 품목을 포함함. 또한 최근 새로운 트 렌드로 주목되고 있는 인터넷 구입, 친환경 식품, 기능성 식품, 배달 및 테이 크아웃에 대한 구입 행태를 구분하여 별도로 조사함. ◦조사표는 가구 조사표와 가구원 조사표로 구성됨. 가구 조사표는 가구 내 식품의 주 구입자를 대상으로 가정식 식품소비 현황이나 가구 특성에 대한 설문을 조사하는 내용으로 구성됨. 가구원 조사표는 조사 대상 가구의 중학 생 이상 모든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며, 가정 외 식품소비 현황과 개인의 식 생활 인식 관련 설문 등으로 구성됨. 청소년층의 경우 식품소비 경험이 제 한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성인용 설문과 별도로 작성함.

(43)

2.3. 2018 조사에서 변경된 사항

2.3.1. 주 구입자 조사표 ◦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서는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조사 결과를 얻고자 조사 수행 전에 연구진 및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조사표 수정 및 보완 작업 을 실시함. 조사 문항 및 보기 문항 대부분은 2017년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일부 문항과 보기를 수정하여 개선함. ◦ 1회 평균 식료품 구입 금액과, 평소 구입하는 친환경 식품, 친환경 식품의 구입 이유와 관련한 문항을 신설하여 주 구입자 조사에 포함하였으며, 지속 가능성 등 환경적 이슈가 부각됨에 따라 가구의 음식물쓰레기 배출 현황과 행태, 그리고 음식물쓰레기 저감 노력에 관한 파트를 추가함. ◦ 기능성 식품의 구입 및 소비행태를 건강기능식품/건강식품 구입 및 소비행 태로 표현을 변경하여 개념을 명확히 하였으며, 당초 섭취 현황 문항에서 품목류별 7개 응답보기(기타 포함)를 제시하였으나, 14개로 늘려 건강기능 식품/건강식품의 품목류를 보다 세분화함. ◦가구 내 식품소비 지출액이 변화한 이유에 대한 문항은 프리미엄 제품의 소 비 확대에 따라 ‘소비하는 품질수준의 변화’ 보기를 추가하였으며, 기존 응 답보기의 표현도 재구성함. ◦ 2017년 살충제 계란 파동 등과 관련하여 축산물 인증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친환경 인증축산물과 동물복지 인증축산물에 대한 인지도와 구입경험 문항을 추가함.

(44)

◦제과·제빵 전문점과 주점에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는 외부 자문위원의 의견에 따라 가구가 주로 이용하는 외식 음식점 문항에 신규 보기로 추가하였으며, 전년대비 이용 빈도 변화 등 외식 관련 보기 문항을 통일함. ◦배경질문과 관련하여 자신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5점 척도로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이 밖에도 1순위~2순위까지 응답하는 문항들 중에서 응답보기가 많은 경우에는 3순위까지 응답할 수 있도록 응답 범위를 조정함. 문항 번호 문항 내용 변경 내용 A1-1 1회 평균 식료품 구입 금액 문항 추가

A7, A11-1, A14-1 식품 구매 이유 문항 변경

A10 평소 구입하는 친환경 식품 문항 추가 A11 친환경 식품 구입 이유 문항 추가 A17 현재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보기 수정 A17-1 식품소비 지출액 변화 이유 보기 수정 A19-1 식품류별 내년도 지출규모 변화 문항 삭제 B3-1 쌀 구입 시 우선으로 확인하는 정보 보기 수정 B6 최근 구입한 쌀의 가격 보기 추가 C14, C14-1 특정제품들에 대한 인지 정도/ 구입 빈도 문구 수정 D2-1 축산물 구입 시 우선확인 정보 보기 추가 D2-2, D2-3 특정제품들에 대한 인지 정도/ 구입 빈도 문항 추가 F1 가공식품 구매 빈도 문항 추가 F2 가공식품 조달 빈도 보기 삭제 F3 주로 가공식품 구매하는 장소 문항 추가 F19-1 간편식 구입 이유 문항 변경, 보기 추가 F20~F26 음식물 배출 행태 및 저감 노력 문항 추가 G3-1, G10-1 외식 및 배달/테이크아웃을 하지 않는 이유 문항 변경 G4, G11 주 이용 외식 음식점 보기 추가 G7 외식 유형별 작년 대비 이용 빈도 변화 보기 수정, 보기 추가 BA7 평소 건강 상태 문항 추가 <표 1-1> 2017년 대비 2018년에 변경된 조사표 내용-주 구입자용

(45)

2.3.2. 성인 가구원 조사표 ◦주 구입자 조사의 외식 이용행태와 마찬가지로 제과·제빵 전문점과 주점을 음식점 보기로 추가하였으며, 가공식품 구매 시 확인사항 문항에 ‘식품 알 레르기 주의 표시’ 보기를 추가함. ◦식생활 관련 정보를 얻는 곳과 관련하여서는 ‘식품전문가’를 응답보기로 추 가하였으며, 식료품 관련 정보를 얻는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최근 들어 인기 리에 방영 중인 맛집 탐방/기행 방송을 응답보기로 추가함. ◦ 혼밥과 SNS의 영향력 증대, 먹방, 쿡방 등 음식 관련 TV프로그램, 맛집 탐 방 등 식품소비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관련 문항을 신설하였으며, 이 밖 에도 1순위~2순위까지 응답하는 문항 중에서 응답보기가 많은 경우에는 3 순위까지 응답할 수 있도록 응답 범위를 조정함. 문항 번호 문항 내용 변경 내용 A12 좋아하는 과일 문항 변경 A19-1, A26-1 외식 및 테이크아웃을 자주 하지 않는 이유 문항 변경 A21, A27 주 이용 외식 및 테이크아웃 음식점 문항 변경 A21 주이용 외식 음식점 A22, A30 외식 및 테이크아웃 선택 기준 문항 변경 B5-1 식품 위해요인에 대한 우려 정도 문항 변경 C2 신선식품 구매 시 확인사항 - 청과물 보기 추가 가공식품 구매 시 확인사항 보기 추가 D3 식생활 관련 정보를 얻는 곳 문항 변경, 보기 추가 D3-1 식료품 관련 정보를 얻는 프로그램 보기 추가 H2 혼자 식사하는 빈도 문항 추가 H3 SNS 사용 여부 문항 추가 H4, H5 음식/요리, 해외 여행 관련 TV 프로그램 시청 여부 문항 추가 H6 외식할 때 주변 또는 온라인 정보 활용 여부 문항 추가 <표 1-2> 2017년 대비 2018년에 변경된 조사표 내용-성인용

수치

그림 차례 제3장 &lt;그림 3-1&gt;    자료 수집 면접원 현황 ····························································37 &lt;그림 3-2&gt;    가구 방문 이력 등록 페이지(CAPI) ······································38 &lt;그림 3-3&gt;    가구원 명부 등록 페이지(CAPI) ·································

참조

관련 문서

Based on a factor that consumption value determines consumer’s decision-making of which market category to choose, this research categorizes consumption values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food insecurity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status an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Micro Service Graph Infra Analytics. Application

The areas included in the survey are the consumers’ food consumption patterns (with regards to food choices, nutrition, health, etc.); food purchase and

In this Thesis, an empirical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Automobile in Vietnamese Consumers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eilins respiratory chain concept and its

영어 : Research on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Contained in Processed Food by Elementar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