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외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해외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Copied!
8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R746. 연구자료-2. | 2015. 12.. 해외의 농업 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심 정 유 진 이. 재 도 은 장 순. 헌 채 영 익 성. 부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연 구 원 위스콘신대학교 중국청도대학교.

(2) 연구 담당 심재헌 정도채 유은영 진장익 이순성. 부연구위원 부연구위원 연구원. 위스콘신대학교 교수 중국청도대학교 교수.

(3) i 머 리 말. 최근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정책 수립으로 정책 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정책 과정에 공간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농업·농촌 분야에서도 정책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공간자료와 통계자료를 결합하여 활용하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가용할 수 있는 자료 간 연계성이 낮고, 공간정보시스템의 사용의 어려움으로 인해 정책 활용에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주요 선진국들은 농업·농촌 정책 지원을 위하여 공간정보 및 일반정보를 통 합한 데이터시스템을 구축·활용하고 있다. 단순 공간정보의 활용과 축적을 넘 어 경제·인문·사회 관련 통계 및 기후 토양 등의 자연환경 관련 자료들과의 연 계를 통해 다양한 정책 수요를 반영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주체들 의 참여를 유도하면서 공간정보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 다. 해외 주요 국가들의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사례들은 공간정보의 정책 활용 도를 높이기 위한 농업·농촌 공간정보인프라 구상에 시사점을 안겨준다.. “농업·농촌 정책 지원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기초연 구”의 일환으로 수집한 해외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사례를 정리·편집한 것이다. 공간정보인프라 사례에는 각국의 농업·농촌 관련 공간정보 현황, 공간정보플 본 자료집은. 랫폼 동향 그리고 국가별 대표 시스템의 특성 및 정책 활용 사례들을 포함하였 다. 아무쪼록 본 자료집이 농업·농촌 공간정보인프라에 관한 기초자료로 유용 하게 활용되길 기대한다.. 2015.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최 세 균.

(4)

(5) iii 차. 례. 제1장 서론 1. 2.. 조사의 개요 ··································································································· 1 조사의 내용 ··································································································· 2. 제2장 미국의 농업 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1. 미국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 5 2. 미국 USDA 관련 공간정보 플랫폼 사례와 시사점 ································· 9 3. 미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현황 ·· 21. 제3장 중국의 농업 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1. 2. 3.. 중국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 31 중국 농업·농촌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축 ·················································· 38 중국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플랫폼 ······················································ 48. 제4장 국가별 농업 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1. 2. 3. 4. 5. 6.. 해외 각국의 공간정보플랫폼 구축 현황 ·················································· 63 캐나다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 65 영국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 67 독일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 68 프랑스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 70 일본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 72.

(6) iv 표 차례. 제1장 표 표. 1- 1. 1- 2.. 주요 조사 내용 ················································································ 2 본고의 구성 ······················································································ 3. 제3장 표. 3- 1.. 중국 국가농업 배경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주요 내용 ············ 44. 제4장 표 표. 4- 1. 국가공간정보인프라(NSDI) ··························································· 63 4- 2. NSDI 추진 국가 ············································································ 64.

(7) v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 1. Status Map: Geospatial Data Gateway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리스트 ········································································································ 8 2- 2. SoilWeb ························································································· 9 2- 3. Web Soil Survey (WSS) ··························································· 10 2- 4. Soil Data Access ········································································ 11 2- 5. Soil and Water Resources Conservation Act (RCA) ············· 12 2- 6. Water Supply Data & Forecasting (SNOTEL) ······················· 14 2- 7.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GIS Products ······· 15 2- 8.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GIS Products - 2008년 1월 1일 현재 산지 적설량 ······································· 16 2- 9. COMET-VR ················································································ 17 2-10. Energy Estimator의 웹 화면 ····················································· 19 2-11. Plants Database의 웹 화면 ························································ 20 2-12. FGDC 주도하에 진행된 공간정보플랫폼 관련 계획 ············· 22 2-13. 공간정보플랫폼을 위한 개념적 모형 ······································· 24. 제3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3333-. 1. 2. 3. 4. 5.. 국가 농업과학데이터공유센터 사이트 ····································· 49 상하이시 디지털농업 플랫폼 사이트 ······································· 54 상하이시 디지털농업 플랫폼에서 농업GIS시스템의 활용 ···· 55 농업 빅 데이터응용 플랫폼 사이트 ········································ 57 농업 빅 데이터 플랫폼에서 GIS지도를 활용한 공간데이터 분석 기능 ·····································································································. 58.

(8) vi 그림 그림. 3- 6. 3- 7.. 원양어업 종합서비스 플랫폼 사이트 ······································· 60. 4- 1. 4- 2. 4- 3. 4- 4. 4- 5. 4- 6. 4–7.. GeoConnections 거버넌스 체계 ················································ 66 GeoBase의 Viewer에서 제공하는 수치표고데이터 ················ 66 영국지리정보원(Ordnance Survey)의 웹GIS 포털 ·················· 68 DDGI의 구조 ·············································································· 69 CNIG 운영 조직 ········································································ 71 AFIGeo 조직 구조 ····································································· 71 GSI Clearinghouse의 검색화면 ················································ 73. 원양어업 앱소프트웨어의 실시간 이용 가능 ························· 62. 제4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9) 제. 서. 1.. 1. 장. 론. 조사의 개요. ○ 본 조사는 일반연구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수행한 “농업·농촌 정책 지 원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 미국, 중국 등 해외의 농업·농촌 분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를 살펴봄으로 써, 그 유용성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전략 수립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조사는 2015년 6월 1일부터 2015년 7월 15일까지 약 1.5개월 동안 진행되 었으며, 미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는 진장익 교수(위스콘신대학교)가, 중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 정보플랫폼 사례 조사는 이순성 교수(중국 청도교육대학교)가 수행하였다.. 그 외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국가들의 공간정보 플랫폼 사례 조사는 심재헌 부연구위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도채 부연구위원(한국 농촌경제연구원), 유은영 초청연구원(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수행하였다..

(10) 2. ○ 문헌조사를 통해서는, 각국의 농업·농촌 분야 공간정보 현황, 공간정보플랫 폼 동향 등에 대한 기존 논의와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정보플랫폼과 관려 된 시스템 구축 사례 검토를 통해 농업농촌 분야의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전략을 검토하였다.. ○ 또한 현재 각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공간정보플랫폼의 콘텐츠와 활용사례 에 대한 내용을 조사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방식, 운영조직 등 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였다.. 2.. 조사의 내용. ○ 본고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미국과 중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으로 진행하였다.. 표 1-1. 주요 조사 내용 국가. 주요 조사 내용 § 미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조사 § 농업·농촌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플랫폼 사례와 시사점. - USDA의 Poral for ArcGIS의. 특징과 시사점. §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혹은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정책 미국. 현황 파악을 통한 시사점 도출. -. 농업·농촌분야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정책 공간정보플랫폼 육성 정책 공간정보플랫폼 운영 조직 유형 및 역할 공간자료 및 비공간자료의 연계 및 통합 사례.

(11) 3 국가. 주요 조사 내용 § 중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조사 § 농업·농촌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플랫폼 사례와 시사점 §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혹은 통합 공간정보인프라 정책. 중국. 현황 파악을 통한 시사점 도출. -. 농업·농촌분야 공간정보인프라 구축 정책 공간정보플랫폼 육성 정책 공간정보플랫폼 운영 조직 유형 및 역할 공간자료 및 비공간자료의 연계 및 통합 사례. ○ 본고에서는 문헌조사 및 공간정보 플랫폼조사를 통해 얻은 사례 국가의 공 간정보 자료를 근간으로 하여, 다음의 총 4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표 1-2. 본고의 구성 장 구분 제1장 서론 제2장 미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제3장 중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제4장 국가별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주요 구성 내용 조사의 개요, 조사의 내용 등 미국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미국. USDA. 관련 공간정보 플랫폼 사례와 시사점,. 미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 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현황 등 중국 농업·농촌 관련 공간정보 현황, 중국 농. 업·농촌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축 현황, 중국 농 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등 해외 각국의 공간정보플랫폼 구축 현황, 캐나 다·영국·독일·프랑스 일본의 공간정보플랫폼 현황.

(12)

(13) 제. 2. 장. 미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1. 1.. 미국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 현황. 1.1.. USDA의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GDG). 구축. ○ 2005년 미국 USDA의 서비스센터부처(SCA: Service Center Agencies)는 지 리정보데이터 공유망을 설립하였다. 데이터의 일부는. SCA에서. 직접 생산. 되며, 나머지 데이터들은 공공기관과 사기업들을 통해 획득되고, 제공된다.. ○ SCA는 공간정보창고(GDW: Geospatial Data Warehouse)와 공간정보데이 터게이트웨이(GDG:. Geospatial Data Gateway)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통해 온라인으로 공간데이터를 제공한다.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GDG)는 공간정보창고(GDW)에 있는 공간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내부 부서와 다른 외부관계 부처에 제공한다.. 1. 제2장은 위탁연구를 수행한 진장익 교수(위스콘신대학교)가 작성하였다..

(14) 6. ○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는 농업진흥청(FSA: Farm Service Agency), 항 공사진업무처(APFO:. Aerial Photography Field Office), 자연자원보호청 (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국가지도 및 공간정보센 터(NCGC: National Cartography and Geospatial Center)와 서로 협력하여 업무를 수행한다.. 1.2.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GDG)의 체계. ○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GDG)의 설치는 SCA의 업무량을 줄여주고, 허 가된 정확하고 최신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SCA의 재정지원으로 생산된 다음과 같은 공간정보데이터들은 공공 도메 인 서비스 하에,. GDG를. 통해 공공에게 제공된다.. ②. - 강수량 Certified common land unit:. ③. 디지털 사진. ④. 디지털 래스터 그래픽 사진(Digital. ①. 기후. 바운더리정보, 식별코드, 면적. ⑦. Raster Graphic Mosaic) 자원의 공간적 범위(Resource Areas) 토양조사정보(Soil Survey) 분수계(Watershed). ⑧. 기타 세부데이터. ⑤ ⑥. ○ 각 부서의 직원들에게 모든 요청된 자료들은 공간정보창고(GDG)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공된다.. ○ 항공사진업무처(APFO)와 국가지도 및 공간정보센터(NCGC)는 요청된 자 료 중 과부하를 줄이고 중복된 자료들을 삭제하는 등의 균형적인 데이터.

(15) 7 제공을 위한 대안 마련을 위해 노력한다. 따라서 하는 데 있어 과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의 용량을 제한하는 정책을 결정하기도. GDW가 데이터를 서비스. FT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데이터 한다.. ○ 공간정보데이터 리스트는 geodata.gov에 보고된다. geodata.gov는 USDA를 포함한 연방정부의 재정지원으로 개발된 연방정부 공간정보포털을 말한다. 따라서 이 링크된다.. SCA에 의해 개발된 공간정보게이트웨이(GDG)는 geodata.gov에. ○ USDA는 공간정보데이터게이트웨이(GDG) 홈페이지를 통해, 환경 및 자연 자원과 관련한 데이터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지 획득할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를 원하는 사람이 자신이 필요로 하는 지역을 선 택하여 획일화된 데이터 형태로 무료로 다운받거나 제공된다.. CD 또는 DVD를 통해. ○ 이 서비스는 세 개의 서비스센터부처(SCA: Service Center Agencies)인 자연 자원보호청(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농업진흥청 (FSA: Farm Service Agency), 그리고 농촌개발부서(RD: Rural Development) 와 긴밀한 파트너십을 통해 이루어진다.. ○ Status Map에는 Geospatial Data Gateway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지. 도들이 명시되어 있고, 이 지도들은 정기적으로 업데이트가 되며, 각각의 지도들의 데이터 출처와 데이터 형태, 그리고 각 지도들의 프로젝션 방식 이 명시되어 있다..

(16) 8. 그림 2-1. Status Map: Geospatial Data Gateway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정보리스트. 자료:. <https://gdg.sc.egov.usda.gov/GDGHome_StatusMaps.aspx>..

(17) 9. 2.. 미국. USDA. 관련 공간정보플랫폼 사례와 시사점. - USDA의 자연자원보호청(NRCS: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은 토양, 수자원, 대기, 에너지, 및 다양한 자연자원에 관한 풍부한 데이터 를 위한 웹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NRCS에서 운영하 는 웹 애플리케이션 사례는 다음과 같다.. ○ 토양 관련 공간정보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 SoilWeb - Soilweb. 애플리케이션은. USDA-NRCS. 토양조사 데이터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들의 지리적 위치와 관련 된 토양 종류들을 그래픽통계로 보여준다.. Soilweb 애플리케이션은 아이 폰과 안드로이드 유저들에게 열려 있으며, 구글맵과 구글어스 (Google Earth)와 연동된다. 캘리포니아 데이비스주립대(UC Davis)와 NRCS의 파 트너십에 의해 개발되었다. - URL: http://casoilresource.lawr.ucdavis.edu/drupal/node/902. 그림 2-2. SoilWeb. 자료:. <. http://casoilresource.lawr.ucdavis.edu/drupal/node/902>..

(18) 10 (2) Web Soil Survey (WSS) - Web Soil Survey는 National Cooperative Soil Survey에 의해 생산된 토 양데이터와 정보를 제공한다. NRCS에 의해 운영되며, 현재 미국 전체 카운티 중 95% 이상의 토양지도 및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조만간 100%의 데이터를 제공할 예정이다. - 이 사이트는 허가를 받은 개개인의 토양조사정보에 의해 업데이트되고 유지된다. 토양 조사는 농장이나 소지역 및 대지역의 토지이용 계획에 활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토질평가나 특정한 보존이나 기술이 필요 할 때에는 방문조사가 필요하기도 하다. - URL: http://websoilsurvey.nrcs.usda.gov/app/WebSoilSurvey.aspx. 그림 2-3. Web Soil Survey (WSS). 자료:. <http://websoilsurvey.nrcs.usda.gov/app/WebSoilSurvey.aspx>,.

(19) 11 (3) Soil Data Access - Soil Data Access는 토양조사에 관한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제공하는 웹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 Soil Data Access는 토양조사에 관한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개개인의 요청을 받아 제공하며, 여기서 제공하는 데이터는 WSS와 GDG에서 제 공하지 못한 공간정보들이 대부분이다. - Web Soil Survey나 GDG와는 달리, Soil Data Access는 쉽게 관심지역 을 지정하고, 단순한 요청에 의해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얻지는 못하 며, SQL쿼리를 사용하여 관심지역을 선택하고 데이터를 요청해야 한 다. 따라서 비록 쉽게 공간정보를 접근하기는 힘들지만, 다양한 SQL쿼 리 샘플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구할 수 있다. - 상대적으로 전문지식을 갖춘 데이터 전문가들을 위한 웹 애플리케이션 이다. - URL: http://sdmdataaccess.nrcs.usda.gov/. 그림 2-4. Soil Data Access. 자료:. <http://sdmdataaccess.nrcs.usda.gov/>..

(20) 12 (4) Soil and Water Resources Conservation Act (RCA) - RCA는 광범위한 자연자원전략 평가와 USDA의 계획허가를 주는 역할 을 한다. RCA의 목적은 토양, 수자원 및 여러 자원들과 관련된 USDA 의 프로그램이 미국 전 지역의 장기적인 필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따라서, 각 프로그램의 보고서와 공간적인 범위 및 연계되는 공간정보들이 제공된다.. - URL: http://soils.usda.gov/survey/rca/viewer/. 그림 2-5. Soil and Water Resources Conservation Act (RCA). 자료:. <http://soils.usda.gov/survey/rca/viewer/>..

(21) 13. ○ 수자원관련 공간정보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 Water Supply Data & Forecasting (SNOTEL) - NRCS는. 스노텔이라 불리는 시스템을 통해 서부지역의 적설량과 기후. 관련 정보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유지·보수한다. 이 시스템은. 1930년. 산지의 적설량을 진다.. - NRCS의. NRCS의 입법안에 의해 생겨났으며, 서부지역 측정하고, 수자원 공급량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을 가 중반. 현장직원들은. 1,200개가. 넘는 산지의 적설량을 통한 수량의. 깊이와 양을 분석하고, 연간 사용 가능한 수량, 봄철. runoff와. 여름철. stream flow를 추정한다. - 개인, 기관, 주정부 및 연방정부는 이 데이터를 활용해, 농업생산량, 어 류 및 야생동물 관리, 정부 및 산업용수 관리, 도시개발, 홍수조절, 전력 재생산, 수질관리 등의 계획을 결정한다. - 국가기후서비스(National Weather Service)는 강물(river)의 높이를 예측 하는 함수에 이 정보를 포함시킨다. - URL: http://www.wcc.nrcs.usda.gov/snow/ (2)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Climate Reports -. 기후정보는 습지 결정, 기온 및 강수량, 우박(Frost. Free Days),. 식물의 성장기간 등과 관련된 기후 정보를 제공한다. 이 사이트는. 그리고. PRISM 데이터와 정보, 미국의 토양조사지역에 관한 설명과 내용, Weather Generator Technology model (GEM)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 USDA는 오리건주립대학에 있는 PRISM이라는 기후단체와 오랜 기간 협약을 맺어왔다. PRISM은 미국의 강수량과 기온정보를 담은 포인트 기반의 데이터를 디지털 elevation모형을 활용해서 지도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 URL: http://www.wcc.nrcs.usda.gov/climate/.

(22) 14. 그림 2-6. Water Supply Data & Forecasting (SNOTEL). 자료:. <http://www.wcc.nrcs.usda.gov/snow/>.. (3)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GIS Products -. 이 센터는 적설량과 수량, 눈의 깊이, 눈의 밀도, 강수량 및 기온 등의. 정보를 지도상에서 볼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지도는 스노텔, 눈이 오 는 지역,. ACIS. 등의 정보를 활용해, 미국 서부지역을 대상으로 다양한. 스케일의 지도를 볼 수 있게 해준다.. - URL: http://www.wcc.nrcs.usda.gov/gis/index.html.

(23) 15. 그림 2-7.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GIS Products. 자료:. <http://www.wcc.nrcs.usda.gov/gis/index.html>,.

(24) 16. 그림 2-8. NRCS National Water & Climate Center GIS Products - 년 월 일 현재 산지 적설량 2008. 자료:. 1. 1. <http://www.wcc.nrcs.usda.gov/gis/index.html>..

(25) 17. ○ 대기 및 대기질에 관한 공간정보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 COMET-VR - NRCS는 COMET-VR라 불리는 농장과 목장 운영자들을 위한 웹툴을 운영한다. COMET-VR는 토양에 포함된 탄소함유량을 측정하는 툴이 다. 유기농의 문제와 산림자원의 보존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토양에 포함된 탄소의 양을 추정하는 일은 대기중에 있는 탄소(Carbon dioxide) 를 줄여주는 데 중요하다. COMET-VR은 농작물 생산, 가축 및 자연보 존계획에 관련된 사람들에 의해 현장조사되었으며, 검증되었다. - URL: http://www.comet2.colostate.edu/. 그림 2-9. COMET-VR. 자료:. <http://www.comet2.colostate.edu/>..

(26) 18 (2) NAQSAT (National Air Quality Site Assessment Tool) - NAQSAT는. 가축 및 양계장 종사자들에게 어느 지역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대기오염을 줄이는 결과를 주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암모니아, 메탄, 유기농 부패물질, 황화수소, 미세먼지 및 악취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동경로 및 이와 관련한 최신 정보를 제공한다.. - NAQSAT는. 가축업을 운영하는 사업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툴은. 가축업에 종사하는 사업자들이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위치가 어느 지역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매년 가축업으로 인한 대기오 염(암모니아, 메탄, 유기농 부패물질, 황화수소, 미세먼지, 악취 방출)이 증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NAQSAT는 직접적으로 대기오염 데이. 터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가축업으로 인한 피해를 인식시킬 수 있는 정 보를 제공하며, 이를 교육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 URL: http://naqsat.tamu.edu/. ○ 에너지 관련 공간정보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 Energy Estimator - NRCS는 농업관련 에너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농업과 목축업에 종 사하는 사람들에게 어느 지역이 에너지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곳인가를 알려주는 4가지의 에너지관련 툴을 개발하였다.. - 즉, 동물농장, 관개, 질소, Tilage를 위해 소비하는 에너지사용량의 정도 를 측정하게 해준다. 이러한 툴에 의해 산출된 결과들은 NRCS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위의 4가지 활동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얼마만큼 절 약할 수 있는지를 산술적으로 보여준다. - URL: http://energytools.sc.egov.usda.gov/.

(27) 19. 그림 2-10. Energy Estimator의 웹 화면. 자료:. <http://energytools.sc.egov.usda.gov/>..

(28) 20. ○ 식물관련 공간정보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 Plants Database - PLANTS Database는 미국내 존재하는 관속식물, 선류(이끼류), 우산이 끼류, 뿔이끼류, 지의식물(돌에 끼는 이끼류) 등에 관한 표준화된 정보 를 제공한다. - URL: http://plants.usda.gov/java/. 그림 2-11. Plants Database의 웹 화면. 자료:. <http://plants.usda.gov/java/>..

(29) 21. 3.. 미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현황. 3.1. USDA의 공간정보플랫폼 정책 의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목표. 3.1.1. USDA. ○ USDA 내에 있는 공간정보운영국(EGMO: Enterprise Geospatial Management Office)은 USDA의 미션과 목표에 맞게 공간정보데이터와 관련한 전략적 계 획과 정책을 실행 및 운영한다. 세부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 공간정보관련 실무자 및 파트너들과의 협력적 네트워크 관계 구축 - 공공에게 제공되는 공간정보관련 데이터와 서비스의 수명 연장 -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최상의 효율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업무처 리능력 강화. -. 복잡한 공공정책이나 행정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강화. 의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계획. 3.1.2. USDA. ○ 현재. USDA에는 자체 개발된 공간정보플랫폼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하지 만, 미국 국가적으로 국가공간정보플랫폼을 개발하는 노력이 존재하였고,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으며, USDA를 포함한 각 정부부처와의 연계를 위한 고민과 노력이 진행 중이다. 국가공간정보플랫폼의 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 1990년 OMB(Office of Management Budget)는 미국대통령실과 독립된 연방정부의 대표들로 구성된 FDGC(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를 설립했다. 지난 20년 동안, FGDC는 공간정보플랫폼의 설립과 관련된 비전, 기초정책, 전략 및 세부적 내용들을 논의하고 이끌어왔다. - FGDC는 공간정보 네트워크(Geospatial Clearinghouse Network), 공간.

(30) 22 정보 원스톱서비스(GOS: 인(Geospatial. LoB)을. Geospatial One Stop), 포함한다.. 공간정보 비즈니스 라. - 2010년 FGDC는 공간정보자료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계획 및 정책 안을 발의했다. 2011년 예산안을 통해, 종합적인 공간정보플랫폼을 만 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 2010년 12월, 미국 백악관과 정보부장관은 “연방정부 정보기술운영을 위한 25개의 실행안(25 Point Implementation Plan to Reform Federa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을 발표했다. 이 안은 연방정부가 투자대비 효율을 높이고, 낭비와 중복을 줄이며, 효과적으로 IT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한다.. 그림 2-12. FGDC 주도하에 진행된 공간정보플랫폼 관련 계획. 자료:. FGDC(2013: 11). 의 공간정보플랫폼의 역할과 기여. 3.1.3. USDA. ○ USDA 공간정보플랫폼(www.geoplatform.gov)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원스톱. 서비스”로 믿을 수 있고, 미국전역에 걸쳐 일관된 데이터정보. 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의 자원을 위한 프레임을 문서로 제공한다. - 파트너들이 데이터를 서비스하고, 분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다..

(31) 23 -. 공통적인 공간정보 데이터들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 간이다.. - Federal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하에. 설립된다.. ○ USDA 공간정보플랫폼(www.geoplatform.gov)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기 여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의 사용과 공유를 표준화하고 공개하는 일 - 콘텐츠에 기여하기 위해 구성된 연방정부 기관들 및 조직 - OMB Circular A-16 Portfolio Management가 신뢰성 있는 내용들을 유 지하고, 우선적인 데이터,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예산을 배정 할 수 있도록 확인하는 일. - 연방정부를 위한 기업들로부터의 공간정보데이터 수집과 서비스합의를 이끌어내는 일. -. 연방정부를 위한 공간정보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장려하고 확인하는 일. -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FISMA)와의. 표준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드는 일. -. 향후 연방정부의 공간정보망 투자를 모니터링하는 일. ○ 공간정보플랫폼은 크게 2개의 카테고리로 그 역할을 나눌수 있다. -. 제공(Offering): 데이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기반시설을 포함하는. 공간정보플랫폼을 통해 자원들을 전달하는 체계. -. 서비스과정 지원(Supporting. Processes):. 설계요소들, 거버넌스, 포트폴. 리오 관리 및 고객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사항들을 컨트롤하는 역할.

(32) 24. 그림 2-13. 공간정보플랫폼을 위한 개념적 모형. 자료:. <www.geoplatform.gov>.. ○ 공간정보플랫폼의 차별화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공간정보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와 일반기 업 등으로부터 획득한 광범위한 공간정보데이터를 www.geoplatform.gov 의 사이트를 활용해 고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 데 있다. 이 사이트 는 연방정부 차원의 정보제공 사이트인 www.Data.gov와 차별화된다. - 이 공간정보플랫폼은 오픈화된 표준 및 설계로 인해 기존의 플랫폼들과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언어들 및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수 있게 한 단 계 높은 차원으로 설계될 것이다. 이러한 공간정보플랫폼은 특정한 목 적을 가진 GIS 전문가들뿐 아니라 GIS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이나 신뢰.

(33) 25 할 만한 수준의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원하는 프로그램 매니저들에 게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형태이다.. - 이러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간정보플랫폼은 ‘신뢰할 수 있 는’ 데이터,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데이 터는 The National Map, National Wetlands Inventory, and National Aerial Imagery Program 등과 협력하여 이미 구축된 데이터 및 서비스 들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능케 한다. ① 정책결정자들이 중요한 이슈를 다룰 때, 신뢰 높은 데이터의 사용으 로 확신을 가지고 정책결정에 반영할 수 있음 ②. 다양한 기관들이 협력적으로 복잡한 이슈를 다루게 될 때, 일관된 지 도 및 서비스의 제공으로 업무적 효율성을 높임. ③. 중복되어 존재하는 다양한 사이트들을 찾아 헤매는 비효율을 줄여주 므로, 선호되는 데이터 및 지도 서비스를 손쉽게 찾을 수 있음. - 2011년. FGDC 구성원들이 속한 기관들은 협력하 여 개발한 버전1의 www.geoplatform.gov 사이트를 오픈했다. 이 사이트 는 연방정부, 파트너 기관들 그리고 일반인에 걸쳐 사용자들이 다양한 공간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기술적인 요인들로 구성되어 있다. - 이 사이트의 주요 기능은 다음 4가지로 요약된다. ①. 여름과 가을에 걸쳐,. 연방정부 기관들과 그들의 파트너가 공간정보데이터 사용을 위한 온라인서비스의 연동을 가능하게 한다.. ②. 연방정부 기관들과 파트너 기관들이 공유된 호스팅 기반시설과 소스 코드의 사용을 통해 공간정보데이터를 공유하고, 개발 가능하게 한다.. ③. 연방정부가 공간정보데이터를 상업적인 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 도록 라이선스를 관리하고 데이터를 관리하게 한다.. ④. 사용자들이 직접 데이터 및 지도를 개발시키고 공유할 수 있도록 공간정보데이터 협력의 새로운 세대가 열릴 수 있도록 장려한다..

(34) 26. ○ 공간정보 플랫폼의 주요 과제: 시간과 상황에 따른 정확한 정보 제공 -. 연방정부기관과 파트너 기관들은 많은 양의 공간정보데이터를 수집하 고 관리한다. 하지만, 종종 이러한 데이터들만으로는 필요한 정보를 쉽. 고 유용한 형태로 제공하기가 힘들다. 때때로, 똑같은 데이터들이 중복. 수집되고 제공되기도 하는데, 이는 이미 수집된 정보들이 즉각적으로 제공되지 못할뿐더러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 다시 말해, 질 좋은 정부 데이터가 항상 효율적으로 관리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정책결정에 있어 큰 도움이 되지 못할 수도 있다. 공간정보 플랫폼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고 있으며 운영될 것이다. - 공간정보 플랫폼은 정부기관과 관련기관들이 정책결정을 하는데 있어 도움이 되도록, 인터넷을 기반으로 신뢰할 만한 정보들을 공유 및 제공 하며, 일반인들에게도 열려 있다.. ○ 공간정보플랫폼이 제공하는 사항들 -. 미 전역을 통틀어 일관되고 신뢰한 만한 데이터의 “원스톱 서비스”. 다양한 정부기관들에서 생산된 정보들이 중앙시스템을 기반으로 제공 되는 시스템으로, 시각화를 높이며 사용자들이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 록 함. - 문제해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한번 생산된 데이터를 여러 기 관들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함. - 오픈되고 공동된 기준을 기반으로 객체들 사이에 상호 교류가 가능하도 록 설계됨. - 공유된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으로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비용-효율 적으로 관리하며, 추가적인 투자 없이도 급증하는 수요를 커버할 수 있 도록 설계됨. - 공유된 공간정보 수행기능으로 추가적인 비용과 인력충원 없이도 데이 터를 호스팅, 서비스 및 분석할 수 있는 기능.

(35) 27 - 정책결정자들이 빠르고 시간 효율적으로 자신들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 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데이터들이 존재하고 사용 가능한지를 제공. - Data.gov와 Federal cloud computing initiative를 보조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Federal Geospatial Porfolio Management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사용자기반의 툴로 주요 발의안(Administration's Open Government Initiative and Place-Based Plicies Initiative)들을 보조함. ○ 공간정보플랫폼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국가 주요 이슈들을 다루기 위해 필요함 ①. 미국이 직면하고 있는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안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일들을 지원한다.. ②. 공간정보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정책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tools),. 애플리케이션, 시각화 툴(visualization) 및 신뢰성. 높은 공간정보들을 활용해, 경제 고용 환경 건강 복지 안전 및. 삶의 질 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사건이나 사고들을 평가하고 해 결방안을 찾는 데 도움을 준다.. -. 정책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함 ①. 연방정부 및 정부 산하 기관들은 자신들의 일을 효율적으로 진행하 기 위해 공간정보데이터 및 기술서비스 등에 투자한다. 이러한 데 이터와 정보는 정부기관들이 가진 자산들 중 가장 가치 있는 자원 이다. 하지만, 정책결정자들은 이러한 데이터들이 자신들이 필요한 때에 맞추어 효율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있음을 종종 경험한다.. ②. 이는 문제에 대한 즉각 대응을 더디게 하고, 이로 인해 여러 가지 기회를 상실하며, 더 높은 비용을 초래하는 악순환적인 결과를 낳 는다. 더욱이, 최근에도 여전히 정책결정과 공간데이터의 부재 사 이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일관된 정보 제공망이 부족하다..

(36) 28 -. 공통 업무를 위한 효율적 지원 공간정보플랫폼은 정부출연 프로그램, 정기적 관리 및 감시, 응급. ①. 처치 및 대응, 환경영향평가, 시설 및 자산관리, 인력관리, 예산 및 수행관리 등을 포함한 연방정부기관들의 주요 활동을 위한 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러 기관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업무처리나 정보공유 등에 있어. ②. 일관되고 비용효율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공간정보플랫폼은 어떤 기관이 어떤 정보를 공유해야 하고 오픈해. ③. 야 하는지, 중복적인 업무로 인한 비용손실이나 추가적인 투자를 줄일 수 있는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한다.. 와 관련된 공간정보플랫폼 활용 사례: 식품안전강화. 3.1.4. USDA. ○ 배경 -. 미국은 매년. 5,000명이. 7,600만. 건의 급성 식중독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5,000명이 사망에 이른다. 이러한 음식으로 기인한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은 1.4조 달러(1.4 trillion)에 이른다. -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엄청난 양의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USDA의 경 제연구서비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에 의한 비용투자는 닭, 소, 돼지 등으로부터 생산된 육류제품이 향후 감염될 확률을 겨우 1/3 수준밖에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노동력, 기반시설, 식품안전기술의 투자결정 및 안전과정과 유통 을 향상시키는 기관들의 혁신과 이를 포함하는 경영 능력이 나머지 2/3 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주요 사안. 병원신세를 지며,. 32만. - 1977년 설립된 식품안전검역국(FSIS: Food Safety Inspection Service)은 동식물건강검역소(APHI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37) 29 로부터 육류를 검역하는 일을 수행한다.. USDA의 공공보건처는 FSIS의. 핵심 미션이 미국 전역의 고기, 닭 및 계란 등의 생산품을 안전하고 영 양이 풍부하게 공급하는 것이라고 명시한다.. - 부처들 간 식품안전에 관한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연방정부는 이해당사 자들과 기관 및 단체, 지방정부들이 식품안전에 관한 공공정책을 발표 하는 일들에 관여한다. 보다 투명한 검역절차와 식약품의 기능성 향상, 잠재적 질병 통제, 식품위험 관리의 향상은 기관들 간의 보다 높은 신뢰 를 쌓을 수 있게 하며, FSIS가 담당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이는 감염되거나 상한 음식으로 인한 질병과 사망 발생 확률을 감소시켜줄 수 있다.. ○ 공간정보플랫폼의 역할 -. 공간정보플랫폼은 공공의 참여를 유도하여, 직접적으로 식품안전으로. 인한 사고나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사고 발생 시 즉각 대응하게 한다. 초기버전의 공간감지와 관리참여는 개념적 모형과 문제의 진단 및 정의,. -. 발생유형의 식별, 해결방안 관리, 및 노하우 보유 등을 향상시켰다.. 기관들의 데이터, 검색도구 및 통합도구들을 통해 지역특성이 반영된. 공공정보와 연방정부가 보유한 정보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조직화 된 대응이 가능하다.. - 그뿐 아니라 다른 기관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그들의 노하우, 데이터 서 비스 모형 등과의 통합을 위한 노력은 식품안전관리시스템, 데이터분석 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 예를 들어,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질병대책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보건사회복지부 (Health and Human Services), 인디안보건부 (Indian Health Organization), 국토안보부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교육부 (Department of Education) 등의 연방기관과의 협력은 식품안전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실천적 행동에 투자대비 최대의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38) 30 - 수행평가기준과 관련해 게시판을 활용하여, 동일 군집에서 벗어나는 지 역들을 시각화하는 것은 관련기관 공무원들이 우선적으로 검역이 필요 한 곳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사회네트워크 툴을 활용한 공 장검역 데이터의 공간적 시각화는 정부 공무원들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 보다 효율적으로 검역기준을 강화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드백을. FSIS는 공장 직원들, 이웃들, 소비자들 및 유통업자들의 피 통해 검역대상(공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사용자들은 공간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과 관련된 연결장치나 메타데이터 등으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을. -.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식품안전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들은 검색엔진 제공. 자, 뉴스나 미디어업체, 학계, 리서처, 지역 공중보건 기관들, 비정부기 관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등으로 확장될 수 있다.. 공간정보플랫폼 비즈니스솔루션은 효율적 저장공간, 거래비용의 감소,. 데이터 및 서비스의 호스팅, 유지보수 등의 비용감소를 제공한다. 식품 안전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된 공간정보 서비스는 개발자들이 향상된 식 품안전을 위한 혁신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유도한다.. - 또한, 중복적인 개발이나 운영 등의 비효율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식품 안전데이터의 장기적 사용을 위한 책임은 공간정보플랫폼 환경에 달려 있으며, 공간정보플랫폼은 데이터의 에러나 고비용을 유발하는 운영비 용을 줄여 질 좋은 데이터를 생산하고 보유한다..

(39) 제. 3. 장. 중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2. 1.. 중국 농업·농촌 관련 공간정보 현황. 1.1 중국 농업·농촌 공간정보 관련 정책의 발전. ○ 중국에서 농업·농촌의 공간정보와 관련 기술의 개발과 응용은 개혁개방 이 후부터인. 20세기 197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薛領. 雪燕. 2004).. ○ 1994년 12월에 국가경제정보화 연하회의 제3차 회의에서 “금농공정(. 金農. )”을 제기하고 실시하였다. 이 공정은 농업과 농촌의 정보화의 가속화 추진을 목적으로 “농업종합관리와 서비스정보시스템”을 건립하는 것이다. 이 공정을 통하여 2010년까지 전국에서 관련 농업공간정보를 비롯한 관련 농업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기본적으로 정합 및 구축하였다. 工程. 2. 제3장은 위탁연구를 수행한 이순성 교수(중국 청도교육대학교)가 작성하였다..

(40) 32. ○ 2011년에 국가 농업부는. 전국 농업농촌정보화발전. ). 農村信息化發展十二五規劃. ‘12·5’계획(全國農業. 을 발표하여 지리공간정보를 포함한 농업농. 촌 관련 인프라를 더욱더 완비하고 서비스 수준을 전면 제고하여야 한다는 목표를 정하였다(中國電信智慧農業研究組. 2013).. ○ 2015년 2월에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와 국무원은. 개혁개방의 강도를 늘려. 농업의 현대화건설 가속화 발전에 관한 몇 가지 의견(關於加大改革創新力. ). 度加快農業現代化建設的若干意見. 을 발표하여 농업에 관한 과학기술의. 작용을 발휘하여 지혜농업(智慧農業) 체계를 강화하며 농업과학연구기관, 기업 그리고 농업·농촌과 관련 과학기술 단지를 의탁하여 농업·농촌의 정보 화 사업을 추진하고 관련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것을 제기하였다.. 1.2 중국 농업·농촌 공간정보 건설과 개발이용의 현황. ○ 최근 10여 년 동안 중국의 여러 기관에서는 이미 일정수준의 농업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건설사업을 전개하여 매우 많은 공간정보자원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정보자원들은 현재 대부분 각자의 개발기관에 분산되어 있으며 공유서비스를 전개하지 않고 자체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한 상태다.. ○ 현재 중국에서 구축되어 있는 중요한 농업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다음 과 같다(國家地理空間資訊協調委員會辦公室. (1) -. 2014).. 전국농업자원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 시스템(NASIS). 전국농업구사무실(全國農業區辦公室)과 농업부 발전계획사(發展計劃司). 의 창립건설입안 하에 중국농업과학원(中國農業科學院) 자원과 농업구획. 연구소와 각 성의 농업구획부문에서 공동으로 그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41) 33 -. 이 프로젝트는. 2001년. 말부터 전국. 13개. 성에서 시범사업을 개시하였. 다. 전국농업자원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시스템의 목표는 중국 농업자원 지리적공간정보의 표준화를 촉진하고 또 우리나라 농업생산관리와 전 략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 GIS공간데이터베이스와 공간데이터분석기능의 지지하에 농업자원데이 터베이스시스템(공간데이터베이스와 속성된 데이터베이스 포함)을 구 축하여 농업자원공간데이터의 고효율적인 관리와 과학적인 분석으로 전략에 보조적 역할을 실현하는 것이다.. - 이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은 2002년 말에 완성되었으며 시스템관리, 동적 데이터사전, 데이터검색, 조회, 그래픽, 통계분석, 데이터배포 등 기능을 가지고 있고 또 공간배포도, 원격감지공간계층사진, 농업통계데이터 등 을 포함한 각종 농업자원데이터 로밍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시스템의 총 용량이 50GB를 초과하여 현재 중국 국내에서 동종 지 리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중 최고로 알려져 있다. - NASIS는 전국농업자원정보의 관리 외에도 기타 행정구역 기반 정보시 스템과 연결하여 이용 가능하다. 현재 이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은 이미 농업부 자원원격탐지와 디지털농업중점실험실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전 국농작물원격 모니터링, 농업자원조사, 농업과학연구와 농업정책정보 지원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어 거대한 경제적 효과와 양호한 사회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현재는 이미 국가농업과학데이터 공유센터에 편입되었다.. (2). 농업생산관리와 기술자문서비스시스템의 응용. - 20세기 1990년대에 들어와서부터 중앙 및 지방정부의 농업부서에서 농 업생산관리의 정보화를 구축하고 농가들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자문서 비스를 추진하기 위해 정보기술과 대형데이터베이스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시스템을 구축해왔다. 농업부와 중국농업과학원 등 행정부.

(42) 34 서와 과학연구기관들은 대량의 인력과 물자를 지원하여 지리적 공간정 보시스템기술의 뒷받침으로 전문적인 예측모델,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전문가시스템, 컴퓨터네트워크기술 등을 도입하여 농업생산관리와 기. 술자문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해 왔다. 이를 통해 농업정보기술의 응용이 더욱더 높은 수준에 도달하게 되었다.. - 이런 연구개발로 이미 “농업경영관리정보시스템”, “향진(鄕鎭)기업관리 정보시스템”, “농촌에너지 및 환경모니터링관리정보시스템”, “벼 재배 프로그램모의시스템”, “밀 생산관리프로그램보조시스템”, “옥수수생산 프로그램자문시스템”, “면화생산관리모의시스템” 등을 포함한 수많은 잠재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농업 지리적 공간정보데이터시스템이 구 축되어 있다.. - 현재까지 이런 전문적인 생산관리의사결정에 쓰이는 공간정보데이터베 이스는 대부분 전문가지식계획의 응용단계에만 머물고 있으며 아직 일 반사용자들이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단계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3). 농작물 작황의 원격 모니터링과 원격탐지 농작물수확예측으로 형성 된 대량의 원격탐지 전문 영상. -. 중국 위성 원격탐지 농작물수확예측은. 198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밀, 벼, 옥수수, 콩, 면화 등 주요 농작물에 대한 위성 원격탐지 수확예. 측에 많이 사용하였다. 이 중에 밀의 위성원격탐지수확예측기술은 이미. 실용화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에 따라서 생성된 농업원격탐지 전문영상 은 이미 중국에서 매우 중요한 농업자원지리적공간의 정보자원으로 되 었다.. - 이와 같이 이미 진행된 상당수준의 인터넷공유의 농업자원 지리적 공간 데이터 외에 현재 중국에서 여러 관련 정부부서와 과학연구기관이 진행 하고 있는 농업자원에 관한 지리공간정보데이터도 있다. 예를 들어 북. 부초원에 관한 농업공간데이터로는 목초지생산력공간분포도, 초원가축.

(43) 35 분포도 등이 있다. 이러한 농업공간데이터가 아직까지도 해당 정부부서 나 과학연구기관 내부에서만 사용되고 있다.. - 중국 농업 GIS평가와 농업토지이용상황 원격 모니터링이 아직까지도 매 우 많은 부분이 내부에서만 사용되고 있는데, 농업공간데이터베이스와 영상데이터는 장래 농업자원지리적공간정보공유가 의존하게 될 중요한 정보자원이 될 것이다(國家地理空間資訊協調委員會辦公室. 2014).. 1.3 중국 농업·농촌공간정보의 개발응용에서 존재하는 문제점. ○ 과거 20여 년 동안 중국 국내 정부기관과 과학기술연구기관에서 이미 대량 의 인력과 재력을 투입하여 농업공간정보데이터의 수집과 정리를 진행하 였고 또 그 상당규모의 농업공간정보데이터베이스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 러나 전반적으로 보면 중국에서 농업공간정보의 건설과 개발응용은 아직 까지도 초급단계에 처하고 있으며 정보공유에 투입된 농업공간정보데이터 자원은 매우 제한되어 있는 상태다.. ○ 이에 따라서 농업공간정보자원의 개발응용도 보급수준에 미달하고 있는 것 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들은 중국 농업공간정보데이터자원이 중국 농업 과 농촌경제 발전에서 발휘해야 할 작용을 여러 면으로 제약하고 있다.. ○ 현재 중국 농업공간정보데이터자원 기초건설과 개발 응용 중에서 존재하 는 문제점은 주로 다음과 같다.. (1) 중국 농업공간정보 건설과 개발응용은 아직까지 초보단계에 처하고 있으 며, 일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농업공간정보데이터 자원 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國家地理空間資訊協調委員會辦公室 2014)..

(44) 36 - 20세기 1980년대. 이후부터 위성원격감지와 지리적정보기술은 중국에. 서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고 최근에 위성항법장치와 컴퓨터네트워 크기술의 발전도 중국 농업공간정보기초시설 건설을 촉진시켰다.. - 그러나 전반적으로 볼 때 농업공간정보 건설과 개발응용은 아직까지 초 보단계로 직접적으로 투입된 개발응용과 공유된 농업공간정보데이터자. -. 원은 많지 않다.. 또한 중앙정부는 공간데이터의 공유를 추진하기 위하여 “중국 지속가. 능한 발전정보공유 시범”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중국 농업공간정보공 유와 서비스시스템의 초보적인 틀을 구축하였다.. - 그러나 중국에서 지역 농업공간정보공유 및 서비스시스템에 관한 과학 연구 차원에서 대체적으로 가동단계에 있어 부문과 지역을 뛰어넘는 공 간데이터공유가 막 시작된 단계이기 때문에 아직까지 국가과학연구와 농업발전의 수요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2) 부문 이익의 유혹으로 농업공간정보데이터자원의 독점과 인프라중복 현상이 비교적 심한 상태이다. - 현재 중국의 제한된 농업공간정보데이터자원은 주로 각 연구기관과 농 업행정부문에 분산되어 있고 또한 각 업종과 부문이 자신의 이익을 위 해 제한된 정보를 자기만 가지고 있어 농업공간정보가 응당히 발휘해야. -. 할 작용을 하지 못하고 있다. 농업공간정보자원의 부문독점은 불가피하게 업종과 부문 간의 자원과 인프라 중복건설 현상을 야기하여 국가에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3) -. 기반시설건설에 대한 투입이 부족하여 농업공간정보의 인프라 운행 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몇년간 국가에서는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농업공간정보인프라건 설에 투입강도를 늘렸으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농업공간정보인프라에.

(45) 37 대한 투입이 아직도 매우 낮아 농업공간정보 발전의 수요에 크게 미치 지 못하고 있다.. - 특히 농업공간정보운행 시설에서의 투입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 에 이미 투입된 농업공간정보시스템의 기본적인 운행상태도 보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농업공간정보시설이 매우 낮은 이용수준에 처하고 있어 농업공간정보의 공유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4). 산업화 정도가 상당히 낮아 농업공간정보개발응용의 선순환에 들어 서지 못하는 것다.. - 중국 국내에서는 현재 정보결핍과 공유시스템의 원활에 있어 제한이 있 기 때문에 농업공간정보산업발전의 원가 비용이 너무 높아 아직까지 양 호한 투입-산출의 메커니즘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중국. -. 에서 공간정보의 응용영역에서의 확장을 제한하고 있다.. 중국 농업공간정보의 개발연구와 공유의 산업화발전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중국 농업공간정보공유를 추진하는 전제하에 이에 대한 투입을 늘 려야 한다..

(46) 38. 2.. 중국 농업·농촌 공간정보인프라의 구축. 2.1. 농업공간정보인프라건설의 목표, 임무와 배치 2.1.1.. 총괄적 목표. ○ 국가 농업공간정보인프라 건설의 총괄적 목표는 전국과 세계 주요 농산지 를 커버하고 체계가 건전한 동적모니터링과 정보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국가의 식량안전, 농업생산관리, 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보장하고 신속 적하고 전면적이며 정확한 정보제품의 제공을 통해 농업정보화 발전을 추 진하는 것이다(杜鷹. 2007).. ○ 농업자원의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이용을 위한 것이다.. - 중국농업자연자원의 총량은 매우 크지만 인구수가 너무 많기 때문에 1 인당의 자원보유량이 매우 적은 것은 사실이다. 향후 중국에서 농업발 전은 다시 환경을 파괴하고 희생하는 대가로 하여서는 안 되며 반드시 자원과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여 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의 전제 아래서 진행하여야 한다.. - 이로 인하여 국가 농업공간정보인프라 건설은 응당히 농업자원환경, 농 업생산 등 면에서의 기초정보에 대해 수집, 정리하여 각급 각지의 농업 자원환경, 농업생산과 농촌경제의 시공간적 변화에 대하여 신속하고 정 확하며 전면적으로 반영하는 정보서비스시스템을 구축하여 중국 농업 자원환경과 농업생산 등의 동적모니터링, 농업자원의 지속적이고 고효. 율적인 이용, 중국농업생산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결정적 토대를 제공하여야 한다.. ○ 농업정책결정과 관리를 위한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

스웨덴의 농업 정책 추진 체계는 대부분 유럽연합 공동농업정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 국내 상황에 맞게 자체적으로 도입한 특이한 농업 정책을 찾아보기 힘들다.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최근 미국 농무 부 소속 키토 무역관(FAS Quito)은 에콰도르 식품 제조업체의 판매 전략으로 생산품목 라인 다양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에콰도르 국내 식품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농산물 가공업과 소수의 소비재 산업을 포함하는 제조업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근 국가와 경쟁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2010년까지 꾸준히

국내경제는 세계경제 회복세 지 속으로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민간소비의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건실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임. 서비스업은 공공

「농업・농촌경제동향」은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으로 국내외 농업 여건의 변화와 농업・농촌경제의 주요지표에 관한 동향을 정리・분석하여 정책 담당자 및 농업종사

동남아의 주요 농업 원조기관인 세계은행, USAID, JICA의 농업 부문에 대한 국제개 발협력의 특징을 보면 수원국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원조 형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