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1호(2016. 10. 31.)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지성태 이현근 강대운

1. 한・EAEU FTA 추진 배경 ··· 1

2. EAEU의 농업 현황 ··· 3

3. EAEU의 對세계 농축산물 교역 동향 ··· 9

4. 한・EAEU 농축산물 교역 동향 ··· 13

5. 시사점 ··· 18

(2)

감 수 내용 문의 자료 문의

우병준 연구위원 지성태 부연구위원 성진석 선임전문원

061-820-2378 042-825-9551 061-820-2212

bjwoo@krei.re.kr dongsimjst@krei.re.kr jssaint@krei.re.kr

▪ 「KRE I 현안분석」은 농업・농촌의 주요 동향 및 정책 이슈를 분석하여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 이 자료는 우리 연구원 홈페이지(www.krei.re.kr)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3)

◦ ’16년 9월 3일 한・러 정상은 러시아에서 개최된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에서 한・

EAEU FTA 협상에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

- 한・EAEU는 지난 10월 5일 개최된 고위급 회담을 계기로 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를 종료하고 정부 차원의 FTA 추진 협의 본격화

◦ EAEU 회원국은 주요 식량작물과 곡물 가공품, 일부 축산물과 축산 가공품을 중심으로 생산하고 있으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교적 낮음.

- 농산물은 밀, 감자, 보리, 사탕무, 옥수수 등이 생산되며, ’10년 이후 연평균 10% 이상 (키르기스스탄 제외)의 큰 폭으로 증가

- 축산물은 우유(젖소) 생산량이 4,378만 톤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닭고기(400만 톤), 돼지고기(341만 톤), 계란(278만 톤)과 쇠고기(248만 톤) 순임.

◦ EAEU는 119억 달러의 농축산물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으며, 수출은 주요 곡물과 일부 낙농품, 수입은 자국 내 생산량이 적은 과일·과채류와 육류 위주임.

- 밀(메슬린)과 밀가루, 보리의 수출액은 각각 51.2억 달러, 5.8억 달러와 10.5억 달러로 각각 전 세계 수출액의 15.9%, 13.9%와 15.1%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

- 바나나, 사과와 만다린린류 수입액은 각각 10억 달러(8.3%), 8.9억 달러(15.1%)와 7.1억 달러(18.1%)이며,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11.1억 달러(8.0%)와 8.4억 달러(10.1%)임.

◦ 우리나라의 對EAEU 농축산물 수출액(1.9억 달러)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EAEU산 농축산물 수입액(4.4억 달러)은 증가 추세

- 농축산물 수출은 마요네즈(891만 달러), 잎담배(682만 달러), 유아용 조제식료품 (307만 달러)과 기타제조담배(154만 달러) 등의 가공식품 위주임.

- 농축산물 수입은 옥수수(1.4억 달러), 밀(468만 달러), 사향(1,098만 달러), 녹용 (1,028만 달러)과 우황(599만 달러) 등 곡류와 축산 가공품 위주임.

◦ ‘유라시아이니셔티브’와 ‘한・EAEU FTA’ 추진으로 유라시아 시장에 대한 우리나라의 무역・

투자 활성화가 전망되는 가운데,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을 바탕으로 농업분야 FTA 협상 및 對유라시아 농축산물 수출 전략 수립 필요

- EAEU 회원국의 농축산물 교역구조에서 주요 수출 품목과 수입 품목이 확연히 구분 되기 때문에 FTA 협상 시 품목별 차별적인 접근 전략 필요

- 한·EAEU FTA 추진을 계기로 새로운 수출품목을 발굴하고 검역 등의 비관세조치를 최소화하며, 기존 수출품목을 중심으로 선점효과를 극대화하여 수출시장 확대 노력

현안분석

제21호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4)
(5)

1

1. 한・EAEU FTA의 추진 배경

□ ’16년 9월 3일 한・러 정상은 러시아에서 개최된 제2차 동방경제포럼(EEF)에서 한・EAEU FTA 협상에 필요한 후속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

◦ 한・EAEU는 지난 10월 5일 개최된 고위급 회담을 계기로 민간 차원의 공동연구를 종 료하고 정부 차원의 FTA 추진 협의 본격화

- 우리나라는 ’13년 10월 ‘유라시아이니셔티브’ 발표를 통해 유라시아 국가와 무역・투자 등의 경제협력을 강화하기로 한 바 있음.

□ EAEU는 5개 구소련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경제연합체로 유라시아 지역 통합을 추진하고 있음.

◦ ’10년 관세동맹(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러시아)을 시작으로 ’12년 단일경제구역(CES) 창설을 거쳐 ’15년에 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이 출범

- ’14년 아르메니아가 관세동맹에 가입하고, ’15년 8월 키르기스스탄의 EAEU 가입 승인으 로 EAEU는 총 5개국으로 구성

표 1. EAEU의 발전 과정

구 분 연도 내 용 참여 국가

자유 무역지대

1994 유라시아 공동체 창설제의(카자흐스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자유무역지대 협정 체결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 탄, 러시아, 아르메니아, 몰도바, 타 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1996 경제 및 인도주의 분야 통합심화협정 체결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

탄, 러시아

1999 관세동맹 및 단일경제구역 조약 체결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러시아, 우

크라이나 2000 유라시아경제공동체(EurAsEC)기구 창설 조약 체결

관세동맹 2010 관세동맹(CU) 출범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러시아 공동시장

2012 단일경제구역(CES), 유라시아경제위원회 첫 활동 개시 2014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창설 조약 체결

아르메니아 관세동맹 가입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러시아, 아 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경재동맹 2015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정식 출범 키르기스스탄 EAEU 가입 협정서 최종 서명 초국가기구 2025 유라시아연합(EAU) 출범 목표

주: 2025년 초국가기구인 ‘유라시아연합(EAU)’ 출범 목표.

자료: 한국무역협회(2015) 재인용.

지난 10월 5일 개최된 고위급 회담을 계기로 정부 차원의

한·EAEU 추진 협의 본격화

(6)

2

◦ EAEU는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상임유라시아경제이사회(Supreme Eurasian Economic Council:

SEEC)를 중심으로 각국 총리로 구성된 차상위 의사결정기구와 행정 및 사법기관을 두고 있음.

- 차상위의사결정기구는 유라시아국가간이사회(Eurasian Intergovernmental Council:

EIEC), 행정기관은 유라시아경제위원회(Eurasian Economic Commission), 사법기관은 유 라시아경제연합법원(The Court of the Eurasian Economic Union)임.

그림 1. EAEU의 가입국과 소속 기구

자료: 한국무역협회(2015) 내용을 수정・재인용함.

□ EAEU의 총 인구, 총 GDP와 총 무역액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5%, 2.2%와 2.1% 수준

◦ EAEU는 인구 1억 8천만 명, 총 GDP 1조 6천억 달러, 총 무역액(對세계 수출+수입) 7천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 러시아의 무역액은 5,538억 달러로 EAEU 회원국 전체 무역액의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러시아의 인구와 명목 GDP 비중도 각각 80.0%와 83.8%에 달함.

- EAEU 회원국의 석유, 가스와 석탄 생산량은 각각 전 세계 생산량의 14.4%, 20.0%와 6.4%를 차지함.

표 2. EAEU의 주요 거시경제 지표

구 분 인구

(만 명)

총 GDP (억 달러)

국토 면적 (백만 ha)

對세계 수출 (억 달러)

對세계 수입 (억 달러)

자원생산량(Mtoe)

석유 가스 석탄

러시아 14,410 13,260 1,709 3,403 2,135 512.3 540.6 200.7

카자흐스탄 1,754 1,844 272 457 301 82.6 28.6 52.8

벨라루스 951 546 20 267 303 1.7 0.2 0.7

아르메니아 302 106 2.9 15 32 - - -

키르기스스탄 596 66 19 14 41 0.08 0.03 0.4

합계 18,013 15,821 2,022.9 4,156 2,812 605.7 569.4 254.6 주: 국토면적(2013년)과 자원생산량(2012년)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2015년 기준임.

자료: The World bank Databank, 통계청 국제통계, 한국무역협회(2015)의 내용을 수정·재인용함.

EAEU의 총 인구와 총 GDP가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2.5%와 2.2%임

(7)

3

2. EAEU의 농업 현황

2.1. EAEU의 농업 구조

□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업 GDP는 전 세계 농업 GDP의 3.5%(’14년 기준) 수준

◦ ’15년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업 GDP는 780억 달러로 EAEU 회원국 전체 GDP의 4.9%에 불과하며, ’11년 이후 연평균 6.2% 하락하는 추세를 보임.

- 러시아의 농업 GDP가 614억 달러로 EAEU 회원국 중 가장 큰 규모이지만, 러시아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6%로 가장 낮음.

- 아르메니아와 키르기스스탄의 농업 GDP는 각각 20억 달러와 11억 달러에 불과하지만, 각 국가의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9.4%와 15.9%로 비교적 높은 수준임.

표 3. EAEU 회원국별 농업 GDP 현황

단위: 억 달러, %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1~’15년

연평균 증감률(%)

러시아 805 796 853 854 614 -6.5

(4.0) (3.7) (3.8) (4.2) (4.6) -

카자흐스탄 110 101 120 107 92 -4.4

(5.5) (4.7) (4.9) (4.7) (5.0) -

벨라루스 56 62 59 66 43 -6.4

(9.4) (9.8) (8.1) (8.6) (7.8) -

아르메니아 23 21 23 24 20 -3.4

(22.8) (20.1) (20.7) (20.8) (19.4) -

키르기스스탄 12 13 13 13 11 -2.2

(18.6) (19.2) (17.0) (17.1) (15.9) -

합계 1,006 993 1,068 1,064 780 -6.2

(4.4) (4.0) (4.2) (4.5) (4.9) -

주 1) 농업 GDP는 Worldbank에서 제공하는 명목 GDP 대비 농업 GDP의 비중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임.

2) ( )는 각 국가별 총 GDP 대비 농업 GDP 비율임.

자료: The World Bank Ddatabank.

□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업 재배면적(Arable land)은 1.6억 ha 수준을 유지

◦ 러시아(1.2억 ha)와 벨라루스(560만 ha)의 재배면적은 ’09~’13년 기간 연평균 0.5%

증가에 그침.

- ’13년 기준 토지면적(land area) 대비 재배면적의 비율은 벨라루스가 27.5%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아르메니아(15.7%), 카자흐스탄(10.9%), 러시아(7.5%)와 키르기스스탄(6.7%) 순임.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업 GDP(전 세계의 3.5% 수준)는 감소세

(8)

4

표 4. EAEU 회원국별 재배면적(Arable land) 현황

단위: 백만 ha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09~’13년

연평균 증감률(%)

러시아 120 119.0 120.0 119.8 122.2 0.5

(7.4) (7.3) (7.3) (7.3) (7.5) -

카자흐스탄 29.2 28.7 29.2 29.3 29.4 0.2

(10.6) (10.6) (10.8) (10.9) (10.9) -

벨라루스 5.5 5.5 5.5 5.5 5.6 0.5

(27.3) (27.3) (27.2) (27.2) (27.5) -

아르메니아 0.4 0.4 0.4 0.4 0.4 0.0

(15.8) (15.8) (15.8) (15.7) (15.7) -

키르기스스탄 1.3 1.3 1.3 1.3 1.3 0.0

(6.7) (6.7) (6.7) (6.7) (6.7) -

합계 156.4 154.9 156.4 156.3 158.9 0.4

(8.1) (7.9) (8.0) (8.0) (8.2) -

주: ( )는 각 회원국별 재배면적이 회원국별 토지 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

자료: FAO.

□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촌 인구(5,173만 명)는 총 인구의 28.8% 수준이며, 매년 감소세를 보임.

◦ 러시아(3,694만 명)와 벨라루스(216만 명)의 농촌 인구는 매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 는 반면, 나머지 국가들의 농촌 인구는 소폭 증가 추세를 보임.

- 아르메니아를 제외한 모든 회원국의 총 인구 대비 농촌 인구 비중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농촌 인구가 가장 많은 러시아의 농촌 인구 비중은 25.7% 수준임.

표 5. EAEU 회원국별 농촌 인구 현황

단위: 만 명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1~’15년

연평균 증감률(%)

러시아 3,768 3,753 3,735 3,715 3,694 -0.5

(26.3) (26.2) (26.1) (25.9) (25.7) -

카자흐스탄 747 757 767 776 784 1.2

(45.1) (45.0) (44.8) (44.7) (44.5) -

벨라루스 236 231 226 221 216 -2.2

(24.9) (24.3) (23.8) (23.2) (22.8) -

아르메니아 109 109 110 111 112 0.7

(36.6) (36.7) (36.8) (36.9) (37.0) -

키르기스스탄 349 354 358 362 367 1.3

(62.9) (62.6) (62.3) (62.0) (61.8) -

합계 5,209 5,204 5,196 5,185 5,173 -0.2

(29.3) (29.2) (29.1) (28.9) (28.8) -

주: ( )는 각 회원국별 농촌인구가 회원국별 총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냄.

자료: FAO.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촌 인구(총 인구의 28.8% 수준)는 감소세

(9)

5

2.2. EAEU 회원국의 주요 농축산물 생산 현황

□ EAEU 회원국의 농업 생산은 식량작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요 작물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은 수준

표 6. EAEU 회원국별 주요 작물 생산량 현황

단위: 만 톤, %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0~’14년

연평균 증감률

러시아

밀 4,151 5,624 3,772 5,209 5,971 9.5

사탕무 2,226 4,764 4,506 3,932 3,351 10.8

감자 2,114 3,268 2,953 3,020 3,150 10.5

보리 835 1,694 1,395 1,539 2,044 25.1

옥수수 308 692 821 1,163 1,133 38.5

소계 9,634 16,042 13,447 14,863 15,649 12.9

(4.41) (6.77) (5.81) (5.96) (6.10) -

카자흐스탄

밀 964 2,273 984 1,394 1,300 7.8

감자 255 308 313 334 341 7.5

보리 131 259 149 254 241 16.5

옥수수 46 48 52 57 66 9.4

해바라기씨 33 41 40 57 51 11.5

소계 1,429 2,929 1,538 2,096 1,999 8.8

(0.72) (1.37) (0.74) (0.91) (0.86) -

벨라루스

감자 783 715 691 591 628 -5.4

사탕무 377 449 477 434 481 6.3

밀 174 213 255 210 292 13.8

라이밀 125 131 182 127 208 13.6

보리 197 198 192 167 199 0.3

소계 1,656 1,706 1,797 1,529 1,808 2.2

(1.23) (1.14) (1.24) (1.03) (1.17) -

아르메니아

감자 48 56 65 66 73 11.1

밀 18 22 24 31 34 17.2

보리 12 18 17 19 20 13.6

사탕무 3 6 5 5 5 13.6

옥수수 1 2 2 2 2 18.9

소계 82 104 113 123 134 13.1

(0.04) (0.04) (0.05) (0.05) (0.05) -

키르기스스탄

감자 134 138 131 133 132 -0.4

밀 81 80 54 82 57 -8.4

옥수수 44 45 58 57 56 6.2

보리 23 23 21 31 20 -3.4

사탕무 14 16 10 20 17 5.0

소계 296 302 274 323 282 -1.2

(0.14) (0.13) (0.12) (0.13) (0.11) - 주: ( )는 국가별 주요 5개 품목의 생산량이 해당 5개 품목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며, 음영은 그 비중이 5% 이상인 품목을 의미함.

자료: FAO.

EAEU 회원국들의 농업 생산은 식량작물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음

(10)

6

◦ EAEU 회원국에서 주로 생산하는 농산물은 밀, 감자, 보리, 사탕무, 옥수수 등이며,

’10년 이후 연평균 10% 이상(키르기스스탄 제외)의 큰 폭으로 증가

- 주요 작물 생산량은 대부분 러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며, 러시아의 밀(5,971만 톤), 사탕무 (3,351만 톤), 감자(3,150만 톤)와 보리(2,044만 톤)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각각 8.19%, 12.6%, 8.2%와 14.2%임.

- 카자흐스탄은 밀(1,300만 톤), 벨라루스(628만 톤), 아르메니아(73만 톤)와 키르기스스탄 (132만 톤)은 감자를 가장 많이 생산함.

□ EAEU 회원국은 주요 식량작물을 이용한 가공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작물 가공품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 미만

◦ EAEU 회원국의 주요 작물 가공품은 보리를 이용한 맥주, 설탕무를 이용한 설탕과 당 밀, 해바라기유와 포도주 등이 있음.

- ’13년 맥주 생산량은 984만 톤으로 ’09년 이후 연평균 4.1% 감소하고 있으며, 설탕(549만 톤)과 당밀(151만 톤) 생산량은 연평균 각각 9.0%와 10.1%의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

표 7. EAEU 회원국 전체의 주요 작물 가공품 생산량

단위: 천 톤, %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09~’13년

연평균 증감률

맥주(보리) 11,635 10,762 10,870 10,686 9,836 -4.1

설탕 3,881 3,271 5,413 5,895 5,487 9.0

해바라기씨유 2,942 2,702 2,720 3,822 3,496 4.4

당밀 1,028 1,069 1,874 1,696 1,511 10.1

포도주 545 810 746 673 630 3.7

소계 20,032

(4.8) 18,614

(4.3) 21,623

(4.7) 22,771

(4.8) 20,961

(4.5) 1.1

- 주: ( )는 주요 5개 품목의 EAEU 전체 생산량이 해당 5개 품목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자료: FAO.

□ EAEU 회원국에서는 주로 닭고기와 계란, 돼지고기와 양고기, 우유 등의 축산물을 생산하 며,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러시아(4% 수준)를 제외하면 극히 미미한 수준

◦ EAEU 회원국 전체적으로 우유(젖소) 생산량이 4,378만 톤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닭고기(400만 톤), 돼지고기(341만 톤), 계란(278만 톤)과 쇠고기(248만 톤) 순임.

- 러시아는 우유 생산량이 3,029만 톤으로 가장 많지만, 최근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닭고기(346만 톤)와 돼지고기(282만 톤) 생산량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는 추세 - 카자흐스탄과 벨라루스의 닭고기 생산량은 각각 14만 톤과 38만 톤 수준이며, ’09년 이후

연평균 15%의 높은 증가율을 나타냄.

EAEU 회원국의 식량 가공품과 축산물 생산량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수준

(11)

7

표 8. EAEU 회원국별 주요 축산물 생산량 현황

단위: 만 톤, %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09~’13년

연평균 증감률

러시아

우유(젖소) 3,233 3,159 3,139 3,150 3,029 -1.6

닭고기 231 256 290 330 346 10.6

돼지고기 217 233 243 256 282 6.8

계란 219 226 228 233 228 1.0

소고기 174 173 163 164 163 -1.6

소계 4,074 4,047 4,063 4,133 4,048 -0.2

(4.50) (4.37) (4.30) (4.27) (4.13) -

카자흐스탄

우유(젖소) 527 535 520 482 489 -1.9

소고기 40 41 39 37 38 -1.3

계란 18 21 21 20 22 5.1

닭고기 8 10 10 12 14 15.0

양고기 12 12 13 13 14 3.9

소계 605 619 603 564 577 -1.2

(0.75) (0.75) (0.71) (0.65) (0.66) -

벨라루스

우유(젖소) 655 659 649 675 663 0.3

돼지고기 39 40 42 44 47 4.8

닭고기 22 26 30 35 38 14.6

소고기 31 31 30 29 32 0.8

계란 19 20 20 21 22 3.7

소계 766 776 771 804 802 1.2

(0.85) (0.84) (0.82) (0.83) (0.82) -

아르메니아

우유(젖소) 57 56 56 58 60 1.3

소고기 5 5 5 5 5 0.0

우유(양) 4 4 4 4 5 5.7

계란 3 4 3 4 3 0.0

돼지고기 1 1 1 1 1 0.0

소계 70 70 69 72 74 1.4

(0.08) (0.08) (0.08) (0.08) (0.08) -

키르기스스탄

우유(젖소) 127 132 132 135 137 1.9

소고기 9 10 10 10 10 2.7

양고기 4 4 4 4 4 0.0

우유(양) 3 3 3 3 3 0.0

계란 2 2 2 2 2 0.0

소계 145 151 151 154 156 1.8

(0.20) (0.20) (0.20) (0.20) (0.20) - 주: ( )는 국가별 주요 5개 품목의 생산량이 해당 5개 품목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자료: FAO.

□ EAEU의 축산 가공품은 대부분 우유를 이용한 유제품이며, 주요 축산 가공품 생산량이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5% 수준

◦ EAEU 회원국의 우유 가공품 중에서 탈지분유 생산량이 1,531만 톤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치즈(150만 톤), 생크림(68만 톤), 버터(56만 톤) 순임.

축산 가공품 생산량이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1.5%로

상대적으로 높음

(12)

8

- 탈지분유와 버터 생산량은 ’09년 이후 연평균 각각 1.2%와 1.7% 감소하고 있으며, 치즈 생 산량은 1.6%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음.

- 돼지고기를 이용한 라드 생산량은 69만 톤으로 ’09년 이후 6.5%의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 하고 있음.

표 9. EAEU 회원국의 주요 축산 가공품 생산량 현황

단위: 천 톤, %

구 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09~’13년

연평균 증감률

탈지분유 16,098 14,714 15,332 15,311 15,310 -1.2

치즈 1,410 1,401 1,394 1,440 1,504 1.6

생크림 684 683 681 682 684 0.0

라드 536 573 596 627 690 6.5

버터 598 530 560 557 558 -1.7

소계 19,325 17,900 18,564 18,617 18,746 -0.8

(12.7) (11.7) (11.8) (11.5) (11.5) -

주: ( )은 5개 품목의 EAEU 전체 생산량이 해당 5개 품목의 전 세계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함.

자료: FAO.

(13)

9

3. EAEU의 對세계 농축산물 교역 동향

3.1. EAEU의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 EAEU 회원국의 對세계 전체 교역액은 553억 달러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한 반면, 농축산물은 119억 달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13년부터 무역수지적자 폭 확대)

◦ 전체 교역액 대비 농축산물의 수출액과 수입액 비중이 각각 15.8%와 44.0%로 농축산 물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와 키르기스스탄은 전체 교역액 대비 농축산물 교역액 비중이 비 교적 높은 편이며,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농축산물 수입액 비중만 비교적 높음.

표 10. EAEU의 對세계 교역 현황(2015년)

단위: 억 달러

구분 전체 농축산물 농축산물 비중(%)

수출액(A) 수입액(B) 무역수지 수출액(C) 수입액(D) 무역수지 수출 C/A 수입 D/B

러시아 1,060.4 574.9 485.5 133.9 250.5 -116.6 12.6 43.6

카자흐스탄 44.8 47.9 -3.1 23.9 19.3 4.6 53.3 40.3

벨라루스 172.7 77.9 94.8 40.0 40.3 -0.3 23.2 51.7

아르메니아 4.9 13.2 -8.3 3.8 6.6 -2.8 77.6 50.0

키르기스스탄 3.4 19.3 -15.9 1.4 5.7 -4.3 41.2 29.5

소계 1,286.2 733.1 553.1 203.0 322.4 -119.4 15.8 44.0

주: 교역액은 HS code 2단위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농축산물의 경우 01~24류(03류 제외)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음.

자료: USDA FAS.

□ ’15년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축산물 수출액은 203억 달러로 ’10년 대비 88.0%

증가한 반면, 농축산물 수입액은 322억 달러로 14.5% 감소

◦ 농축산물 수출액은 아르메니아(3.8억 달러)가 연평균 20.4%의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 으며, 그 다음은 러시아(134억 달러, 19.9%)와 카자흐스탄(23.9억 달러, 5.3%)순임.

- 러시아의 ’10년 농축산물 수출액 비중은 50.1%에 달했으며, ’15년에는 66.0%로 15.9%p 상승

◦ 러시아(251억 달러)와 카자흐스탄(19.3억 달러)의 농축산물 수입액은 연평균 각각 4.5%와 3.4% 감소했으며, 벨라루스(40.3억 달러)는 9.2% 증가

- 러시아의 ’10년 농축산물 수입액 비중은 83.8%에 달했으나, ’15년에는 77.7%로 6.1%p 하락 - 벨라루스의 농축산물 수입액 비중은 같은 기간 6.9%에서 12.5%로 5.6%p 상승

’15년 EAEU 회원국 전체의 농축산물 수출액은 203억 달러로

’10년 대비 88.0% 증가

(14)

10

표 11. EAEU의 對세계 농축산물 교역 동향

단위: 억 달러, %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0~’15년

연평균 증감률

수 출

소계 108.0 149.4 223.1 219.6 242.8 203.0 13.5

러시아 54.1 89.6 142.3 134.1 161.1 133.9 19.9

카자흐스탄 18.5 17.6 30.4 26.6 25.6 23.9 5.3

벨라루스 31.9 38.0 45.2 52.9 52.2 40.0 4.6

아르메니아 1.5 2.1 3.0 3.6 3.8 3.8 20.4

키르기스스탄 1.9 2.2 2.2 2.4 - 1.4 -5.9

수 입

소계 377.0 452.8 472.4 502.0 467.6 322.4 -3.1

러시아 316.1 369.1 381.8 403.0 373.4 250.5 -4.5

카자흐스탄 22.9 39.6 41.9 45.6 42.8 19.3 -3.4

벨라루스 25.9 29.4 32.9 36.6 43.3 40.3 9.2

아르메니아 6.7 7.8 8.1 8.4 8.1 6.6 -0.3

키르기스스탄 5.4 7.0 7.8 8.4 - 5.7 1.1

주: 농축산물 교역액은 HS code 01~24류(03류 제외)를 기준으로 산출함.

자료: USDA FAS.

3.2. EAEU의 농축산물 수입 동향

□ EAEU 회원국은 경제권 내 생산량이 적은 과일·과채류(바나나, 토마토, 사과, 포도 등)와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등)를 주로 수입

◦ 쇠고기와 돼지고기 수입액은 각각 11.1억 달러와 8.4억 달러이며, 전 세계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0%와 10.1%임.

- 쇠고기와 돼지고기 수입액은 러시아가 각각 10.9억 달러와 8.2억 달러로 가장 많음.

◦ 신선 상태로 수입하는 바나나, 사과와 만다린류 수입액은 각각 10억 달러, 8.9억 달러와 7.1억 달러이며, 전 세계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3%, 15.1%와 18.1%임.

- 바나나, 토마토와 만다린류 수입액은 러시아가 각각 9.1억 달러, 6.8억 달러와 6.1억 달러 로 가장 많고, 사과는 벨라루스(4.4억 달러)가 가장 많이 수입하고 있음.

◦ 잎담배(8.4억 달러), 홍차・부분발효차(6.0억 달러)와 커피 추출물(4.2억 달러) 등 가공 식품 수입액이 전 세계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0.1%, 25.0%와 10.8%로 비 교적 높은 수준임.

EAEU 회원국은 경제권 내 생산량이 적은

과일·과채류와 육류를 주로 수입

(15)

11

표 12. EAEU 회원국별・품목별 농축산물 수입 현황(2015년)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

스탄 소계 비중(%)

쇠고기(냉동) 1,088 17 5 - 0 1,110 8.0

바나나 910 23 56 - 6 996 8.3

대두 939 0 3 - 0 942 1.8

토마토(냉장) 676 69 160 2 3 910 11.4

사과(신선) 385 61 439 0 2 887 15.1

돼지고기(냉동) 824 3 8 - 4 839 10.1

잎담배 790 20 28 0 - 838 10.1

만다린류(감귤 이외 기타) 612 42 53 - 8 714 18.1

팜유 640 9 3 - 3 655 4.6

치즈(신선 이외 기타) 581 25 10 20 1 637 4.3

조제식료품(기타) 432 68 112 0 9 621 2.3

홍차와 부분발효차(기타) 508 88 1 0 4 602 25.0

포도주(2리터 이하) 485 33 20 3 2 543 2.4

사료용제조품(기타) 395 9 87 0 2 493 4.7

대두박 258 1 169 - 2 429 2.2

커피 추출물 359 3 53 0 3 418 10.8

포도(신선) 281 68 48 1 2 401 5.3

주 1) 2015년 기준 품목별 EAEU 전체 수입액이 4억 달러 이상인 품목만 제시함.

2) 비중은 특정 품목의 전 세계 수입액 중 EAEU 수입액의 비중을 의미함.

자료: USDA FAS.

3.3. EAEU의 농축산물 수출 동향

□ EAEU 회원국은 밀, 보리, 옥수수 등의 주요 곡물, 기타 치즈와 분유 등의 낙농품과 해바라기씨유 등을 주로 수출

◦ 밀(메슬린)과 밀가루, 보리의 수출액은 각각 51.2억 달러, 5.8억 달러와 10.5억 달러 로 각각 전 세계 수출액의 15.9%, 13.9%와 15.1%로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함.

- 밀과 보리는 러시아, 밀가루는 카자흐스탄이 가장 많이 수출함.

◦ 기타 치즈와 분유 수출액은 각각 5.3억 달러와 2.8억 달러로 각각 전 세계 수출액의 3.4%와 4.2%에 해당하는 규모임.

- 기타 치즈와 분유는 모두 벨라루스가 가장 많이 수출함.

◦ 해바라기씨유의 조유와 정제유 수출액은 각각 8억 달러와 4.1억 달러로 각각 전 세계 수출액의 32.3%와 14.9%의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함.

- 해바라기씨 조유와 정제유 모두 러시아가 가장 많이 수출함.

EAEU 회원국은 주요 곡물, 낙농품과 해바라기씨유 등을 주로 수출

(16)

12

표 13. EAEU 회원국별・품목별 농축산물 수출 현황(2015년)

단위: 백만 달러

구 분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

스탄 소계 비중(%)

메슬린 3,916 1,205 1 0 - 5,122 15.9

보리 943 104 1 - - 1,048 15.1

궐련 518 77 39 170 17 822 4.7

해바라기씨유(조유) 794 9 0 0 0 802 32.3

옥수수(기타) 598 6 - - 0 604 2.7

밀가루 86 486 4 - 0 575 13.9

기타 치즈 6 0 503 20 2 531 3.4

해바라기씨유(정제유) 397 7 1 0 - 405 14.9

코코아 함유 조제식료품 287 8 13 1 0 309 2.5

분유 4 0 268 0 3 275 4.2

대두유 270 5 0 - - 275 3.6

저에루크산 유채유와

그 분획물 183 5 86 - - 275 9.1

쇠고기(냉장/뼈채절단) 0 - 274 - - 274 6.6

해바라기박 252 8 0 - - 261 31.2

아마인 137 112 0 - - 249 29.1

대두박 226 9 0 - - 235 0.9

버터 9 2 215 0 2 227 4.9

자당(고체/향미) 7 0 202 0 0 210 2.3

주 1) 2015년 기준 품목별 EAEU 전체 수출액이 2억 달러 이상인 품목만 제시함.

2) 비중은 특정 품목의 전 세계 수출액 중 EAEU 수출액의 비중을 의미함.

자료: USDA FAS.

(17)

13

4. 한・EAEU 농축산물 교역 동향

4.1. 한・EAEU 농축산물 수출입 개황

□ 우리나라의 對EAEU 농축산물 수출액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EAEU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증가 추세를 보임.

◦ 우리나라의 對EAEU 농축산물 수출액은 ’08년 3.4억 달러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증감 을 반복하면서 2015년 1.9억 달러까지 감소

- 우리나라 전체 농축산물 수출액 중 對EAEU 수출액 비중은 ’10년 5.6%에서 ’15년 3.0%로 2.6%p 하락했으며, 對러시아 수출액이 1.3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은 카자흐스탄(4,903만 달러), 키르기스스탄(761만 달러) 순임.

- 가공식품 수출액(1.5억 달러)이 전체의 94.8%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10년 이후 연평균 8.4% 감소

◦ EAEU산 농축산물 수입액은 ’10년 이후 대체로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15년 4.4억 달러까지 증가 - 우리나라 전체 농축산물 수입액 중 EAEU산 농축산물 수입액의 비중은 ’10년 1.0%에서 ’15 년 1.4%로 소폭(0.4%p) 상승했으며, 러시아산 수입액(4.3억 달러)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 - 곡류 수입액(1.5억 달러)이 가장 큰 비중(60.9%)을 차지하며, 연평균 57.4% 증가

표 14. 한・EAEU 농축산물 국가별 교역금액 동향

단위: 만 달러, %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0~’15년

연평균 증감율

수 출

러시아 23,656 24,386 25,460 24,766 22,156 12,977 -11.3

카자흐스탄 2,649 4,548 3,440 4,707 5,157 4,903 13.1

벨라루스 1 147 5 21 6 26 91.9

아르메니아 260 174 202 170 84 110 -15.8

키르기스스탄 616 1,021 703 761 688 761 4.3

소계 27,181

(5.6) 30,276

(5.2) 29,810

(5.1) 30,425

(5.0) 28,090

(4.3) 18,777

(3.0) -7.1 -

수 입

러시아 24,336 25,135 24,532 30,453 43,727 42,841 12.0

카자흐스탄 82 902 268 865 699 656 51.6

벨라루스 74 62 22 20 47 172 18.4

아르메니아 1 1 8 45 22 8 51.6

키르기스스탄 12 5 19 51 51 93 50.6

소계 24,505

(1.0) 26,104

(0.9) 24,848

(0.8) 31,434

(1.0) 44,547

(1.4) 43,769

(1.4) 12.3 - 주 1) 농축산물 교역액은 농축산물 관련 HS 코드 2,599개를 대상으로 산출함.

2) ( )는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입액 중 EAEU 회원국 전체의 수출입액 비중을 의미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우리나라의 EAEU 농축산물 수출액은 감소 추세,

수입액은 증가 추세

(18)

14

표 15. 한・EAEU 농축산물 부류별 교역금액 동향

단위: 만 달러, %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10~’15년

연평균 증감율

수 출

농산물 24,826 27,147 27,367 27,672 24,278 16,018 -8.4

-곡류 60 46 100 92 136 61 0.3

-과일・채소 1,218 1,684 2,652 2,302 2,125 759 -9.0

-가공식품 23,549 25,416 24,615 25,279 22,016 15,198 -8.4

축산물 1,742 1,719 1,655 1,454 1,395 690 -16.9

임산물 6,130 1,410 788 1,299 2,417 2,068 -19.5

수 입

농산물 2,303 1,198 1,778 5,859 19,627 15,781 46.9

-곡류 1,585 137 984 5,172 19,121 15,325 57.4

-과일・채소 6 19 13 27 59 44 49.0

-가공식품 712 1,042 781 660 446 412 -10.4

축산물 1,452 2,359 1,720 2,258 2,378 2,812 14.1

임산물 20,750 22,547 21,350 23,317 22,542 25,175 3.9

주: 농축산물 교역액은 농축산물 관련 HS 코드 2,599개를 대상으로 산출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4.2. EAEU산 농축산물 수입 동향

□ EAEU산 주요 수입 농축산물은 옥수수와 밀, 사향, 녹용, 우황 등 축산 가공품

◦ 옥수수, 녹용과 우황 수입액은 감소 추세를 보이는 반면, 밀과 사향 수입액은 증가 - 옥수수 수입액은 1.4억 달러(6.5%)로 전년 대비 21.4% 감소했으며, 밀 수입액은 468만 달

러로 전년 대비 4.7배 증가

- 사향 수입액은 1,098만 달러(91.7%)로 전년 대비 1.1배 증가했으며, 녹용과 우황 수입액은 각각 1,028만 달러(31.8%)와 599만 달러(65.7%)로 전년 대비 각각 9.7%와 9.3% 감소

표 16. EAEU산 농축산물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톤

구 분 금액 중량

2013년 2014년 2015년 비중(%) 2013년 2014년 2015년 비중(%) 옥수수 30,540 184,316 144,945 6.5 121,933 748,361 689,750 6.7

사향 3,334 5,326 10,983 91.7 0 0 0 93.0

녹용 10,800 11,383 10,278 31.8 172 178 172 51.2

우황 8,337 6,605 5,994 65.7 0 0 0 51.1

밀 20,442 818 4,682 0.4 73,292 2,086 14,931 0.4

밀기울 522 1,451 1,227 3.7 2,187 6,625 5,912 3.9

짚 2,330 3,319 1,191 15.5 1,427 1,396 1,811 6.3

설탕박 0 4,487 828 2.5 0 12,797 2,893 1.9

유장 53 263 720 0.6 50 250 800 1.4

귀리 26 6 711 6.8 51 23 2,457 9.1

기타식물성액즙 656 846 706 0.8 8 9 8 0.4

초콜릿 959 767 539 0.3 221 183 132 0.4

대두 131 96 532 0.1 170 108 764 0.1

호두 295 286 526 0.4 45 35 91 0.7

주 1) 수입 품목(임산물 제외)은 2015년 기준 50만 달러 이상인 품목을 제시함.

2) 비중은 품목별 2015년 전체 수입액과 수입량 대비 EAEU산 수입액과 수입량 비중을 의미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EAEU산 주요 수입 농축산물은 옥수수와 밀, 사향, 녹용, 우황 등

(19)

15

◦ 국가별 주요 수입 품목을 보면, 러시아산 옥수수, 사향, 녹용과 밀, 카자흐스탄산 우황 을 주로 수입함.

- ’15년 러시아산 옥수수, 사향, 녹용과 밀 수입액은 각각 1.4억 달러, 1,098만 달러, 976만 달러와 468만 달러, 카자흐스탄산 우황 수입액은 597만 달러임.

표 17. EAEU 회원국별 주요 농축산물 수입 동향

단위: 천 달러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러시아

옥수수 0 94 2,514 3,054 184,316 144,945

사향 3,811 3,522 553 3,334 5,326 10,983

녹용 9,281 10,155 903 10,514 11,039 9,761

밀 15,668 1,157 2,949 20,442 818 4,682

밀기울 61 0 2,307 522 1,451 1,227

카자흐스탄

우황 393 8,408 2,273 8,337 6,605 5,967

녹용 272 591 165 286 344 517

감초 0 7 0 25 0 70

개 0 0 1 0 0 1

벨라루스

유장 0 0 0 53 263 720

짚 0 32 217 143 138 475

기타베이커리제품 0 0 0 0 4 60

쇠고기 0 0 0 0 59 45

보드카 0 0 0 0 0 20

아르메니아

포도증류주 23 3 2 7 6 22

혼합조제식료품 0 0 2 78 64 5

기타과실 0 0 0 0 0 4

키르기스 스탄

호두 0 0 163 295 286 526

감초 47 46 21 118 220 308

기타한약재 58 0 0 0 0 27

기타버섯 0 0 0 7 0 19

소원피 0 0 0 0 0 18

주: 수입 품목은 2015년 수입액 상위 5개 품목을 기준으로 제시하였고 임산물은 제외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4.3. 對EAEU 농축산물 수출 동향

□ 對EAEU 주요 수출 농축산물은 커피조제품, 궐련, 기타소스제품, 마요네즈와 라면 등

◦ EAEU로의 농축산물 수출액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이 다수 존재

- ’15년 기준 마요네즈(891만 달러), 잎담배(682만 달러), 유아용 조제식료품(307만 달러) 과 기타제조담배(154만 달러) 수출액은 전체 수출액의 각각 64.3%, 57.9%, 58.3%와 41.5%를 차지하고 있으나, 수출액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임.

EAEU 주요 수출 농축산물은 커피조제품, 궐련, 기타소스제품,

마요네즈와 라면 등

(20)

16

표 18. 對EAEU 농축산물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톤

구 분 금액 중량

2013년 2014년 2015년 비중(%) 2013년 2014년 2015년 비중(%) 커피조제품 62,236 51,354 36,856 13.5 25,756 22,232 19,042 26.3

궐련 38,047 24,367 35,774 4.0 2,423 1,394 1,881 2.9

기타소스제품 1,423 7,245 9,388 12.7 217 1,259 1,795 8.4

마요네즈 27,334 22,941 8,906 64.3 12,542 11,178 5,476 72.8

라면 12,621 12,137 8,630 3.9 2,866 2,627 1,925 3.5

잎담배 5,170 10,475 6,816 57.9 431 841 527 44.5

혼합조제식료품 28,526 16,657 6,636 0.8 17,319 9,828 3,815 0.8

곡류조제품 9,477 12,768 4,341 10.4 1,691 2,197 952 9.2

기타음료 9,021 9,537 3,953 2.1 10,970 12,507 5,128 2.4

단일과실조제품 16,158 13,806 3,746 5.5 19,409 17,609 5,405 7.7

물 15,813 13,208 3,634 4.1 20,477 18,132 5,108 5.3

가죽 5,236 3,019 3,381 5.7 161 103 146 9.9

비스킷 7,041 6,672 3,373 2.2 1,578 1,330 644 2.6

유아용조제식료품 8,875 10,624 3,067 58.3 4,830 5,789 1,989 70.3

간장 3,636 2,951 2,634 20.1 2,904 2,927 2,622 22.2

기타베이커리제품 2,096 1,799 2,182 2.0 427 373 601 2.9

기타조제식료품 3,698 1,855 1,786 6.2 1,661 1,013 932 7.4

기타제조담배 906 1,822 1,542 41.5 114 185 137 33.6

초콜릿 1,840 2,017 1,151 5.1 227 296 128 4.7

대두유 2,729 2,430 1,124 19.4 1,669 1,699 966 22.5

수우프브로드 1,223 1,698 1,111 24.4 378 491 343 26.1

검 322 956 1,060 6.0 38 111 144 4.1

기타단백질농축물 1,122 1,420 1,035 22.8 442 544 428 32.0

토마토 1,443 1,805 929 7.4 966 1,112 733 12.8

균질화담배 614 1,263 891 10.8 237 458 331 11.6

맥주 740 915 771 0.9 969 1,194 1,079 0.9

혼합조미료 7,958 2,228 744 3.4 1,394 411 178 3.7

기타식물성점질물 677 584 643 2.1 77 60 72 2.7

캔디 580 873 570 2.3 96 129 91 2.1

국수 579 458 570 1.8 170 166 207 1.4

채소종자 1,151 437 547 1.2 4 2 2 0.4

고추장 355 587 536 1.9 129 155 203 1.6

인스턴트면 87 716 520 1.5 24 127 96 0.5

주 1) 수출 품목(임산물 제외)은 2015년 기준 50만 달러 이상인 품목을 제시하였음.

2) 비중은 품목별 2015년 전체 수출액과 수출량 대비 對EAEU 수출액과 수출량 비중을 의미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 국가별 주요 수출 품목을 보면, 러시아로는 커피조제품, 궐련, 마요네즈, 기타소스제 품과 잎담배, 카자흐스탄으로는 궐련, 커피조제품, 라면과 혼합조제식료품, 키르기스 스탄으로는 궐련이 주로 수출됨.

- ’15년 對러시아 커피조제품, 궐련, 마요네즈, 기타소스제품과 잎담배 수출액은 각각 2,873 만 달러, 1,589만 달러, 890만 달러, 888만 달러와 682만 달러임.

- ’15년 對카자흐스탄 궐련, 커피조제품, 라면과 혼합조제식료품 수출액은 각각 1,480만 달 러, 656만 달러, 242만 달러와 202만 달러임.

- ’15년 對키르기스스탄 궐련과 커피조제품 수출액은 각각 407만 달러와 153만 달러임.

(21)

17

표 19. 對EAEU 회원국별 주요 농축산물 수출 동향

단위: 천 달러

구 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러시아

커피조제품 48,497 4,920 53,308 49,145 41,485 28,726

궐련 44,835 29,291 15,446 19,628 8,715 15,894

마요네즈 32,113 28,843 26,018 27,269 22,941 8,904

기타소스제품 774 679 932 866 6,978 8,876

잎담배 2,201 9,233 9,498 517 10,475 6,816

카자흐스탄

궐련 7,970 11,168 5,988 12,814 12,196 14,804

커피조제품 9,041 12,137 9,999 11,387 7,985 6,560

라면 507 1,293 1,861 1,820 2,619 2,418

혼합조제식료품 2,438 3,451 3,343 4,507 4,535 2,023

기타음료 596 711 334 812 245 617

벨라루스 사료첨가제 0 0 0 59 45 207

혼합조제식료품 1 1 23 69 0 49

아르메니아

궐련 2,527 1,607 1,867 1,558 692 1,011

커피조제품 0 36 52 28 38 36

단일과실조제품 13.4 36 67 65 49 23

기타음료 0 0 0 28 0 17

검 0 52 0 0 0 9

키르기스스탄

궐련 3,615 5,534 3,648 4,047 2,765 4,066

커피조제품 1,591 3,039 1,662 1,676 1,846 1,534

라면 83 250 420 319 534 663

기타음료 66 181 255 442 327 240

단일과실조제품 31 10 36 5 60 102

주: 수출 품목은 2015년 수출액 상위 5개 품목을 기준으로 제시하였고, 임산물은 제외함.

자료: 한국무역통계진흥원.

(22)

18

5. 시사점

□ ‘유라시아이니셔티브’와 ‘한・EAEU FTA’ 추진으로 우리나라의 유라시아 시장에 대한 무역・투자가 활성화될 전망

◦ 유라시아의 시장규모와 천연 자원 등을 배경으로 ‘유라시아이니셔티브’에 따른 사회적 인프라 관련 투자 확대 및 ‘한・EAEU FTA’에 따른 교역 확대가 예상됨.

□ EAEU 회원국들의 농촌 인구 비중은 여전히 높고 농업부문의 발전 잠재력이 큰 만큼 한·EAEU 농업분야 발전을 위해 윈-윈(win-win)할 수 있는 협력시스템 구축 가능

◦ 우리나라 해외농업개발의 일환으로 세계 주요 곡물 생산국인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의 국가들과 상호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우리나라에 비교우위가 있는 농기계, 비료 등 농업 후방연관산업, 농산물가공업을 중심으로 협력·진출 방안을 모색할 필요

□ EAEU 회원국의 농축산물 교역구조에서 주요 수출 품목과 수입 품목이 확연히 구분되 기 때문에 FTA 협상 시 품목별 차별적인 접근 전략 필요

◦ EAEU 회원국의 주요 수출 품목 중, 우리나라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곡물(밀, 보리, 옥수 수)은 양허대상 품목으로 구분해도 무방한 반면, 최근 수입 급증 및 국산 공급과잉 문 제가 대두되고 있는 유제품(분유, 치즈)의 수입개방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

◦ EAEU 회원국의 주요 수입 품목 중, 자국 내 생산량 부족으로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과일·과채류(토마토, 사과, 포도 등)와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등)에 대해서는 우 리 농축산물 수입개방을 적극 유도할 필요

□ 최근 對EAEU 우리 농축산물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한·EAEU FTA 추 진을 계기로 對유라시아 수출시장 확대 노력

◦ EAEU 회원국의 수요에 기초하여 새로운 수출품목을 발굴하고, FTA 협상과정에서 검 역 등의 비관세조치를 최소화하여 원활한 수출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며, 이미 EAEU 시장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상품 중심의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 선점효과를 극대 화해야 함.

농업분야 FTA 협상 시 품목별 차별적인 접근 및 유라시아

농축산물 수출 전략 수립 필요

(23)

KREI 현안분석 제21호

EAEU 농축산물 생산・교역 동향과 시사점 등 록 제6-0007호(1979. 5. 25.) 발 행 2016. 10. 31.

발 행 인 김창길

편집위원 최지현, 우병준, 김수석, 김용렬, 한석호, 문한필 발 행 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우) 58217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대표전화 1833-5500 http://www.krei.re.kr 인 쇄 (주)한디자인코퍼레이션

02-2269-9917 admin@han-d.co.kr

이 책에 실린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공식 견해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 책에 실린 내용은 출처를 명시하면 자유롭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무단 전재하거나 복사하면 법에 저촉됩니다.

(24)

참조

관련 문서

◦우리나라 전체 농축산물 교역이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사드(THAAD) 갈등으로 중국과의 교역

농업 부문에서 주로 논의된 내용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글로벌 식량 생산 시스템 구축과 이력추적을 통한 효율적인 글로벌 공급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농업용 기계를 통해 인력을 대체할 경우 생산 단가는 줄이고 생산 효율은 높일 수 있다 는 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주요 작물 및 중점 단계에서의 생산 기계화를 빠르게 추진하도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 (유예기간 이후) 영국이 EU에서 탈퇴하고, 세계 경기불황과 소비심리 위축이 전 세계적으 로 확산될 경우, 원화가치 하락에 따른 원자재 수입부담 증가,

 하지만 금년 하반기 엘니뇨 발생 전망으로 주요 곡물의 생산량 전망치가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어 향후 국제곡물 주산지의 생산 동향과 겨울철 파종 및

동남아의 주요 농업 원조기관인 세계은행, USAID, JICA의 농업 부문에 대한 국제개 발협력의 특징을 보면 수원국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원조 형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