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국의 농업·농촌관련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현황

3.1. USDA의 공간정보플랫폼 정책

3.1.1. USDA의 공간정보플랫폼 및 통합 공간 정보인프라 정책 목표

○ USDA 내에 있는 공간정보운영국(EGMO: Enterprise Geospatial Management Office)은 USDA의 미션과 목표에 맞게 공간정보데이터와 관련한 전략적 계

- 1990년 OMB(Office of Management Budget)는 미국대통령실과 독립된 연방정부의 대표들로 구성된 FDGC(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를 설립했다. 지난 20년 동안, FGDC는 공간정보플랫폼의 설립과 관련된 비전, 기초정책, 전략 및 세부적 내용들을 논의하고 이끌어왔다.

- FGDC는 공간정보 네트워크(Geospatial Clearinghouse Network), 공간

그림 2-12. FGDC 주도하에 진행된 공간정보플랫폼 관련 계획 정보 원스톱서비스(GOS: Geospatial One Stop), 공간정보 비즈니스 라 인(Geospatial LoB)을 포함한다.

- 2010년 FGDC는 공간정보자료를 관리하고 운영하기 위한 계획 및 정책 안을 발의했다. 2011년 예산안을 통해, 종합적인 공간정보플랫폼을 만 들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다.

- 2010년 12월, 미국 백악관과 정보부장관은 “연방정부 정보기술운영을 위한 25개의 실행안(25 Point Implementation Plan to Reform Federa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을 발표했다. 이 안은 연방정부가 투자대비 효율을 높이고, 낭비와 중복을 줄이며, 효과적으로 IT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한다.

자료: FGDC(2013: 11).

3.1.3. USDA의 공간정보플랫폼의 역할과 기여

○ USDA 공간정보플랫폼(www.geoplatform.gov)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원스톱 서비스”로 믿을 수 있고, 미국전역에 걸쳐 일관된 데이터정보 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의 자원을 위한 프레임을 문서로 제공한다.

- 파트너들이 데이터를 서비스하고, 분석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이다.

- 공통적인 공간정보 데이터들을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 간이다.

- Federal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하에 설립된다.

○ USDA 공간정보플랫폼(www.geoplatform.gov)은 다음과 같은 항목들에 기 여한다.

- 공간정보 데이터의 사용과 공유를 표준화하고 공개하는 일 - 콘텐츠에 기여하기 위해 구성된 연방정부 기관들 및 조직

- OMB Circular A-16 Portfolio Management가 신뢰성 있는 내용들을 유 지하고, 우선적인 데이터,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예산을 배정

-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FISMA)와의 표준화된 클라우드 서비스를 만드는 일

그림 2-13. 공간정보플랫폼을 위한 개념적 모형

자료: <www.geoplatform.gov>.

○ 공간정보플랫폼의 차별화된 특성은 다음과 같다.

- 공간정보플랫폼의 가장 큰 특징은 연방정부, 주정부, 지방정부와 일반기 업 등으로부터 획득한 광범위한 공간정보데이터를 www.geoplatform.gov 의 사이트를 활용해 고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 데 있다. 이 사이트 는 연방정부 차원의 정보제공 사이트인 www.Data.gov와 차별화된다.

- 이 공간정보플랫폼은 오픈화된 표준 및 설계로 인해 기존의 플랫폼들과 데이터베이스, 다양한 언어들 및 애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수 있게 한 단 계 높은 차원으로 설계될 것이다. 이러한 공간정보플랫폼은 특정한 목 적을 가진 GIS 전문가들뿐 아니라 GIS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이나 신뢰

할 만한 수준의 서비스나 애플리케이션을 원하는 프로그램 매니저들에 게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형태이다.

- 이러한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간정보플랫폼은 ‘신뢰할 수 있 는’ 데이터, 서비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데이 터는 The National Map, National Wetlands Inventory, and National Aerial Imagery Program 등과 협력하여 이미 구축된 데이터 및 서비스

○ 공간정보 플랫폼의 주요 과제: 시간과 상황에 따른 정확한 정보 제공

- 정책결정자들이 빠르고 시간 효율적으로 자신들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 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데이터들이 존재하고 사용 가능한지를 제공 - Data.gov와 Federal cloud computing initiative를 보조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Federal Geospatial Porfolio Management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 - 사용자기반의 툴로 주요 발의안(Administration's Open Government

Initiative and Place-Based Plicies Initiative)들을 보조함

○ 공간정보플랫폼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국가 주요 이슈들을 다루기 위해 필요함

① 미국이 직면하고 있는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안을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일들을 지원한다.

② 공간정보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정책결정지원시스템(decision support tools), 애플리케이션, 시각화 툴(visualization) 및 신뢰성 높은 공간정보들을 활용해, 경제 고용 환경 건강 복지 안전 및

- 공통 업무를 위한 효율적 지원

- 1977년 설립된 식품안전검역국(FSIS: Food Safety Inspection Service)은 동식물건강검역소(APHIS: Animal and Plant Health Inspection Service)

로부터 육류를 검역하는 일을 수행한다. USDA의 공공보건처는 FSIS의

- 예를 들어,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질병대책센터 (Centers for Disease Control), 보건사회복지부 (Health and Human Services), 인디안보건부(Indian Health Organization), 국토안보부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교육부 (Department of Education) 등의 연방기관과의 협력은 식품안전을 위한 데이터 구축 및 실천적 행동에 투자대비 최대의 효과를 가져다줄 것이다.

- 수행평가기준과 관련해 게시판을 활용하여, 동일 군집에서 벗어나는 지

중국의 농업·농촌 공간정보 현황과 공간정보플랫폼 사례 조사 2

1. 중국 농업·농촌 관련 공간정보 현황

1.1 중국 농업·농촌 공간정보 관련 정책의 발전

○ 중국에서 농업·농촌의 공간정보와 관련 기술의 개발과 응용은 개혁개방 이 후부터인 20세기 1970년대 말에 시작되었다(薛領 雪燕 2004).

○ 1994년 12월에 국가경제정보화 연하회의 제3차 회의에서 “금농공정(金農 工程)”을 제기하고 실시하였다. 이 공정은 농업과 농촌의 정보화의 가속화 추진을 목적으로 “농업종합관리와 서비스정보시스템”을 건립하는 것이다.

이 공정을 통하여 2010년까지 전국에서 관련 농업공간정보를 비롯한 관련 농업정보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기본적으로 정합 및 구축하였다.

2 제3장은 위탁연구를 수행한 이순성 교수(중국 청도교육대학교)가 작성하였다.

○ 2011년에 국가 농업부는 전국 농업농촌정보화발전 ‘12·5’계획(全國農業

- 이 프로젝트는 2001년 말부터 전국 13개 성에서 시범사업을 개시하였

서와 과학연구기관들은 대량의 인력과 물자를 지원하여 지리적 공간정

분포도 등이 있다. 이러한 농업공간데이터가 아직까지도 해당 정부부서

- 20세기 1980년대 이후부터 위성원격감지와 지리적정보기술은 중국에

대한 투입이 아직도 매우 낮아 농업공간정보 발전의 수요에 크게 미치 지 못하고 있다.

- 특히 농업공간정보운행 시설에서의 투입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기 때문 에 이미 투입된 농업공간정보시스템의 기본적인 운행상태도 보장하지 못하고 있으며, 농업공간정보시설이 매우 낮은 이용수준에 처하고 있어 농업공간정보의 공유수준을 제한하고 있다.

(4) 산업화 정도가 상당히 낮아 농업공간정보개발응용의 선순환에 들어 서지 못하는 것다.

- 중국 국내에서는 현재 정보결핍과 공유시스템의 원활에 있어 제한이 있 기 때문에 농업공간정보산업발전의 원가 비용이 너무 높아 아직까지 양 호한 투입-산출의 메커니즘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중국 에서 공간정보의 응용영역에서의 확장을 제한하고 있다.

- 중국 농업공간정보의 개발연구와 공유의 산업화발전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중국 농업공간정보공유를 추진하는 전제하에 이에 대한 투입을 늘 려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