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르완다 농업 현황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르완다 농업 현황 *"

Copied!
3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가별 농업자료

르완다 농업 현황 *

김 용 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국가 개요

1)

르완다는 아프리카 중동부 국가로 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DRC), 우간다, 부룬디 에 둘려 싸여 있는 내륙 국가이며 총 국토면적이 남한면적의 1/4 수준인 26,338㎢로 작은 나라이다. 기후는 열대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이 23℃이며 2011년 현재 인구는 1,137만 명으로 수도인 키갈리에 110만 명1)이 거주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수도인 키갈 리와 4개 지역(동부, 서부, 북부, 남부 등)으로 구성되며 지방 행정구역은 30개 구 (Districts), 416개 지방자치구(Sectors), 2,146개 셀(Cell)로 이루어져있다. 정치 체제는 대통 령 중심제이다. 2011년 르완다 국내총생산(GDP)은 59억 달러로 1인당 GDP는 584달러 에 불과하다. 이처럼 르완다는 매우 작은 나라이지만 아프리카 어느 나라보다 대통령 의 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경제발전을 적극 추진하고 있어 최근 국제사회로부터 많은 관심과 지원을 받고 있다.

* (yongkim@krei.re.kr, 02-3299-4233).

(2)

표 1 르완다 국가 개요 국  명 르완다 공화국(Republic of Rwanda)

위 치 아프리카 중동부 내륙(탄자니아,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부룬디와 접경) 수 도 키갈리(Kigali)

주요 도시 부타레(Butare), 키부이에(Kibuye), 니안자(Nyanza)

행정구역 4개 주 및 1개 시(30개 구 및 416 지방 자치구)/2006년 개편 기준 기 후 열대성 기후, 연평균 23℃

주요자원 커피, 차, 주석, 텅스텐 종 족 Hutu(85%), Tutsi(14%), Twa(1%)

면 적 26,338㎢(남한의 약 1/4) GDP 59억 달러(2011년)

인 구 1,137만 명 (2011년) 1인당 GDP 584달러(2011년)

정치 체제 공화제 (대통령 중심제)

(7년 임기, 1회 재선 가능) 대외 정책 다변화 개방정책

주요 정당

르완다애국전선(RPF) - 투자 민주공화운동(MDR) - 후투

사회민주당(PSD), 자유당(PL), 온건민주당(PDC) 등

산업 구조 농업(33.6%),제조업(14.1%), 서비스업(52.3%) 한국과의 수교일 1963.3

독 립 일 1962.7.1 (벨기에) 통화단위 르완다프랑(Rwanda Franc)

('13: USD 1=RF 630) 종 교 가톨릭(56%), 기독교(26%), 이슬람교(4%),

Adventist(11%) 언 어 공식언어: 영어, 프랑스어,

키냐르완다어

그림 1 르완다 지도

(3)

그림 2 르완다 행정구역

자료: Promar consulting, 2012.

2. 일반경제 동향

르완다는 1962년 독립 이후 1970년대까지 건전한 재정정책과 해외원조 및 양호한 교역 조건으로 비교적 견실한 경제성장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 들어와 주력 수출품인 커피의 국제가격이 하락하면서 불안정한 경제성장을 보이기 시작하여 급기 야는 1985년에 성장률이 2.9%까지 하락하였고, 1990년까지 정체된 경제성장을 겪었다.

르완다 내란 이후 집권한 투치정권은 화해(Reconciliation), 개혁(Reform), 구조조정 (Reconstruction), 지역 안정(Regional stability) 등 4R 정책을 통하여 전후 경제복구 및 생 활 안정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생계형 농업에 의존하는 후진적 산업구조를 탈피하고 자 노력한 결과 1995년 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1995년 이후 연평균 경제성장률이 10%를 넘어섰으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아프리 카 전체 평균 성장률을 넘어섰다. 2011년에는 세계경제 위기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출 확대, 서비스산업 성장, 관광산업 회복 등으로 경제성장이 8.2%까지 증가하는 안정적

(4)

표 2 르완다 거시 경제지표

구분 단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경상 GDP Rwf 1,440 1,718 2,046 2,579 2,992

성장률 % 19 19 19 26 16

실질 GDP(2006) Rwf 1,571 1,716 1,849 2,064 2,187

성장률 % 9.4 9.2 7.7 11.6 6

1인당GDP 1000 Rwf 161 186 214 262 296

1인당GDP 경상 달러 289 333 391 480 520

GDP 기여도

농업 % 38 38 36 33 34

제조업 % 14 14 14 15 14

서비스 % 42 42 44 46 46

조정 % 6 6 6 6 6

자료: Claude Bizimana, Feliaen Usengumakiza, John Kalisa and John Rwirahira, 2012.

표 3 르완다 경제정책의 목표

지표(단위) 2000 2006 2010 목표 2020목표

인구(천명) 7700 8200 10200 13000

문맹율(%) 48 80 100

기대수명(년) 49 49 50 55

여성 출산율(%) 6.5 6.1 5.5 4.5

유아사망률(%) 107 86 80 50

산모사망률(%) 1070 846 600 200

유아영양결핍률(%) 30 152 20 10

인구성장률(%) 2.9 2.6 2.3 2.2

순 초등학교 등록률(%) 72 92 100 100

초등학교 등록률 성장률(%) 24 100 100

중학교 전환율(%) 42 60 80

중학교 등록 성장률(%) 7 23 40 60

자료: Claude Bizimana, Feliaen Usengumakiza, John Kalisa and John Rwirahira, 2012.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르완다는 국가 재정의 약 50%를 해외 원조에 의존하는데, 2009/10년에는 원조액이 증가하여 균형 예산을 달성한 바 있다. 비록 르완다 정부가 수출 및 세수 증가를 바탕 으로 빈곤 감소를 위한 인프라 투자를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유럽 경제의 불황으로 대외 원조의 감소와 함께 재정적자도 예상된다. 경제구조를 보면 GDP에서 제조업과 농업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감소한 반면, 무역, 교통, 통신, 금융 및 보험 부문 비율

(5)

20

15

10

5

0

농업성장률 전체 GDP 성장률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그림 3 르완다 전체 GDP 성장률과 농업성장률

이 증가하고 있다.

농산물 가공업과 소수의 소비재 산업을 포함하는 제조업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하여 인근 국가와 경쟁하고 있으며 서비스 산업의 비중은 2010년까지 꾸준히 증가 하여 르완다 경제의 47%를 차지하고 있다. 내륙국인 르완다는 지리적 조건으로 수송 비가 높게 들며 수출품목이 제한되어 있어 수출은 주로 커피, 차, 관광업 등 소수 품목 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르완다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달리 광물자원 매장량 이 적은 국가로, 소량의 금, 주석, 원광석, 텅스텐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키부 호 수 근처에서 메탄가스가 발견되어 이의 상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3. 르완다의 농업 현황

국민총생산의 34%를 차지하는 르완다의 농림수산업은 수출의 79%, 고용의 80%를 차지하고 있어 르완다 경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산업이다. 이와 같은 산업 비중으로 인하여 농업은 르완다의 빈곤 해소에 크게 기여하는 산업이며 경제성장을 위한 투자 효율성이 높은 산업이다. 그리하여 르완다에 있어 농업은 해외로부터 투자를 유치하 고자 하는 산업의 하나이다. 제조업은 아직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며 전 체 국민총생산의 7%만을 차지하고 있다. 르완다 경제는 2004년 이후 연평균 5~10%

정도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 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수도 키갈리는 지속적인 도시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중규모의 건설 사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시장에서 과일과 채소 판매 또한 증가하고 있다.

(6)

르완다는 장기 우기(2월~5월)와 단기 우기(9월~11월) 등 2개의 우기가 있다. 그리고 아래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3개의 작부체계가 있다. 곡물은 주로 9월~10월에 파종되 는 A시즌과 2월~4월까지 파종되는 B시즌에 생산되며 대부분 2모작이 가능하다. C시즌 에는 저지대 습지나 오랜 건기동안 관개되어 있는 지역에서 주로 채소를 생산한다.

그림 4 키갈리의 강우량 추세

℃ mm 30.0

25.0 20.0 15.0 10.0 5.0 0.0

180 160 140 120 100 80 60 40 20 0

강수량(mm) 최소강수량 최고강수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자료: WMC.

그림 5 르완다 작부체계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우기 건기 우기 건기

시즌A 파종 성장 수확

시즌B 파종 성장 수확

시즌C 수확 파종 성장

자료: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Rwanda 2009.

르완다는 고도 800~4,500m에 있으며 수많은 호수가 있고, 1,000개 이상의 구릉으로 이루어진 나라(country with a thousand hills)이다. 르완다의 농경지는 전체 247만ha 중 193만ha며, 이 중 경작 가능한 용지는 전체의 62.3%, 관개시설을 갖추어진 용지는 1만 5천ha로 대부분의 경작지는 자연 강우(천수답)에 의존하고 있다.

(7)

표 4 경지면적과 재배면적(2005-2010), NISR(2010b)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총 경지 면적

(1,000ha) 2,294.38 2,294.38 2,294.38 2,294.38 2,294.38 2,294.38 총 재배 면적

(1,000ha) 852.26 868.31 846.42 1,715.64 1,735.03 1,755.32

자료: Claude Bizimana, Feliaen Usengumakiza, John Kalisa and John Rwirahira, 2012.

3.1. 농지

농가당 경지면적은 매우 작아 60%이상의 농가가 0.7ha 미만이며, 50%가 0.5ha 미만 을 25%가 0.25ha의 농지를 소유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농지가 분산되어 있고 작 게 분할되어 있어 르완다의 농업 발전에 큰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림 6 르완다의 농지규모 분포,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Rwanda 2008

%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0.20 0.20- 0.50- 1.0- 2.0- 3.0- 4.0- 5.0- 10.0- 20.0- 50.0- ha 0.49ha 0.99 1.99ha 2.99ha 3.99ha 4.99ha 9.99ha 19.99ha 49.99ha 99ha 자료: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Rwanda 2009.

르완다는 험준한 산악지형을 가지고 있으나 농토가 비옥하여 농지로 사용이 가능하 다. 비료와 같은 투입물의 사용은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지역의 평균량의 절반도 되지 않으며, 생산성이 있는 종자도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작물의 55%이상이 산지의 급 경사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고 수요가 적은 카사바 같은 작물들은 한계 농지인 경사지 나 비옥도가 낮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농업통계(2008)에 따르면 농지의 24.3%가 구릉지의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45.8%가 구릉경사지, 12.0%가 구릉지의 낮은 지대, 15.8%가 평원지역, 2.2%가 저습지역

(8)

이다. 르완다 경작가능면적의 82.1%가 구릉 경사지에 놓여 있다. 구릉 경사지에서는 바 나나, 옥수수, 카사바, 감자, 콩, 커피, 차, 아보카도 등이 경작된다. 구릉경사지는 거의 관 개가 이루어지지 않아 어떻게 하면 강우량이 낮은 건기(5월-8월)에 토양 수분을 유지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 르완다 정부는 정책목표로 2020년까지 구릉경사지 6만ha 에 관개시스템을 구축하기로 정하였다. 대부분의 구릉 경사지는 이미 작물 재배로 개발 된 상태이기 때문에 비로 인하여 토양이 쉽게 침식되고 그 결과 토양이 매우 척박한 상 태로 남아있게 된다. 이와 같은 토양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부분 농가에게 배수로를 파거나 테라스 주변에 코끼리 부들(elephant grass)2)를 심도록 권고하고 있다.

저습지는 구릉으로 둘러싸여 있는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물관리가 어렵고 말라리아 등으로 인하여 영농관리가 잘 되지 않는 지역이다. 식민지 시대부터 배수 처리를 통하여 저습지를 개발해 왔으며 특히 차 농업이 시작되었다. 르완다 정부는 저습지의 농업개발 을 위하여 중국의 기술협력을 통하여 대규모 쌀 농업을 도입하였다. 현재 모든 저습지 지 역은 르완다 정부에 의하여 국유화된 상태이다. 저습지는 르완다에서 농업을 확장하기 위하여 유일하게 남아있는 지역이므로 농촌지원프로그램(Rural Sector Support Program, RSSP)과 같은 정책프로그램을 통하여 대규모 관배수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이렇게 구 축된 시스템은 농민조합에 임대된다. 정부는 6만6천ha의 저습지 지역을 확인하였고 이중 에서 13,500ha는 이미 개발하였으며 2020년까지 추가로 4만ha를 개발할 예정이다.

3.2. 농산물 재배면적과 농업 생산

<표 5>는 작물별 재배면적의 변화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르완다 통계연보에 따르 면 2010년 전체 농산물 재배면적은 175만 5천ha이며 이중에서 곡물은 38만ha, 옥수수 는 18만 5천 톤, 콩류는 46만ha, 감자와 카사바 등 서류는 48만 9천ha, 바나나는 33만 4천ha이었다.

농업생산은 연속적인 흉년으로 심각한 식량부족을 경험한 2003년을 제외하고 안정 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 커피와 차의 국제가 격이 높아지면서 이들 생산도 되살아나고 있다. 르완다의 전통적인 자급 작물은 바나 나, 카사바, 감자, 고구마, 수수, 강낭콩이다. 또한 비교적 새로운 자급 작물로 옥수수, 밀, 쌀 재배를 정부가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산도 증가하고 있다. 감자는 북서부 비교적 온도가 낮은 지역인 주산지에서 카사바는 남동부의 비교적 고도가 낮은 지역

2) 부들의 일종.

(9)

표 5 농산물 재배면적 변화(1990 - 2010)

단위: 천 ha 구분 1990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총계 1,414 1,151 1,214 1,302 1,511 1,592 1,614 1,616 1,597 1,620 1,642 1,681 1,727 1,724 1,755

곡물 248 195 196 212 278 287 295 311 321 344 322 342 359 350 380

옥수수 99 76 71 73 89 106 105 103 107 109 115 140 145 147 185

수수 133 109 115 129 174 165 172 180 179 197 170 160 143 146 133

밀 9 6 6 5 10 11 12 21 22 24 23 27 52 42 49

쌀 7 3 4 5 4 5 6 8 12 14 14 15 18 14 13

콩 345 289 289 281 406 420 436 445 407 406 446 467 458 480 460

일반 콩 263 239 235 228 333 344 358 357 319 313 356 356 337 346 319

대두 27 14 18 19 30 30 31 36 37 42 42 55 62 66 72

그 외 46 34 29 27 30 32 31 35 32 35 31 37 39 45 48

땅콩 9 3 7 7 13 15 16 17 19 16 16 19 21 23 21

덩이식물 402 316 300 377 425 477 476 443 457 426 423 436 472 459 489

커피 132 82 76 118 120 136 130 134 134 116 119 143 163 180 197

차 42 42 28 30 109 117 125 134 133 136 140 114 127 126 151

제충국 176 149 149 180 175 198 195 147 163 149 139 147 150 123 112

사탕수수 52 43 46 49 21 26 25 27 27 27 25 32 32 29 29

바나나 401 350 405 410 360 363 359 358 363 361 366 352 349 344 334

과일 및 채소 18 na 19 21 42 44 47 58 48 82 85 84 90 90 92

그 외

커피 na na na na na na na na na 33 39 32 43 *29 *29

차 na na na na na 10 10 10 10 12 12 12 13 *13 *14

제충국 na na na na na 2 3 3 3 3 na na na na na

사탕수수 na na na na na na na na na na 4 4 4 *4 *4

주: *추정치.

자료: Rwanda Statistical Year Book.

을 중심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바나나는 동부에서 많이 재배되는 등 지역별 차이가 보 이지만, 자급 작물은 거의 모든 지역에서 재배가 되고 있다. 이런 자급 작물은 농가에 서 자가 소비용으로 재배되는 것 외에, 농촌과 도시의 시장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으 며, 농가에서는 이런 자급 작물을 환금용으로 중요하게 여긴다.

(10)

최근 들어 식량작물의 생산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2007년 A시즌에 330만 톤이었던 식량작물의 생산량은 2011년 A시즌에는 1.6배 증가한 524만 톤으로 늘어났다. 이렇게 식량작물 생산량이 크게 늘어난 것은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옥수수와 감자 생 산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표 6 르완다 식량작물의 생산량 변화(2006A-2011A)

단위: 천 톤

작물 2006A 2007A 2008A 2009A 2010A 2011A

총작물 3,432 3,295 3,891 4,783 5,079 5,243

곡류 116 128 232 331 414 409

수수 13 14 13 20 14 8

옥수수 66 74 133 217 327 341

밀 9 11 38 38 42 27

벼 28 29 48 56 31 33

콩류 145 248 232 241 244 210

완두 120 195 181 187 187 179

콩 8 13 12 16 18 12

땅콩 6 6 6 6 5 6

대두 12 34 32 32 34 13

곡류 1,567 1,156 1,625 2,048 2,405 2,588

감자 759 374 573 822 1,035 1,113

고구마 317 296 288 332 313 283

타로 75 83 77 77 76 67

카사바 416 403 688 818 981 1,124

바나나 1,187 1,307 1,308 1,651 1,505 1,483

채소 및 과일 417 457 494 511 511 552

자료: MINAGRI, 2010.

특히 옥수수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아래 <그림 7>에서 보는 같이 옥수수 단수의 빠른 증가에 기인하고 있다. 르완다 정책담당자들은 옥수수를 주요 정 책 대상 및 투자 우선순위가 높은 품목으로 인식하고 있다. 왜냐하면 옥수수는 르완다 의 전통적인 주곡이 아니지만 최근 옥수수 생산이 급증하여 이의 효율적인 활용에 대 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옥수수는 이모작으로 윤작과 농업생산성 향상에 유리 한 작물이기 때문에 르완다 정부는 사료산업 육성의 기반으로 옥수수 생산에 많은 정 책적 관심을 갖고 있다.

(11)

그림 7 옥수수 단수의 변화 추이

단위: Kg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 2010A

2009B

2009A

2008B

2008A

2007B

2007A

2006B

2006A

2005B

2005A

2004B

2004A

2003B

2003A

2002B

2002A

자료: MINAGRI, 2010.

르완다에서 콩류는 곡물 재배면적의 19%를 차지하고 있다. 콩류의 생산은 2004∼ 2010년 사이에 10.2% 증가하였고, 2007∼2010년 사이에는 재배면적이 축소되어 생산 량이 약간 증가하였다. 콩은 농촌인구의 주요한 식량자원이기 때문에 수확 후 관리기 술을 적극 보급하는 것이 시급한 상태이다.

과수와 채소재배는 1990년에 비해 4배 정도 급격히 증가하였고(18,374ha→83,959ha), 감자(42,055ha→114,164ha)와 밀(9,313→27,161ha) 재배가 3배 정도 증가 되었으며, 다음 으로 쌀, 수수, 옥수수, 그리고 땅콩의 면적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바나나와 카사바의 재배면적은 약간 줄었고, 고구마 등 뿌리작물은 재배면적이 급 격히 줄었다. 르완다의 환금 작물은 커피, 홍차, 제충국 등이 있다. 이 밖에 야채나 과 일 등 원예작물 생산도 증가하고 있다.

3.3. 가축 사육

르완다 정부는 가축 사육을 통하여 영양 상태를 개선시키고 가축 분뇨를 퇴비로 활 용하는 토양 개량 측면에서 가축 사육의 확대를 장려하고 있다. 2009년 조사에서는 농 촌가구에서 가축을 사육하고 있는 가구가 62%로 나타났다. 가축은 주로 젖소와 육우 를 사육하고 있다. 정부가 1 농가에 소 1 마리씩 사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 를 시행하면서 사육 두수가 증가하고 있다. 전통 품종 이외에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개 량 품종을 도입하고 있다. 또한 염소도 사육이 용이하기 때문에 고기와 우유를 얻을

(12)

그림 8 르완다 곡물의 생산과 소비

단위 : 지수 1,600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생산 소비

2010A

2009A

2008A

2007A

2006A

2005A

2004A

2003A

2002A

자료: MINAGRI, 2010.

목적으로 농가에서 많이 사육하고 있다. 육계 산업은 아직 발달되지 않고, 또한 돼지 사육 두수도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육류 수요 증가에 따라, 닭, 돼지, 토끼 사육도 증 가하는 경향이다<표 7 참조>.

표 7 축산물 생산량 변화 추이(2000 – 2010)

단위: 톤

구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우유 57,853 63,484 97,981 112,453 121,417 135,141 152,511 189,827 257,480 334,727 401,672 육류 25,608 35,748 39,128 43,589 48,681 49,861 52,228 54,780 69,637 65,863 79,035 생선 6,996 7,308 7,612 8,144 8,126 8,180 9,267 9,655 12,594 14,104 16,924 알류 920 1,015 2,432 3,402 2,452 2,452 1,538 1,620 2,327 3,268 3,921

꿀 762 760 819 908 1,029 1,671 1,676 1,084 1,654 2,684 3,221

가죽 N.A. N.A. N.A. 982 2,158 3,138 3,183 4,137 4,496 4,098 5,327

자료: MINAGRI, 2011.

3.4. 농산물 소비

르완다는 곡물과 식품을 많이 수입하지만 2003년 이후 곡물생산이 빠르게 늘어나 2011년에는 주곡을 자급하였다. 2007년 르완다 식품수급표를 보면 일인당 하루 소비 영양 칼로리는 2,200kcal로 취약한 식량안보 상황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이들 칼로리

(13)

가 대부분 채소, 요리용 바나나, 감자, 카사바, 곡물, 콩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며 동물단백질 소비는 인당 4.5g에 지나지 않는다.

르완다 정부는 2011년 총인구를 1천 70만으로 추정하였다. 매년 인구증가율이 2.9%에 이른다. 르완다 정부는 인구를 조정하기 위하여 가족계획프로그램을 시행하지만 유엔은 르완다 인구가 2025년에는 현재 인구의 1.5배인 1,500만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농산물 생산이 크게 증가되어야 한다.

3.5. 농가의 식량수급 및 영양공급 상태

UN식량농업기구(FAO)는 2005-2008년 기간 동안 르완다의 연간 영양결핍인구가 평 균적으로 전체 인구의 32%에 달하는 3백만에 이르는 것으로 발표하였다. 이들 영양 결핍인구들은 주로 농지가 매우 부족한 북서부지역과 남부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그 럼에도 2006년에 비해서는 영양 상태가 크게 개선되었다.

농촌 가구의 식량소비 실태를 보면 소비의 45%는 자가 생산이고 나머지 52%는 시 장에서 구입한다. 이 사실은 농촌지역이라고 하더라도 시장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주는 것이다. 농촌 가계가 월 평균 소비하는 금액은 27,500르완다프랑(RWF)이다.

이중 식품에 소비되는 비중은 45%이다. 주로 농업에 고용되어 있는 가난한 농가는 식 량 구입에 소득의 53%를 사용하는 반면, 농업에 고용되어 있는 부유한 농가들은 소득 의 44%를 식량구입에 사용하고 있다. 농업고용노동자들의 경우는 자신 소득의 62%를 식품소비로 사용하고 있다. 소득을 어떤 식품 구입에 사용하는지를 살펴보면 소득의 24%는 곡물, 24%는 바나나, 괴경(Tuber), 구근(Root)에, 10%는 기름과 지방, 9%는 설탕 과 소금, 단지 9%만이 고기와 동물 식품 구입에 사용하고 있다.

3.6. 농가와 협동조합

르완다 정부의 2008년 농업통계에 따르면 2008년 당시 르완다 농가 수는 약 167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이 중 90%는 자가 농업을 주로 하는 가구 이다. 세대별 평균 소유면적은 0.76ha 이지만, 56.8%의 가구가 0.5ha 이하 농지를 소유 하고 있다. 2ha이상의 농지를 소유하는 농가는 전체의 6.2%를 차지하고 있지만 과거 1984년에는 2ha이상의 농지를 소유한 비중이 16.4%이었다. 르완다 농정 과제의 하나 는 이처럼 갈수록 진행되고 있는 농지 세분화이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남부 Huye 및 Bugesera, 북부 Nyabihu에서는 농지 면적이 0.1ha도 미치지 못하는 가구가 30%를 초과 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농가 중 세대주가 남성인 가구가 73%, 여성인 가구는 27%

(14)

이다. 이는 전쟁과 학살로 과부가 많아졌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농가인구는 828만 명으로 인구의 약 84%를 차지한다. 6세 이상이 669만 명이지만, 이 중 학교 교 육을 전혀 받은 적이 없는 이들이 21.7%,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은 이들이 53.5%, 초 등학교 졸업 16.9%, 중학교 이상의 학교 교육을 받은 이가 7.9%이다.

2007년에 협동조합법(Cooperative Law)이 제정됨에 따라 무역산업부(MINICOM) 산하의 협동조합국 관할 하에 농업을 포함한 각 분야에서 주민의 조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농 업가축자원부(MINAGRI)도 협동조합(지역협회와 연맹을 포함)을 중요한 조직으로 인식하 고 협동조합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까지 인증된 조합 중 약 60%가 영농조합이 다. 영농과 관련된 협동조합은 대부분이 작물별로 조직되어있다. 옥수수, 쌀, 바나나, 밀 등의 경종 작물과 원예 작물, 커피 재배, 차 재배, 양돈, 양식 등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

또한 바나나 맥주 가공 등의 가공 분야도 협동조합이 조직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협동조 합은 지연적인 내용이 아니라, 생산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형성하는 것이다. 공공 조직 이 아닌 민간 기업과 거의 같은 위상이지만, 협동조합은 다양한 우대 조치가 있다. 차 재 배에 있어 이전 국영공장이 소유하고 있던 차 농장을 민영화함에 따라 조직된 협동조합 이 있다. 습지 개발에도 협동조합이 있다. 습지에서 쌀 생산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협 동조합을 형성해야하고, 100% 조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부 주도로 2007년에 곡물저 장 조합도 설립되었다. 농가는 의무적으로 수확물 100kg을 조합에 공출한다. 이는 식량 안보를 위하여 부당한 가격으로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2009년 조사에 따르면 29%의 가구가 신용대출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대답했다. 주 요 차입처는 은행/소액금융(micro-credit)이 38%, 가족이나 친구가 24%이었다. 자금을 차입한 이유는 가사/재건축(27%), 식료품 구입(18%), 농업을 포함한 사업 투자(16%), 부 지 매매(12%), 농업 투입재 구입(12%), 질병 치료(11%) 등으로 되어 있다. 르완다는 농 업 금융 및 소액 금융의 계획은 아직 일반화되어 있지 않지만,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신용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재정경제계획부(MINECOFIN)는 2006년에 르완다 소액금 융정책을 발표하고 2008년에 소액금융기관협회(AMIR)를 설립하여 소액 금융을 총괄 하고 있다. 민간 상부상조를 위한 협동조합 형식으로 소액 금융기구(Umurenge SACCO(

Savings and Credit Cooperative))를 추진하고 있으며, 2009년 9월 현재 이미 87개의 조합 이 만들어져있다. 또한 소액 금융의 전문 은행으로 Urwego Opportunity Bank가 설립되 어 있다. 또한 비료 구입에 관해서는 커피, 쌀, 차 등의 협동조합이 지원하고 생산물의 판매에서 비료 대금을 공제하고 있다.

(15)

3.7. 농수산물 수출입

르완다에서는 농산물 수입이 수출을 초과한다. 수출 농산물에서 가장 중요한 품목 은 커피와 차이다. 이들 2개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4%에 이른다.

2010년에 커피 총 수출액은 5천 7백만 달러이었으며 차 수출액은 3천 4백만 달러이었 다. 다른 수출 농산물로는 가축(소와 염소)과 알코올과 기타 음료수 등이다. 제충국 (Pyrethrum) 추출액이 가장 중요한 수출품목의 하나이고 수출액은 160만 달러였다. 르 완다는 세계 제충국 시장의 5%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 수입품은 곡물, 기름, 설탕이다. 르완다는 곡물을 탄자니아에서 수입하고 쌀은 파키스탄, 밀은 아르헨티나와 아랍 에미리트에서 수입하며 옥수수는 우간다 같은 이웃나라로부터 수입한다. 팜오일, 기타 오일이나 지방 및 설탕 공급은 이웃나라에 의존한다. 가공식품과 유제품은 이웃 나라로부터 수입한다. 무역적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커피, 차, 기타 농산물 수출을 증대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농업과 관련하여 많이 수입하는 것이 비료이다. 2010년에 비료 수입으로 2천만 달러를 사용하였다. 또한 르완다와 이웃나라인 콩고민주공화국, 우간 다, 탄자니아와 비공식적인 무역도 르완다 경제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정부의 비 공식적인 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비공식적인 무역은 콩고민주공화국에 수출하는 것 이며 비공식적인 수출이 비공식적인 수입보다 더 많지만, 비공식적인 무역을 감안하 더라도 농수산물 교역은 무역적자의 기조이다.

2010년 르완다의 비공식적인 무역액은 5,170만 달러였으며 이중 농수산물 수출은 전 체 수출액의 75% 수준인 4,000만 달러이었다. 공식적인 무역통계에 따르면 농산물 수 출액은 1억 8백만 달러이었으며 이 공식적인 무역액과 비공식적인 농산물 무역액인 4,000만 달러를 비교해보면 비공식적인 무역이 공식 무역액의 40%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콩고민주공화국으로 수출하는 상품이 르완다 총 비공식적 무역의 80%에 달한 다. 공식적인 무역통계에 따르면 대부분이 콩고로 수출되는 커피 원두와 차이다. 반면 에 비공식적인 무역으로 생가축, 염소, 돼지, 옥수수가루, 감자, 우유, 땅콩, 고기 등이 역시 DRC에 수출된다. 우간다와의 비공식적인 무역과 같이 생가축, 콩, 감자, 땅콩 등 이 주요 수출품목들이다. 반면 비공식적인 수입액 2,070만 달러의 75%가 농수산물이며 이는 총 공식적 무역액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이다. 비공식적 수입의 절반가량이 우 간다로부터 수입되며 주요 수입품은 수수, 양파, 쌀, 부룬디에서 수입하는 커피원두, 콩 고민주공화국에서 수입하는 요리용 바나나, 탄자니아로부터 수입하는 쌀 등이다.

커피와 차 이외에 르완다 주요 외화 수입원은 친환경 관광부문이다. 2010년 친환경 관

(16)

광산업으로부터 거의 2,7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르완다 친환경관광의 주요 고객은 주 로 유럽인이다. 이와 같은 친환경 관광산업은 외화 수입과 지역에 고용 기회를 창출한다.

4. 농업 정책

르완다 정부의 정책체계는 2000년에 책정된 국가개발계획 '비전 2020(Vision 2020)'에 설정되어 있다. 2020년은 정책 목표에 매우 중요한 해이다. 또한 2002년에는 '빈곤 감 소 전략 문서(Poverty Reduction Strategy Paper, PRSP)'가, 2007년은 '경제개발 빈곤 감소 전략(EDPRS)" 이 작성되어 현재는 2008~2012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제개발 빈곤 감소 전략(EDPRS)‘에 따라 각종 경제·사회 정책을 수립·실시하고 있다.

농업 정책으로 2004년 ‘국가 농업정책(NAP)’과 '농업개혁 전략계획(PSTA)'을, 2009년 에 2기의 ‘농업개혁 전략계획(PSTAⅡ)’을 수립하였다. 르완다는 외국으로부터 원조를 받 는 수원국이지만 정부가 중점 분야를 주도하고 원조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농정 목표를 총괄적으로 조정⋅추진하고 있다. 정부 정책은 EDPRS 목표에 대한 영향과 GDP 지표, 무역 적자 감소에 대한 기여 등을 고려하여 시행되고 정책담당자가 개별적 으로 목표 달성의 책임을 지고 있다. 르완다 정부는 계획에서 실시까지 시행 속도가 매 우 빠른 편이다. 또한 정부 예산이 제한되어 있어 외국으로부터의 지원을 적극 이끌어 내고 있으며 외국의 민간 투자에 대한 기대도 높다. 한편, 르완다 정부는 국영 기업을 민영화하여 산업을 활성화 시키려고 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농업·농산물 가공산업에 대하여 외자를 적극 유치하고자 하고 있다. 또한 부패 방지 노력도 진행되고 있어 세계 은행이나 IMF 등으로부터 거버넌스를 잘하는 모범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르완다 는 사형을 폐지하고, 학살 관여 등 많은 수감자를 도로 건설과 농지 정비 등 공공사업에 무상 노동력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는 공공사업의 조속한 시행에 기여하고 있다.

4.1. 르완다 농업정책의 중점분야

르완다 농업정책의 중점 과제는 식량안보의 관점에서 식량공급을 증가시키고 수입 을 대체하는 것이다. 작물별로 보면 자급 작물로 쌀, 밀, 옥수수, 콩, 감자, 카사바 등 6개의 작물이지만 바나나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이외에도 경제 발전을 위하여 고부가가 치 수출 작물의 생산을 중요한 과제로 다룬다. 수출용 작물로는 전통적 수출 작물인 커피, 차, 제충국 외에도 고부가가치 원예 작물과 가공품 육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농업생산의 증가를 위해서는 ① 토양 침식으로부터 농지 보호, ② 시비량 증

(17)

그림 9 국가재정과 농업재정 규모

7 6 5 4 3 2 1 0

2006 2007 2008 2009Mini 2009/2010 2010/2011

가, ③ 습지와 구릉지의 관개 면적의 증가 등 3개 목표를 중요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축산 분야에서는 개량종의 젖소를 보급하여 소득을 향상시키고 축산 증산을 통하여 단백질 공급의 증가와 퇴비 생산을 도모하고 있다.

비전 2020에서는 농정 목표로 2020년까지 농업 인구를 50%, 비료의 투입량을 ha당 15kg, 공급 열량을 2,200kcal/일/인, 토양 침식에서 농지 보호 비율을 90% 등으로 설정하였다.

비전 2020 지표 단위 2000 2010 2020

농업 GDP 성장률 % 9 8 6

농업 인구 % 90 75 50

개관 농지 % 3 20 50

비료 투입량 Kg/ha/년당 0.5 8 15

농업 분야의 정부 지출 % 1 15 20

공급 열량 Kcal/일당/인당 1,612 2,000 2,200

단백질 공급 % (1일 권장량) 35 55 65

토양 침식에서 농지 보호 비율 % 20 80 90

표 8 비전 2020에 있어서의 주요 농정목표

또한 아프리카연합(AU, African Union)의 농업개발 종합프로그램(Comprehensive Africa Agriculture Development Programme, CAADP)에 따라 르완다 정부는 의무적으로 정부지 출의 10%를 농업 발전에 사용하기로 약속한 바 있다<그림 9 참조>.

(18)

르완다 정부는 선진국의 원조공여국 지원 하에 작물집중사업(Crop Inten- sification Programme, CIP), 축산수경관개(Land husbandry, Water harvesting and Hillside irrigation pro- gramme, LWH)사업에 중점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국가적으로 토지 사용 강화, 비료 및 종자 배분, 수확 후 활동, 마케팅, 농업의 변환을 위한 전략적 계획 2단계 (Strategic Plan for the Transformation of Agriculture, Phase II 2009-2012)를 수립하여, 2008 년부터 곡물 증대 프로그램을 시행한 결과로 식량 생산성이 증대되었으며 아프리카 북동부의 식량 위기 극복에 기여하고 있다. 작물집중사업(Crop Intensification Program, CIP)은 2007년 9월에 시작한 르완다 정부의 프로젝트로 자급자족 및 식량 안보로 자국 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처럼 작물집중사업을 통하여 2006∼2010 년 사이 4.9%의 평균 농업성장률을 달성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비료, 개량종자와 영농 지도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짐으로써 농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작물집중사업의 주요한 성과는 개량종 옥수수 종자의 사용 증가(61.8%), 전국의ha당 비료 사용이 2006 년 8.5kg에서 2010년 거의 두 배인 16.0kg으로 늘었고, 통합 정리된 토지사용의 면적이 2008년 28,000ha에서 2010년 254,448ha로 9배 정도 늘어났다. 경제개발 빈곤감소전략 (EDPRS)의 농업정책 우선순위는 농업투입요소에 대한 접근성 강화, 토양 보전과 수자 원 관리(관개 포함), 축산물 개량 육종에 대한 접근성 강화 등이 있다.

표 9 EDPRS에 포함된 농업부문 목표, PSTA II

EDPRS 단위 2006 2012

토양 침식에서 농지 보호 % 40 100

관계 면적 ha 15,000 34,000

관계 면적 중 구릉지 관계 면적 ha 130 10,000

매립한 습지대 ha 11,105 31,105

비료 사용 Kg/ha 4 12

무기질 비료의 사용 % (농가) 11 17

개선된 씨앗의 사용 % (농가) 24 37

가축 사용 농가 % (총) 71 85

자료: Promar consulting, 2012.

이상에서 농정의 주요 목표, 수단, 사업 등을 정리해 보면, 르완다 농업정책의 목표 는 농업구조개선과 현대화, 농업가치사슬체계의 발전, 농업경쟁력 제고, 기업가 정신

(19)

의 개발 등이며, 농정의 주요 정책 수단으로는 농촌 지역사회의 농촌개발의 주체임을 인식(책임감), 농업생산성 제고를 통한 농업생산 증대, 농촌 소득기회의 다양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가, 생산과 시장의 연계성 강화,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등이 있다.

EDPRS에서 설정된 농업 분야의 목표는 ① 토양 침식에서 농지 보호, ② 관개 면적 의 구릉지의 확대와 습지 개발, ③ 투입물 (씨앗 · 비료)의 증가 · 개선, ④ 가축 사육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토양 침식에서 농지 보호를 위하여 비전 2020보다 앞당겨 2012 년에 100% 완료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다.

4.2. 농정 조직

르완다 농업에 관한 정부기구는 <그림 10>과 같이 되어 있다.

그림 10 르완다 농업조직 대통령

내 각

농업가축지원부 무역산업부 재정경제

계획부 자연자원부 지방정부부

르완다 개발위원회

르완다 농업국 르완다

통계연구원 르완다

표준국

농촌정주 대책위원회 르완다

자연자원국

르완다 협동조합국

섹터

셀 르완다

농업수출국

자료: Promar consulting, 2012.

내각을 구성하는 장관이 이끄는 농업 관련 프로젝트 수행에 관련된 부처로는 농업 가축자원부(MINAGRI), 무역산업부(MINICOM), 재정경제계획부(MINECOFIN), 자연자

(20)

원부(MINIRENA) 지방정부부(MINALOC) 등이 있다. 이 밖에 르완다 개발위원회(RDB) 는 산업개발과 해외로부터의 투자 촉진을 위해 새롭게 2008년에 설립 된 대통령 직할 조직에서 내각의 주요 멤버를 이사로 운영하고 있지만, 이 기관도 농업 · 농업 관련 산 업의 발전에 영향력을 가진다. 지방 행정은 행정구역상으로는 키갈리시 외에 동부 지 방, 북부 지방, 남부 지방, 서쪽지방의 4개 지역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지방정부는 정 치·행정기구는 없고, 그 아래의 군(District)이 주도하는 형태로 지방 분권을 진행하고 있으며, 군 아래에 섹터(Sector)와 셀(Cell)이 구성되어 있다.

농업가축자원부(Ministry of Agriculture and Animal Resources, MINAGRI)는 2006년에 개 편되어 현재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농업축산자원장관 아래에 사무차관이 있으며 현재는 총 38명 체제에서 정책 입안자, 곡식, 가축자원 수출·마케팅, 보급 등의 다른 주요 프로젝트 마다 1명씩 담당자가 업무를 추진하고 있다. MINAGRI 아래에는 정책 실시기관으로 르완다농업국(Rwanda Agriculture Board, RAB)과 르완다농업수출국(Rwanda Agriculture Export Board, RAEB)이 있다.

르완다농업국(RAB)은 2011년 7월에 농업개발공사(RADA), 동물자원개발공사(RARDA), 국립농업연구소(ISAR)를 합병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농업 연구개발과 보급 모두를 담당 하는 농업정책 실시 기관이다. 농업국은 연구, 농업 보급, 축산, 인프라 기계의 네 부문 으로 나누어져 있다. 연구 부문과 농업 보급 부문에는 쌀과 바나나, 커피 등을 포함하 여 9개의 작물 연구·보급이 있다. 또한 지방에서 실제 연구·보급을 하기 위하여 북부, 남부 , 동부, 서부의 4개의 지부가 있고 지부에는 지부장 아래 연구, 농업 보급, 축산 등 3개 팀이 있다.

그림 11 르완다 농업국의 조직

대통령

연 구 농업 보급 축 산 인프라 기계

4개 지부 (북부, 남부, 동부, 서부)

(21)

르완다농업수출국(NAEB)은 2011년에 원예작물개발공사(RHODA), 르완다차개발공사 (OCIR), 르완다커피개발공사(OCIR)를 통합시켜 설립한 기관으로 약 150명의 직원이 일 하고 있다. 농업수출국에는 커피, 차, 원예 작물의 세 종류가 있다.

르완다개발위원회(Rwanda Development Board, RDB)는 2008년 산업 개발과 투자 유치 를 목적으로 대통령 직할기관으로 설립되었다. RDB는 특히 GDP에 미치는 영향과 무 역 적자의 감소에 직접 공헌할 수 있는 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다. 외자 유치에서 투자 승인, 회사 설립 등기, 비자 발급, 정보 서비스 등을 모두 원-스톱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투자 승인을 받은 기업은 이런 서비스를 패키지로 제공받을 수 있 다. 농업국에는 경제 클러스터로 5개의 클러스터(농업, 서비스, 관광·보존, ICT 산업, 무 역·제조)가 설립되어 있다. 농업국에 따르면 농업 부문은 농식품 가공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①농업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 촉진, ② 농업 관련 산업 발전을 위 한 정책 수립, ③잠재력이 높은 민간기업 지원 등 3개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1997년 재무부와 정부 당국이 합병하여 재정경제계획부(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Planning, MINECOFIN)를 설립하였으며 1999년에는 외무부 경제협력부문이 재정경제계획부에 옮겨졌다. 사무차관 아래 국가개발계획 조사국, 수석 이코노미스트, 기업 서비스국, 회계국, 국가 예산국, 내부감사국 등 6개의 국이 있고 이 중 국가개발 계획 조사국은 정책 입안 및 공공 투자에 있어 추가적으로 경제개발 빈곤감소전략 (EDPRS)의 조정을 통하여 국가/국제기구에서의 경제협력을 조정하고 있다.

르완다는 2004년부터 유엔 등에 의한 ‘후발 개도국 무역 관련 기술지원의 통합 체계 (IF)’를 실시하고 있지만 일련의 활동을 관할하기 위해 2006년에 무역산업부(Ministry of Trade and Industry, MINICOM)를 설립하였다. 금융 부문, 민간개발계획부, 석유 장치 산 업개발부, 무역부의 5개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밖에 투자·지적 재산권 담당, 주요 프로젝트 담당을 두고 있다. 또한 산하에 식품 제조 기준 등을 취급하는 르완다 표준 국(Rwanda Bureau of Standards, RBS)과 협동조합의 인허가 및 추진을 담당하는 르완다 협동조합국(Rwanda Cooperative Agency, RCA)이 있다.

자연자원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MINIRENA)는 2011년에 신설된 지방에서 토 지 계획, 환경, 수자원, 산림, 광산 등 5개 분야를 관할한다. 산하에 르완다환경관리기 구(Rwanda Environment Management Authority, REMA)와 르완다자연자원국(Rwanda Natural Resources Authority, RNRA)의 두 기관이 있다. 지방정부 교육부(Ministry of Local Government)는 지방으로 권한 이양, 사회 보장, 사회 정착 등의 행정 관리 및 정책을 수행한다.

(22)

행정 구역 상으로는 국가-키갈리, 시/도-군(30주)-부문(416 부문)-셀(2,146 셀)이 있지 만, 도의 행정 기능은 없고, 일반적으로 군 단위가 개발 주체이다. 군은 분야에서 대표 가 선출되는 군 의회(District Council)와 카운티 의회 중에서 선출되어 일상의 행정 집행 감시를 담당하는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및 안전보장위원회(Security Committee) 가 설치되어 있다. 군수(Mayor)는 집행위원회의 위원장을 맡는다. 또한 지방 행정 기관 으로는 군(District)의 분권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군수는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달성해야 할 행정 목표를 받아 대통령에 대해 직접 행정 성과를 보고 한다. 군수는 직책과 업무 비중이 높고, 비교적 단기간에 바뀌는 경우가 많다. 군은 일반적으로 농축산업 관련에 서 3명의 전문가(농업 전문가, 축산 전문가, 환경 전문가)를 고용하고 있다. 농업전문가 는 경종 농업 이외에 관개, 농가 거주용, 임업 및 수산업 등까지 폭넓게 관할하고 있다.

섹터에는 보통 2명의 전문가(농업 전문가, 축산 전문가)가 있다.

4.3. 농정(농업) 개혁 전략계획

2004년 "비전 2020"에 따라 ‘국가 농업정책(National Agricultural Policy, NAP)’과 ‘농업 개혁 전략계획(Strategic Plan for Agricultural Transformation, PSTA)’이 수립되고 이어 2009 년에 2009~2012년을 대상으로 제 2기의 농업 개혁 전략 계획 (PSTA Ⅱ)이 수립되었다.

또한, 르완다는 아프리카 연합 (AU)이 2003년에 책정 한 포괄적 아프리카 농업개발 프 로그램(Comprehensive Africa Agriculture Development Programme, CAADP)를 최초로 도입 한 나라의 하나로, 2007년에 CAADP 협정에 서명하였으며, PSTAⅡ는 CAADP의 지원 하에 수립된 계획이다. PSTA Ⅱ에서 르완다 정부는 9.7억 달러의 예산을 계상하고 있 다. 아래 <표 10>은 각 정책 분야에 대한 예산 배분과 주요 관련 프로그램 등이다. 르 완다 정부의 예산은 기본적으로 원조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표 10>에 나와 있는 예산은 확정된 예산이 아니다.

표 10 PSTAⅡ(2009 ~ 2012)의 예산 할당

프로그램과 부프로그램(SP), 주프로그램 예 산 (USD)

프로그램 1. 지속 가능한 생산 시스템 개발과 강화 741,663,955

SP 1.1. 천연 자원의 지속 가능한 경영과 물, 토양 보존 214,571,429

SP 1.2. 곡물과 가축의 통합적 시스템 저소득 농가 당 소 1두 154,238,626

SP 1.3. 습지대 개발 51,188,900

SP 1.4. 관개 개발 RSSP(습지대-구릉지)와 LWH(구릉지) 222,660,000

(23)

4.4. 해외 원조

르완다 농업 부문의 최대 지원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은행, IFAD, EU, 네덜란드 순이 다. 그 중에서도 가장 원조 규모가 큰 프로젝트는 세계은행과 미국 등이 공동 출자한 RSSP과 LWH 2개의 관개 프로젝트이다. 르완다 정부는 해외로부터 지원되는 원조를 조 정하는 능력이 매우 높다. 또한 르완다 전 정권에서 북서부의 개발을 중시했던 경향으 로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동부 지방은 전후에 귀환 백성이 많은 들어온 지역이기 때문 에, 르완다 현 정부는 동부 개발에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IFAD와 아프리카 개발은 행, 일본, 룩셈부르크 등이 모두 동부 현의 농업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표 11 참조>.

표 10 PSTAⅡ(2009 ~ 2012)의 예산 할당

프로그램과 부프로그램(SP), 주프로그램 예 산 (USD)

SP 1.5. 농업 투입 자본의 사용과 수요 CIP(곡식 강화 프로그램) 56,655,000

SP 1.6. 식량 안보와 취약요소 관리 42,350,000

프로그램 2. 생산자의 전문성에 대한 지원 91,950,157

SP 2.1. 농민 조직화 진흥과 생산자 역량 강화 12,555,000

SP 2.2. 서비스 접근성 재구성 15,935,000

SP 2.3. 농업 혁신을 위한 연구 63,460,157

프로그램 3. 상품 사슬의 흥보와 기업식 영농의 개발 114,095,933

SP 3.1. 사업 개발과 시장 접근성을 위한 환경 조성 13,177,600

SP 3.2. 전통적인 수출의 개발 목표 : 커피, 차, 제충국 37,180,647

SP 3.3. 비전통적인 고부가가치 수출 상품의 개발 9,820,000

SP 3.4. 국내 주요 상품의 생산과 부가가치 창출 목표: 옥수수, 쌀, 카사바, 생선 13,744,686

SP 3.5. 시장 지향적 농촌 인프라 18,573,000

SP 3.6. 농촌 금융 시스템의 강화 21,600,000

프로그램 4. 제도적 개발 19,520,000

SP 4.1. 제도적 강화와 역량 개발 11,450,000

SP 4.2. 정책과 규제 틀 330,000

SP 4.3. 농업 통계와 ICT 5,190,000

SP 4.4. M&E 시스템과 농업 분야의 조직 1,050,000

SP 4.5. 농업 분야의 분산 프로그램 1,500,000

PSTA Ⅱ의 총 프로그램(1-4) 967,230,045

(계속)

(24)

표 11 르완다 농업 부문에 대한 각국의 지원 현황(2000년 이후)

공여국 주요 프로젝트 예상 지출

미국 식량지원, 지역 농촌 개발, LWH 211,050,807 197,050,807

월드뱅크 RSSP Ⅰ,Ⅱ, PRSCII, LWK 144,450,000 71,360,657

UN 57,861,776 46,052,491

IFAD 환급 작물 수출, kirehe 지역 개관, 농촌 개발 프로그램

개발 53,161,257 46,232,024

One UN Fund 2,450,213 1,717,152

FAO 1,831,095 932,449

UNDP 35,000 10,000

UNIDO 348,211 169,866

EU 분산된 농촌 개발 정책의 실행, 작물 강화 프로그램 지원 56,707,384 55,130,464

네덜란드 2차 HIMO 50,898,665 43,830,259

아프리카 개발은행 Bugsera 지역 농업 개발 지원 프로젝트(PADAB) 49,739,701 37,489,688

벨기에 씨앗 개발, 농업 보급체계 프로그램 39,901,382 34,168,055

캐나다 2차 HIMO, LWH 16,424,261 12,528,448

일본 PADAB, 관개 전문가 파견 등 10,638,986 5,820,172

룩셈부르크 PADAB 10,470,508 9,745,629

영국 5,287,798 5,445,601

이탈리아 2,069,031 1,599,010

프랑스 785,714 254,833

독일 595,238

스웨덴 417,440 296,768

자료: DAD 르완다.

5. 농산물 유통

르완다의 농산물 유통은 대부분 시장에 의존하고 있다. 슈퍼마켓 등 소매점은 아직 소규모로 일부 가공 식품을 취급하는 정도이다. 제조업자로부터 중간상을 1~3회 정도 거쳐 시장까지 운반된다. 시장에서 농산물을 취급하고 있는 것은 주로 시장 엄마라는 여자 주인이지만, 신선 육류 및 냉각된 물고기 · 고기, 곡물 등은 부스가 있는 점포나 도매업 남성의 점주가 많다. 농촌도 일주일에 한번 내지 몇 차례 시장이 이루어진다.

(25)

농촌 가구가 소비하는 식품 중에 자가 생산분이 45%를 차지하지만, 52%는 시장에서 구입한다. 따라서 도시 거주자뿐만 아니라 농촌 주민에게도 시장은 중요한 역할을 한 다. 시장 시설을 위하여 도시 및 농촌 개발 등의 일환으로 콘크리트 상품 진열대 정비 등과 같은 현대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그림 12 참조>.

그림 12 농산물의 주요 유통경로

자료: Promar Consulting.

5.1. 농산물 유통 과제

르완다는 간선 도로를 제외하고는 도로가 포장되어 있지 않아, 접근성이 떨어져 농산물 출하가 어려운 형편이다. 또한 운반 트럭의 운송비용이 높고, 자전거나 수레 같은 나무 운 반기구 등도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농산물 유통에서 물고기가 일부 냉동이 되지만 다른 대부분은 냉동·냉장 시설이 없는 이유로, 생산물의 약 15%가 수확 후 손실이다.

생산자

중간상

운 송

협동 조합

시 장

도정 등

소비자

(26)

그림 13 르완다의 주요 도로망

출처 : Steve Rwanda, Wikipedia commons.

5.2. 르완다 곡물공사

2012년 르완다 곡물공사(Rwanda Grains and Cereal Corporation, RGCC)가 설립되었다.

옥수수와 밀 등의 곡물은 르완다 식품으로 별로 사용되지 않았지만 정부의 생산 촉진 정책에 따라 증가하고 있으며 곡물공사는 곡물류에 대한 홍보도 하고 있다.

5.3. 도로와 수출입

포장된 국도는 271㎞로, 키갈리에서 방사형으로 퍼지는 간선 도로는 포장이 완료되 어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도로 포장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부타레 에서 챤구구로 가는 <그림 13> 3b의 구간에서 현재 재포장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또

(27)

한 비포장 국도는 780㎞에 이른다. 주로 수감자의 공익 봉사형(TIG)으로 정비가 ​​이루 어지고 있으며, 이 도로는 비포장이지만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

5.4. 수송도로

르완다 농산물 수출입은 두 개의 경로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한 경로는 우간다를 통 해서 케냐 몸바사 항구를 이용하는 루트이고 다른 한 경로는 루스모 탄자니아에 빠져, 탄자니아의 다르에스살람 항구를 이용하는 루트이다<그림 14 참조>.

그림 14 동아프리카의 주요 도로

(28)

5.5. 식품가공산업

르완다의 식품·농산 가공산업은 맥주 제조 및 비스킷, 주스 등 일부 제조업체가 있 을 정도로 그다지 발달하지 않지만 조금씩 소규모 생산자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제품 내용은 르완다 유제품 생산자협회(RDPA)에 14개사가 가입하고 있고, 르완다 주스 주류협회에 가입하고 있는 음료 관계기업은 약 100개사이다. 또한 협동조합 중에 는 식품·농산 가공을 시도하는 조합도 나오고 있다. 바나나 맥주는 일반 가정에서 제 조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협동조합이나 소규모 제조업자가 많은 나타나고 있다. 르완 다 개발위원회(RDB)에서 특히 과일 가공 산업의 진흥을 도모하고자 하며 현재 르완다 산이 일부 케냐 등으로 가공되고 있으므로, 국내에서 가공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 요금이 높아 생산 비용은 높기 때문에 고부가가치 식품 제조가공 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표 12 르완다의 주요 식품·농산 가공기업 (커피·차 제외)

기업명 내 용

ADAMA International 비스킷 생산 공장, 2003년 설립

BRALIRWA 르완다 유일한 맥주 제조 회사: 4개의 브랜드를 가지고 있음. (Primus, Mutzig, heineken, Amstel) 이 회사는 코카콜라 등 음료를 제조함.

INYANGE Industry 1999년 설립. 이 회사는 유유, 분유, 요거트, 미네랄워터, 주스 등을 생산함. 몇몇 제품들은 수출됨

KABUYE Sugar Works 설탕 가공 공장. 인도의 Madhvani 그룹에 팔리며 1997년 민영화 됨.

Nyanza Daily 이 회사는 우유, 분유, 요거트를 가공함. 1937년 국립 가공 공장으로 설립되었으나 현재는 민영화 됨. 유제품 산업에서 가장 큰 회사.

Premier Tobacco company 담배 가공 회사

Sheme fruit 과일 잼과 주스 등

Sosoma Indusries 이 회사는 밀과 대두, 콘스타치와 음료 관련 제품을 가공.

Sorwatom 토마토소스 생산

Sopyrwa 제충국 추출 가공 회사

Urwibutso Eses 베이커리, 바나나 맥주. 와인, 과일 주스, 칠리페퍼 추출 등.

Sina Gerard 소유, 회사 소유의 농장이 있음.

자료: Promar Consulting .

6. 르완다 농림수산업과의 협력 분야

르완다의 농림수산업은 국민총생산의 34%, 수출의 79%, 고용의 80%를 차지할 정도 로 르완다 경제에 있어 중요하며 외화 획득과 생태 관광측면에 있어서도 중요한 산업

(29)

이다. 따라서 르완다의 농림수산업은 르완다의 식량 안보와 빈곤 감소에 있어 가장 중 요한 산업이다. 그러나 르완다의 국가 재정은 매우 취약하여 자체 재정으로 농업발전 을 추진할 수 없다. 따라서 르완다의 농림수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 원조와 외국 의 민자 유치가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르완다는 아프리카 내의 투자 안전성이 높은 국 가로 평가되고 있으며 르완다 정부는 해외 원조보다 민간 투자를 보다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외자 도입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시장 규모와 발전 정도, 현지의 소비 수준 과 교육 수준 등을 감안할 때 해외로부터 민간자본을 유치하기에는 아직도 많은 장애 가 남아 있다.

현재 르완다 정부가 식량안보를 위해 직면하고 있는 과제는 농업생산성 증대 이외 에도 부족한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르완다 정부는 양계산업과 수산 양식업 육성을 주요 정부시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사료산업 육성은 양 계산업과 수산양식업 육성⋅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된다. 더욱이 현재 르완 다는 사료산업에 대한 수요는 높으나 현대화된 시설이 없어 사료의 대부분을 외국으 로부터 수입한 사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부분 농민은 사료를 재래 방식으로 생산하 고 있어 사료와 축산물 생산성이 매우 낮은 수준이다.

또한 옥수수, 밀, 감자, 카사바 등 곡물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식량작 물의 수확 후 손실이 20%에 달하고 있어 농가소득이 감소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 다. 따라서 곡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료산업의 안정적인 원료 확보를 위해서는 외 부로부터 수확후처리 시설 및 기술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르완다 간의 농업협력은 이들 수확후 처리기술과 사료산업 분야 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수확후 처리시설에 관 한 기술 수준이 높고 사료산업에 대한 국제경쟁력이 높아 르완다 축산업과 수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르완다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 이들 축산업과 수산업 발 전에 강한 의지를 가지고 있으므로 한국 정부가 이들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협력의지 를 보인다면 한국과의 국제협력은 보다 진일보된 관계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30)

참고문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세계 주요국의 아프리카 진출 전략 및 시사점, 2012. 12

Claude Bizimana. Feliaen Usengumakiza. John Kalisa and John Rwirahira. " Trend in Key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Indicators in Rwanda". 2012. 7.

David Booth & Frederick Goloda – Mutebi. 2012. Policy for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in

Rwanda. 2012. 3.

The Republic of Rwanda. 2007. Economic Development & Poverty Reduction, Strategy 2008 - 2012, 2007. 9.

The Republic of Rwanda, MINAGARI. 2009. Strategic Plan for the Transfomation of Agriculture in

Rwanda,- Phase (PSTA ), 2009. 2.

The Republic of Rwanda, MINAGARI. 2012. Rural Sector Support Project (RSSP 3). 2012. 3.

The Republic of Rwanda, Ministry of Finance & Economic Planning. 2000. Rwanda Vision 2020.

2000. 7.

Promar consulting,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of Rwanda, 2012. 4.

World Bank. 2011. Rwanda Economic Update, 2011. 4.

참조

관련 문서

OTT 등 동영상 서비스 OTT 등 동영상 서비스 유료 이용 현황.. OTT 등 동영상 서비스 OTT 등 동영상 서비스 이용시 개인정보에 대한 우려 및 개인 정보 활용 동의 정도..

산업 집중화를 목표로 농산물 우수 생산지와 산업지대에서 농산물 자원조건에 따라 농 산물 가공산업의 단계 전환을 실시하고, 농산물 가공업이 우수 생산지에 집중되도록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지속적으로 농업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민간 부문 특히 생산자와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간의 공동 협력의 결과로 자금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이 자료에는 화학회사나

또한 국내 유관기관 및 언론에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기상 산업을 위하여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으로 매일 실시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의

Harlequin 독자들은 20권의 Harlequin 서적을 읽음과 동시에 다른 출판 업체의 single-title romance를 20권 읽기 때문에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사업 서비스업 중 정보처리 컴퓨터 운영 분야와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분야 법률 회계 시장 여론조사 경영자문 디자인 등 를 중심으로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