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11장 토 압2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제 11장 토 압2"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1장 토 압

~흙막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기 위한 수평방향의 하중이다. ex) 옹벽, (가설)흙막이벽, 지중지하벽 11.2 토압의 종류 ①정지 토압=Ko ②주동 토압=Ka ③수동 토압=Kp ˙토압계수    11.3 정지 토압계수 -지반을 탄성체로 가정→Hook's law를 따른다. -중첩의 원리 적용가능 ※포이송비

′    

여기서 

 



μ=  축변형율  횡변형율  정의 →     

(2)

εzEz б εx= бEx εyEy εx=-μεz= (-μ∙бEz ) εy=-μ∙бEx εx=-μ∙бEy εy=-μεz=-μ∙бEz εt=-μ∙бEx εz=-μ∙бEy → εx= 1E[бx-μ(бy+бz)] → εy= 1E[бy-μ(бx+бz)] → εz= 1E[бz-μ(бx+бy)] ˙정지토압조건 →εx=εy=0인 조건에 해당 윗식에 대입 бx=μ(бy+бz) бy=μ(бx+бz) 위 식에대입 →б         ∙ б ∴бx= 1-μ ∙μ бz Ko= 1-μμ -Jacky 공식 (경험공식) for 사질토 → Ko=1-sinφ'

for 점성토 → Ko=(1-sinφ') O.C.R (O.C.R= 

′ ′ ) 11.4 Ran kine의 토압이론 →벽면 마찰각을 무시한 토압이론 사질토(c=0) 인 경우 ⅰ)주동 토압

(3)

sinφ=           →   

   sin  sin tan

°    ∴ Ka=   sin  sin

2θf=90°+φ →      ⅱ)수동 토압      

   sin  sin tan

°      

(4)

2 점성토의 주동 및 수동토압(c≠0인 경우) sinφ= AOCB+OC   ∙ cot           sin   sin   ∙    sin cos =Ka∙γ∙z - 2c

 -토압분포 -인장깊이 선정 бha=0인 시점 бha=Ka∙γ∙Z0- 2C

=0 ∴Zc= 2γ ∙C Kp1 = 2γ ∙C Kp -수동토압계수 бhp=Kp∙γ∙Z + 2C

 (Kp= 1+sin φ 1-sinφ )

(5)

-지표면이 경사진 경우에 대한 토압 бv=W/b=Z*b'*cosi*γ/b' =γZ*cosi    б б OA2=бv²∙cos²i+бv²∙sin²i=бv²(cos²i+sin²i) OA=бv OB=бha        OD=OC∙cos I

AD= AC2-CD2 (AC=OC∙sinψ, CD=OC∙sin I)

∴  

∙ cos 

 ∙sin  ∙sin

∙ cos 

 ∙sin  ∙sin = cosi- sin2φ- sin2i

cosi+ sin2φ- sin2i

= cosi- cos2i- cos2φ

cosi+ cos2i- cos2φ = 1Kp

бha=KA∙бv=KA∙γ∙z∙cos i

∴Pa= 12 KA∙γ∙H2∙cos I

11.4 뒤채움이 이층이거나 지하수위가 있는 경우 -주동토압

γsub=γsat-γw = Gs1+-1e γw

(6)

11.5 Coulomb의 토압이론 :~벽면에 마찰각을 고려한 토압이론 ①c=0인 경우 x=90-(180-β)=β-90° ∴ψ=90-φw-(β-90) =180-(β+φw) Pa sin(θ-φ) = sin(φ+φWw+β-θ) ∴ PA=W∙ sin(φ+φsin(θ-φ)w+β-θ) dPA dθ = 0일때의 θ값 추정 PA= γH2 [2 sin(β-φ)cscβ

sin(β+φw)+ sin (φ+φsin(β-w)∙sin(φ-i) i) ]

2 ②C≠0인 경우 -벽면 마찰각( φw) ∴일반적으로는 φw≓ 23 φ로 가정 11.6실제 활동면의 현상 -수동토압의 경우 φw> φ3 이면 실제 수동토압과 현저한 차이발생 →직선파괴가정=수동토압의 크기를 실제 보다 크게 평가     

(7)

11.7 옹벽의 안정 1.안정조건 ①수평활동에 대한 안정 Fs=수평저항렬수평활동력 = RhFf =Rv∙ tanRhφw > 1.5 ②전도에 대한 안정 Fs=MrMo(저항모멘트)(활동모멘트) = W∙Paha+Pavy∙f > 1.5 ③허용지지력 검토 Fs= σmax > 3.0qu *편심  ∙     ∙   ∙  ∙      ∙  ∴ σ = RvB (1± 6Be ) -옹벽의 종류

(8)

(가상벽면에 토압작용) -Rankine 토압이론을 적용 ①옹벽의 수평활동안정 Fs= RvRh∙ tanφ(=Phw) > 1.5 ②전도활동에 대한 안정   활동모멘트저항모멘트   ₃ ₁ ₁ ₂ ₂   ③허용지지력에 대한 안정 Fs= σmax > 3qu

(

qa(허용지지력) =qu3 (극한지지력)

)

∴ σ = RvB (1± 6Be ) -бmin=0인 조건에서 → 1- 6∙Be = 0인 지점 → e=B6 бmin값이 -값이 되면 인장력 발생 지반 반력에서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위한 최대편심 거리는 B/6이다. (편심이 B/3안에 존재해야 한다. ) 2.지하수위가 옹벽의 안정에 끼치는 영향 -활동에 대한 안전율     ₁  ₂tan   3.옹벽에 작용하는 간이 토압분포

-by Terzoghi , Peck (단, 옹벽높이가 6m이내일 때)

Ph= 12 Kn∙H2

Pv= 12 Kv∙H2 (i=0이면 → Pv=0) →Kv=0

참조

관련 문서

프롤린 탈수소효소, 저장 아미노산 분해, 아스코르빈산 생성 관여... 역행성 조절: 핵유전자 발현이 세포 소기관의

11장 정보시스템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 걸스카우트의 새로운 쿠키

② 심사평가원장은 급여비용의 심사청구를 받은 때에는 40일 (전자문서교환방식의 경우 15일) 이내에 심사하여.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산림토양학에서는 토양 pH를 알 수 있는 지표 수종으로 홗용하기도 핚다.. 호두나무, 밤나무, 주목 등은 거의 중성을

 클래스는 필드와 메소드로

젗시된 다른 두 가지 체젗 역시 토양학자와 토목곳학자가 폭넓 게 이용하고 있다.. 그림은 토양 분리물의 크기를

• 지하수위가 높으며, 토양의 염분에 의핚 토양 입자의 분산 때문에 입단(粒團 Aggregate) 구조 없이 단일 입자로맊 되어 있기 때문에 투수(透水 Water

② 산성에 대핚 저항력이 미생물 중 가장 강해서 산성 산림토양의 유기물 분해 담당자이다.. ③ 에너지를 유기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