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1장. 친환경 주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11장. 친환경 주거]"

Copied!
2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0장. 주거의 실내환경]

10-1 쾌적한 온열환경

(1) 온열 4요소, (2) 인체열수지

10-2 온열환경 평가지표

(1) 유효온도, (2) 신유효온도, (3) 신표준유효온도, (4) 작용온도, (5) 예상온열감, (6) 예상불만족감

10-3 깨끗한 공기환경

(1) 깨끗한 공기가 필요한 이유와 오염된 공기의 피해, (2) 주거 속의 공기, (3) 새집증후군, (4) 실내공기질 관련 공기기준

10-4 정온한 음환경

(1) 음파, (2) 귀의 구조, (3) 음의 강도와 크기, (4) 음의 3요소, (5) 소음의 방지

* 본 강의의 내용과 사진 등은 대한건축학회에서 2010년에 편찬한 “건축텍스트북-주거론”(기문당)에서 인용하였음.

(2)

10-1 쾌적한 온열환경

- 쾌적한 온열환경이란 : 덥지도 춥지도 않은 환경 (1) 온열 4요소

- 온도 :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온도

실내의 경우에는 실온, 실외의 경우에는 외기온 - 습도 :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양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을 경우는 온열감각에 큰 영향을 미친다

- 복사 : 인체표면온도 혹은 착의표면온도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벽면 (바닥, 천장, 벽 등)의 표면온도와의 관계에 의한 복사열 이동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평균복사온도(MRT, Mean Radiant Temperature)

등으로 표현된다.

- 기류 : 공기가 이동하는 속도(풍속) 무감각 기류 : 약 0.1~0.15m/sec

풍속은 일정하지 않으므로 보통 3분간의 평균값으로 측정한다

(3)

(2) 인체열수지

- 열적인 평형상태 : 인간이 음식을 섭취하여 그것을 체내에서 연소시켜 생산되는 열량(대사량)과 호흡 및 체표면으로부터의 대류, 복사, 증발 에 의한 방열량과의 평형상태

- 체온조절 : 방열량 또는 대사량의 조절에 의해 행해짐.

: 더운 환경에서는 발한,

: 추운환경에 있어서는 떨림,

: 중간의 중립에 가까운 환경에서의 피부혈류에 의한 조절

- 이상의 3개의 체온조절에 부하가 크면 온열적인 불쾌감을 불러일으키 게 되며, 반대로 이 체온조절 부하가 작은 상태가 열적으로도 쾌적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代謝 : 생물체가 몸 밖으로부터 섭취한 영양물질을 몸 안에서 분해하고, 합성하여 생체 성분이나 생명 활동에 쓰는 물질이나 에너지를 생성하고 필요하지 않은 물질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 (= 물질대사, metabolism)

(4)

10-2 온열환경 평가지표

(1)유효온도 (effective temperature, ET) - 감각온도, 체감온도

- 건구온도, 상대습도, 기류의 3요소를 조합

- 수정유효온도(corrected effective temperature, CET) (2) 신유효온도 (new effective temperature, ET*)

- 공기온도, 복사온도, 기류, 습도, 착의량, 대사량의 6요소를 조합 (3) 신표준유효온도 (standard new effective temperature, SET*)

- 표준 착의량의 재실자가 실제의 환경에서와 같은 현열손실과 잠열손실 을 경험하게 되는 기류속도 0.1m/s, 상대습도 50%인 표준조건하에서 균일한 열환경(평균 복사온도=공기온도)의 온도

- ASHRAE에서 표준적 체감온도로 채용함.

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미국공조냉동공학회 )

(5)

(4) 작용온도 (operative temperature, OT)

- 인체가 현재의 환경 하에서 대류와 복사에 의해 열교환을 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열량을 교환하는 가상균일온도

- 공기온도와 평균복사온도의 선형 복사열전달률과 대류열전달률의 가중평균으로 표시된다.

- 작용온도의 쾌적범위

: ASHRAE 에서는 동계 20~23.5℃(0.9clo), 하계 22.5~26℃(0.5clo) : ISO에서는 동계 20~24℃, 하계 23~26℃

(5) 예상온열감 (predicted mean vote, PMV)

- 인체의 대사율, 의복의 열저항값, 건구온도, 평균복사온도, 기류속도, 수증기 분압의 6요소

- 같은 환경에 처해 있는 많은 사람의 열적반응 평균치

- 열적 중립상태를 0으로 하고 -3~+3의 수치척도를 각각 춥다(cold),

서늘하다(cool), 약간 서늘하다(slightly cool), 중립(neutral), 조금 따뜻하다(slightly warm), 따뜻하다(warm), 덥다(hot)로 나타낸다.

(6)

(6) 예상불만족감 (predicted percentage of dissatisfied, PPD)

- PMV가 평균치 근처에 분산된 것인데 반해, 더운 사람과 추운 사람의 수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 ISO에서는 -0.5<PMV<+0.5, PPD<10%를 권장 PMV = 0에서도 5%의 불만족자가 있음

10-3 깨끗한 공기환경

(1) 깨끗한 공기가 필요한 이유와 오염된 공기의 피해

- 일산화탄소, 이산화유황, 광화학 옥시던트, 이산화질소 등

- 일산화탄소 :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폐로부터 체내의 각 기관으로 운반하는 것을 방해한다.

- 이산화유황 : 석탄 등 연료가 연소할 때 발생하는 물질

: 기관지염이나 폐암, 천식 등의 호흡기질환의 원인으로 추정

- 광화학 옥시던트 : 가장 독성이 강한 대기오염물질, 스모그의 주원인

(7)

(2) 주거 속의 공기

- 깨끗한 공기를 얻기 위해서는 우선 외부의 공기를 대기오염으로부터 막아야 하며, 두 번째로 건물 안에서 오염된 공기를 외부의 깨끗한 공기로 전환시켜야 한다(환기).

(3) 새집증후군 (sick house syndrome, sick building syndrome) - 건물 내에서 특별한 오염원에 노출되지 않았음에도

- 석유화학문명이 만들어낸 환경공해병

- 미국에서는 이미 1980년대, 일본에서도 1990년대부터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온 현대병이다

- 대표적인 원인 물질 : 포름알데히드(HCHO),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8)

(4) 실내공기질 관련 공기기준

- (건축법 시행령 제51조) “환기를 위하여 거실에 설치하는 창문 등의 면적은 그 거실 바닥면적의 1/20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건설부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위생에 지장이 없는 환기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환경부에서 2004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는“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는 신축 또는 리모델링하는 1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은 시간당

0.7회 이상의 환기가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자연환기 설비 또는 기계환기설비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9)

10-4 정온한 음환경 (1) 음파

- 발음체 혹은 음원 : 악기 등과 같이 진동에 의해 소리를 내는 것 - 음파 : 음의 파동, 공기를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생기는 공기의 밀도의 변화가 전달되어 가는 현상

- 진동수 혹은 주파수 : 밀도가 1초 동안 변동한 수, Hz(헤르츠) (2) 귀의 구조

- 음은 매우 작은 에너지 → 사람의 귀는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그것을 듣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3) 음의 강도와 크기

- 음의 강도 : 10dB, 20dB, 30dB로 나타낸다

- 음의 크기 : 10dB(A), 20dB(A), 30dB(A) 로 나타낸다 (소음레벨)

- 귀에 들리는 최소의 소리의 크기를 0dB(A), 귀가 아파질 정도의 소리 는 약 130dB(A), 이야기 소리는 약 40dB(A)이다.

(10)

(4) 음의 3요소

- 음의 크기(loudness), 음의 높이(pitch), 음색 (5) 소음의 방지

- 음의 반사 : 딱딱하고 평평한 면일수록 - 음의 흡수 : 부드럽고 가벼운 재료일수록 - 방음 : 소음을 줄이는 것

음원을 줄이는 방법과 소리가 전달되는 도중에 줄이는 방법 - 차음 : 소리가 벽의 반대쪽으로 나가기 어렵게 하는 벽의 기능

일반적으로는 콘크리트와같은 무거운 재료일수록 차음성능이 높아진다.

- 흡음 : 벽 등에 부딪힌 음파를 원래의 방향으로 되돌리지 않고 흡수해 버리는 기능

- 바닥 충격음

(11)

[11장. 친환경 주거]

11-1 친환경 주거의 개념

(1) 친환경 주거단지의 등장 배경, (2) 친환경 주거단지 개념 및 발전과정

11-2 친환경단지의 접근방법

(1) 친환경건축의 접근방법, (2) 친환경단지의 접근방법

11-3 친환경 주거단지 사례

11-4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친환경단지

(12)

11-1 친환경 주거의 개념

(1) 친환경 주거단지의 등장 배경

- 자연환경의 불변성 및 무한성 vs 자연의 유한성

- 환경문제 : 지구 사막화, 열대림 파괴,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도시의 열섬현상 등

- 이러한 상황에서 지난 수십 년 간 주요한 흐름이었던 성장 위주의 개발에 대해 자성의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생태개념을 건축 및 개발계획상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2) 친환경 주거단지 개념 및 발전과정 1) 친환경 주거단지 개념

- 1979년에 P. Krusche 등이 독일 연방환경부에 제출한 연구 보고서의 제목을 결정하는 자리에서 자연과 인간의 상호관계 및 생태계를 고

려한 다양한 건축적 시도와 개념들을 종합하여 ‘생태건축, Oekologisches Bauen’이라 명명함

(13)

▪ 생태건축

- 건축으로 인한 생태학적 문제들을 깊이 인식하고 자연생태계의 구성 원칙을 좇아 자연과 건축환경이 공존공생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강구하는 최근의 건축 패러다임

- 1980년대에 이르러 독일을 중심으로 생태건축 사례들이 실현되어졌다.

- 생태건축의 경향

: 전통적 자연재료인 흙이나 나무 등의 시공방법을 현대기술에 접목 시켜 미래지향적으로 개선하려는 건축경향

: 재생 가능하며 에너지 소비가 적고 무독성인 생태건축 소재를 적극 적으로 활용한 건축시스템을 개발하려는 움직임

: 건축물의 공급처리시스템을 자연의 순환체계를 닮은 인공순환시스템 으로 구축하려는 경향

: 건축환경을 생물서식이 가능한 공간(biotop)으로 조성하고 이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려는 시도

(14)

▪ 친환경 주거단지

- 개개의 건축물뿐만 아니라 단지 전체 또는 도시를 대상으로 생태 및 에너지 순환체계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환경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주거형태를 의미한다.

- 선형의 일방향적 신진대사 작용(linear metabolism) vs 순환적인 신진대사작용(circular metabolism)

(15)

2) 친환경주거단지 발전과정

- 1970년대 : 기존 주거단지보다 친환경적 건축특성을 지닌 주거단지를 실험적으로 조성

- 1980년대 : 주호 차원에 머무르던 주거단지가 점차 단지적 특성으로 범위를 확대

: 지붕녹화, 수자원 활용, 하수생태정화시스템, 친환경 자재의 사용, 생태조경 등 다양한 시도

: 경제적 효과 극대화, 주민참여 프로그램, 다양한 계층의 공존, 주민 삶의 질 향상

- 1990년대 : 지속가능한 개발계획

: 주거단지개발에서부터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개발에 이르기까지 :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 분산적 집중구조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 우수 및 수자원 관리,에너지 절감, 토지재생 및 토지이용의 극대화 - 2000년대 : 화석연료의 절감 및 CO2 감축

(16)

11-2 친환경단지의 접근방법 (1) 친환경건축의 접근방법 ▪ 친환경건축의 목표

- 건축물 시공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의 수요를 최소화한다.

- 자연의 순환체계와 재생 가능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

- 물과 공기의 오염, 외부로 방출되는 열, 폐기물, 폐수의 양과 농도 그리고 토양의 포장을 최소화한다.

- 대지 주변에 다양한 종의 동물과 식물이 서식 가능하게 한다.

- 건축물을 주위 경관과 어우러지게 배치하여 건강한 주생활이 가능하게 한다.

1) 대기순환을 위한 접근방법

- 자연에서의 유기체들은 낮과 밤, 여름과 겨울, 해와 비 등의 기후리듬 에 그들의 생명활동을 적응시킨다. → 야간의 냉각을 주간의 냉각으로, 주간의 가열을 야간의 난방으로 이용

(17)

- 하절기에 태양광선을 차단하고 동절기에는 실내기후를 위해서 태양광선을 최대한 활용 - 미기후를 고려하고, 풍향의 조건을

고려하여 건물동을 배치하고,

- 자연환기방식의 채용, 공조공간의 단계적 배치 2) 에너지 순환을 위한 접근방법

- 에너지 소비 감소를 위해서 건물은 가능한 한 밀집형태 로 하여 외표면의 면적비율을 감소시켜야 한다.

▪ 태양에너지 이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

- 액티브 솔라 시스템 : 태양광 발전시스템, 태양집열기시스템 - 패시브 솔라 시스템 : 아트리움, 온실

< 남향 전면에 유리창문 배치>

(18)

▪ 단열성능 강화를 통한 에너지 절감

- 고단열화, 건물 외부의 열 차단장치로서 차양, 블라인더, 넝쿨식물 등을 이용한다

-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

: 건물의 창호부와 벽면부의 고단열·고기밀 시공과 전열교환기 및 지열을 접목하여 중요한 난방에너지를 공급한다

: 삼중단열유리, 20cm 이상의 단열재

(19)

3) 물순환을 위한 접근방법

- 빗물, 지붕녹화, 저장조, 저류시설

4) 재료순환을 위한 접근방법

- 거주자의 쾌적성과 건강에 유해한 성분을 방출하지 않는 방법으로 제작된 재료를 이용한다.

- 재료를 생산, 운송, 사용하는 과정에서 적은 에너지 를 소비하며 유해물질을 방출하지 않는 재료를 이용 한다.

- 재생 가능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의 이용이다.

(20)

(2) 친환경단지의 접근방법 ▪ 지형변화의 최소화 계획

- 자연지형을 이용한 주거공간의 구성 및 다양한 형태의 공간구조계획, 기존 녹지의 절토 및 성토를 방지하기 위한 구릉지형 주거공간계획, 경사지 내 테라스하우스계획, 생태계 훼손을 최소화하는 계획

▪ 물순환 확보계획

- 투수성 포장, 우수의 집수 ▪ 자원 순환계획

- 자연발효 화장실 또는 부엌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 폐자재의 재료를 신축건물의 포장재 나 외부의 조성재료로 사용

- 폐타이어와 같은 비건축 폐자재를 바닥재나 친환경 포장재료로 사용

(21)

11-3 친환경 주거단지사례

▪ 비스마르크 태양에너지 주거단지 - 1997년, 단지면적 약 4ha,

단독주택과 연립주택 총72세대로 구성

-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주거단지로 조성하기 위하여 동-서 축을 중심으로 하여 건축물을 남향으로 배치하였다.

- 단지 북쪽에 박공지붕형태의 29세대와 남쪽에 5세대는 콘크리트 양식 으로 건설되었고, 달개지붕형태의 건축물은 콘크리트 양식 16세대와 목재 양식 22세대로 건설되었다

(22)

- 각 건물마다 5m²의 태양전지와 태양열 집열판 설치

- 옥상녹화, 통풍시설, 바람통로

- 빗물침투와 이용시설을 두어 정원 및 화장실 용수로 빗물을 사용

- 단지 서쪽에는 우수 저류연못을 두어 빗물유출을 저감하고 생태적으로

빗물을 정화하도록 하였다

- 보행도로와 놀이시설을 우선하고, 주차시설은 외곽으로 배치하였다

< 북쪽의 단독주택단지 > < 남쪽의 연립주택단지 > < 건축물에서의 태양에너지 이용 >

(23)

11-4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친환경단지

- 오늘날 한 시대의 사조처럼 되어버린 친환경단지는 합리적인 철학관과 디자인 이론을 배경으로 해서 인간과 환경 사이의 바람직한 질적인 관계를 설정하는 건설방법이다.

참조

관련 문서

압입Indentation으로 생기는 영구변형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  마모나 긁힘에 대한 저항성  Indenter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라 다양한 Test 방법 존재 

11장 정보시스템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 걸스카우트의 새로운 쿠키

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다양한 요금상품이 개발됨에 따라 다양한 수요자의 니즈 충족을 통해 소비자의 선택권 제고.  전력과 정보통신의 결합으로 다양한

막대간격 저항.

• 재료의 미세한 구조차이가 유변물성을 통 하여 증폭되어 발현.. • 품질관리, trouble shooting, 제품설계 등

식물이 갖는 다양한 효과가 증명되고,식물이 갖는 치료적 효과가 주목되면서 생활환경 주변에 식물을 도입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는데,식물을 실내에 도입 할 때는 광,수분

대한 상태변화를 모형을 통해 설명이 가능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이러한 변화 를 경험할 수 있도록 간단한 체험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기계적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압전소자를 활용하는 압전 에너지 수확 기술의 경우 기존의 태 양전지, 풍력, 연료전지등과 같은 친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