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부문 가상수(virtual water)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농업부문 가상수(virtual water)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Copied!
13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연구보고서. R670 | 2012. 12.. 농업부문 가상수(virtual water)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김 윤 형 김 홍 상 김 정 승. 부연구위원 선임연구위원 연 구 원.

(2) 연구 담당 김 윤 형 김 홍 상 김 정 승. 부연구위원 선임연구위원 연구원. 연구총괄 정책적 시사점 물효율성 분석.

(3) i 머 리 말. 물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동시에 다음 세대를 위해 지속적인 관리와 개발이 필요한 자원이다. 향후 인구 증가 및 수질 악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작물, 가공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물을 의미하는 가상수 개념과 물의 이력을 포함하는 물 발자국은 기존 공급 중심의 물관리 정책에서 수요 중심의 관리로 전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소비 및 교역 정책 등과의 연계를 통해 국가 수자원 정책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 념의 도입은 기존 공급중심의 물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켜 보다 거시적 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 며 국내 농업 부문 도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농업 부문에 가상수 개념의 농업 부문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 초 연구로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에 관한 이론 검토,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농업용수 사용량과의 비교, 국내외 가상수 적용사례를 통해 국내 농업 부문 에 가상수 개념 도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향후 국내 농업 부문에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 도입 및 활용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끝으로 이 연구 수행에 있어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농업용수와 가상수의 비교를 분석해 준 서울대학교 이상현 연구원, 국내 식품 생산 및 소비 시나 리오에 따른 가상수 변화 분석을 수행한 유승환 박사, 연구자문위원으로 이.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신 농어촌연구원 김영득 박사 등 관계자들께 감사드 린다.. 2012. 12.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이 동 필.

(4)

(5) iii 요. 약. 연구의 배경 본 연구는 최근에 국내외에서 연구되고 있는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의 국내 농업 부문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 이 론의 검토, 국내·외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 국내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 도 입에 따른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 부문에 가상수 개념의 농업 부문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에 관한 이론 검토,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농업용수 사용량과의 비교, 국내외 가상수 적용사례를 통해 국내 농. 업 부문에 가상수 개념 도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국내 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 방법 검토,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농업용수와 가 상수의 비교(서울대학교 이상현 연구원), 국내 식품 생산·소비 및 시나리오. 에 따른 가상수량 산정 및 분석(서울대학교 유승환 박사)은 위탁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가상수의 이론과 물 수지 분석, 물효율성 분석 및 해외 사례 등 은 문헌 검토, 연구협의회, 워크샵 등을 거쳐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주요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의 농업용수 수요량과 가상수량의 차이는. 손실률과 공급안전율로 인해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식품생산 및 소비에 따른 가상수량 분석 결과 생산에 따른 가. 상수 사용량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주된 원인은 육. 류를 중심으로 한 축산물의 생산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6) iv 셋째,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추가적인 농업용수 가상수량은. 2005~2009년 대비 2015년 1,090.3백만㎥이고, 2020년 920.0백만㎥. 으로 추정되었으며 신규 수자원 확보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기존에 확보된 농업수자원에 대하여 물 사용 효율 증대 및 대체 수자원 개발 등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농업수자원 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물발자국 이론을 기초로 한 가상수 수지 분석 결과 한·미. FTA로 인. 304M㎥로 예상되며 한·EU FTA로 인한 가 상수 사용량 감소 추정치는 85M㎥로 추정되었다. 한·미 FTA와 한·EU FTA 를 동시에 고려한 경우 가상수 감소 추정치는 389M㎥로 예상되며 수자원장 기계획에 따른 밭용수(축산용수 포함)의 13%에 상당하는 농업용수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섯째, 가상수를 고려한 물효율성 지표는 농업분야 내에서 물효율성이 높고 낮은 분야를 분석, 구분하여 물효율성이 높은 부문으로 물을 배분하는 한 가상수 사용량 감소 추정치는. 정책을 고려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작부체계 전환과 물이 용료 부담 등과 연계하여 효율성 지표의 중요성이 커질 전망이다. 향후 가상수 도입 및 활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물발자국 산정에 대한 통일된 표준이 필요하며 농업용수 사용량이 각. 지역의 기상, 토양, 작물 및 지하수 사용 등에 영향을 받는 현실을 고려할 때 각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지역별 물발자국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시급하다 고 할 수 있다.. 둘째, 수출입국에 대한 다양한 물발자국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FTA로 인한 농업용수에 대한 파급효과와 식량자급률 제고 정책과의. 상충관계를 파악하고 조정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별 물 수지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역별 용수시설개발 및 물관리정책에 대한 연 구가 필요하다.. 넷째, 물효율성 지표의 경우 각 지역의 농업용수 스트레스(water. stress), 생. 물다양성(biodiversity) 등의 다른 지표들과 연계를 통해 그 유용성이 더욱 커.

(7) v 질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지역별 녹색물(green. water),. 청색물(blue. water). 데. 이터 구축 및 농업용수 스트레스 지표 구축과 물효율성 지표와의 연계에 관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8) vi ABSTRACT. A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Virtual Water to Agriculture Background of Research As a basic stud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materials and data to introduce virtual water to the agriculture sector by reviewing the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theories, comparing agriculture water consumption estimates in long-term water resource plans and reviewing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here virtual water has been applied.. Method of Research This research report consists of 5 chapters. First, chapter 1 shows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the methods used, and it contains a review of related works. In chapter 2, we explain the concepts of virtual water and water footprint, and review the methods of calculating domestic and foreign virtual water. We also review international cases. In chapter 3, we deduce the policy by calculating and comparing water footprints and agriculture water demands and calculate and analyze domestic food production and virtual water consumption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virtual water implementation, and we also draw implications for implementing domestic virtual water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virtual water consumption according to a consumption scenario, water earnings, and consumption that considers virtual water. In chapter 4, we conduct a virtual water trad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free trade agreements. We also conduct a water efficiency analysis which can be useful to policy makers who make decisions related to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Lastly, chapter 5 consists of a summary and conclusion..

(9) vii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primary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virtual water consumption for production generally showed increasing tendencies, mainly due to the increased production of livestock products (mostly meat). The additional agricultural virtual water consumption required to meet the food self-sufficiency goals is expected to be 1,090.3 million m3 for 2015 and 920.0 million m3 for 2020. Based on the results of virtual water earnings and consumption, using the water footprint theory, the expected decrease in virtual water consumption due to the KOR·US FTA is 304 million m3, while the expected decrease of virtual water consumption due to the KOR·EU FTA is 85 million m3. When both free trade agreements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e expected decrease in virtual water consumption is 389 million m3, while the decreased amount of agricultural water is 13% of dry field water. The water efficiency index which considers virtual water and distinguishes industry sectors with high agricultural water efficiency from industry sectors with low agricultural water efficienc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considering policies that distribute water to areas with high water efficiency. Researchers: Yoon-Hyung Kim, Hong-Sang Kim, Jeong-Seung Kim Research Period: 2012. 1~2012. 12 E-mail address: yonhk2@krei.re.kr.

(10)

(11) ix 차. 례. 제1장 서론 1. 2. 3. 4.. 연구의 필요성 ························································································ 1 연구목적 및 방법 ··················································································· 2 선행연구 검토 ························································································ 3 보고서 구성 ···························································································· 4. 제2장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1. 2. 3..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개념 ·································································· 5 국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 방법 검토 ··········································· 8. 해외 적용사례 및 시사점 ···································································· 16. 제3장 가상수를 고려한 물 수요 및 사용량 분석 1. 2. 3. 4.. 물발자국과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방법 비교 ·································· 27 물발자국 산정 결과와 농업용수 수요량의 비교 및 검토 ················ 31 국내 식품 생산 및 소비 가상수량 산정 및 분석 ····························· 41 생산 및 소비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변화 분석 ·············· 66. 제4장 가상수를 고려한 물 수지 및 효율성 분석 1. 2.. 가상수를 고려한 물 수지 분석 ··························································· 77 가상수를 고려한 물효율성 분석 ························································· 84. 제5장 요약 및 결론 부록 부록:. 참고. ···················································································. 93. 1.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의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 ················ 97 2. 품목별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3 문헌 ···································································································· 111.

(12) x 표 차례. 제2장 표 표 표 표. 2-1. 2-2. 2-3. 2-4.. 품목별 단위가상수량(VWC) ······················································ 11. 15 호, 케냐 ······································································ 23 호, 캐냐 ······································································ 24. 국내와 국외의 논 벼의 물발자국 산정 방법 비교 나이바샤 나이바샤. ···············. 제3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3-1. 논 벼의 수요량 및 물발자국 산정 방법 비교 ························ 28 3-2. 밭작물의 수요량 및 물발자국 산정 방법 비교 ······················ 30 3-3. 논 벼의 지역별 물발자국(2004~2009) ··································· 32 3-4. 논 벼의 지역별 물 사용량 (2004∼2009) ······························· 33 3-5. 식량작물의 물발자국 산정 결과 ·············································· 34 3-6. 과수류 및 특용작물의 물발자국 산정 결과 ···························· 35 3-7. 채소류의 물발자국 산정 결과 ·················································· 35 3-8. 물발자국 적용 시 연도별 물 사용량 ······································· 36 3-9.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시나리오 ·················································· 36 3-10. 시나리오 및 시기별 경지면적(한국농어촌공사, 2009) ··········· 37 3-11. 농업용수 수요량과 물발자국에 의한 물 사용량의 비교 (1) ······ 38 3-12. 농업용수 수요량과 물발자국에 의한 물 사용량의 비교 (2) ······ 39 3-13. 국내 농축산물 소비 및 생산량(식품수급표) ··························· 44 3-14. 국내 1인당 식품 소비량 ··························································· 62 3-15. 식품별 국내 1인당 가상수 소비량 분석 결과 ························ 63 3-16. 국내 생산⋅소비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및 자급률 ·············· 65 3-17. 2015년 및 2020년 국내 소비량 및 생산량 시나리오 ············· 69 3-18. 2015년과 2020년의 가상수 필요수량 산정 결과 ····················· 72.

(13) xi. 제4장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표. 4- 1. 4- 2. 4- 3. 4- 4. 4- 5. 4- 6. 4- 7. 4- 8. 4- 9. 4-10. 4-11.. FTA에 FTA에. 따른 주요 품목별 생산액 감소 추정 ············ 78. FTA에 한·EU FTA에. 따른 주요 품목별 생산액 감소 추정 ··········· 81. 한·미 한·미. 따른 주요 품목별 생산 및 가상수 감소량 추정 ·· 79. 농업용수 수요량 ····································································· 80 한·EU. 따른 주요 품목별 생산 및 가상수 감소량 추정 ·· 82. 물효율성 분석(곡물) ······························································· 85 물효율성 분석(과일류) ··························································· 86 과채류 물발자국 ····································································· 87 물효율성 분석(과채류) ··························································· 88 물효율성 분석(채소류) ··························································· 89 물효율성 분석(축산물) ··························································· 90. 부록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부표. 1-1. 시설관리용수율 변화 ···························································· 100 2-1. 품목별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3 2-2. 곡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5 2-3. 서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6 2-4 채소 및 과실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6 2-5. 설탕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7 2-6. 두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7 2-7. 종실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8 2-8. 유지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8 2-9. 육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09 2-10. 우유류의 가상수 사용량 및 소비량 ···································· 110.

(14) xii 그림 차례. 제2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2-1. 논 벼의 단계별 가공품 ··························································· 6 2-2. 국가 물수지 산정 ····································································· 7 2-3. 물발자국의 구성요소 ······························································· 7 2-4. 단위 가상수량 산정 ······························································· 10 2-5. 중국의 식품소비패턴과 물 요구량 변화 ····························· 17 2-6. 구아디아나 강 유역 작물별 물발자국 ································· 18 2-7. 구아디아나 강 유역 청색물발자국 효율성 ·························· 19 2-8. 이탈리아 듀럼 밀의 물발자국 ·············································· 20 2-9. 이탈리아 듀럼 밀의 녹색 및 청색 물발자국과 물 스트레스 ···· 21 2-10. 수원별 비중(blue water) ·························································· 21 2-11. Coca-Cola Company pilot case study ······································· 25. 제3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지역별 녹색, 청색 물발자국. 33 곡류(옥수수, 쌀, 보리, 밀 및 기타 곡류)의 국내 생산량 ········ 47 곡류(옥수수, 쌀, 보리, 밀 및 기타 곡류)의 국내 소비량 ········ 48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부산물)의 국내 생산량 ····· 49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및 부산물)의 국내 소비량 ····· 50 국내 농축산물 생산을 위한 가상수 사용량 ························ 52 국내 곡류 생산을 위한 가상수 사용량 ······························· 53 육류의 국내 생산을 위한 가상수 사용량 ···························· 54 국내 농축산물 소비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 56 국내 곡류 소비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 58 ···············································.

(15) xiii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3-11. 곡류 중 식용․사료용 및 기타 소비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 59 3-12. 국내 육류 소비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 60 3-13. 식품별 국내 1인당 가상수 소비량 분석 결과 ···················· 63 3-14. 품목별 식량자급률 변화 추이 및 2015년, 2020년 목표치 ···· 68 3-15. 2015년과 2020년의 가상수 순(net) 필요수량 산정 결과 ···· 72 3-16. 2015년과 2020년의 가상수 수입량 산정 결과 ····················· 74. 제4장 그림 그림 그림 그림 그림. 4-1. 4-2. 4-3. 4-4. 4-5.. 물효율성 분석(곡물) ······························································ 86. 1-1.. 논용수 수요량 산정 흐름도 ·················································· 99. 물효율성 분석(과일류) ··························································· 87 물효율성 분석(과채류) ··························································· 88 물효율성 분석(채소류) ··························································· 89 물효율성 분석(축산물) ··························································· 90. 부록 부도.

(16)

(17) 서. 1.. 론. 연구의 필요성. 2013년은 유엔이 정한 국제 물 협력의 해로 물 부족과 관리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OECD 환경전망 2050(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50)에 따르면 새로운 정책이 없을 경우 2050년까지 물 수요는 제조업, 전력, 가정용수 수요 등의 증가로 인해 55% 증가하여 2050년까지 세 계인구의 40% 이상이 심각한 물 스트레스 지역에 거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상수 이론은 1990년대 초반 영국의 Tony Allan 교수에 의해 창시된 것으 로 일정량의 생산품(농산물, 축산물, 공산품 등)과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물 의 양을 가상수라 한다(Allan, 2003). 물발자국(Water footprint)은 2002년 Hoekstra가 만든 개념으로 가상수에 무역이론인 비교우위 개념과 물의 이력 을 추가한 것으로 물이 상품을 통해 이동함을 보여줌으로써 기존 물에 대한 인식을 확장시킨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농업부문에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의 도입은 실제 농산물 생산에 소요되는 물의 양을 파악하여 기존의 공 급 중심의 물관리 정책을 수요 중심의 관리로 전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 며, 국가간 수출입을 통한 물수지 산정을 통해 국가 수자원 산정을 보다 정. 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국내 지역 간 물수지 분석의 경우 수자 원장기종합계획을 보완하여 지역 단위 용수 수요·공급 계획 실현에 도움이. 1. 제 장.

(18) 2. 서 론. 될 수 있다.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을 활용한 물효율성 지표의 경우 농업 분야 내에서 물효율성이 높고 낮은 분야를 분석, 구분하여 물효율성이 높은 부문으로 물을 배분하는 정책을 고려 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향. 후 작부체계 전환과 물이용료 부담 등과 연계하여 물효율성 지표의 중요성 이 커질 전망이며 농업용수 스트레스(water. stress),. 생물다양성(biodiversity). 등의 다른 지표들과 연계를 통해 다양한 환경평가 및 농업용수 정책 등에 활 용될 전망이다. 이렇듯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은 기존 물관리 정책을 소비 및 교역 정책 과의 연계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물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 가상수 및 물발자국 개념을 이용한 연구는 물 부족 문제에 대한 인 식을 확대시켜 보다 거시적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농업용수 관리에 대한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2.. 연구목적 및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농업 부문에 가상수 개념의 농업 부문 도입 및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상수 및 물발자국에 관한 이론 검토, 수자원장기종합 계획의 농업용수 사용량과의 비교, 국내외 가상수 적용사례를 통해 국내 농 업 부문에 가상수 개념 도입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국 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 방법 검토, 수자원장기종합계획의 농업용수와 가상수의 비교(서울대학교 이상현 연구원), 국내 식품 생산·소비 및 시나리. 오에 따른 가상수량 산정 및 분석(서울대학교 유승환 박사)은 위탁연구를 통. 해 이루어졌다. 가상수의 이론과 물 수지 분석, 물효율성 분석 및 해외 사례 등은 문헌 검토, 연구협의회, 워크샵 등을 거쳐 이루어졌다..

(19) 서 론. 3.. 3. 선행연구 검토. 국내 물발자국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유승환 등(2009)은.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작물통계연보와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44 개 농작물의 연간 가상수 사용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물 1t을 생산 하는 데 필요한 가상수량을 추정하였다. 안재현 등 (2010)은 물발자국 산정 방식을 논의하고 Chapagain and Hoekstra(2004)의 농축산물별 가상수 소비량 을 결정한 절차를 살펴보았다. 또한 산정된 우리나라의 단위 가상수량을 이 용하여 전체 가상수 수출입량을 산정하고 품목별 소비량을 평가하였다. Yoo et al.(2011)은 2003~2007년 동안의 우리나라 주요 곡물의 수출입 교역을 통 한 가상수의 국제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가상수 교역에 따른 세계 및 국내의 물 절약성을 평가한 바 있다. 이상현 등(2010)은 우리나라와 세계 국가들 간의 커피무역을 통하여 순수입 되는 가상수의 양과 이를 통하여 절약되는 가상수의 양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농수산물 유통공사에서 제공하는 2005~2009년의 커피 수출입 자료와 Chapagain and Hoekstra(2004)의 국가별 커피 생산을 위한 단위 가상수량과 생산 비 자료를 활용하였다. 국가별 순수입 가상수량을 산정한 결과 베트남․브라질 로부터 각각 196M㎥/년과 195M㎥/년의 가상수를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피무역을 통하여 1,601M㎥/년의 물이 절약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홍일표 등(2009)은 미국·EU 등 주요국과의 FTA 추진으로 인해 농축산물이 개방됨에 따르는 가상수 거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산품 가격인하에 따른 교역 량 증가로 가상수의 수입량이 크게 늘어나며 특히 벼작물과 밀 등의 수입 증가 로 인한 가상수 수입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분석하였다. 김우람(2011)은 물발자. 국 개념을 이용하여 세탁기의 수자원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세탁기 1대당 수자. 110,105kg이며, 사용단계에서 90,495kg/대의 물이 사용되어 대부분 의 수자원이 사용단계에서 사용된다고 분석되었다. 주상언(2010)은 산업연관표 원 사용량은. 와 물발자국의 개념을 이용하여 산업에서 간접적으로 사용된 용수량을 수치화.

(20) 4. 서 론. 하였으며 이를 직접적인 용수량과 간접적인 용수량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해외 물발자국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Hoekstra and Hung(2002)은. 1995~1999년의 국가별 작물 생산량 및 수출입량을 이용한 국가별 물발자국을 최초로 산정하였다. 이후 Chapagain and Hoekstra(2003)는 국가별 축산 및 축산 가공품에 대한 가상수를 산정하였으며, 가공품에 대해서는 생산 비율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가상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Chapagain and Hoekstra(2004)는 위 두 연구를 종합하여 농축산물 및 그 가공품 그리고 공산품에 대하여 가상 수를 산정하였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물 희소성, 국가의 물 자급률 및 물 수 입 의존도를 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우리나라는 일본․이탈리아․영국․독 일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많은 물을 순수입하는 국가로 보고된 바 있 다. 현재 국가별로 농축산 주요 품목 및 바이오에너지, 식품가공품 등에 대한 물발자국 산정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스페인 등은 가상수와 물발자국을 효과 적인 수자원 분배 도구로서 활용하여 현재 물 이용패턴과 이용 가능한 패턴을 비교함으로써 효율적 물이용 대안을 찾는 도구로 물의 생산성을 활용 중이다.. 4.. 보고서 구성. 본 연구보고서 내용은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연구. 의 필요성, 연구목적과 방법, 선행연구 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개념, 국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방. 법 검토, 해외지역 연구사례 및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물발. 자국과 농업용수 수요량의 산정 방법 및 결과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과 국내 식품 생산 및 소비 가상수량 산정 및 분석 및 생산 및 소비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변화 분석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가상수 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 물효율성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농업부문 가상수 도 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21)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1..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개념1. 농산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물이 사용되 는데,. Allan. 교수는 이와 같은 물을 가상수의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상수의 개념을 활용하여 모든 재화 및 용역의 생산단계별 물 사용량을 산 정하고, 최종 생산물이 생산되기까지의 물의 이력을 표현할 수 있는 지표가 물발자국이다. 예를 들어 백미. 1t 생산을 위한 가상수 계산에는 먼저 논 벼를. 재배하기 위해 사용된 관개수량 등이 산정되고 다음으로 논 벼를 현미와 백 미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이 산정된다. 즉, 백미의 물발자국은 논 벼 재배에서 시작하여 현미․백미 가공으로 이어지며 생산과정별 사용되는 가상수의 이력을 의미하게 된다<그림. 1t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2,309㎥의 가상수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유 승환 등 2009). 물발자국은 크게 내부와 외부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물발자국(  , 1. 2-1>.. 이러한 과정에 따라 백미. 물발자국의 주요 개념은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을 참조함.. 2. 제 장.

(22) 6.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그림 2-1. 논 벼의 단계별 가공품. internal water footprint)은 그 나라의 거주자에 의해 소비되는 제품을 생산하 기 위해 사용되는 국내 수자원의 양을 의미하고, 국내 생산에 따른 총 가상 수량에서 수출을 위해 사용되는 가상수량을 제외하여 산정한다. 외부 물발 자국( EWFP, external water footprint)은 그 나라 거주자들의 소비를 위해서 수입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에서 사용된 물의 양으로서 국 가의 가상수 수입량에서 가상수 재수출량, 즉 수출량 중에서 외국의 수입물 품을 이용하여 만든 물품의 가상수 수출량을 제외하여 산정한다. <그림 는 한 국가의 물발자국을 생산과 소비, 교역과 연계하여 표현한. 2-2> 것이다. 일. 반적인 물 소비 통계는 한 국가 내에서 소비되는 수량을 산정할 뿐 국내외로 교역되는 가상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특히 물발자국은 물의 이력을 내포하기 때문에 이전의 가상수의 개념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단순히 제품 생산을 위 해 사용되는 물의 총량이 아닌 용수 공급원에 따라 이용되는 물을 구분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발자국은 녹색(green)·청색(blue)·회 색(grey) 물발자국으로 구분하여 산정되고 있다. 녹색 물발자국(green. footprint)은. water. 제품 생산과정에 자연상태에서 공급되는 강우량(rainwater)을 의.

(23)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7. 그림 2-2. 국가 물수지 산정. 자료:.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 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작물 생육기간 동안 자연상태에서 공급되는 유효우 량을 의미한다. 청색 물발자국(blue 되는 지표수 또는 지하수. water footprint)은 제품 생산과정에 사용 소비량을 의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작물 생육기. 그림 2-3. 물발자국의 구성요소. 자료:.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

(24) 8.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간 동안 필요한 수량 중 유효우량을 제외하고 인위적으로 관개시스템으로부 터 공급되는 관개수량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회색 물발자국(grey. water. footprint)은 제품 생산과정 동안 발생한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량을 의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비료 등에 의해 배출되는 질소․인 등의 오염물질을 배출기준농도에 적합하도록 희석하기 위해 필요한 수량을 의미 한다. 직접물발자국(direct. water footprint)은. 생산자나 소비자가 생산품의 최. 종단계에서 직접 사용하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상품의 생산단계나 투 입재에 소요되는 물의 양을 의미하는 간접물발자국(indirect. water footprint)과. 구별된다. 이러한 물발자국 개념은 직접수 뿐만 아니라 간접수도 포함하며 녹색·청색·회색 물발자국으로 구별될 뿐만 아니라 하천수로나 지하수층으로 환원되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취수개념과 다르다.. 2.. 국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 방법 검토2. 2.1 가상수량 산정 2.1.1 원작물의 가상수량 산정 물발자국은 사람들의 소비와 관련된 물이용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로서 가 상수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상수량의 산. 정 방법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물발자국의 산정방법을 조사,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Chapagain and Hoekstra(2004)가 제안한 가상수량 산 정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상수량(  , virtual water content)은 작물 1t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된 2. 국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 방법 검토는 서울대학교 이상현 연구원의 위탁 원고를 정리함..

(25)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9. 물의 양(㎥/t)으로, 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물 사용량과 전체 작물 생산량의 비로 산정할 수 있고 이는 아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 즉, 가상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선행적으로 작물의 생산을 위해 사용. 되는 물인  (crop. water use, ㎥/yr)를 산정해야 하고,  는 작물 필요수 량과 작물의 전체 생산량, 단위면적 당 작물의 생산량을 활용하여 산정된다.  .    × . 여기서,  (crop. water requirement, ㎥/ha 또는 ㎜)는 필지 단위에서 작물 필요수량이고,  은 작물의 전체 생산량(t/yr)이며,  (t/ha)는 단위면 적당 작물의 생산량을 의미한다.  는 작물 생육기간(  , length of growing period in days) 동안의 일별 작 물증발산량( , crop evapotranspiration)을 누적한 값으로 계산된다. 논 벼의 경우, 담수재배를 하기 때문에 작물 필요수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논 벼의 작물증발산량과 함께 침투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침투량은 토양 종류 및 지하수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Chapagain and Hoekstra(2004)의 연구에서 는 전체 작물생육기간 동안 300㎜로 가정하였다. 증발산량의 경우 Chapagain and Hoekstra(2004)는 국제식량농업기구에서 1998년에 추천한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이용하여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10.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그림 2-4. 단위 가상수량 산정. 자료: 유승환 등(2009).. 여기서,. (kPa℃ ),.  =기준작물증발산량( mmday),. . =증기압. 곡선의. 기울기.  =순일사량 ( MJm day), =토양 열 유속 밀도 ( MJm day),  =건. (℃), =2m 높이에서 풍속 (ms ),  =포화증기압(kP a ), =실제증기압 (kPa )을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작물증발산량은 먼저 기준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작물의 생육시기별 작물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며 이는 아래의 식과 같다. 작물계 습계 상수 ( kPa℃ ),  =2m 높이에서 일평균기온. 수는 작물의 생장단계에 따라 변하여 초기에는 작으나 중기에 증가했다가 말기에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작물계수는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거나. 건조하고 바람이 있는 기후에서는 높고, 기온이 낮거나 습윤한 기후에서는 낮다.. Chapagain and Hoekstra(2004)의 연구에서는 FAO에서 제공하고 있는 작.

(27)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11. 물계수를 이용하였다.   . ×. .   . ×. . . . 논벼 × .  .     ×      max. 종 류 곡류. 밭작물. i f       ×  max . . 표 2-1. 품목별 단위가상수량(VWC) VWC(㎥/t). 종 류. VWC(㎥/t). . 채소류 및 과수류. . 밀. 1,071.6. 채소류. 143.0. 쌀. 1,153.8. 과실류. 465.2. 823.0. 육류. . 보리 옥수수. 1021.3. 쇠고기. 14,250.0. 기타. 2,343.7. 돼지고기. 5,571.6. 서류. . 닭고기. 4,015.6. 감자. 134.8. 부산물. 10,606.4. 고구마. 364.3. 계란류 및 우유류. . 설탕류. . 계란류. 3,805.7. 설탕류. 1,428.6. 우유. 1,011.4. 두류. . 전지분유. 1,137.8. 대두. 3,308.5. 탈지분유. 팥. 3,069.0. 조제분유. 기타. 2,616.6. 연유. . 유지류. 견과류. 3,474.1. 식물성. 4,000.0. 참깨. 7,633.4. 동물성. 10,506.8. 기타. 4,885.8. 견과류 및 종실류. 4,551.1. . . 자료: 유승환 등(2009); Chapagain and Hoekstra(2004). 주: 쌀의 경우 침투량을 제외한 값이며 기타 작물의 경우 유승환 등(2009)의 결과를 이용하여 재산정한 수치임.. 여기서  는 작물증발산량, 는 작물계수,  는. 토양수분에 따른 증산감소계수,  는 기준작물증발산량을 나타낸다.  .

(28) 12.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는 실제 활용가능한 토양수분이고 max 는 근군역 내에서 최대 활용가능한 토양수분을 의미한다.. 2.1.2 가공품의 가상수량 산정. 1차, 2차. 가공되는 농산물에 대한 가상수량은 원작물의 가상수량과 가공. 을 위해 필요로 하는 가공수량을 합산하여 산정된다. 예를 들어 논 벼로부터 탈곡을 거쳐서 1차 농산품인 현미를 가공하고 이후 추가 가공을 통하여 백. 미, 쌀가루 등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1차, 2차 가공품은 원 작물의 가상수량 과 가공 시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합산하여 산정된다. 또한. Hoekstra(2004)는. Chapagain and. 원 작물로부터 2개 이상의 가공품이 생산될 때 원 작물의. 가상수량을 기초로 하여 가격부분과 생산부분에 따라 차별적으로 분배할 것 을 제시하였다. 즉, 논 벼의 경우 원 작물인 벼로부터 현미와 왕겨가 1차적으 로 생산될 때 논 벼의 가상수량을 두 생산품의 생산비율과 가격차이를 적용 하여 각각 산정하게 된다. 현미는 다시 백미와 쌀겨로 가공되는데 생산비율. 0.93, 0.07이라면 현미 1t은 백미 0.93t과 쌀겨 0.07t으로 가공되는 것 을 의미한다. 가격비율은 시장가격을 적용하여 동일한 쌀겨와 백미 1t이라도 시장가격에 의한 가치를 재부여하게 된다. Chapagain and Hoekstra(2004)는 이 와 같은 원작물로부터 가공과정에 따른 1차, 2차 가공품에 대한 가상수량 산 정방법을 아래 수식과 같이 정의하였다. 이 각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f[p]와 vf[p]는 생산품 [p]의 생산비율과 가격비율을 의미하고, PWR[c]는 1차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원 작물[c]을 가공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을 의미한다. 여기서.

(29)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13. 2.2 물발자국 산정(녹색·청색·회색 물발자국) 물발자국은 가상수의 개념을 확대하여 물 사용 지표를 나타내는 것으로 먼저 국외에서는 작물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한 바 있다.. Chapagain and Hoekstra(2010)의 연구에서 제시한 논 벼의 물발자국 산정 방 법을 살펴보면 작물 필요수량은 CROPWAT 모형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이 때 모형 내의 증발산량은 기존의 가상수량 산정 시 적용되는 FAO Penman-Monteith 공식을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논 벼의 물발자국 산정 시 녹 색 물발자국에 해당하는 유효우량은 USDA SCS 법에 의해 산정하였다. 비 소비수로 구분될 수 있는 침투량은 2.5㎜/day로 설정하고 이앙재배의 이양용 수량의 경우 100㎜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이앙용수량 중 일부는 수확 후 토 양 내 잔존하기 때문에 토양 내 잔여수분량으로 구분하여 산정한다. 토양침 투량 및 잔여수분량을 증발산량과 구분하여 고려함에 따라 향후 실제 작물 에 의해 소비되는 소비수량(consumption. water)과 환원 또는 침투되어 토양에 남게 되는 비소비수량(non-consumption water)이 구분될 수 있다. 이처럼 물발 자국의 산정방법은 가상수 산정방법과 유사하지만 수량의 공급원을 강우와 관개로 구분하고, 또한 실제 소비되는 작물증발산량과 환원 또는 침투되는 침투량 및 잔여수분량을 구분하여 산정한다는 차별점을 지니게 된다.. 회색 물발자국은 가상수량 산정 시 고려되지 않았으나 물발자국의 개념으 로 확장되면서 고려된 수량이다. 농작물 재배 시 사용된 비료 등에 의해 유 출되는 유출수의 수질을 측정하여 배출수 수질 기준에 적합하도록 희석하기 위한 수량을 회색 물발자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배출수 수 질 기준이 필요하기 때문에 국내에 적용할 때는 자국 내의 수질 기준을 적용. EU에서는 50mg/ℓ의 NO3를 제시하 고 있고, US-EPA에서는 10mg/ℓ의 NO₃-N을 제시하였고 Chapagain and Hoekstra(2010)의 연구에서는 10mg/ℓ의 NO₃-N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할 필요가 있다. 국외 연구를 살펴보면. 밭작물 역시 기존의 가상수량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작물 필요수량을 산정하고 있다. 즉 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여 필요수량으로 설정하였다. 가상.

(30) 14.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수와의 차이점은 용수공급원을 유효우량과 관개수량으로 구분하여 녹색과 청색 물발자국을 구분하고 있다. 이처럼 밭작물의 물발자국은 기존의 가상 수 산정방법을 토대로 용수공급원에 따라 녹색과 청색으로 구분하여 산정되 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2.3 국내외 가상수 및 물발자국 산정 방법 비교 현재까지 국내의 가상수 산정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있으나 녹색․청색․. Yoo et al.(2011)에 의한 논 벼의 물발 자국 산정 연구이고 이 연구의 물발자국 산정 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회색 물발자국을 구분하여 진행된 연구는. 먼저 논 벼의 물발자국 산정 방법은 기존의 국내 가상수량 산정 방법과 동 일하고 적용 데이터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작물증발산. FAO Penman-Monteith법과 Yoo et al.(2008)에 의해 우리나라에 적합하 도록 개발된 작물계수를 적용하였다. 또한 작물 생육기간은 우리나라 실정 에 적합하도록 중부지역의 경우 이앙일을 5월 21일부터 31일까지로 설정하 고 관개기간은 6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로 설정하였다. 남부지역의 경우 이 앙일을 6월 1일부터 10일까지로 설정하고 관개기간을 6월 11일부터 9월 20 일로 설정하였다. 작물 필요수량 산정 시 국외 방법과의 차이점은 CROPWAT 모형이 아닌 일별 물수지법에 의해 설정된 담수심과 일별 증발 산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필요수량을 산정하는 부분이며, 이때 5㎜이하의 강 우량은 무효강우로 간주하고, 담수심 내에서만 활용되는 강우량을 유효우량 으로 설정하였다. 이앙용수량은 140㎜로 설정하였고 관개종료 후의 증발산 에 의한 토양수분 사용량을 산정하여 토양 내 잔여수분량을 산출하였다. 이 량은. 와 같은 방법은 담수심에 의해 이앙재배를 실시하는 우리나라에서 보다 적 합한 방법이며 다음 장에서 설명하게 되는 우리나라의 수자원장기종합계획 에서 제시하는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방법과도 유사하다. 침투량은. Jang et. al.(2007)의 연구에 근거하여 우리나라의 논 토양은 대부분 상대적으로 침투.

(31)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량이 적은 토양이므로 약. 4~6㎜/day를. 15. 침투량으로 설정하였다.. 논 벼의 회색 물발자국 산정을 위해 먼저 재배지역에서 비료 등에 의해 배. T-N, T-P의 수치를 산정해야 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논 벼를 대상으 로 T-N, T-P의 유출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밭작 물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출되는. 에 밭작물은 제외하고 국내의 논 벼 대상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비료 등에 의. T-N, T-P의 평균값으로 12.90 kg/ha, 1.01 kg/ha를 설정하였다. 환 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수질기준인 T-N 40 ppm, T-P 10 ppm를 적용하여 논 벼의 물발자국을 산정하였다(Yoo et al., 2011). 해 유출되는. 밭작물의 경우 가상수량에 대한 연구 외의 물발자국에 대한 연구는 미흡 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산정방법과 동일하게. Penman- Monteith법과 FAO에서. FAO. 제공하는 작물계수를 사용하여 작물증발산. 량에 의한 필요수량을 산정하였다. 작물 재배기간 등의 영농방식에 관련된. 표 2-2. 국내와 국외의 논 벼의 물발자국 산정 방법 비교 구. 분. 대상지역. Chapagain and Hoekstra (2010). Yoo et al. (2011). 3 locations. 69 locations. 간. 2000-2004. 2004-2009. 영농방식. Wetland system. -작물재배기간. 120 days (FAO). 120 days. 15 days (FAO). 30 days. CROPWAT4. Daily water balance model. FAO Penman-Monteith. FAO Penman-Monteith. USDA SCS method. Free board model. 2.5 mm/day. 4.0-6.0 mm/day. 100 mm. 140 mm. 5 days. 1 day. 10 mg/litre NO₃-N. T-N 40 ppm, T-P 10 ppm. 기. -낙수기간 필요수량 -ETo -유효우량 -침투량 -이앙용수량 -time step 수질기준. Wetland system with optimal water ponding depth.

(32) 16.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부분은 농촌진흥청 품목별 관리 매뉴얼(농촌진흥청,. 2009)을. 주로 참고하였. 고, 작물 생산량 및 재배면적은 농림수산식품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신뢰성. 을 높이고자 하였다. 토양수분에 의한 증산계수는 고려하지 않고 순수하게 작물에 의해서만 증발산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녹색․청. 색 물발자국을 구분하기 위하여 증발산량 중 강우에 의해 공급되는 수량을 녹색 물발자국, 관개에 의해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수량을 청색 물발자국으. 로 적용하였고 밭작물의 경우는 시설재배지는 모두 관개로 용수가 공급되고, 노지재배의 경우는 모두 유효우량에서 용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밭작물의 회색 물발자국은 비료 사용에 따른 오염물질 유출에 대한 보다 상 세한 연구 결과가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시설재배지 의 경우 작물의 필요수량만을 공급하기 때문에 비료 성분의 외부 유출이 상 당히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3.. 해외 적용사례 및 시사점. 3.1 중국3. Liu. 등(2008)은 물 사용량을 청색물과 녹색물, 가상수 수입량을 구분하고. 중국의 식품 소비패턴 변화에 따른 물 요구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 2003년에 약 81㎦/yr의 가상수를 순수입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식품 총 물요구량의 약 8%를 차지하는 것이다. 식품당 물 요구량은 1961년 에 약 255㎥/cap/yr이고, 2003년에는 약 860㎥/cap/yr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 으며, 최근 10년 동안 축산물 소비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과 중국은. 3. 중국 사례는 Liu and Savenije(2008)를 참조하였음..

(33)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17. 그림 2-5. 중국의 식품소비패턴과 물 요구량 변화. 자료:. Liu and Savenije(2008).. 2003년의 식품 총 물요구량은 1,127㎦/yr로 나타났고 향후 30년 동안의 소 비패턴 변화에 의한 물 요구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저(low), 중(medium), 고(high) 현대화(modernization)의 세 가지 소비패턴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적 용하였다. 미래 소비패턴 변화에 따라 향후 30년 동안의 총 물요구량은 세 가지 시나리오에서 모두 증가하고, 2003년 기준으로 2030년에는 약 407~515 ㎦/yr의 물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패턴의 변화 및 인구증가는 중국의 수자원에 부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녹색물 및 가상수 수입량의 증가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래의 추가적인 물 요구량은 식품 소비패턴에 의존하기 때문에 축산물과 같 이 많은 양의 가상수가 필요한 식품에 대한 소비를 줄이는 것도 미래 중국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임을 주장하였다. 식품 소비패턴은 중국의 수자원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녹 색물에 대한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미래의 식품 총 물 요구량을 충족시키 기 위하여 가상수 수입의 이점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34) 18. 가상수 이론 및 적용사례. 그림 2-6. 구아디아나 강 유역 작물별 물발자국. 자료:. Aldaya and Llamas(2008).. 3.2 스페인(Guadiana River)4 스페인 구아디아나 강 유역은 유럽연합에서 가장 건조한 지역 중의 하나 이며 농업적으로 중요지역이다. 약. 25,000ha의. 늪지는 생태학적으로 중요성. 을 가지나 지나친 농업용수 개발로 인해 생태적인 위험에 직면하였다.. Aldaya. 등(2008)은 강 유역을 상·중·하류로 나누어 작물별 가상수량과 물효. 율성을 분석하여 지역마다 적합한 수출입 전략을 제시한 바 있다. 강 상류 및 중류 지역은 곡물(grain. cereal), 포도(vineyards), 올리브(olive trees)를 중심 으로 한 관개농업을 하고 있으며, 하류지역은 오렌지와 채소류를 주로 재배 4. 스페인 사례는 Aldaya and Llamas(2008)를 참조하였음..

참조

관련 문서

특히 노트르담 항구와 암스테르담 항구는 유럽 무역 및 운송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네덜란드의 농업 현황을 농업인 구조 및 품목별 생산 과

이스라엘 농업 개황 및 농업정책 파라과이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 농업 현황

「농업・농촌경제동향」은 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으로 국내외 농업 여건의 변화와 농업・농촌경제의 주요지표에 관한 동향을 정리・분석하여 정책 담당자 및 농업종사

동남아의 주요 농업 원조기관인 세계은행, USAID, JICA의 농업 부문에 대한 국제개 발협력의 특징을 보면 수원국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원조 형태가

□ 보편적 대의로서의 개발을 구현하기 위해 동 보고서는 ‘원조(aid)’를 초월하는 개념으로서 ‘개발(development)’ 개념의 도입, 개발을 위한

現代 韓國漢字音 -j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現代

현장 및 위성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경계층 바람 환경의 관측 및 분석 기술과 초고해상도 유체역학 모델링의 지역규모 적용을 위한 계산 및 이론, 그리고

Electricity trading pricing among prosumers with game theory-based model in energy blockchain environment.. Rethinking standby and fixed cost charges: regulatory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