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보고서 내용은 5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제1장에서는 연구 의 필요성, 연구목적과 방법, 선행연구 검토 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개념, 국내외 농작물별 가상수 산정방 법 검토, 해외지역 연구사례 및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물발 자국과 농업용수 수요량의 산정 방법 및 결과 비교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과 국내 식품 생산 및 소비 가상수량 산정 및 분석 및 생산 및 소비 시나리오에 따른 가상수 사용량 변화 분석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가상수 를 고려한 물수지 분석, 물효율성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 농업부문 가상수 도 입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요약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제 2

1. 가상수 및 물발자국의 개념

1

농산물의 생산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작물을 재배하기 위한 물이 사용되 는데, Allan 교수는 이와 같은 물을 가상수의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가상수의 개념을 활용하여 모든 재화 및 용역의 생산단계별 물 사용량을 산 정하고, 최종 생산물이 생산되기까지의 물의 이력을 표현할 수 있는 지표가 물발자국이다. 예를 들어 백미 1t 생산을 위한 가상수 계산에는 먼저 논 벼를 재배하기 위해 사용된 관개수량 등이 산정되고 다음으로 논 벼를 현미와 백 미로 가공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물이 산정된다. 즉, 백미의 물발자국은 논 벼 재배에서 시작하여 현미․백미 가공으로 이어지며 생산과정별 사용되는 가상수의 이력을 의미하게 된다<그림 2-1>. 이러한 과정에 따라 백미 1t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약 2,309㎥의 가상수가 필요한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유 승환 등 2009).

물발자국은 크게 내부와 외부로 구분될 수 있다. 내부 물발자국(



,

1 물발자국의 주요 개념은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을 참조함.

그림 2-1. 논 벼의 단계별 가공품

internal water footprint)은 그 나라의 거주자에 의해 소비되는 제품을 생산하 기 위해 사용되는 국내 수자원의 양을 의미하고, 국내 생산에 따른 총 가상 수량에서 수출을 위해 사용되는 가상수량을 제외하여 산정한다. 외부 물발 자국(

EWFP

, external water footprint)은 그 나라 거주자들의 소비를 위해서 수입되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다른 나라에서 사용된 물의 양으로서 국 가의 가상수 수입량에서 가상수 재수출량, 즉 수출량 중에서 외국의 수입물 품을 이용하여 만든 물품의 가상수 수출량을 제외하여 산정한다. <그림 2-2>

는 한 국가의 물발자국을 생산과 소비, 교역과 연계하여 표현한 것이다. 일 반적인 물 소비 통계는 한 국가 내에서 소비되는 수량을 산정할 뿐 국내외로 교역되는 가상수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특히 물발자국은 물의 이력을 내포하기 때문에 이전의 가상수의 개념을 보다 세부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단순히 제품 생산을 위 해 사용되는 물의 총량이 아닌 용수 공급원에 따라 이용되는 물을 구분하여 물발자국을 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물발자국은 녹색(green)·청색(blue)·회 색(grey) 물발자국으로 구분하여 산정되고 있다. 녹색 물발자국(green water footprint)은 제품 생산과정에 자연상태에서 공급되는 강우량(rainwater)을 의

그림 2-2. 국가 물수지 산정

자료: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

그림 2-3. 물발자국의 구성요소

자료: water footprint assessment manual(2011)

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작물 생육기간 동안 자연상태에서 공급되는 유효우 량을 의미한다. 청색 물발자국(blue water footprint)은 제품 생산과정에 사용 되는 지표수 또는 지하수 소비량을 의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작물 생육기

간 동안 필요한 수량 중 유효우량을 제외하고 인위적으로 관개시스템으로부 터 공급되는 관개수량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회색 물발자국(grey water footprint)은 제품 생산과정 동안 발생한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량을 의미하고, 농업부문에서는 비료 등에 의해 배출되는 질소․인 등의 오염물질을 배출기준농도에 적합하도록 희석하기 위해 필요한 수량을 의미 한다. 직접물발자국(direct water footprint)은 생산자나 소비자가 생산품의 최 종단계에서 직접 사용하는 물의 양을 의미하며, 이는 상품의 생산단계나 투 입재에 소요되는 물의 양을 의미하는 간접물발자국(indirect water footprint)과 구별된다. 이러한 물발자국 개념은 직접수 뿐만 아니라 간접수도 포함하며 녹색·청색·회색 물발자국으로 구별될 뿐만 아니라 하천수로나 지하수층으로 환원되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취수개념과 다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