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습연계 활용을 위한 韓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습연계 활용을 위한 韓"

Copied!
4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韓․日 漢字音의 수용 및 대응양상에 관한 연구

*

- 止攝韻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통합비교분운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중심으로 -

1)최지수**

목 차 1. 머리말

2. 본론 3. 결론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中古漢語 止攝韻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 운표>를 작성하여, 韓․中․日 漢字音의 음운체계와 韓․日 漢字音의 수용 및 대응양상을 분석하였다. 止攝韻에서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관계 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現代 韓國漢字音 -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 -er형, -ei형, -ai형 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e형 -o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i-i-i형, i-ei-i형, i-i-o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2. 現代 韓國漢字音 -ï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e형, -a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ïi-i-i형, ïi-i-e/ïi-i-a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 *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1036085)

** 인천대학교 일어교육과 박사 후 국내연수 연구원, 일본어음운론

(2)

을 알 수 있다.

3. 現代 韓國漢字音 -a/-a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으로 대응되며, 日 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a/ai-i-i형으로 나타난다.

4. 現代 韓國漢字音 -u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ua형으로 대응 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 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i-wei-i형, ui-uei-i형, ui-uei-ui형, ui-ua-ui형 順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5. 現代 韓國漢字音 -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u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u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 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uei-ui형, u-ei-ui형, u-u-ui형 順 으로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6. 現代 韓國漢字音 -uə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i형으로 대응 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uəi-uei-i형, uəi-i-i형으로 나타난다.

7. 現代 韓國漢字音 -o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o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u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oi-oi-ui형으로 나타난다.

8. 現代 韓國漢字音 -ju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 -i형으로 대응되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 -u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ju-wei-i형, ju-ei-ui형, ju-uei-i 형, ju-i-i형으로 나타난다.

9. 現代 韓國漢字音 -jəi형은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 -uei형으로 대응되 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i형으로 대응된다. 韓․中․日 常用漢字 漢 字音의 대응양상의 유형은 jəi-i-i형, jəi-uei-i형으로 나타난다.

주제어 : 수용양상, 대응양상, 음운체계, 한국한자음, 일본한자음, 중국한자음, 지섭

(3)

1. 머리말

본 연구에서는 中古漢音과 現代 中國漢字音, 中世 韓國漢字音, 近代 韓國漢字音, 現代 韓國漢字音, 日本 吳音과 漢音, 日本 常用漢字音의 자료를 이용한 止攝韻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 표>를 작성하여, 韓․中․日 漢字音의 음운체계와 韓․日 漢字音의 수 용 및 대응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韓․中․日 언어는 음운체계와 역사적 변화가 다르기 때문에 오늘날 三 國의 漢字音은 차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외국어 학습자는 自國의 언 어의 漢字音 발음과 他國의 언어의 漢字音 발음의 대응체계를 알게 되면 외국어 학습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구는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학습연계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금까지 韓․中․日 漢字音의 비교 및 漢字敎育에 관한 연구는 꾸준 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시대별 통합분 운표 작성 및 聲母 및 韻母의 전체에 대한 음운분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에 관한 전 반적이며, 체계적인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필자는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을 분석하여 崔志守(2019. 08)「韓日漢字音 의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臻攝韻을 중심으로-」, 崔志守(2019. 09)「齒音 系에서 나타나는 韓日漢字音의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精․莊․照․

淸․初․穿․從․牀․神母를 중심으로-」에서 臻攝韻과 齒音系에 대하 여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음운분석 및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앞으로 聲母別, 韻母別로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분운표를 작성하여 세밀한 분석과 종합적인 고찰을 계속 진행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止攝韻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 표>의 작성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작업한다. 1차적으로 韓․中․日 漢字

(4)

音 자료에서 止攝韻에 해당하는 韓․中․日 常用漢字(中國 常用漢字 2,500字, 韓國 敎育漢字 1,800字, 日本 新常用漢字 2,136字)1)를 추출한다.

2차적으로, 첫번째 작업으로는 中世, 近代, 現代 韓國漢字音 자료2)를 이 용하여 시대별로 字音형을 데이터화하여 <韓國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를 작성한다. 韓國漢字音 수용 당시의 음은 정확한 기록의 부재로 인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글이 창제된 후 즉 音표기가 가능해진 中世 시기 자료에 서의 漢字音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두 번째 작업으로, <日本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한다. 이를 위 하여 日本漢字音 자료3)에서 韓․中․日 常用漢字 중에 止攝韻에 해당 하는 字音을 데이터화한다.

세 번째 작업으로, <中國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한다. 이를 위 하여 中古音 및 現代中國漢字音에 해당하는 中國漢字音 자료4)에서

1) 본고에서는 中國 常用漢字, 日本 新常用漢字, 韓國 敎育漢字를 연구의 편의상 韓․

中․日 常用漢字로 명명하기로 한다.

2) 韓國漢字音 자료 :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는 뺷訓蒙字會뺸, 뺷新增類合뺸, 뺷千字文뺸, 뺷六祖法寶壇經諺解뺸 뺷眞言勸供․三壇施食文諺解뺸, 뺷飜譯小學뺸, 뺷小學諺解뺸, 뺷論 語諺解뺸, 뺷孟子諺解뺸, 뺷大學諺解뺸, 뺷中庸諺解뺸, 뺷孝經諺解뺸,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 는 뺷全韻玉篇뺸, 現代 韓國漢字音 자료는 뺷漢韓大辭典뺸을 사용한다.

3) 吳音 자료: 法華經音義, 大般若波羅蜜多經, 新譯華嚴經, 光明眞言土沙勸信記, 承 曆音義, 類聚名義抄의 자료를 사용한다.뺷法華經音義뺸는 小倉肇(1995),뺷大般若般若 波羅蜜多經뺸은 金正彬(2007),뺷新譯華嚴經뺸은 榎木久薫(1989),뺷光明眞言土沙勸信 記뺸는 榎木久薫(1989), 뺷承曆音義뺸는 小倉肇(1979), 뺷類聚名義抄뺸는 沼本克明 (1995)의 分韻表를 사용한다. 漢音자료 : 蒙求, 群書治要, 大慈恩寺三藏法師傳, 本 朝文粋, 佛母大孔雀明王經, 文鏡秘府論의 자료를 사용한다. 뺷蒙求뺸,뺷群書治要뺸,뺷大 慈恩寺三藏法師傳뺸,뺷本朝文粋뺸는 佐々木勇(2009)의 資料編에 실린 分韻表를,뺷佛 母大孔雀明王經뺸은 李京哲(2005), 文鏡秘府論은 柏谷嘉弘(1965)의 分韻表를 사용 한다.

4) 中國 中古音 資料 : (1) 河野六郎(1979b)「資料音韻表」뺷河野六郎著作集뺸第2卷 別 冊 平凡社. (2) 李珍華․周長楫(1998)뺷漢字古今音表(修訂本)뺸中華書局出版. (3) 郭 錫良(1986) 뺷漢字古今手冊뺸 (4) 坂井健一 編(1998-2008) 뺷宋本 廣韻全譯뺸

經典釋文의 反切 : 坂井健一(1975)․김현정(2001)의 反切表.

(5)

韓․中․日 常用漢字 중에 止攝韻에 해당하는 字音을 데이터화한다. 작 성된 <韓國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日本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中國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止攝韻의 <韓․

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를 작성한다.

2. 본론

止攝 韓․中․日 常用漢字는 총 262字로 支韻․脂韻․之韻․微韻이 있다. 이하 각 韻별로 작성된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 운표>를 통해 분석하기로 한다.

2.1. 支韻 開口3等 갑․을류 2.1.1. 支韻 開口3等 갑류

<표 1> 支韻 開口3갑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5)切韻音 秦音 現代6)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7)

1 khiʌi kii kii -

2 giʌi gii kii - -

3 giʌi gii kii jì/qí

4 'jiʌi 'jii 'jii 이/역 이/역8) イ/ヰ/ヌイ イ/エキ 5 'jiʌi 'jii 'jii yí/chǐ 이/치 イ/ヰ/ヌイ

6 tiʌi ṭii ṭii zhī チ/チイ

7 tiʌi ṭii ṭii zhī - - -

8 tiʌi ṭii ṭii zhì チ/チイ -

9 diʌi ḍii hii dì/de チ/ジ

10 diʌi ḍii hii chí/tuó 지/타 チ/チイ

11 diʌi ḍii hii chí チ/チイ -

12 liʌi lii lii リ/リイ

13 liʌi lii lii - -

14 piʌi pii pii bēi/ ヒ/ヒイ/ヒツ

(6)

支韻 開口3等 갑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36字이며 中國 中古音에

5) 中古音인 南北朝音, 切韻音, 秦音은 平山久雄(1967), 河野六郞(1979b), 李京哲 (2003)의 再構音을 참조하여 일부 수정하였다. 南北朝音은 字間을 고려하여 南北朝 로 생략하여 표기하였다.

6) 中國 現代漢字音인 [拼音]은 漢典(http://www.zdic.net)에서 中國의 표준어 발음을 제시하며, 多音字辞書(https://zidian.911cha.com/duoyinzi.html)를 보조자료로 삼는다.

7) 日本 新常用漢字는 字間을 고려하여 [常用]으로 표기하였으며, 常用漢字表(2010)에 서 音讀을 가진 한자를 나타낸다.

8) [易이]의 다른 음인 [역]은 梗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9) [刺]의 다른 音인 [쳑]은 梗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bǐ/pí

15 piʌi pii pii bēi - -

16 piʌi pii pii ヒ/ヒイ

17 biʌi bii phii - -

18 biʌi bii phii pí/bà 파 피/패/파 피/파 - -

19 biʌi bii phii ヒ/ヒイ

20 biʌi bii phii pí/pái/bì ヒ/ヘイ -

21 tsiʌi tsii tsii

22 tɕiʌi tɕii tɕii zhī シ/シイ

23 tɕiʌi tɕii tɕii zhī 지/기 シ/シイ

24 tɕiʌi tɕii tɕii zhī - -

25 tɕiʌi tɕii tɕii zhǐ

26 tɕiʌi tɕii tɕii zhǐ - - -

27 tshiʌi tshii tshii cì/cī /쳑9) -

28 tshiʌi tshii tshii

29 siʌi sii sii -

30 siʌi sii sii

31 ɕiʌi ɕii ɕii shī/yì 시/이 시/이 シ/セ シ/セ

32 siʌi sii sii chì - - -

33 ʑiʌi ʑii ɕii shì セ/シエ

34 ʑiʌi ʑii ɕii shì/zhī - 씨/지

35 ņʑiʌi ņʑii ņʑii ér / /예 아/예 - ジ/ニ

36 ɕiʌi ʃii ɕii shài - - - - -

(7)

서 iʌi>ii>ii로 변화한다.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는 -i형이 일반적이지만 –i형(27字), -ɐ형(6字), -a형(1字)으로 반영되었는데, 齒音字에서는 -i형 과 -ɐ형이 혼재하고 있다.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i형, -ɐ형 順으로 반영되어 있다. 止攝韻의 中世와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 齒音字를 분석하면 齒頭/齒上音은 -ɐ형으로 나타나며, 正齒音은 -i형으로 나타나, 齒頭/齒上音과 正齒音을 구분하고 있다. 따라서 -ɐ형의 반영은 齒頭/齒 上音과 正齒音을 구별하는 切韻音 시기 이전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日 本漢字音에서는 吳音에서 -i형, -e형으로, 漢音에서는 주로 -i형으로 반 영되어 있다. 吳音 -e형의 반영은 南北朝音에서 -iʌi라는 3개의 母音을 모 두 반영할 수가 없어서 主母音만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표 2>는 支韻 開口3等 갑류의 中古音 이후의 음운변화 과정을 王力 (1997)10)을 참고로 再構한 것이다. 王力(1997:234~258)에서는 五代 (836-960) 時代 이전에는 없었던 資思韻(-ʅ)을 새로 설정하였다.

<표 2> 支韻 開口3갑류의 中國音에서의 변화과정

秦音 五代 明清 现代

ii i i/ʅ i/ʅ i/ʅ i/ʅ

支韻 開口3等 갑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대부분 -i형으로 반영되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i형(30字), -a형(6字), -ai형(1字)으로 반영되 었다.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대부분 -i형으로 나타나고 일부 -e형이 섞 여 있다. 支韻 開口3等 갑류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11)은 <표 3>과 같이 5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10) 王力(1997)에서는 中國語音의 시대구분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① 魏晉南北朝音 系 A.D. 220-581 ② 隨-中唐音系 A.D. 581-836 ③ 晩唐-五代音系 A.D. 836~960

④ 宋代音系 A.D 960-1279 ⑤ 元代音系 1279-1368 ⑥ 明淸音系 1368-1911 ⑦ 現代 音系 1911년 이후

11) 본 연구의 대응양상 유형 정리에서는 해당 韻에 해당되지 않는 字音형이나 사용빈도

(8)

i-i-i형, a-i-i형, i-i-e/i-ei-i형, ai-i-i형 順으로 대응양상의 유형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3> 支韻 開口3갑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i-i-i i i i 企岐伎易知地池馳離璃卑臂避罷

罷婢脾紫支枝肢紙址施氏児

i-i-e i i e 施是

i-ei-i i ei i 卑碑

a-i-i a i i 刺雌賜

ai-i-i ai i i

2.1.2. 支韻 開口3等 을류

<표 4> 支韻 開口3을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가 적은 字音형은 論外로 하였다.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gïʌi gïi kii -

2 gïʌi gïi kii jì/qí キ/キイ

3 gïʌi gïi kii jì/qí

4 ŋïʌi gïi 'ii jì/qí キ/チ/キ

5 ŋïʌi gïi 'ii キ/キイ -

6 ŋïʌi gïi 'ii キ/キイ

7 ŋïʌi gïi 'ii -

8 ŋïʌi gïi 'ii yǐ/é 12) - 의/아 -

9 ŋïʌi gïi 'ii - キ/キイ

10 ʔïʌi ʔïi ʔii - -

11 ʔïʌi ʔïi ʔii yǐ/jī - 의/기 - イ/キ

12 hïʌi hïi hii -

13 hïʌi hïi hii xì/hū - - 희/호 - -

14 hïʌi hïi hii 희/사 희/사 ヒ/ヒイ

15 phïʌi phïi phii -

(9)

支韻 開口3等 을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18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ïʌi>ïi>ii으로 변화한다.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는 -ïi형(9字), -i형(6字) 으로 반영되었다.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ïi형, -i형 順으로 반영되 었다. 日本漢字音은 吳音과 漢音 모두 -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吳音의 경우 支韻 開口3等에서 갑․을류의 구별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데, 이러한 반영은 日本語에 -ï라는 母音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ïi를 i로 대체한 것 으로 보인다.

支韻 開口3等 을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으로 반영되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ïi형(10字), -i형(9字)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 字音에서는 대부분 -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支韻 開口3等 을류의 韓․

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은 <표 5>와 같이 3가지 유형 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i-i-i형, ïi-i-i형, ïi-i-a형 順으로 대응 양상의 유형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5> 支韻 開口3을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i-i-i i i i 寄騎技伎宜彼披皮疲

ïi-i-i ïi i i 義儀倚椅戯犧

ïi-i-a ïi i a

12) [蛾의]의 다른 音인 [아]는 歌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16 bïʌi bïi phii

17 bïʌi bïi phii ヒ/ヒイ

18 bïʌi bïi phii -

(10)

2.2. 支韻 合口3等 갑․을류 2.2.1. 支韻 合口3等 갑류

<표 6> 支韻 合口3갑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支韻 合口3等 갑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11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wiʌi>wii>wii으로 변화한다.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는 –ju형(6字), -jui 형(2字)으로 반영되었으며,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ju형, -jui형 順 으로 반영되어 있다. 日本 吳音과 漢音에서는 대부분 -ui형으로 출현한다.

支韻 合口3等 갑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주로 -uei형으로 반영되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u형, -ui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字 音에서는 -ui형과 -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支韻 合口3等 갑류의 韓․

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은 <표 7>과 같이 5가지 유형 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u-uei-ui형, ui-uei-ui형, u-ei-ui형, ui-uei-i형, ju-uei-i형, ə-uei-ui형으로 나타난다.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kwiʌi kwii kwii guī

2 lwiʌi lwii lwii lěi ルイ ルイ ルイ

3 精 tswiʌi tswii tswii zuǐ - - - -

4 穿 tɕhwiʌi tɕhwii tɕhwii chuī /츄 スイ スイ スイ 5 穿 tɕhwiʌi tɕhwii tɕhwii chuī /츄 - - スイ 7 swiʌi swii swii suǐ スイ/ス

ヰ/チ スイ ズイ

8 zwiʌi zwii swii suí スイ スイ/スヰ ズイ

9 ʑwiʌi ʑwii ɕwii chuí スイ/

スヰ/シ スイ/シ スイ

10 ʑwiʌi ʑwii ɕwii shuì スイ スイ スイ

11 ʑwiʌi ʑwii ɕwii ruì 슈/셔 スイ スイ ズイ

(11)

<표 7> 支韻 合口3갑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u-uei-ui u uei ui 髄随垂睡

ui-uei-ui ui uei ui 吹炊

u-ei-ui u ei ui

ui-uei-i ui uei i

ju-uei-i ju uei i

ə-uei-ui ə uei ui

2.2.2. 支韻 合口3等 을류

<표 8> 支韻 合口3을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支韻 合口3等 을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8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wïʌi>wïi>wii으로 변화한다. 韓國漢字音은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 –ui형(5字),–uəi형(2字), -ju형(1字)으로 반영되어 主母音을 반영한 表記 가 혼재하고 있다.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대부분 -ui형으로 반영되 어 있다. 日本漢字音은 吳音과 漢音 모두 -ui형으로 반영되었다.

韓國漢字音 -uəi형은 主母音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ui형보다 빠 른 시기의 字音形으로 보이며, 吳音에서도 -ui형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吳 音보다 그 시기가 빠른 南北朝期 초기의 字音形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溪 khwïʌi kwïi kwii guì - ク/キ/タイ -

2 溪 khwïʌi kwïi kwii kuī - クヰ - -

3 ŋwïʌi gwïi 'wii wēi クヰ/

キ/クイ クヰ

4 ŋwïʌi gwïi 'wii wěi/é 위/와 クヰ/キ/クイ クヰ

5 ʔwïʌi ʔwïi ʔwii wěi ヰイ/イ/ヰ ヰ/イ

6 ʔwïʌi ʔwïi ʔwii wèi ヰ/イ/ヰイ

7 毀 曉 hwïʌi hwïi hwii huǐ 훼 クヰ/キ/クイ クヰ/キ

8 于 '∅ wïʌi '∅wïi 'jwii wèi - ヰ/イ

(12)

된다.

支韻 合口3等 을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대부분 -uei형으로 반영되 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ui형(5字)과 -uəi형(2字), -ju형(1字)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대부분 -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支 韻 合口3等 을류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은 <표 9>와 같이 2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ui-wei-i형, uəi-uei-i형으로 나타난다.

<표 9> 支韻 開口3을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ui-wei-i ui wei i 危偽委萎為

uəi-uei-i uəi uei i 跪毀

2.3. 脂韻 開口3等 갑․을류 2.3.1. 脂韻 開口3等 갑류

<표 10> 脂韻 開口3갑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khiəi kii kii キ/キイ/

クヰ/コ -

2 'jiəi 'jii 'jii イ/イゝ/

- -

3 'jiəi 'jii 'jii イ/ヰ

4 'jiəi 'jii 'jii yín 13) 이/인 - - イン

5 tiəi ṭii ṭii zhì 지 지/질14) 질/지 - チ/シチ/

シツ シツ/

シチ/チ

6 tiəi ṭii ṭii zhì

7 diəi ḍii hii chí -

8 tiəi ṭii ṭii chí 치/이 - - チ/ジ

9 tiəi ṭii ṭii zhì チ/チイ チ/テキ

10 tiəi ṭii ṭii zhì チ/チイ -

(13)

13) [寅이]의 다른 音인 [인]은 臻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11 niəi ṇii ḍii 니 니/닐15) 니/닐 ニ/チ チ/チウ/

12 liəi lii lii - -

13 liəi lii lii 니/리 リ/リイ

14 liəi lii lii

15 liəi lii lii níī/ne - - - -

16 piəi pii pii bì/mì - 비/필 비/필 - - ヒツ/ヒ

17 piəi pii pii bǐ/pí - 비/필 - ヒ/ヒツ

18 biəi bii phii ヒ/ヒ

19 tsiəi tsii tsii -

20 姿 tsiəi tsii tsii

21 tsiəi tsii tsii シ/シイ

22 tsiəi tsii tsii -

23 tsiəi tsii tsii シ/シイ

24 tɕiəi tɕii tɕii zhǐ

25 tɕiəi tɕii tɕii zhī -

26 tɕiəi tɕii tɕii zhì シ/シイ

27 tɕiəi tɕii tɕii zhì 지/치 - シ/シイ/

シユ

28 tshiəi tshii tshii シ/シイ シ/スイ シ/ジ 29 穿 hiəi hii hii zhǐ - - 30 從 dz․ziəi dzii z>sii シ/シイ シ/シイ シ/ジ

31 siəi sii sii シ/ス シ/シイ

32 siəi sii sii

33 siəi sii sii - -

34 siəi sii sii

35 ɕiəi ʃii ɕii shī - - - -

36 ɕiəi ʃii ɕii shī - - - - -

37 ɕiəi ɕii ɕii shǐ

38 ɕiəi ɕii ɕii shī - - -

39 ʑiəi ʑii ɕii shì

40 ʥ․ʑiəi ʥii ʑ>ɕii shì/

qí/zhì - 기/시 시/기/치 シ/ジ

41 ņʑiəi ņʑii ņʑii èr /이

42 ņʑiəi ņʑii ņʑii èr /이 - -

(14)

脂韻 開口3等 갑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42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iəi>ii>ii로 변화한다. 日本 吳音과 漢音은 모두 -i형으로 나타난다. 韓國 漢字音은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 -i형(24字)과 -ɐ형(10字)으로 반영 되어 있다.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i형, -ɐ형 順으로 반영되어 있 다. 韓國漢字音에서 -ɐ형으로 나타나는 글자는 모두 齒頭/ 齒上音에 해 당하는 字로, 正齒音은 모두 -i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반영은 전술하였 듯이, 齒頭/齒上音과 正齒音을 변별적으로 반영했다는 점에서 切韻音 이 전 시기의 字音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i형으로 나타나는 글자도 을류 의 -ïi와의 대립, 齒音字의 齒頭/齒上音과 正齒音의 변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秦音 이전의 字音형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16).

脂韻 開口3等 갑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대부분 -i형으로 반영되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i형과 -a형 順으로 반영되었다. 日本 常用漢 字音에서는 대부분 -i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脂韻 開口3等 갑류의 韓․

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은 <표 11>과 같이 3가지 유형 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i-i-i형, a-i-i형, i-er-i형 順으로 대응 양상의 유형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11> 脂韻 開口3갑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i-i-i i i i 棄夷寅質致遲治稚緻尼痢利履泌

比鼻旨脂至摯次指示

a-i-i a i i 姉姿資諮恣自四死私肆矢視

i-er-i i er i 二貳

14) [質지]의 다른 音인 [질]은 臻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15) [尼니]의 다른 音인 [닐]은 臻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16) 김무림(2015:279)에서는 -ɐ형에 대하여 10세기를 전후한 시기의 반영음으로 보고 있다.

(15)

2.3.2. 脂韻 開口3等 을류

<표 12> 脂韻 開口3을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脂韻 開口3等 을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15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ïəi>ïi>ii로 변화한다. 日本漢字音에서 吳音은 -i형(10字)과 -e형(1字)으 로, 漢音은 모두 -i형으로 반영되었다. 따라서 吳音과 漢音은 대부분 -i형 으로 나타나, 吳音의 경우에도 갑을류의 구별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반영은 전술하였듯이, 日本語에 -ï라는 母音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韓國漢字音은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 -i형(8字), -ïi형(2字), -uəi형(2字), -ɐ형(1字), -ɐi형(1字)으로 반영되어 있다. 韓國漢字音에서 -ïi형은 갑류의 -i형과 대립되는 字音형으로 秦音 이전의 字音형을 반영한 다고 판단된다. -uəi형은 合口性을 반영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主母音

17) [否비]의 다른 音인 [부]는 遇攝에 해당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論外로 한다.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kïəi kïi kii 기 ケ/ケ/エ/キ

2 kïəi kïi kii 궤/기 キ/キイ -

3 kïəi kïi kii 궤/기

4 khïəi kïi kii

5 pïəi pïi pii 비/필 -

6 pïəi pïi pii bēi ヒ/ヒイ

7 pïəi pïi pii fèi/fú -

8 pïəi pïi pii -

9 bïəi bïi phii bèi ヒ/ヒ 10 否17) bïəi bïi phii pǐ/fǒu 비/부 비/부 -

11 mïəi mïi mbii mèi 미/ 미/매 ミ/ニ

12 mïəi mïi mbii měi ミ/ヒ

13 mïəi mïi mbii méi ミ/ミイ/

ビ/ミ

14 mïəi mïi mbii méi - - 미/매 - - -

15 ɕïəi ʃïi ɕii shī

(16)

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ïi형보다도 이전의 字音형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서도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와 거의 동일한 반영이다.

脂韻 開口3等 을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i형, -ei형으로 반영되어 있고, 現代 韓國漢字音은 -i형(12字), -uəi형(2字), -a형(1字), -ai형(1字) 으로 반영되었으며, 日本 常用漢字音에서는 대부분 -i형으로 나타나고 있 다. 脂韻 開口3等 을류의 韓․中․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은 <表13>과 같이 4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유형별로는 i-i-i/i-ei-i형, uəi-i-i형, a-i-i형 順으로 대응양상의 유형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표 13> 脂韻 開口3을류의 日 常用漢字 漢字音의 대응양상 유형

대응양상유형 韓國 中國 日本 漢字

i-i-i i i i 飢器祕鄙否

i-ei-i i ei i 費備魅美眉

uəi-i-i uəi i i 机几

a-i-i a i i

2.4. 脂韻 合口3等 갑․을류 2.4.1. 脂韻 合口3等 갑류

<표 14> 脂韻 合口3갑류의 시대별 日 常用漢字 漢字音 통합비교분운표

順番 漢字 聲母 中國漢字音 韓國漢字音 日本漢字音

南北朝 切韻音 秦音 現代 中世 近代 現代 吳音 漢音 常用

1 kwiəi kwii kwii - -

2 kwiəi kwii kwii guǐ 규/계 - -

3 gwiəi gwii kwii kuí - - キ/ギ

4 'jwiəi 'jwii 'jwii wéi ユイ ヰ/ユイ イ/ユイ 5 'jwiəi 'jwii 'jwii wéi ユイ ヰ/イ/

ユイ

6 'jwiəi 'jwii 'jwii yí/wèi 유/수 ヰ/ユイ ヰ/クヰ/イ イ/ユイ

(17)

脂韻 合口3等 갑류는 韓․中․日 常用漢字 20字이며 中國 中古音은 wiəi>wii>wii로 변화한다. 日本漢字音은 吳音에서 -jui형, -ui형으로, 漢 音에서는 -ui형으로 나타난다. 韓國漢字音은 中世 韓國漢字音 자료에서 -ju형(13字), -jəi형(2字)으로 반영되어 있으며, 近代 韓國漢字音 자료에 서도 -ju형(17字), -jəi형(2字)으로 반영되어 있다. 韓國漢字音 -ju형은 支 韻 合口3等의 경우와 같은 형태로, -jui형으로 반영해야 할 것을 韻尾 i를 떼어 버리고 1音節化된 형태로 판단된다. 따라서 -ju형과 -jui형은 이를 韓 國漢字音에서 어떻게 수용하는가 하는 수용자 측의 수용 태도에 따른 字 音형의 차이로 보인다.

脂韻 合口3等 갑류는 現代 中國漢字音에서 -uei형, -ei형으로 반영되

7 'jwiəi 'jwii 'jwii wěi 유/수 ユイ ユイ/ヰ イ/ユイ 8 twiəi ṭwii ṭwii zhuī/du 츄/퇴 추/수/

ツイ/ツ

ツイ ツイ

9 dwiəi ḍwii hwii zhuì ツイ

ツイ/ツヰ/

タイ/チヰ ユイ/チユ

ツイ

10 dwiəi ḍwii hwii chuí ツイ/ス

ツイ ツイ

11 lwiəi lwii lwii lèi 류/뉴 류/뤼 ルイ ルイ ルイ 12 lwiəi lwii lwii lei 류/뢰 루/뢰 - ルイ ルイ 13 lwiəi lwii lwii lèi 류/뉴 류/뢰 ルイ/ル ルイ ルイ 14 清 tshwiəi tshwii tshwii cuì - スイ - スイ

15 swiəi swii swii cuì - - - スイ

16 ɕwiəi ʃwii ɕwii shuà 슈/솔 - スイ スイ

17 ɕwiəi ʃwii ɕwii shuǐ スイ/ス

ヰ/シイ スイ スイ

18 穿 tɕhwiəi tɕhwii tɕhwii chū - 츄/츌 출/척 スイ/ス

スイ シュツ/

スイ

19 穿 tɕhwiəi tɕhwii tɕhwii suì - - スイ/ツ イ/スヰ/

シヤウ

- スイ

20 zwiəi zwii swii suì - - スイ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Grade Ⅲ opened rhyme contained medial ï xian( 仙 ) were reflected in the order of –ian, -ie type in modern Chinese consonants and -jən, -ən, -j əl, -əl type, in

* 韓國法制硏究院

現代語가 flj用되는 것은 기껏해야 악센트의 再構를 위해서 려르와니아語의 現代語가 參考될 따름이다. 노오만 1핑土 CNor.. nonsharp 또는 nonflat vs.. Karlgren

중국의 다성음악을 축음기판에서 채보하였다. 결론만을 쓰기록 한다. 중국인에 있어서, 이러한 결합에 대한 흥마는 우발적인 충돌에 있는 것이 아니다 주제와

The report tax safeguard management exercising hour export from within limitations objectivity and process characteristic and transparent characteristic

Brutalität; Nervosität; Stabilität.. On algorithms for applying phonologi cal rules. The Organization of Phonology. New York: Acariemic Press. Umlaut and Noun

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나는 구결자들의 구체적인 양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대표적인 몇몇 글자 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국의 고전 문헌 중에서

마한 小國(54 개) : 有爰襄國 牟水國 桑外國 小石索國 大石索國 優休牟涿國 臣濆沽國 伯濟國 速盧 不斯國 日華國 古誕者國 古離國 怒藍國 月支國 咨離牟盧國 素謂乾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