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Effects of a Animation-Based Support Program by Nurses on the State Anxiety, Stress, and Maternal Identity among Mothers of Preterm Infant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Effects of a Animation-Based Support Program by Nurses on the State Anxiety, Stress, and Maternal Identity among Mothers of Preterm Infants"

Copied!
8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정 임

(3)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송 주 은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8년 8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김 정 임

(4)

김정임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송 주 은

심 사 위 원

유 미 애

심 사 위 원

배 선 형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18년 6월 22일

(5)

-감사의 글-자신감과 설렘으로 석사과정을 시작하였으나 몸과 마음이 잘 따라주지 않 아 그 끝을 기약할 수 없는 시간이 흘러갔습니다. 하지만 함께하는 좋은 사람들의 도움과 배려 그리고 응원 덕분에 이렇게 끝을 맺을 수 있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함 께 해주신 모든 분께 이 논문의 영광과 감사를 드립니다. 무엇보다 석사학위 논문을 무사히 마칠 수 있도록 저를 이끌어주신 송주은 지도교수님께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해외 체류하시는 동안에도 밤낮없이 제자의 물음에 답해주시고, 처음부터 끝까지 손 놓지 않으시고 여기까지 인도해주셔서 진 심으로 감사드리고 존경합니다. 논문 주제와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 신 박지원 교수님과 논문에 대한 세심한 피드백을 주신 유미애 교수님 그리고 꼼꼼 하게 논문 교정을 해주신 배선형 교수님, 그 외 아주대 모든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은 제자인데도 용기와 희망을 북돋아 주신 교수님 들이 계셨기에 무사히 논문을 탈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연구 진행이 잘되 지 않아 고민하고 있을 때 도움의 손길을 주신 정은자 팀장님과 이복남 팀장님, 끝 까지 논문을 마칠 수 있도록 배려해주신 김현자 수간호사님, 마치 자기 일처럼 열 심히 도움을 주었던 강희경, 박선원, 이정희 간호사님 그리고 항상 지지해주고 응원 해주셨던 니큐 가족들에게도 감사의 말씀 드립니다. 그리고 자료수집을 할 수 있도 록 도움을 주신 최창원 교수님과 연구 진행에 도움을 주신 정영화 교수님, 김혜림, 장진희, 신정민 선생님, 연구에 대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김연희 교수님, 하이차 트 사용을 허락해주신 정희두 대표님, 하이차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이 해경, 민주은, 박현아 선생님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석사과정 2년 동안 믿고 의지할 수 있었던 이수민 선생님, 함께여서 행복했던 석사 동기들에게도 깊은 감사를 드립 니다. 설문에 참여해주신 미숙아 어머니들에게 감사드리며, 아기들의 건강과 행복을

(6)

기원합니다. 항상 곁에서 저를 믿고 응원해주시는 안산 가족들과 원주 가족들 모두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마지막으로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내 사랑 김용환 에게 감사와 사랑을 보냅니다.

(7)

국문요약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애니메이 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 소재 S대학병원 신생 아중환자실에 입원한 32주 미만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 30명을 대상으로 하였 으며, 연구 기간은 2017년 6월 19일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였다. 연구도구로 상태불안은 Spielberger (1972)의 기질-상태불안 측정도구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는 Miles, Funk, & Carlson (1993)에 의해 개발된 신생아중환자실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 (Parental Stressor Scale : NICU)를 한수연(2012)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모성정체성은 Osgood 등(1957)에 의해 개발된 형용사 어의 구별 척도 (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이용하여 Walker (1977)가 발전시킨 아기 어머 니로서의 자기정체감 도구(SD Self: Myself as Mother)를 고효정(1996)이 한국 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

준편차, χ2-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사

용하여 분석하였고, 시점 간 사후검증은 Bonferroni correction과 paired t-test 로 분석하였다.

(8)

1.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 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 제1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지 되었다 (F=3.988, p=.032). 2.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 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의 제2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F=0.485, p=.577). 3.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 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의 제3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F=0.712. p=.477).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모성정체성 점수는 유의한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F=4.804, p=.019), 측정시기에 따른 모성정체성의 차이를 추가 분석한 결과, 모성정체성은 사후 조사(출산 후 3일째) 시점에 비해 추후 조사(출산 후 2주째) 시점에 증가하여 다른 시기보다 유의하게 모성정체성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Bonferroni adjusted p=.012).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 로그램은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 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의 어머니를 위해 신생아중환자실 환경과 미숙아의 상태를 인식하고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과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향후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효과적으로 감소 시키기 위해서 개발된 중재 프로그램을 임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 으며,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추후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핵심어: 모성정체성, 미숙아 어머니, 상태불안, 스트레스, 전문가 지지중재

(9)

차례

국문요약 ···ⅰ 차례 ···ⅲ 표 차례 ···ⅴ 그림 차례 ···ⅵ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연구의 가설 ···4 D.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7 B.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8 C.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정체성 ···10 D. 동영상을 이용한 지지중재가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12 Ⅲ. 연구방법 ···15 A. 연구설계 ···15 B. 연구대상 ···16 C. 연구도구 ···18 D. 실험처치 ···20 E. 자료수집방법 ···24 F. 윤리적 고려 ···27

(10)

G. 자료분석방법 ···27 Ⅳ. 연구결과 ···29 A. 대상자의 특성 ···29 B. 가설검증 ···34 Ⅴ. 논의 ···38 A.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에 따른 상태불안 변화 ···38 B.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 ···40 C.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에 따른 모성정체성 변화 ···41 D. 연구의 제한점 ···44 Ⅵ. 결론 ···45 참고문헌 ···47 부록 ···53 ABSTRACT ···67

(11)

표 차례

표 1.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내용 ···22 표 2.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30 표 3.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32 표 4.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33 표 5.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 ···34 표 6.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 ···36 표 7.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변화양상 ···37

(12)

그림 차례

그림 1. 연구설계 ···15 그림 2.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23 그림 3. 미숙아 바로 알기 ···23 그림 4.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23 그림 5.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유 안내 ···23

(13)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고령 산모 및 조산 산모 증가, 인공 임신 시술과 같은 불임 시술 증가에 따른 다태아 출산 증가와 같은 현대 사회 여건 변화에 따른 미숙아의 출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2006년 총 출생아는 44만 8천 2백 명에서 2016년 총 출생아 수는 40만 6천 2백 명으로 4만 2천 명이 감소하였으 나, 37주 미만 출생아는 2006년 2만 1천 6백 54명에서 2016년 2만 9천 3백 90 명으로 7천 7백 36명 증가하였고, 37주 미만 출생아의 구성비는 2006년 4.9%에 서 2016년 7.2%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tatistics Korea, 2016). 미숙아는 37주 미만에 신체의 발육이 미숙한 상태로 태어난 아기로서, 다 양한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고, 신생아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건강상의 위험을 안고 있어 대부분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치료를 위해 다양한 처치와 검사를 받게 된다(박원규, 2005; 이난희, 2013). 미숙아를 출산하는 경우 갑작스러운 출 산으로 통제감 상실과 지속되는 불안을 경험하게 되고(신희선, 2004), 일찍 태 어난 아기가 생존할 수 없을 것 같은 마음과 너무나 작고 약한 아이로 인하여 불안, 슬픔, 두려움, 막막함, 죄책감 등 다양한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게 되며, 어머니들이 아이에 대한 적절한 정보와 의료서비스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 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적이고 맞춤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최양자, 2001; 문진하, 2002). 미숙아는 출생 후 많은 요인에 의해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의 특수 간호 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어머니와 일정 기간 분리되어 초기 모아 관계 형성이 어려우며, 미숙아가 나타내는 생리적인 특성을 이해할 수 없게 되어 정상아 어 머니보다 더 많은 양육 스트레스를 느끼게 되고, 미숙아 출생과 신생아중환자 실의 입원 경험이 미숙아 어머니에게 스트레스가 되며, 미숙아를 다루는 데 필

(14)

요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자신감이 결여되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신 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가 요구된다고 하였다(김소영, 권미경, 2005). 또한, 불안, 스트레스, 죄책감 우울증 등의 부정적인 감정은 건강한 모아 관계 발전을 저해하고, 신생아의 정상적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끼치게 된다(안 숙희, 2002; 안영미, 이상미, 2004). 모성정체성은 미숙아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치게 되고, 임신과 동시에 발달하여 산욕기 동안 지속해서 이루어져 어 머니 역할에 커다란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스트레스가 모성정체감을 떨어뜨리고 어머니 역할의 효과적인 수행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모성정체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나현, 2014). 이러한 중요성에 근거하여 진행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통합적 입원교육, 전화 상담 지지간호나 체계 적인 정보제공, 교육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 고, 모성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성역할관련 심리ㆍ사회적인 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송안숙, 박인혜, 주애란, 2007; 안영미, 이 상미, 2004; 최효신, 신영희, 2013; Behestipour, Baharlu, Montaseri, & Razavinezhad Ardakani, 2014). 따라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간호 적 시도는 매우 중요하여 지속 하여야 한다. 한편,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선행연구에서 환자 교육이 환자의 불안을 경감시키는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권수영, 2013). 또한, 애니메이션 동 영상은 시각적으로 쉽고 재미있게 정보를 전달하여 교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 며, 환자들이 반복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교육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 라,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들의 업무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유용한 교육 매체라 하였다(김영미 등, 2013; 정현철, 2008; 정현철, 성거미, 전미양, 2010). 따라서 출산으로 인한 극도의 피로, 무기력, 극복할 수 없는 점진적 회의감 등으로 집 중력이 떨어질 수 있는 시기의 산모에게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과 같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 매체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시도라고 본

(15)

다(임미해, 오진아, 2013; 최연순 등, 1999).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환아의 부모들은 아기에게 시행하는 의학적 처치, 검사, 미숙아와 미숙아 특수치료 및 간호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박지선, 방경숙, 2014), 분만 직후 신생아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경우 신생아의 입원교육은 대부분 어머니가 아닌, 아버지 를 대상으로 시행되었고, 행정적 입원절차 및 신생아중환자실 방문지침 등이 교육내용의 주를 이루며, 간략한 신생아의 상태 및 치료계획에 대한 정보로만 국한된 실정이다(안영미, 이상미 2004). 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교 육과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대부분 퇴원교육과 관련된 것으 로 입원 시부터 제공되는 간호전문가에 의해 제공되는 교육과 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미숙아 특성(신생아중환자 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유 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 램을 개발하고,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에게 제공하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 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나아가 긍정 적인 모성정체성을 바탕으로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을 발달시키기 위한 의 미 있는 중재의 방법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며, 나아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표준화된 교육으로 간호사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이다.

(16)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 를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 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 니의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2)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 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3)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 니의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C. 연구의 가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가설 1 :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가설 2 :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3) 가설 3 :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17)

D. 용어의 정의

1. 상태불안 불안은 어떠한 형태의 스트레스나 위협적인 상황으로 초래되는 정서 반 응으로 상태불안은 자극에 대한 반응에 있어서의 유기체의 반응이다 (Spielberger, 1972). 본 연구에서의 상태불안은 Spielberger (1972)의 불안 도구 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하여 개발한 불안 자가 평가도구로 측정한 점 수를 말한다. 2. 스트레스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개인과 환경의 구체적인 상호 역동 과정에 서 자녀의 출산과 신생아중환자실 입원에 따른 물리적, 심리·사회적 환경 등에 대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에 대한 어머니의 지각을 의미한다(Miles, Funk, & Kasper, 1992). 본 연구에서는 고위험 신생아 부모를 대상으로 Miles 등 (1993) 에 의해 개발된 스트레스 측정 도구(Parental Stress Scale : NICU)를 한수연 (2012)이 번역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3. 모성정체성

모성정체성은 어머니와 영아 간의 관계체제에서 구축되는 어머니로서의 인지와 정서를 말한다(Walker & Montgomery, 1994). 본 연구에서는 Osgood (1957) 등에 의해 개발된 형용사 어의 구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이용하여 Walker (1977)가 발전시킨 아기 어머니로서의 자기정체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고효정(1996)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수정 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

(18)

수를 의미한다. 4.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지지간호는 간호사와 대상자 간에 이루어지는 일련의 상호과정으로서 대 상자의 건강문제를 인지하고 경청과 감정이입의 자세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간호 중재 방법이다(김명자, 송경애 1991). 본 연구에서는 미 숙아 어머니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입원 시부터 미숙 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환자실 입실 안내, 미숙아 특성(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시 행하는 검사 포함),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유에 대한 내 용의 4가지 주제에 대해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개발한 동영상을 제공하고, 간호사가 개인별 맞춤 상담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19)

Ⅱ. 문헌고찰

A.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미숙아를 출산한 경우 갑작스러운 출산으로 인한 통제감 상실과 모성 역 할에 대한 준비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상적인 모성정체성 형성과정에 방해가 일 어나고, 조기 분만 후 위기 시기에 가장 높게 나타나는 감정은 “지속되는 불 안”이라 하였다(신희선, 2004). Busse, Stromgren, Thorngate & Thomas (2013)의 연구에서 연구자의 컨소시엄에 의해 개발된 PROMIS (Patient Reported Outcomes Measurement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 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해 있는 신생아 부모들은 수면장애, 피로, 불안, 우울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출산을 경험한 어머니들은 조기 출산에 대하여 예견하지 못하고, 믿 기지 않는 사건으로 당황스러워함은 물론, 자기 자신에게 그와 같은 환경에 놓 였던 상황에 대해 자신을 원망하면서, 자신의 아기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회피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며, 조산아를 출산해야 한다는 사실이나, 일찍 태어난 아기가 생존할 수 없을 것 같은 마음과 함께 불안하고 걱정스러워서 더욱 조심 하면서 안타까움이 더해지고, 비정상적인 출생과 발육에 대한 두려움 등의 불 길한 마음이 팽배해있다(최양자, 2001). 불안이란 걱정스럽고 편치 않은 상태를 말하며 인간이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공통적인 감정으로, 인간에게 심리적 갈등이 있음을 알려주는 신호이 며 어떤 커다란 재앙이 닥칠 것 같은 임박한 위험에 대한 두려움을 말한다(김 윤희. 이광자, 유숙자, 이소우, 김소야자, 2001). 문진하(2002)는 극소체중아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극소체중 아 어머니는 준비되지 않은 갑작스러운 출산으로 놀라고 당황하며, 너무나 작 고 약한 아이로 인하여 불안, 슬픔, 두려움, 막막함, 죄책감 등 다양한 심리적

(20)

고통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들이 아이에 대한 적절한 정보와 의료서비스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적이고 맞춤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입원이라는 사실은 극적 변화와 특별한 치료가 주어지지 않아도 위협적 인 상황이 되어 이를 경험하는 가족은 크나큰 불안을 느끼게 된다고 하였고,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고위험 신생아 어머니를 포함한 환아 어머니의 불안 이 정상아 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요인별 불안 정도가 신생 아 상태, 치료 및 간호 그리고 병원환경과 같은 요인들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 였으므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정보제공이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하였다(류영숙, 2001). 선행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미숙아 어머니들은 갑작스러 운 미숙아 출산으로 불안을 경험하게 되고, 미숙아에 대한 정보 부족으로 어려 움을 경험하게 되어 미숙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간호 중재 개발 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B.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예기치 못한 미숙아의 출산과 신생아중환자실의 입원은 부모들에게 생각 지 못한 다른 어려움을 겪게 하는 위기상황이 되고, 많은 미숙아가 겪는 예측 할 수 없는 병원에서의 경험으로 부모들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홍미경, 2013).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 부모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경 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역별 지각된 스트레스를 보면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 아기와의 관계 및 부모의 역할변화, 의료진과의 의사소통, 신생 아 집중치료실 환경 순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전창순, 2011). 장영숙(2004)의 연구에서 미숙아의 출생과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입원 경 험은 이들 부모, 특히 어머니에게 스트레스가 되며, 미숙아를 다루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부족으로 자신감이 결여되어 모성 역할 획득에 많은 영향을 미

(21)

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간호가 요구된 다고 하였다. Miles 등(1993)의 연구에서 미숙아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초기에 스트레 스가 가장 높았고, 입원 초기부터 부모를 위한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였으 며, 정경화(1999)의 연구에서도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아기 입원 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간호 중재에는 미 숙아 출산과 더불어 발생하는 스트레스, 즉 미숙아의 외모와 행동 양상, 신생아 중환자실 환경, 부모 역할변화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부모 역할을 준비시키는 것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최성희(1998)의 연구에서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어머니들이 가장 많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요인은 질병 자체와 예후에 관한 것이고, 그다음이 진단이 나 치료에 관한 정보결핍으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김태임(2000)의 연구에 서도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모습과 행동 및 처치를 포함한 신생아중 환자실의 물리적 환경 요소는 물론 환아의 상태 및 특성, 질병의 심각성에 대 한 인지 정도 및 다양한 상황적 요소와 부모의 역할변화 및 의료진과의 의사소 통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스트레스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오금숙, 임지영, 조인숙과 함옥경(2010)의 연구에서 중증신생아가 집중치료를 받는 동안에 정서적 지지와 스트레스 완화 중재, 중증신생아 간호 및 양육에 대한 교육적 정보를 제공해주는 통합적 간호 중재 프로그램이 시급 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김태임(2000)의 연구에서도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환아 어머니들의 정서 및 행동 반응에 장기적으로 지속되어 앞으로의 부모-자녀 관계의 발전에 부정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입원 동안은 물 론이며, 입원 전부터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사전 교육과 정보제공 프 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에 미숙아 어머니들은 갑작스러운 미숙아 출산과 신생아중환자실로의 입원으로 경 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가 필요하다.

(22)

C.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정체성

임신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순간으로부터 여성은 이미 모성으로서 태아의 존재를 인식하게 되고 임신 동안 보이지 않는 모-태아 관계는 발달한다. 이 관 계는 출산 후 실제 모-아 관계로 지속 발전되므로 한 여성이 지니는 모성의 역 할은 가족 발달 주기의 시작에서부터 마지막 단계에 이르기까지 일평생 지속되 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김혜원, 홍경자, 1996). Rubin (1967)은 모성 행위가 직관적 본능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아 기를 안고 먹이고 돌보는 단순한 활동을 통한 학습으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모성정체성을 ‘자녀를 임신하고 양육하는 경험은 여성의 자아 체계 안으로 새 로운 성격 차원을 통합하는 것이다. 즉 어머니로서 자신의 실제 이미지를 정련 시키고, 의지를 갖고 바람직한 특성으로 변하여, 성취하려는 열망으로 이상적인 것을 수행하는 과정을 점진적으로 자아 체계에 통합하여, 전인격의 일부분으로 서 자신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Rubin, 1984). 모성정체성이 자아 체계 안으로 통합되는 과정은 한 아기의 어머니로서 자신의 이미지를 이 상화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최연순 등, 1999). 모성정체성은 모성 역할 획득의 한 요소로 모아 관계의 인지적-정의적 속성에 초점을 둔 것으로 모성 역할 긴장, 모성 역할 수행, 모성정체감은 상호 연관성을 가지면서 모성 역할 획득의 주요요소로서 미숙아 성장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최연순 등, 1999, 장영숙, 2005), 임신과 동시에 발달하여 산욕기 동안 지속해서 이루어져 어머니 역할에 커다란 중요성이 있는 것으로, 스트레스 대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면 모-태아 애착과 모성정체성이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나현, 2014). 미숙아를 분만한 어머니들은 예기치 못한 분만으로 현재 상황에 대해 준 비하지 못해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고 아기의 입원은 물론 퇴원 시에도 불안과 다행감의 양가감정을 느끼며 퇴원 후에는 지속적인 양육의 어려움을 겪

(23)

게 되어 모성정체성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최은진, 1999, 신희선, 2004).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신희선(2004)의 연구에서 미숙아 어머니들은 아기에 대한 양가감정, 부정적 정 서, 아기에 대한 몰입으로 불안정한 모성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조기 분만 후 변화되는 상황 속에서 상호작용전략을 통해 아기 상태를 수 용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감을 갖는 등의 긍정적인 대처과정을 통해 어머니로서 아기 수용과 편안함과 능력 감을 갖추는 모성 역할 획득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모성정체성, 모아 애착 증진, 부부 친밀감 강화는 영아와 상호 작용 또는 관계의 질, 모성 역할 행위 및 양육 경험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 치고, 이를 통한 미숙아 어머니의 모성 역할 발달은 궁극적으로 영아의 성장발 달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숙아 출산부터 신생아중환자실 퇴원 이후까지 다양한 가족 위기와 심리 사회적 고통을 겪는 미숙아 부모의 부모기로의 전이 시기 동안 긍정적인 양육 경험 및 부모 역할 발달에 기여할 수 있는 중재가 필 요하다고 하였다(김아림, 2015). 긍정적인 모성정체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 재는 모유수유, 조기 신체접촉, 피부마사지, 캥거루 돌보기, 세심한 환아 정보제 공, 녹음된 엄마 목소리 제공 등이 있다(채명숙, 2014). 이상의 연구를 요약하여 볼 때, 모성정체성은 출산 후 여성이 어머니로서 성공적으로 전환되고, 적응되었을 때, 최종의 결과변수지만 이를 측정할 수 있 는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숙아 어머니에서 모성정체성의 개념 이 어머니됨의 지표로서 중요하게 간주하여야 하며, 이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 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4)

D. 동영상을 이용한 지지 중재가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

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신생아중환자실 입원은 부모에게 많은 스트레스와 충격을 가져온다. 중환 자실 환경과 소음, 신생아의 외적인 모습, 다양한 의료기구, 부모 됨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의료인과의 관계 등으로 미숙아 부모들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고 위험 신생아의 출생과 그로 인한 중환자실에서의 경험은 부모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죄책감, 불안, 우울증에 시달리게 되어 초기 모아 상호 작용에 부 정적인 영향을 끼쳐 성공적인 부모 역할 성취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중요하 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시기에 간호사들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김소영, 권미경, 2005; 김지현, 2002; Beheshtipour, et al., 2014). 정보제공은 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시키고 낯선 환경에 잘 적응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대상자가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제공된 정보를 응용할 수 있 도록 하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지적 수준과 관심, 경험에 맞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양은주, 2015). 고위험 산모를 대상으로 한 신생아중환자실 비디오 시청, 간호사에 의한 교육과 토론, 신생아중환자실 환자 투어를 포함한 교육을 시행한 결과 미숙아 간호, 미숙아의 신체, 신생아중환자실에 있는 동안 필요한 것, 신생아중환자실 에서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지식은 교육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모의 스트레스는 신생아중환자실의 모습과 소음, 신생아 행동과 외모에서 유 의하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고(Morey & Gregory, 2012), 미숙아 생리적 특성 과 신생아중환자실 환경 설명, 미숙아 어머니의 정서, 성장발달 과정 및 퇴원 후 어머니에게 요구되는 양육 활동 등을 포함한 계획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미숙아 어머니는 제공받지 않은 미숙아 어머니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가 낮아졌다(정경화, 1999). 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25)

미숙아 특성과 신생아중환자실 환경, 모유수유 등에 대한 정보를 워크북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교육한 결과 미숙아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장영숙, 2005), 계획된 간호 중재가 미숙아 출산과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으로 위기 상황에 처한 미숙아 어머니의 아기 입원 동안 스트레스 정도를 감소 시키고, 아기 퇴원 후 모성 역할 긴장을 낮추고 모성 역할 수행을 높이는 것으 로 나타났다(정경화, 1999). 고위험 신생아의 특성,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이루어지는 간호내용으로 이 루어진 1차 교육과 신생아의 존재와 둘러싼 환경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주는 2차 교육으로 구성된 통합적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교육이 모성 역할 관련 심리 ㆍ사회적인 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고, 간호사가 미숙아 어머니 에게 제공한 전화 상담 지지간호나, 체계적인 정보제공도 미숙아 어머니의 불 안을 감소시키고, 모성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송안숙 등, 2007; 안영미, 이상미, 2004; 최효신, 신영희 2013). 동영상 유형의 콘텐츠는 학습자가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또한 가장 많 이 운영되고 있는 형태의 콘텐츠이고, 다양한 저작도구가 보급되면서 개인적으 로 만들기도 쉽고 보급하기도 쉬운 콘텐츠 유형으로(이효은, 2014), 1990년대 이후 많은 간호교육에서 소책자와 동영상을 주로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멀티 미디어와 웹 기반을 통한 교육자료 개발도 진행되고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 이션을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최근 스마트기기 등의 발달 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촉진할 수 있으며, 원하는 곳에서 언제든지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미숙아 부모교육에서도 정보의 접근성, 부모의 기 호, 교육 매체의 다양화에 맞춰 교육을 시행한다면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다(김지숙, 2012; 임미해, 오진아, 2013). 이상의 연구에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불안과 스트레스, 모성정체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구체적인 미숙 아 관리는 지지간호, 미숙아 마사지교육, 퇴원교육 프로그램, E-mail 정보제공 등으로 제한적인 몇 가지 내용만을 미숙아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해 있는

(26)

동안 한정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내영, 김영혜, 2008). 또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교육은 대부분 퇴원 후 관리에 대한 교육으로, 입원 시부터 체계적으로 제공되는 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27)

Ⅲ. 연구방법

A. 연구설계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로서, 자료수집 기간 중 대상자들 간의 실험확산 효과를 막기 위해 대조군, 실험군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를 도식화하면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연구설계

(28)

B.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의 미숙아 어머니 전체를 표적 모집단으로 하고, 경기도 S시에 거주하는 미숙아 어머니를 근접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2017년 6월 19일 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 경기도 S시 소재 S대학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한 32주 미만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로 아래의 기준에 해당하는 자를 임의표 집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32주 미만의 미숙아 어머니를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공받는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는 대조군 별로 탈락률 20%를 고려하여 각 군당 20명의 자료를 수집하려 하였으나, 대상자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험군 17 명, 대조군 16명을 표출하였고, 이 중 3차 측정 시 실험군에서 1명(미숙아 사 망), 대조군에서 2명(1명: 미숙아 사망, 1명: 미숙아 타 병원 전원)이 탈락하여, 최종 실험군 16명과 대조군 14명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1) 32주 미만의 미숙아를 출산한 자 2) 설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작성이 가능한 대상자 3) 만 19세 이상인 자 대상자 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정신과 질환력이 있거나 약물치료를 받는 자 2) 신생아중환자실에 재입원한 미숙아를 둔 자 본 연구에서 32주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자 선정기준으로 한 이유는 미숙 아의 경우 재태주수가 어릴수록 인공호흡기 치료 등의 다양한 장비를 사용하게 되어(김태임, 2000)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과 스트레스 정도가 다를 수 있고, S

(29)

대학병원의 퇴원기준인 35주 이상을 고려할 때, 2주간의 연구 기간에 미숙아의 신생아중환자실 재원이 확보되어, 미숙아 퇴원으로 인한 대상자 탈락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32주 미만의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자 제외기준은 정신과 질환력이 있거나 약물치료를 받는 사람의 경 우 불안과 스트레스의 정도가 다르므로 제외하였고, 신생아중환자실에 재입원 한 미숙아를 둔 대상자의 경우 이미 익숙한 환경이라 중환자실 환경에 대한 이 해도와 불안이 다를 수 있어 외생변수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제외하였다(강문 희, 2013, 임미해, 오진아, 2013). 본 연구 진행을 위한 표본 크기는 G*power program을 이용하여 본 연구 의 표본 수로 사후 검정력 분석을 시행한 결과, 중간 효과 크기 f=0.25, 유의 수준 .05, 2개 집단 수와 3개 측정 시점, 그리고 실험군 최종 16명과 대조군 최 종 14명, 즉 30명의 대상자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시행할 때의 사후 검정력을 분석한 결과, 84%이었다.

(30)

C. 연구도구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미숙아 어머니에 대한 14문항, 신생아에 대한 10문항,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상태불안 상태불안은 Spielberger (1972)의 기질-상태불안 측정 도구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태불안 도구는 20문항으로 구성된 4 점 척도로, 긍정적인 문항 10개와 부정적인 문항 10개로 구성되어 있고, ‘거의 그렇지 않다’ 1점에서 ‘거의 언제나 그렇다’ 4점으로 긍정적인 문항은 역으로 계산하며, 최하 20점에서 최고 80점의 범위를 가진다. 점수가 높을수록 상태불 안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김정택과 신동균(1978)의 연구에서 Cronbach'α=.87 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α=.95이었다. 3.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신생아중환자실 입원과 관련된 부모의 스트레스 인지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Miles 등(1993)에 의해 개발된 신생아중환자실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Parental Stressor Scale : NICU)를 한수연(2012)이 번역한 도구를 사 용하였다. 총 26문항으로 5점 척도이고, ‘전혀 느끼지 않는다’ 1점에서 ‘ 매우 심하게 느낀다’ 5점으로 최하 0점에서 최고 130점의 범위를 가진다. 점수가 높 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각 문항에 대해 또한 ‘해당 없음’은 ‘해 당 없음’으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0점 처리한다. Miles 등(1993)의 연구에서

(31)

내적 신뢰도는 Cronbach'α=.92이었고, 한수연(2012)의 연구에서는 Cronbach'α =.94였으며, 본 연구에서Cronbach'α=.96이었다.

4. 모성정체성

모성정체성은 Osgood 등(1957)에 의해 개발된 형용사 어의 구별 척도 (Semantic Differential Scale)를 이용하여 Walker (1977)가 발전시킨 아기 어머 니로서의 자기 정체감 도구(SD Self: Myself as Mother)를 고효정(1996)이 번 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1항목의 7점 척도로, 최저 11점에서 최고 77점의 범위를 가진다. 점수가 높을수록 모성정체성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 다. 고효정(1996)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1-0.85이었고,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 .81이었다.

(32)

D. 실험처치

1.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A) 교육내용 선정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자 료 내용은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 요구에 대한 선행연구(박지 선, 방경숙, 2014)와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선정된 내용은 신생아중환자실 입실 안내, 미숙아 특성(신생아중환 자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 유 안내의 4가지 항목이었다. 선정된 교육 항목의 적절성은 신생아중환자실 수 간호사 1인, 신생아중환자실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간호사 2인과 신생아 전문 의로부터 받았다. 이후 선정된 교육내용의 항목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고자 이 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에 대해 신생아 전문의 1인, 10년 이상 신생 아중환자실 근무경력을 가진 간호사 4인에게 내용 타당도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8개의 항목에 관한 내용 타당도 계수(Content Validity Index)는 .85~95 로, 모든 항목을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B) 교육자료 준비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이용한 교육은 쉽고 재미있게 정보를 제공하고, 교 육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김영미 등, 2013, 정현철 등, 2010).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매체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 영상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였고,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미숙아 특성(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실 모

(33)

유수유 안내의 총 4개 주제를 포함하는 애니메이션 교육 동영상을 개발하였으 며, 각 동영상은 6~10분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교육 동영상 개발을 위해서, 선정된 교육 항목에 대해 시나리 오를 개발한 후, 개발된 시나리오를 전문 애니메이션 제작업체에 인터넷 정보 처방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동영상을 제작 의뢰하여 개발을 완료한 후, 사용자 의 의견과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동영상 교육자료를 완성하였다. 개 발된 동영상은 미숙아 어머니가 시청할 수 있도록 간호사가 전자의무기록을 통 해 정보 처방이 되도록 하여 휴대전화나 환자 침상에서 교육 정보와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는 기기인 스마트 베드 스테이션(Smart Bed System, SBS)을 이 용하여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유롭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간의 편리성 을 고려하였다.

(C) 실험중재의 구성

본 연구를 위한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 램은 구체적으로 다음의 <표 1>과 같이 구성하였다.

(34)

교육 시기 중재 내용 시 간 교육방법 교육 매체 교육 장소 출산 24시간 이내 사전조사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20분 설명 자가학습 리플릿동영상 (애니메이션) 산모병실 아기 면회 (장비, 신생아중환자실 환경, 아기 상태설명) 10분 설명 - 아기침상 옆 출산 2일째 미숙아특성안내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 10분 자가학습 동영상 (애니메이션) 산모병실 24시간 생활 안내 6분 자가학습 동영상 (애니메이션) 산모병실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유 안내 9분 자가학습 동영상 (애니메이션) 산모병실 출산 3일째 면회 시 아기의 전반적인 상 태에 대한 정보 및 상담제공 사후조사 15분 설명 질의·응답 - 아기침상 옆 출산 7일째 해피콜 아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제공 5분 설명 -전화 또는 면회 시 정보제공 출산 2주째 면회 시 아기의 전반적인 상 태에 대한 정보 및 상담제공 추후조사 15분 설명 질의·응답 - 아기침상 옆 표 1.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내용

(35)

그림 2.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그림 3. 미숙아 바로 알기

(36)

E.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9일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 진행되 었으며, 대상자들 간 실험 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조군의 자료수집을 먼저 한 후, 시차를 두고 실험군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미숙아 어머니의 명단을 확 보한 후, 연구자 또는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입원 중인 병실로 찾아가 개별적 접촉을 통해 연구 목적과 의의, 총 3회의 반복측정을 위한 연구 진행절차 및 소요시간, 구체적인 보상체계 등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할 경 우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반복측정으로 인한 대상자 탈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시점 에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휴대전화 번호 등을 확보하고, 설문조사 시점이 되 기 1~2일 전에 미리 연구대상자의 휴대전화로 전화하여 설문조사에 대해 안내 하고, 설문조사가 완료되면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 면 다음과 같다. (A) 연구자 준비 및 연구보조원 훈련 본 연구자는 2002년부터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로 근무하였고, 대한신생 아학회, 신생아간호사회 보수교육에 수차례 참석하였으며, 신생아중환자 관리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아기들의 어머니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도를 문헌을 통하여 숙지하고 예비조사를 통해 대 상자의 예상 질문에 대한 지식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중재 제공과 자료수집은 연구자와 연구 진행을 도울 연 구보조원 2인이 실시하였고, 연구 조사를 도울 연구보조원은 신생아중환자실의 근무경력이 10년 이상으로서 중환자실에서의 미숙아 관리에 대한 지식과 경험

(37)

이 풍부하고, 연구보조원으로서 참여 의사가 있는 간호사로 본 연구에 참여하 였다. 연구 진행 시 자료 수집자 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먼저, 연구의 목적과 의의 등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논의 후, 교육방법과 자료수집방법 등을 표준화시킨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토콜에 대한 충분히 숙지하도록 한 후 자 료수집과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의 정보제공 내용 및 방법을 일치시키기 위해 연구자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방법 및 중재의 제 공방법 등에 대해 1회의 시범을 보이고, 그 후 연구자가 연구보조원이 실험처 치 하는 현장을 1회 참관하였다. 자료수집의 전 과정에서 생긴 의문이나 어려 움 등은 상시 연구자 간 소통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자료수집 절차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B) 대조군 자료수집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대조군에게는 병실에서 출산 24 시간 이내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 스 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조사하고, 미숙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리플릿을 이용한 일상적인 입원교육을 시행하였다. 이후의 반복측정은 출산 후 3일째와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후 방문 시점인 출산 후 2주째 각각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측정하였다. 교육 이외 에 특별한 상담이나 교육이 제공되지 않고, 대조군의 일상적인 질문에 대해서 만 정보를 제공하였다.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사후조사 설문지 작성 이후 에는 아기 상태에 대한 상담이나 미숙아의 상태에 따라 모유수유 교육 등 필요 한 내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38)

(C) 실험군 실험처치와 자료수집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실험군에게는 병실에서 출산 24 시간 이내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 스 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조사하였고, 아기 면회 전 미숙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 환자실 입실안내 리플릿을 이용하여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을 이용 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안내문을 제공하여 휴대전화나 스마트 베드 스테이션(SBS)을 이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애니메이션을 시청 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아기 면회 시 아기가 가지고 있는 장비, 신생아중환자실 환경, 아기 상태에 대하여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설명하였다. 이후, 미숙아 특성(신 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과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 실 모유수유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병실에서 시청하여 자가학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산 3일째, 아기 면회 시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아기의 전반적인 상 태에 관해 설명하고, 질의ㆍ응답의 방법으로 상담을 제공하였고, 애니메이션 시 청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출산 3일째 면회 종료 시점에 구조화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측정하였다. 출산 7일째, 면회 를 오지 못하는 미숙아 어머니에게는 전화로 아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면회를 온 미숙아 어머니에게는 직접 아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였다. 출산 2주째, 아기 면회 시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은 아기의 전 반적인 상태에 관해 설명하였고, 질의ㆍ응답의 방법으로 상담을 제공하였으며, 면회 종료 시점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 성을 반복 측정하였다.

(39)

F. 윤리적 고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아주대학교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의 기관연 구 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절차를 밟은 후, 간 호본부와 병동 수간호사에게 연구 목적과 의의를 설명하였고, 연구 진행의 허 락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원 2인이 입원 중인 병실로 찾아가 개별적 접촉을 통 해 피험자 동의 설명문을 사용하여 연구의 목적과 의의, 총 3회의 반복측정을 위한 연구 진행절차 및 소요시간, 구체적인 보상체계 등에 관해 설명하였고, 비 밀 보장 및 연구 참여의 중도 포기와 중단을 결정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한 정보 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자발적인 연구 참여 의사가 있을 경우 연구 참여 에 대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고, 응답한 내용은 익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연구 목적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않았다.

G.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에서 Kolmogorov-Smirnov test로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 체성에 대한 정규성을 검정한 결과, 측정의 세 시점에서 두 군 모두 상태불안 (p=.074~.200)과 스트레스(p=.121~.200)에서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나, 모성정체성은 실험군의 1, 2, 3차 측정 시점과 대조군의 3차 측정 시점에서 만 정규성을 만족하고(p=.140~.200), 대조군의 1, 2차 측정 시점에서 정규성을 만족하지 않아 Fisher 왜도 값을 통하여 정규성 여부를 다시 확인한 결과, Fisher 왜도 값이 대조군의 1, 2차 측정 시점에서 각각 –0.32, -0.25로 기준치인 ±1.96 내에 분포하고 있어 정규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수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40)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과 표준편차로 구한 후 χ2-test와 independent sample t-test로 분석하였다.

2.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종속변수 사전 동질성 검증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 한 후, independent sample t-test로 분석하였다.

3.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 기 위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두 집단 간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 변화양상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가설검증은 2 (두 집단)×3 (세 측정 시기)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또한, 시점 간 사후검 증은 Bonferroni correction과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41)

Ⅳ. 연구결과

A. 대상자의 특성

1.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실험군 16명, 대조군 14명으로 총 30명이었으며, 미 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은 <표 2>와 같다. 실험군 미숙아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4.4(±2.66)세이었고, 최종학력은 대 졸, 전문대졸 이하, 석사 이상의 순으로 많았으며, 9명(56.3%)이 종교가 있었다. 8명(50%)이 임신 중 직장에 다녔고, 월수입은 300만원 미만이 2명(12.5%), 301-400만원이 6명(37.5%), 401만원 이상이 8명(50.0%)이었다. 또한, 14명 (87.5%)이 가족계획을 하였고, 12명(75%)이 출생순위가 첫째이었다. 대조군 미숙아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3.3(±2.87)세이었으며, 최종학력은 대졸, 전문대졸 이하, 석사 이상의 순으로 많았으며, 6명(42.9%)이 종교가 있었 다. 8명(57.1%)이 임신 중 직장에 다녔고, 월수입은 300만원 미만이 5명(35.7%), 301-400만원이 4명(28.6%), 401만원 이상이 5명(35.7%)이었다. 또한, 10명 (71.4%)이 가족계획을 하였고, 14명(100%) 모두 출생순위가 첫째이었다.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을 한 결과 나이, 최종학력, 종교, 직업, 임신 중 직장 여부, 월수입, 가족계획은 두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 하였으나, 출생순위의 경우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집단이 동질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2.236, p=.041).

(42)

분류 구분 실험군(n=16) 대조군(n=14) χ2 or t p n(%) or M±SD n(%) or M±SD 나이(세) 34.4±2.66 33.3±2.87 -1.080 .289 최종학력 전문대졸 이하 대졸 석사 이상 6(37.5) 8(50.0) 2(12.5) 6(42.9) 7(50.0) 1((7.1) -0.187 .853 종교 유 무 9(56.3) 7(43.7) 6(42.9) 8(57.1) 0.536 .464 임신 중 직장 여부 다님 안 다님 8(50.0) 8(50.0) 8(57.1) 6(42.9) 0.153 .696 월수입 300만원 미만 301-400만원 401만원 이상 2(12.5) 6(37.5) 8(50.0) 5(35.7) 4(28.6) 5(35.7) -1.016 .318 가족계획 예 아니오 14(87.5) 2(12.5) 10(71.4) 4(28.6) 1.205 .272 출생순위 첫째 둘째 이상 12(75.0) 4(25.0) 14(100) 0(0) -2.236 .041 표 2.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N=30 2.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은 <표 3>과 같다. 미숙 아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실험군의 경우 출생 체중은 평균 1.3(±0.45)kg 이었고, 출생 주수(일)는 평균 203.3(±19.06)일, 29주 0일로 나타났으며, 6명 (37.5%)이 쌍둥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7명(43.7%)이 정상분만을 하였고, 9명 (56.3%)이 제왕절개를 하였으며, 아기의 성별은 10명(43.5%)이 남자이었고, 13 명(56.5%)이 여자이었다. 14명(87.5%)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였고, 15명(93.8%) 이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였으며, 16명(100%) 모두 위관수유를 하였다. 선천성

(43)

기형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 출생 체중은 평균 1.2(±0.34)kg이었고, 출생 주수(일)는 평 균 203.8(±17.85)일, 29주 1일로 나타났으며, 7명(50%)이 쌍둥이인 것으로 나타 났다. 6명(42.9%)이 정상분만을 하였고, 8명(57.1%)이 제왕절개를 하였으며, 아 기의 성별은 10명(45.5%)이 남자이었고, 12명(54.5%)이 여자이었다. 10명 (71.4%)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였고, 14명(100%) 모두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였 으며, 13명(92.9%)이 위관수유를 하였다. 또한, 1명(7.1%)이 선천성 기형을 가지 고 있었다.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결과 출생 체중, 출생 주수(일), 쌍둥이 여부, 분만형태, 아기 성별, 인공호흡기 사용, 인큐베이터 사용, 수유방법, 선천성 기형 모두 두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어 동질 하였다.

(44)

분류 구분 실험군 (n=16) 대조군 (n=14) χ2 or t p n(%) or M±SD n(%) or M±SD 출생 체중(kg) 1.3±0.45 1.2±0.34 -0.405 .689 출생 주수(일) 203.3±19.06 29주 0일 203.8±17.8529주 1일 0.070 .945 쌍둥이 여부 예 아니오 10(62.5)6(37.5) 7(50.0)7(50.0) 0.475 .491 분만형태 정상분만 제왕절개 7(43.7)9(56.3) 6(42.9)8(57.1) 0.002 .961 아기 성별* 여 10(43.5)13(56.5) 10(45.5)12(54.5) 0.130 .897 인공호흡기 사용 유 무 14(87.5)2(12.5) 10(71.4)4(28.6) 1.205 .272 인큐베이터 사용 유 무 15(93.8)1(6.3) 14(100)0(0) 0.905 .341 수유방법 금식 위관수유 16(100)0(0) 13(92.9)1(7.1) 1.182 .277 선천성 기형 예 아니오 16(100)0(0) 13(92.9)1(7.1) 1.182 .277 표 3.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N=30 * 다태아 포함 3. 미숙아 어머니의 종속변수(상태불안, 스트레스, 모성정체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상태불안 점수는 실험군에서 평균 52.6(±11.06)점, 대조군에서 44.2(±11.85)점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점수는 실험군에서 평균 100.9(±20.40) 점, 대조군에서 89.6(±24.24)점으로 나타났으며, 모성정체성 점수는 실험군에서

(45)

51.5(±8.59)점, 대조군에서 48.4(±10.83)점으로 나타났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주요 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실험군(n=16) 대조군(n=14) t р M±SD M±SD 상태불안 52.6±11.06 44.2±11.85 -1.995 .056 스트레스 100.9±20.40 89.6±24.24 -1.395 .174 모성정체성 51.5±8.59 48.4±10.83 -0.866 .394 표 4.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N=30

(46)

B. 가설검증

1. 제1 가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사전(출산 24시간 이내), 사후(출산 후 3일째), 추후(출산 후 2주째) 상태 불안 점수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상태불안 점수는 각각 52.6(±11.06)점, 48.9(±12.36)점, 44.8(±12.40)점이었고, 대조군의 상태불안 점수는 각각 44.2(±11.85)점, 47.1(±10.73)점, 46.6(±13.8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1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과, 상태불안의 경우 측정 시기(F=1.305, p=.277)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 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F=0.516, p=.478)에 따른 상태불안 정 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측정 시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 간의 교호작용(F=3.988, p=.032)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제1 가설은 지지되었다<표 5>. 시간 그룹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 Source F p* M±SD M±SD M±SD 실험군 (n=16) 52.6±11.06 48.9±12.36 44.8±12.40 Group Time Group*Time 0.516 1.305 3.988 .478 .277 .032 대조군 (n=14) 44.2±11.85 47.1±10.73 46.6±13.86 표 5.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47)

2. 제2 가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사전(출산 24시간 이내), 사후(출산 후 3일째), 추후(출산 후 2주째) 스트 레스 점수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스트레스 점수는 각각 100.9(±20.40)점, 97.9(±16.10)점, 88.3(±22.12)점이었고, 대조군의 스트레스 점수는 각각 89.6(±24.24)점, 93.4(±17.90)점, 84.4(±28.7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2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과, 측정 시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

용 여부 간의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0.485, p=.577), 측정 시기

(F=3.133, p=.064)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F=1.081, p=.307)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없

(48)

시간 그룹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 Source F p* M±SD M±SD M±SD 실험군 (n=16) 100.9±20.40 97.9±16.10 88.3±22.12 Group Time Group*Time 1.081 3.133 0.485 .307 .064 .577 대조군 (n=14) 89.6±24.24 93.4±17.90 84.4±28.73 표 6.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3. 제3 가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사전(출산 24시간 이내), 사후(출산 후 3일째), 추후(출산 후 2주째) 모성 정체성 점수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모성정체성 점수는 각각 51.5(±8.59)점, 52.0(±7.23)점, 53.7(±7.26)점이었고,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점수는 각각 48.4(±10.83)점, 47.1(±9.68)점, 50.7(±8.0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3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과, 측정 시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

(49)

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F=1.513, p=.229)에 따른 모성정체성 정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제3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모 성정체성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804, p=.019)<표 7>. 시간 경과에 따른 모성정체성의 변화를 보기 위해 측정 시기에 따른 모 성정체성의 차이를 추가 분석한 결과, 모성정체성은 사후조사(출산 후 3일째) 시점보다 추후조사(출산 후 2주째) 시점에 증가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유의하 게 모성정체성 점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Bonferroni adjusted p=.012). 시간 그룹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 Source F(p*) 사후-사전 차이 사후-추후 차이 M±SD M±SD M±SD M±SD t M±SD t 실험군 (n=16) 51.5±8.59 52.0±7.23 53.7±7.26 Group Time Group*Time 1.513 (.229) 4.804 (.019) 0.712 (.477) 2.23±6.05 2.022 (.052) 2.60±4.69 3.038 (.005) 대조군 (n=14) 48.4±10.83 47.1±9.68 50.7±8.03 표 7.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모성정체성 변화양상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50)

Ⅴ. 논의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A.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

램 이용 여부에 따른 상태불안 변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 험군과 일반적인 입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의 상태불안을 비교해보았을 때, 프로그램 제공 여부와 측정 시기 간의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프로그램 제공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의 변화양상 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사전, 사후, 추후시점으로 갈수록 지속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일반적 인 입원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상태불안은 사전보다 사후에 오히려 증가했다가, 추후시점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신생아중환자실 면회 전에 신생아중환자실 환 경에 관한 내용을 동영상을 보여주거나 소책자를 보여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한 Valizadeh 등(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동영 상 등을 이용한 입원교육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며,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 아 어머니에게 동영상 등을 이용한 입원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어머니는 두려움과 무력감에서 벗어나

(51)

기 위하여 의료진에게 자세한 설명을 요구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하기보 다는 인터넷이나 인터넷 카페를 통해 알게 된 자조 집단 어머니를 통해서 정보 를 얻고자 노력하고, 이러한 활동이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 감소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나, 정확하지 않은 정보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상태 가 모두 같을 수 없으므로 올바르지 않은 정보가 많고 이로 인하여 어머니가 더 큰 상처를 받는 경우도 있어 어머니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기의 상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마음을 다치는 일이 없도록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최은아, 2016). 따라서 애니메이션 을 이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미숙아 특성(신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 하는 검사 포함),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실 모유수유에 대한 내용 을 어머니들에게 제공하고, 면회 시 또는 해피콜을 통해 아기의 전반적인 상 태에 대한 정보와 상담을 제공하여 미숙아 어머니가 의료진의 구체적이고, 정 확한 정보를 통해 아기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미숙아 어머니가 경험하게 될 상태불안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본다. 따라서, 향후 미 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 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동영상을 이용한 정보제공의 경우 영상과 더불어 음향에 의한 자극 까지 더해지기 때문에 소책자나 인쇄 매체를 활용한 교육보다 학습자의 주의 집중력, 이해력, 기억 유지 능력 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 동영상 등을 이용 한 시청각 정보를 활용하는 교육이 확대되고 있는 여건이다(국민정, 2003; 이문 경, 이윤미, 2012; 전수란, 박효정, 2016). 실제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정보제공 이 사시 아동의 수술 전 주관적 불안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연구(홍승현, 2015)와 자궁절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동영상교육(전수란, 박효정, 2016)과 위내시경 시술 환자를 대상으로 한 동영상 교육프로그램이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권수영, 2013), 동영상 교육 매체의 유용성이 있다 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숙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교 육에서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활용하는 교육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수치

그림 2.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그림 3. 미숙아 바로 알기

참조

관련 문서

In The Joy Luck Club, the mothers facilitate the daughters' inventions of dynamic identity by remembering the painful past, sharing their stories, an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rriage Encounter program(ME program) on marital problem solving behavior.. The overall goal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improving the attitudes of regular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ing belief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behaviors among marriage-immigrant mothers and native-born mothers and

Among the sub-factors of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strategy recognition had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grit of athletes, followed by

under the transient condition using the Lock-in infrared thermography and predict the stress value and the dynamic stress concentration factor based on the

95 Effects of the heat treatment of the substrate on residual stress distributions for the case of the deposition of multiple lines and layer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