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본 연구의 대상자는 실험군 16명, 대조군 14명으로 총 30명이었으며, 미 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은 <표 2>와 같다.

실험군 미숙아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4.4(±2.66)세이었고, 최종학력은 대 졸, 전문대졸 이하, 석사 이상의 순으로 많았으며, 9명(56.3%)이 종교가 있었다.

8명(50%)이 임신 중 직장에 다녔고, 월수입은 300만원 미만이 2명(12.5%), 301-400만원이 6명(37.5%), 401만원 이상이 8명(50.0%)이었다. 또한, 14명 (87.5%)이 가족계획을 하였고, 12명(75%)이 출생순위가 첫째이었다.

대조군 미숙아 어머니의 평균 연령은 33.3(±2.87)세이었으며, 최종학력은 대졸, 전문대졸 이하, 석사 이상의 순으로 많았으며, 6명(42.9%)이 종교가 있었 다. 8명(57.1%)이 임신 중 직장에 다녔고, 월수입은 300만원 미만이 5명(35.7%), 301-400만원이 4명(28.6%), 401만원 이상이 5명(35.7%)이었다. 또한, 10명 (71.4%)이 가족계획을 하였고, 14명(100%) 모두 출생순위가 첫째이었다.

미숙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을 한 결과 나이, 최종학력, 종교, 직업, 임신 중 직장 여부, 월수입, 가족계획은 두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동질 하였으나, 출생순위의 경우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두 집단이 동질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t=-2.236, p=.041).

분류 구분

나이(세) 34.4±2.66 33.3±2.87 -1.080 .289

최종학력 전문대졸 이하

기형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조군의 경우 출생 체중은 평균 1.2(±0.34)kg이었고, 출생 주수(일)는 평 균 203.8(±17.85)일, 29주 1일로 나타났으며, 7명(50%)이 쌍둥이인 것으로 나타 났다. 6명(42.9%)이 정상분만을 하였고, 8명(57.1%)이 제왕절개를 하였으며, 아 기의 성별은 10명(45.5%)이 남자이었고, 12명(54.5%)이 여자이었다. 10명 (71.4%)이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였고, 14명(100%) 모두 인큐베이터를 사용하였 으며, 13명(92.9%)이 위관수유를 하였다. 또한, 1명(7.1%)이 선천성 기형을 가지 고 있었다.

미숙아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결과 출생 체중, 출생 주수(일), 쌍둥이 여부, 분만형태, 아기 성별, 인공호흡기 사용, 인큐베이터 사용, 수유방법, 선천성 기형 모두 두 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어 동질 하였다.

분류 구분

출생 체중(kg) 1.3±0.45 1.2±0.34 -0.405 .689 출생 주수(일) 203.3±19.06

51.5(±8.59)점, 대조군에서 48.4(±10.83)점으로 나타났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 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간의 주요 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을 검증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4>.

실험군(n=16) 대조군(n=14)

t р

M±SD M±SD

상태불안 52.6±11.06 44.2±11.85 -1.995 .056

스트레스 100.9±20.40 89.6±24.24 -1.395 .174 모성정체성 51.5±8.59 48.4±10.83 -0.866 .394 표 4.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증

N=30

B. 가설검증

44.2(±11.85)점, 47.1(±10.73)점, 46.6(±13.86)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1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실험군 (n=16) 52.6±11.06 48.9±12.36 44.8±12.40 Group Time 대조군 (n=14) 44.2±11.85 47.1±10.73 46.6±13.86 .032

표 5.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 변화양상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2. 제2 가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공받은 실험군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사전(출산 24시간 이내), 사후(출산 후 3일째), 추후(출산 후 2주째) 스트 레스 점수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의 스트레스 점수는 각각 100.9(±20.40)점, 97.9(±16.10)점, 88.3(±22.12)점이었고, 대조군의 스트레스 점수는 각각 89.6(±24.24)점, 93.4(±17.90)점, 84.4(±28.7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2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과, 측정 시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 용 여부 간의 교호작용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0.485, p=.577), 측정 시기 (F=3.133, p=.064)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F=1.081, p=.307)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도 유의한 차이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나 제2 가설은 기각되었다<표 6>.

시간 그룹

사전조사 사후조사 추후조사

Source F p*

M±SD M±SD M±SD

실험군 (n=16) 100.9±20.40 97.9±16.10 88.3±22.12 Group Time 대조군 (n=14) 89.6±24.24 93.4±17.90 84.4±28.73 .577

표 6.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과 대조군의 스트레스 변화양상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3. 제3 가설: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 48.4(±10.83)점, 47.1(±9.68)점, 50.7(±8.03)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3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한 결 과, 측정 시기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

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이용 여부(F=1.513, p=.229)에 따른 모성정체성 정도의

51.5±8.59 52.0±7.23 53.7±7.26 Group

Time

*Greenhouse-Geisser adjusted p.

Time contrast paired t-test: 사후조사<추후조사(Bonferroni adjusted p=.012)

Ⅴ. 논의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이 미숙아 어머니의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 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A.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 램 이용 여부에 따른 상태불안 변화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 험군과 일반적인 입원교육을 제공받은 대조군의 상태불안을 비교해보았을 때, 프로그램 제공 여부와 측정 시기 간의 교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프로그램 제공 여부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상태불안의 변화양상 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험군의 상태불안은 사전, 사후, 추후시점으로 갈수록 지속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일반적 인 입원교육을 받은 대조군의 상태불안은 사전보다 사후에 오히려 증가했다가, 추후시점에서는 감소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신생아중환자실 면회 전에 신생아중환자실 환 경에 관한 내용을 동영상을 보여주거나 소책자를 보여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한 Valizadeh 등(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동영 상 등을 이용한 입원교육이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주며,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 아 어머니에게 동영상 등을 이용한 입원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어머니는 두려움과 무력감에서 벗어나

기 위하여 의료진에게 자세한 설명을 요구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하기보

있겠다.

부족으로 인한 호흡기계의 문제와 미성숙한 피부로 인한 피부 손상과 관련된

이용한 실험군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모성정체성 점수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

분석한 결과, 사후 조사(출생 후 3일째) 시점에 비해 추후 조사(출생 후 2주째) Messias, & Schumacher, 2000; Roh, Park, & Song, 2017), 특별히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크고, 모성정체성이 초기에 낮은 결과를 고려할

실 입원 동안 미숙아 어머니에게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 되어, 이 시기의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적용과 평가가 필 요하리라고 보며, 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근거확보를 위한 추후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D. 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의 결과를 해석하는 데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소수의 미숙아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결과를 전체 모집단으로 일반화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유사실험 연구로 연구대상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경험과 지식 이 대상자의 불안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인 외생 변수 를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 그램은 미숙아 어머니의 불안을 감소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현 재 입원 당일 짧은 시간 동안 미숙아의 아버지에게만 최소한의 교육을 제공하 고 있는 입원교육 형태를 개선하여, 미숙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환자실에 대한 정보와 아기들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지식제공과 함께 지식제공의 효과적인 매체로서 대상자 입장에서 보다 쉽고 반복적 교육이 가능한 동영상 애니메이션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하며, 나아가 상담을 통해 올바른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간호사에 의한 대상자 지지중재를 임상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보다 다양한 병원의 많은 대상자 수를 포함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Ⅵ. 결론

서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응을 위한 근거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와 지속성을 객관화하기 위한 반복연구를 할 것을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 미숙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제한점이 있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보다 많은 대상자를 상대로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미숙아 어머니를 위하여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실무에 활용하고, 더 나아가 미숙아의 어머니뿐만 아니라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한 만삭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애니메이션을 이용 한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참고문헌

김태임 (2000).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아동간호학

오금숙, 임지영, 조인숙, 함옥경 (2010).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신생아

정현철, 성거미, 전미양 (2010).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입원생활 안내 동영상의 효

Chae, H. J., Song, J. E., & Kim, S. (2011). Predictors of Maternal Identity Korean Primipar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6), 733-741.

Morey, J. A. & Gregory, K. (2012). Nurse-Led Education Mitigates Maternal Stress and Enhances Knowledge in the NICU.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7(3), 182-191.

Valizadeh, L., Hosseini, M. B., Heydarpoor Damanabad, Z., Rahkar Farchi, M., Asgary Jafarabadi, M., & Ranjbar Kochaksaraie F. (2016). Effect of NICU Department Orientation Program on Mother's Anxie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5(13), 205-214.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essias, D. K., & Schumacher, K.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3(1), 12-28.

Miles, M. S., Funk S. G., & Kasper M. A. (1992). The stress response of mothers and fathers of preterm infant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5(4), 261-269.

Miles, M. S., Funk, S. G. & Carlson. J. (1993). Parental Stressor Scale: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PSS:NICU). Nursing Research, 42(3), 148-152.

Busse, M., Stromgren, K., Thorngate L., & Thomas. K. A. (2013). Parents' Responses to Stres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33(4), 52-60.

Beheshtipour, N., Baharlu, S. M., Montaseri, S. & Razavinezhad Ardakani, S.

M. (2014).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n Iranian Premature Infants' Parental Stres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Based Nursing and Midwifery, 2(4), 240-250.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1957). The Measurement of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1957). The Measurement of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