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7년 6월 19일부터 2018년 4월 6일까지 진행되 었으며, 대상자들 간 실험 효과의 확산을 막기 위해 대조군의 자료수집을 먼저 한 후, 시차를 두고 실험군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만족하는 미숙아 어머니의 명단을 확 보한 후, 연구자 또는 훈련된 연구보조원이 입원 중인 병실로 찾아가 개별적 접촉을 통해 연구 목적과 의의, 총 3회의 반복측정을 위한 연구 진행절차 및 소요시간, 구체적인 보상체계 등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할 경 우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후,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반복측정으로 인한 대상자 탈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1차 설문조사 시점 에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휴대전화 번호 등을 확보하고, 설문조사 시점이 되 기 1~2일 전에 미리 연구대상자의 휴대전화로 전화하여 설문조사에 대해 안내 하고, 설문조사가 완료되면 소정의 선물을 제공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하 면 다음과 같다.

(A) 연구자 준비 및 연구보조원 훈련

본 연구자는 2002년부터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로 근무하였고, 대한신생 아학회, 신생아간호사회 보수교육에 수차례 참석하였으며, 신생아중환자 관리에 대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있다.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하는 아기들의 어머니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도를 문헌을 통하여 숙지하고 예비조사를 통해 대 상자의 예상 질문에 대한 지식을 강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중재 제공과 자료수집은 연구자와 연구 진행을 도울 연 구보조원 2인이 실시하였고, 연구 조사를 도울 연구보조원은 신생아중환자실의 근무경력이 10년 이상으로서 중환자실에서의 미숙아 관리에 대한 지식과 경험

이 풍부하고, 연구보조원으로서 참여 의사가 있는 간호사로 본 연구에 참여하 였다.

연구 진행 시 자료 수집자 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먼저, 연구의 목적과 의의 등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논의 후, 교육방법과 자료수집방법 등을 표준화시킨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토콜에 대한 충분히 숙지하도록 한 후 자 료수집과 교육을 진행하였다.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의 정보제공 내용 및 방법을 일치시키기 위해 연구자가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동영상 시청방법 및 중재의 제 공방법 등에 대해 1회의 시범을 보이고, 그 후 연구자가 연구보조원이 실험처 치 하는 현장을 1회 참관하였다. 자료수집의 전 과정에서 생긴 의문이나 어려 움 등은 상시 연구자 간 소통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자료수집 절차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B) 대조군 자료수집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대조군에게는 병실에서 출산 24 시간 이내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 스 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조사하고, 미숙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리플릿을 이용한 일상적인 입원교육을 시행하였다. 이후의 반복측정은 출산 후 3일째와 미숙아 어머니의 퇴원 후 방문 시점인 출산 후 2주째 각각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측정하였다. 교육 이외 에 특별한 상담이나 교육이 제공되지 않고, 대조군의 일상적인 질문에 대해서 만 정보를 제공하였다.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사후조사 설문지 작성 이후 에는 아기 상태에 대한 상담이나 미숙아의 상태에 따라 모유수유 교육 등 필요 한 내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C) 실험군 실험처치와 자료수집

연구 참여를 위한 서면동의서를 작성한 실험군에게는 병실에서 출산 24 시간 이내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상태불안, 스 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조사하였고, 아기 면회 전 미숙아 어머니에게 신생아중 환자실 입실안내 리플릿을 이용하여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을 이용 한 이른둥이 전문가 지지중재 프로그램 안내문을 제공하여 휴대전화나 스마트 베드 스테이션(SBS)을 이용하여 신생아중환자실 입실안내 애니메이션을 시청 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아기 면회 시 아기가 가지고 있는 장비, 신생아중환자실 환경, 아기 상태에 대하여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설명하였다. 이후, 미숙아 특성(신 생아중환자실에서 시행하는 검사 포함)과 24시간 아기들의 생활, 신생아중환자 실 모유수유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병실에서 시청하여 자가학습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출산 3일째, 아기 면회 시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아기의 전반적인 상 태에 관해 설명하고, 질의ㆍ응답의 방법으로 상담을 제공하였고, 애니메이션 시 청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출산 3일째 면회 종료 시점에 구조화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성을 측정하였다. 출산 7일째, 면회 를 오지 못하는 미숙아 어머니에게는 전화로 아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고, 면회를 온 미숙아 어머니에게는 직접 아기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 보를 제공하였다. 출산 2주째, 아기 면회 시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은 아기의 전 반적인 상태에 관해 설명하였고, 질의ㆍ응답의 방법으로 상담을 제공하였으며, 면회 종료 시점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태불안, 스트레스와 모성정체 성을 반복 측정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