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7년간 간이식 시술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최근 7년간 간이식 시술현황"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IRA_정책동향 9권 4호, 2015.

1. 들어가며

보건복지부는 2015년 6월 1일부터 장기이식 거부반응 치료제인 ‘에베로리무스(Evero-limus)’의 건강보험 적용범위를 간이식 받은 성인 환자까지 확대한다고 고시하였다(보건복지 부, 2015).1) 지금까지 심장을 이식받은 환자에만 적용되던 이식 거부반응 치료제의 건강보 험 혜택을 간 이식 환자도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간을 비롯한 심장, 폐, 췌장 등 4개 장기이식에 대하여 건강보험이 적용된 지 10년이 지났 으며(보건복지부, 2015),2) 이제 보장의 범위가 이식 후 거부반응 까지 확대되고 있다. 그동 안 장기이식 수술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식에 대한 국민의 관심 및 문의도 높아져 심평원에서는 각종 이식관련 통계를 ‘국민관심 통계’ 항목으로 지정, 홈페이지에도 공개하고 있다. 특히 간의 경우 생체기증이 가능한 상황이어서 여타 장기보다 많은 이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만큼 국민들의 관심도 높은 편이다. 본 장에서는 간이식 자에 대한 보장성 확대와 국민 관심의 증가에 발맞추어, 2008년부터 2014년 까지 우리나라의 간이식 시술현황을 상세히 분석해보고자 한다. 유수연 주임연구원 의료정보분석실 의료정보기획부

최근 7년간 간이식 시술현황

1) 보건복지부 고시 제2015-81호(2015.4.29). 2) 보건복지부 고시 제2005-88호(2005.12.22).

(2)

진료경향분석   본 분석은 2008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 사결정자료 중 2008년에서 2014년 사이3)에 다음의 간이식 수가코드가 청구된 명세서를 대 상으로 실시하였다. 7년간 간이식 수가가 청구된 명세서는 총 7,633건이었으며, 이들 중에 서 추가·보완 청구 등으로 입원일 중복이 발생한 명세서는 제외하여 최종 분석대상 명세서 는 7,625건이다. 표 1. 간이식 건강보험 적용수가 자료: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2015년 3월. 3) 청구명세서의 요양개시일(입원시작일) 기준. 수가코드 한글명 Q8040 이식 뇌사자(전간) Q8041 뇌사자(전간)-우삼구역 Q8042 뇌사자(전간)-단순우엽 Q8043 뇌사자(분할)-좌외측구역 Q8044 뇌사자(분할)-좌엽 Q8045 생체(좌외측구역) Q8046 생체(좌엽) Q8047 생체(단순우엽) Q8048 생체(확대우엽) Q8049 생체(변형우엽) Q8050 생체(두개의절편이용) Q8140 재이식 뇌사자(전간)-재이식 Q8141 뇌사자(전간)-우삼구역-재이식 Q8142 뇌사자(전간)-단순우엽-재이식 Q8143 뇌사자(분할)-좌외측구역-재이식 Q8144 뇌사자(분할)-좌엽-재이식 Q8145 생체(좌외측구역)-재이식 Q8146 생체(좌엽)-재이식 Q8147 생체(단순우엽)-재이식 Q8148 생체(확대우엽)-재이식 Q8149 생체(변형우엽)-재이식 Q8150 생체(두개의절편이용)-재이식

(3)

HIRA_정책동향 9권 4호, 2015.

나. 분석방법

본 분석에서는 각 연도별 간이식을 받은 환자 수 및 평균 입원일수, 이식 당 진료비 등을 살펴보았으며, 성/연령별로 수술건수 차이도 분석하였다. 간이식의 원인이 된 상병도 다빈 도 순으로 살펴보았으며, 재이식을 받은 환자를 별도 분석하여 재이식 주기 또한 살펴보았다. 본 자료에서 수술 건은 이식술이 이루어진 입원 한 건을 의미하며, 시술이 여러 번 이루어 진 경우 ‘시술건’으로 지칭하였다. 재이식건의 경우 재이식 수가(Q8140~Q8150)가 있으나, 동일 부위 재이식이 아닌 경우 기본수가로 청구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구분자로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환자가 7년 이내에 다시 입원하여 간이식 관련 수가가 청구된 경우를 재이식으로 정의하고 분석하였다.

3. 분석결과

가. 연도별 간이식 수술건수 및 환자 수

분석결과, 최근 7년간 청구된 총 이식수술 건수는 7,625건이며, 이식을 받은 환자는 7,510명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08년 이래로 꾸준히 증가하여 2010년에 처음으로 연간 1천 건을 넘어섰으며, 1,230건을 실시한 2012년이 간이식이 가장 많이 발생한 해로 나 타났다. 2013년에 다소 감소했던 간이식은 2014년에 다시 1,171건으로 증가하였다. 간이식을 받는 환자의 평균 입원일수는 30.6~36.0일로 평균 한 달가량의 입원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입원일수는 2008년이 36.0일로 가장 높았으며, 이후 조금씩 감 소하여 2014년에는 4.6일 감소하여 평균 31.4일이 되었다. 입원건당 평균 진료비는 2008년 6,098만원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간이 식 건당 평균 6,682만원의 진료비가 발생하며, 7년 전보다 약 584만원(9.58%) 증가한 것 으로 나타났다. 4) 4) 평균 입원일수 및 진료비는 청구명세서 단위로 작성하였으며, 수술 후 요양비용을 분리하여 청구한 경우 실제 입원일 수 및 진료비용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

(4)

진료경향분석   ※ 환자 수는 구간별 중복을 제거한 실 환자수임. 성·연령별 이식 환자 수 변화를 살펴보면, 10세 미만을 제외하고는 전 연령대에서 여성보 다 남성이 간이식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 남성의 경우 연간 200~300 명의 환자들이 간이식을 받고 있으며, 60대 남성의 이식건도 꾸준히 증가하여 2014년에는 60 대 남성이 40대 남성보다 더 많은 이식을 받았다. 남녀 모두 간이식을 가장 많이 받는 연령은 50대이며, 70대 이식 건은 각 성별 1~2건 수준에서 2014년에는 10건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표 3. 성·연령별 간이식 수술건수 (단위: 건) 총입원 일수(일) 249,143 33,517 31,802 34,847 38,893 37,662 35,696 36,726 총진료비(백만 원) 486,470 56,713 59,615 66,307 76,230 77,800 71,566 78,240 건당입원 일수(일) 32.7 36.0 32.9 33.5 33.5 30.6 31.7 31.4 건당진료비(만원) 6,380 6,098 6,159 6,382 6,566 6,325 6,356 6,682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합계 930 968 1,039 1,161 1,230 1,126 1,171 남성 소계 649 692 746 833 888 792 806 10세 미만 19 18 24 24 16 17 18 10-19세 6 7 6 6 8 9 4 20-29세 11 10 7 8 6 10 11 30-39세 50 53 45 31 32 33 24 40-49세 210 195 201 193 230 168 172 50-59세 269 302 340 435 425 400 388 60-69세 83 102 119 127 160 144 179 70-79세 1 5 4 9 11 11 10 여성 소계 281 276 293 328 342 334 365 10세 미만 24 26 20 21 23 28 25 10-19세 7 5 12 15 6 11 9 20-29세 11 10 11 11 6 10 10 30-39세 19 29 26 26 19 20 22 40-49세 62 50 64 53 53 63 70 50-59세 103 99 98 116 137 113 140 60-69세 53 56 59 81 89 80 78 70-79세 2 1 3 5 9 9 11

(5)

HIRA_정책동향 9권 4호, 2015. 그림 1. 연도별 연령별 간이식수술 건수 간이식 수가 종류별로 살펴보면, 생체-변형우엽이 7년간 4,129건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많은 이식종류는 뇌사자의 전간을 이식하는 것으로, 7년간 1,994건이 이루어졌다. 생체장기를 이용한 이식의 경우 단순우엽(2008년 116건→2014년 159건), 변형우엽(2008년 452건→2014년 588건)을 제외하고는 7년 전보다 오히려 이식 술 청구건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 이식 종류별 수가 청구건수 (단위: 건) 구분 총합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뇌사자 전간 1,994 232 215 222 280 333 336 376 전간-우삼구역 38 1 1 5 10 9 6 6 전간-단순우엽 35 2 1 5 10 6 7 4 분할-좌외측구역 75 4 8 10 12 9 17 15 분할-좌엽 22 2 - - 2 4 7 7 생체 좌외측구역 189 33 29 31 28 29 23 16 좌엽 164 31 28 19 14 21 28 23 단순우엽 939 116 98 120 137 181 128 159 확대우엽 199 37 42 32 34 16 20 18 변형우엽 4,129 452 552 617 649 683 588 588 두개의절편이용 183 32 23 18 37 21 25 27 10세 미만 10~19세 20~29세 30~39세 40~49세 50~59세 60~69세 70~79세 600 500 400 300 200 100 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6)

진료경향분석   1,790건(23.5%), 간경화로 인한 이식이 1,167건(15.3%)으로 뒤를 이었다. 표 5. 간이식 관련 다빈도 상병(7년 계) (단위: 건) 간이식 관련 상병 10위까지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간암의 경우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3 년 이후 약간 감소하는 모습이며(2012년 620건→2014년 499건), 이식과 관련한 특수코드 인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상태’로 청구하는 경우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2008년 80건 →2014년 370건). 순위 상병구분(소분류) 시술건수 1 C22 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 신생물 3,389 2 Z94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상태 1,790 3 K74 간의 섬유증 및 경화증 1,167 4 K70 알코올성 간질환 359 5 K72 달리 분류되지 않은 간부전 273 6 Q44 담낭, 담관 및 간의 선천기형 157 7 B18 만성 바이러스간염 150 8 K71 독성 간질환 51 9 E83 무기질대사장애 38 10 B16 급성 B형간염 37 11 K75 기타 염증성 간질환 37 12 B15 급성 A형 간염 25 13 B17 기타 급성 바이러스감염 17 14 T86 이식된기관및조직의실패및거부 13 15 K76 간의 기타 질환 11 16 E74 탄수화물대사의 기타장애 10 17 I82 기타 정맥의 색전증 및 혈전증 10 18 K83 담도의 기타 질환 10 19 B19 상세불명의 바이러스간염 9 기타 상병 72

(7)

HIRA_정책동향 9권 4호, 2015. 간 섬유증(268건→107건)과 간부전(59건→35건)은 2008년과 비교하여 2014년 환자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알코올성 간질환은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41건→73건). 표 6. 상위 10개 상병의 연도별 변화 (단위: 건) 그림 2. 연도별 다빈도 상병 변화 상병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C22 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 신생물 388 412 475 499 620 496 499 Z94 이식된 기관 및 조직의 상태 80 199 234 336 288 283 370 K74 간의 섬유증 및 경화증 268 180 164 157 145 146 107 K70 알코올성 간질환 41 34 44 54 47 66 73 K72 달리 분류되지 않은 간부전 59 38 44 31 23 43 35 Q44 담낭, 담관 및 간의 선천기형 25 28 24 17 18 25 20 B18 만성 바이러스 간염 21 22 18 14 26 27 22 K71 독성 간질환 8 15 6 5 7 5 5 E83 무기질 대사장애 - 3 7 7 7 8 6 B16 급성 B형간염 1 8 2 9 15 1 1 200 400 600 800 1000 0 1200 1400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C22 Z94 K74 K70 K72 Q44 B18 K71 E83 B16 (년도) (단위:건)

(8)

진료경향분석   식을 받은 환자가 가장 많았는데, 7년간 총 45명이 같은 해에 재입원하여 수술을 받은 것으 로 나타났다.6) 다음으로 1년 후 재이식을 받은 환자가 35명, 2년 후는 15명, 3년 후 재이식 은 5명으로 나타났다. 동일기간에 여러 건의 시술을 받은 환자를 제외하고 간이식으로 세 번 이상 입원한 환자 는 총 4명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은 길게는 1년 짧게는 1달 사이에 다시 입원하여 수술을 받 았으며, 대부분 생체 또는 부분이식을 받고 재수술에서는 전간이식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7. 2008년~2014년 재이식 환자 수 및 기간 (단위: 명)

4. 나가며

지금까지 2008년부터 2014년 까지 7년간의 간이식 수술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간이식은 7년간 꾸준히 연간 900회 이상 수술이 발생하여 총 7,625건의 이식이 이루어졌으며, 연도별로는 2012년이 1,230건으로 가장 많은 수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이식 기간 환자수 합계 107 1년 35 2년 15 3년 5 5년 1 6년 2 1년 미만 45 3회 이상 4 5) 입원개시년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실제 입원 시기(연도 말) 등에 따라 재수술 주기는 달라질 수 있음. 6) 예) 생체 단순우엽 → 뇌사자 전간.

(9)

HIRA_정책동향 9권 4호, 2015. 이 중 50대 수술건이 2,569건으로 전체의 33.7%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로, 간이식을 가장 많이 받는 상병은 간암(C22)으로 7년간 3,389건, 전체 수술의 44.4%에 해당하며, 다음으로는 이식된 조직의 문제(Z94)인 경우가 1,790건으로 23.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간이식 수가코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생체기증자의 장기를 이용한 변형우엽(4,129건)이며, 다음으로는 뇌사자의 전간(1,994건)을 이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재이식을 받은 환자는 총 107명이었으며 이중 45명의 환자가 수술을 받은 동일 해 에 재입원하여 수술을 받았고, 1년~2년 후 재수술을 받은 환자는 50명이었다. 간 이식은 모든 국민에게 다빈도로 발생하는 수술은 아니지만 그 위험도가 높고, 한번 수술 을 받게 되면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수술이다. 더구나 생체장기로 부분 이식을 받은 후 거부 반응 등의 문제로 전간 재이식을 받는 환자도 늘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 간이식자의 이식후 관 리에 대한 보장성이 확대된 부분은 매우 환영할 만한 일이다.

참조

관련 문서

• 고객 요청에 의한, PAGO DeepACT 온디맨드 상세 멀웨어 분석 서비스 제공. • 멀웨어 종류와 특징에 따라서, 짧게는 수시간 이내,

즉, BAEDC와 DEABC 사이에 있는 문자열의 개수는 문자열의 총 개수에서 ABCDE부터 BAEDC까지의 문자열과 DEABC 부터 EDCBA까지의 문자열의

* 30세 이상 자녀 :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 최근 1년 이내 계속하여 90일을 초과하여 해외에 체류한 경우 부양가족에서 제외.. ③ 입주자저축 1)

특히 간 절제술과 간이식을 맡고 있는 외과 왕희정 교수팀은 국내 최초로 혈액형이 다른 간이식을 성공한 데 이어 간이식 수술을 통해 혈우병과 간암을 동시 치

성충동 약물치료는 일정한 성폭력범죄를 저지른 성도착증 환자 중에서 성폭력범죄를 다시 범할 위험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19세 이상의 사람에게 부과할 수 있는

같은 환자 상황에 대한 세 가지 간호 개념모델의 다른 반응

Crossing 여러 운전자가 여러 세그멘트 사이에 택할 수 있는 지리적 교차점 Crossing 여러 운전자가 여러 세그멘트 사이에 택할 수 있는 지리적 교차점 Destination

우대시설 이용 시 많은 도움이 되시기를 바라며, 전국의 병역명문가 여러분께 다시 한 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