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 적응대책에 대한 평가체계 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 적응대책에 대한 평가체계 개발"

Copied!
3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Health Adaptation

Programs on Climate Change

(2)

연구보고서 2011-40-1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 적응대책에 대한 평가체계 개발 발 행 일 저 자 발 행 인 발 행 처 주 소 전 화 홈 페 이 지 등 록 인 쇄 가 격 2011년 12월 김 남 순 외 김 용 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35(우: 122-705) 대표전화: 02) 380-8000 http://www.kihasa.re.kr 1994년 7월 1일 (제8-142호) 예원기획 9,000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ISBN 978-89-8187-839-9 93330

(3)

머 리 말

21세기 들어와서 기후 온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직업적으로 혹은 환경변화(해수면 상승, 폭염, 가뭄, 대기 오염, 해양 오염 등)를 통해서 인구집단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건의료체계에서 기상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적절한 관리 대응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며. 잠재적 위해 발생 분야와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기후 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이로 인한 건강 문제는 국가 혹은 지역에서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가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문제의 예방 혹은 최소화 관점에서 적응 전략을 추진하는 주체가 되어야 하여,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 예방과 치료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대응 체 계가 구축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기초지자체의 대응 노력은 초기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에 대한 평가 체계를 개발하였고,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 및 기초지자체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사회가 효과적인 적응대책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에 대한 자문을 해주신 서울대 보 건대학원 김호 교수, 경희대 유가영 교수께 감사드린다. 한국보건사회연 구원 김남순 연구위원의 책임아래 인하대 황승식 교수, 신호성 연구위

(4)

원, 채수미 전문연구원, 황재민 연구보조원 등이 참여하였다. 연구원들 의 노고에 감사를 드리며, 보고서 구성과 내용에 대해 충실한 조원을 해준 박실비아 연구위원과 최정수 부연구위원께도 감사드린다. 또한 시 범평가에 협조해주신 기초지자체 및 보건소 관계자 분들께도 감사드린 다. 이 보고서에서 개발된 지역사회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와 국민 및 기초지자체의 인식도 조사결과가 향후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 향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 촉진될 수 있 는 계기가 마련될 것을 희망한다. 2011년 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김 용 하

(5)

목 차

Co

nte

nts

Abstract ··· 1

요약 ··· 3

제1장 서 론 ···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3

제2장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와 적응대책에 대한 고찰 ··· 19

제1절 기후변화 관련 질환 ··· 19 제2절 폭염 등 극단적 기후 현상 ··· 26 제3절 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 ··· 48 제4절 알레르기 및 호흡기질환 ··· 60 제5절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문제 ··· 73

제3장 기후변화관련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인식도 ··· 77

제1절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 인식도 ··· 77 제2절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보건소장 및 실무자 인식도 ··· 104

제4장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 평가에 대한 이론과 방법 · 127

제1절 공중보건사업 평가이론과 방법 ··· 127 제2절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모니터링 체계 ···· 146

제5장 기초지자체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 시범분석 ··· 163

제1절 시범적용 대상 기초지자체의 일반 현황 ··· 164 제2절 기후변화 관련 질환으로 인한 사망 및 의료이용 ··· 179 제3절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현황분석 ··· 193

(6)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 223

제1절 결과 요약 ··· 223 제2절 정책제언 ··· 228

참고문헌 ··· 231

부 록 ··· 244

부록 1. 기후변화 대국민 인식조사 문항별 단변수 분석 결과표 ·· 243 부록 2. 기후변화 대국민 인식조사 문항별 다변수 분석 결과표 ·· 253 부록 3. 기후변화 국민 인식도 조사 설문지 ··· 291 부록 4. 기후변화 관련 질환의 의료이용 현황 ··· 297

(7)

Contents

표 목차

〈표 2- 1〉한국 환경에 적합한 위험인자와 관련 질병 ···25 〈표 2- 2〉기후변화가 심장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32 〈표 2- 3〉폭염으로 인한 사망률 연구 ···35 〈표 2- 4〉허혈성심질환 및 뇌졸중의 질병부담 ···38 〈표 2- 5〉국내 폭염대응사업 ···40 〈표 2- 6〉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45 〈표 2- 7〉폭염 기간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의 위험 및 보호요인 ··47 〈표 2- 8〉국내 적용 가능한 폭염조사 감시체계 ···48 〈표 2- 9〉감염병 매개체와 숙주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 ···52 〈표 2-10〉주요 감염병 발생현황(2005-2007) ···55 〈표 2-11〉감염병 관리 주요사업 ···56 〈표 2-12〉주요 매개감염병의 가후변화 관련 감시체계의 필요성 ···59 〈표 3- 1〉모집단과 표본의 지역별‧성별 분포 ···78 〈표 3- 2〉모집단과 표본의 성별‧연령대별 분포 ···79 〈표 3- 3〉표본과 응답자의 성별‧연령대별 분포 ···81 〈표 3- 4〉다변수 분석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나쁜 영향 ···91 〈표 3- 5〉다변수 분석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시기 ···92 〈표 3- 6〉폭염주의보 인지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3 〈표 3- 7〉오존주의보 인지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4 〈표 3- 8〉미세먼지주의보 인지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5 〈표 3- 9〉무더위 쉼터 인지도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6 〈표 3-10〉폭염 문자 서비스 인지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7

(8)

〈표 3-11〉폭염 경보 발령시 대응 행동 여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8 〈표 3-12〉정부의 기후변화 건강위험 예산투자 확대에 대한 다변수 분석 결과 ···99 〈표 3-13〉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인식, % ···105 〈표 3-14〉기후변화가 건강문제 및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107 〈표 3-15〉보건사업에 대한 수행정도, % ···110 〈표 3-16〉지역의 기후변화 완화 및 교육 사업의 수행여부, % ····114 〈표 3-17〉폭염의 예측 및 위험도 평가, % ···115 〈표 3-18〉폭염관련 보건사업 및 정보제공 현황, % ···116 〈표 3-19〉대기오염의 예측 및 위험도 평가, % ···117 〈표 3-20〉대기오염관련 보건사업 및 정보제공 현황, % ···118 〈표 3-21〉매개감염병의 예측 및 위험도 평가, % ···119 〈표 3-22〉매개감염병 관련 보건사업 및 정보제공 현황, % ···119 〈표 3-23〉지역 내 발생이 잦은 기상재해, % ···120 〈표 3-24〉기상재해로 인한 손상과 사망의 예측 및 위험도 평가, %···121 〈표 3-25〉기상재해와 관련된 보건사업 및 정보제공 현황, % ···121 〈표 4- 1〉기후변화와 관련 있는 환경보건지표 ···147 〈표 4- 2〉국가 혹은 지역에서 측정할 수 있는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 ···148 〈표 4- 3〉매개감염병과 고혈압관리에 대한 평가/모니터링 지표 ····149 〈표 4- 4〉준비성 영역 평가지표 ···153 〈표 4- 5〉열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지표 ···155

(9)

Contents

〈표 4- 6〉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 지표 ···156 〈표 4- 7〉천식 및 아토피질환 지표 ···157 〈표 4- 8〉기상재해 관련 건강문제 지표 ···158 〈표 4- 9〉형평성 영역의 지표 ···159 〈표 5- 1〉연도별 인구 크기 추이 ···165 〈표 5- 2〉지역별 노인 인구 비율 ··· 166 〈표 5- 3〉2010년 동별 생애주기별 인구구조 ··· 167 〈표 5- 4〉의료 취약인구 현황 ··· 168 〈표 5- 5〉외국인 등록 인구현황(2005~2010) ··· 169 〈표 5- 6〉1인당 공원면적 ··· 171 〈표 5- 7〉의료기관 수와 병상 분포 ··· 171 〈표 5- 8〉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의료인력 ···172 〈표 5- 9〉연도별 월평균기온 ···174 〈표 5-10〉연도별 월최고기온 ···175 〈표 5-11〉연도별 월최저기온 ···176 〈표 5-12〉연평균 강수량 ···178 〈표 5-13〉대기오염 물질 농도 ···179 〈표 5-14〉대상질환의 질병코드 ···180 〈표 5-15〉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관련 교육 실적 ···196 〈표 5-16〉기후변화 관련 보건사업 및 재해사업의 예산 비중 ···197 〈표 5-17〉효과성 지표 시범적용 – 폭염분야 ···200 〈표 5-18〉곤충, 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현황 ···204 〈표 5-19〉급성감염병 관련 협력기관 ···206 〈표 5-20〉효과성 지표 시범적용 – 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 ···207 〈표 5-21〉아토피 안심학교 프로그램 ···210

(10)

〈표 5-22〉아토피 안심학교 운영 전후 유병률 변화 ···211 〈표 5-23〉실내 공기 질 개선 사업 전후 공기 질 변화 ···212 〈표 5-24〉효과성 지표 시범적용 - 천식 및 아토피 질환 ···214

부표 목차

〈부표 1- 1〉기후변화 관련성 – 홍수나 가뭄 증가 ···243 〈부표 1- 2〉기후변화 관련성 – 동식물 멸종 ···243 〈부표 1- 3〉기후변화 관련성 – 빈곤 증가 ···244 〈부표 1- 4〉기후변화 관련성 – 감염병 유행 ···244 〈부표 1- 5〉기후변화 관련성 – 심한 폭염 ···244 〈부표 1- 6〉건강에 나쁜 영향 – 간접흡연 ···244 〈부표 1- 7〉건강에 나쁜 영향 – 기후변화 ···245 〈부표 1- 8〉건강에 나쁜 영향 – 대기오염 ···245 〈부표 1- 9〉건강에 나쁜 영향 – 신종플루 ···245 〈부표 1-10〉건강에 나쁜 영향 – 방사능오염 ···245 〈부표 1-11〉건강에 나쁜 영향 – 황사 ···246 〈부표 1-12〉기후변화 취약 인구집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시기 ···246 〈부표 1-13〉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어린이 ···246 〈부표 1-14〉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여성 ···246 〈부표 1-15〉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노인 ···247 〈부표 1-16〉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만성질환자 ···247 〈부표 1-17〉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국내 거주 외국인 ···247 〈부표 1-18〉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증가 – 열사병 ···247

(11)

Contents

〈부표 1-19〉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증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248 〈부표 1-20〉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말라리아 ···248 〈부표 1-21〉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설사, 식중독 ···248 〈부표 1-22〉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심장병, 뇌졸중 ···249 〈부표 1-23〉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우울증, 스트레스 ···249 〈부표 1-24〉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재해, 사고 ···249 〈부표 1-25〉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암 ···249 〈부표 1-26〉보건서비스 인지도 – 폭염주의보 ···250 〈부표 1-27〉보건서비스 인지도 – 오존주의보 ···250 〈부표 1-28〉보건서비스 인지도 – 미세먼지 주의보 ···250 〈부표 1-29〉보건서비스 인지도 – 황사주의보 ···250 〈부표 1-30〉보건서비스 인지도 – 꽃가루주의보 ···250 〈부표 1-31〉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 무더위 휴식 시간제 ···251 〈부표 1-32〉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 무더위 쉼터 ···251 〈부표 1-33〉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폭염 특수 구급대 ···251 〈부표 1-34〉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폭염 문자 서비스 ···251

(12)

〈부표 1-35〉황사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마스크 착용, 야외활동 자제 ···251 〈부표 1-36〉폭염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 수분 섭취, 휴식 ···252 〈부표 1-37〉정부의 예산투자 동의 여부 ···252 〈부표 2- 1〉기후변화 관련성 – 홍수나 가뭄 증가 ···253 〈부표 2- 2〉기후변화 관련성 – 동식물 멸종 ···254 〈부표 2- 3〉기후변화 관련성 – 빈곤 증가 ···255 〈부표 2- 4〉기후변화 관련성 – 감염병 유행 ···256 〈부표 2- 5〉기후변화 관련성 – 심한 폭염 ···257 〈부표 2- 6〉건강에 나쁜 영향 – 간접 흡연 ···258 〈부표 2- 7〉건강에 나쁜 영향 – 기후 변화 ···259 〈부표 2- 8〉건강에 나쁜 영향 – 대기 오염 ···260 〈부표 2- 9〉건강에 나쁜 영향 – 신종 플루 ···261 〈부표 2-10〉건강에 나쁜 영향 – 방사능 오염 ···262 〈부표 2-11〉건강에 나쁜 영향 – 황사 ···263 〈부표 2-12〉기후변화 취약 인구집단 –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시기 ···264 〈부표 2-13〉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어린이 ···265 〈부표 2-14〉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여성 ···266 〈부표 2-15〉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노인 ···267 〈부표 2-16〉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만성 질환자 ···268 〈부표 2-17〉기후변화가 건강에 주는 악영향 – 국내 거주 외국인 ··269 〈부표 2-18〉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증가 – 열사병 ···270 〈부표 2-19〉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증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비염 ···271

(13)

Contents

〈부표 2-20〉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말라리아 ·272 〈부표 2-21〉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설사, 식중독 ···273 〈부표 2-22〉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심장병, 뇌졸중 ···274 〈부표 2-23〉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우울증, 스트레스 ···275 〈부표 2-24〉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재해, 사고 ···276 〈부표 2-25〉기후 변화로 인한 향후 질병 발생 여부 – 암 ···277 〈부표 2-26〉보건서비스 인지도 – 폭염주의보 ···278 〈부표 2-27〉보건서비스 인지도 – 오존주의보 ···279 〈부표 2-28〉보건서비스 인지도 – 미세먼지 주의보 ···280 〈부표 2-29〉보건서비스 인지도 – 황사주의보 ···281 〈부표 2-30〉보건서비스 인지도 – 꽃가루주의보 ···282 〈부표 2-31〉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 무더위 휴식 시간제 ···283 〈부표 2-32〉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 무더위 쉼터 ···284 〈부표 2-33〉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폭염 특수 구급대 ···285 〈부표 2-34〉시, 군, 구청 제공 폭염서비스 인지여부 –폭염 문자 서비스 ···286 〈부표 2-35〉황사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 마스크 착용, 야외활동 자제 ···287

(14)

〈부표 2-36〉폭염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 수분 섭취, 휴식 ···288 〈부표 2-37〉정부의 예산투자 동의 여부 ···289

그림 목차

〔그림 1- 1〕기후변화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및 대응 전략 ···14 〔그림 2- 1〕기후변화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24 〔그림 2- 2〕인간의 체온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열성 질환의 위험 ···31 〔그림 2- 3〕기온에 따른 급성심근경색의 발생위험 ···33 〔그림 2- 4〕국내 폭염상황 관리체계도 ···40 〔그림 2- 5〕매개체 및 인수공통 감염병의 4가지 주된 전파경로 ···49 〔그림 2- 6〕말라리아 모기 생활사 ···51 〔그림 2- 7〕주요 감염병 발생시기와 발생현황 ···54 〔그림 2- 8〕매개체 전파질환 종합감시체계(Vector-Net) ···58 〔그림 2- 9〕연도별 인구 1만명당 주요 환경성질환자 추이 ···67 〔그림 2-10〕2009년 연령대별 주요 환경성질환 진료환자 현황 ···67 〔그림 2-11〕2009년 전국 6개 지역의 꽃가루 위험도 달력 ···70 〔그림 3- 1〕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기후변화 건강 영향에 대한 인식 ···83 〔그림 3- 2〕우리나라 사람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사건 ···84 〔그림 3- 3〕기후변화 건강 위험 시점에 대한 인식 ···84 〔그림 3- 4〕기후변화에 취약한 인구집단에 대한 인식 ···85 〔그림 3- 5〕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 ···86 〔그림 3- 6〕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보건서비스 인지도 ···86

(15)

Contents

〔그림 3- 7〕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폭염서비스 인지도 ···87 〔그림 3- 8〕황사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87 〔그림 3- 9〕폭염 경보 발령시 행동 여부 ···88 〔그림 3-10〕정부 예산 투자 동의 여부 ···88 〔그림 3-11〕국민인식도 조사 설문 응답자의 직업 현황 ···89 〔그림 3-12〕국민인식도 조사 설문 응답자의 정치적 성향 ···90 〔그림 3-13〕국민인식도 조사 설문 응답자의 종교 현황 ···90 〔그림 3-14〕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인식, % ···106 〔그림 3-15〕기후변화가 건강문제 및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107 〔그림 3-16〕보건소장이 인식하는 보건소 및 지역 내 관계자들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 %···108 〔그림 3-17〕기후변화로 인한 적응대책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에 대한 인식도, %···109 〔그림 3-18〕보건사업의 수행 및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 %···110 〔그림 3-19〕기후변화 관련 적응 및 완화 프로그램 수행에 중요한 요인, %···111 〔그림 3-20〕더 나은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원 ···112 〔그림 3-21〕각 지역의 기후변화 완화 및 교육 사업의 수행여부, %···114 〔그림 4- 1〕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방법 ···133 〔그림 4- 2〕백신접종 평가에 대한 근거모형 ···134 〔그림 4- 3〕변화이론의 구성요소 ···144 〔그림 4- 4〕변화이론을 통해 도출할 수 있는 outcome map ··145

(16)

〔그림 5- 1〕구로구 행정구역도 ···164 〔그림 5- 2〕구로구 월평균기온 ···174 〔그림 5- 3〕구로구 월최고기온 ···175 〔그림 5- 4〕구로구 월최저기온 ···176 〔그림 5- 5〕구로구 월평균 강수량 ···177 〔그림 5- 6〕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비표준화 사망률 ···181 〔그림 5- 7〕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 ···182 〔그림 5- 8〕뇌혈관질환으로 인한 비표준화 사망률 ···183 〔그림 5- 9〕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 ···183 〔그림 5-10〕천식으로 인한 비표준화 사망률 ···184 〔그림 5-11〕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 ···184 〔그림 5-12〕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85 〔그림 5-13〕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86 〔그림 5-14〕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86 〔그림 5-15〕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87 〔그림 5-16〕열성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87 〔그림 5-17〕열성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88 〔그림 5-18〕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88 〔그림 5-19〕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89 〔그림 5-20〕알레르기성비염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89 〔그림 5-21〕알레르기성비염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90 〔그림 5-22〕아토피성피부염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90 〔그림 5-23〕아토피성피부염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91 〔그림 5-24〕말라리아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91 〔그림 5-25〕말라리아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92

(17)

Contents

〔그림 5-26〕쯔쯔가무시로 인한 표준화 입원 실인원수 ···192 〔그림 5-27〕쯔쯔가무시로 인한 표준화 외래 실인원수 ···193 〔그림 5-28〕모기발생현황 ···205 〔그림 5-29〕생활 기상 정보 서비스의 운영 흐름도 ···217

부그림 목차

〔부그림 4- 1〕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297 〔부그림 4- 2〕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297 〔부그림 4- 3〕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298 〔부그림 4- 4〕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298 〔부그림 4- 5〕열성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299 〔부그림 4- 6〕열성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299 〔부그림 4- 7〕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300 〔부그림 4- 8〕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300 〔부그림 4- 9〕알레르기성비염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301 〔부그림 4-10〕알레르기성비염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301 〔부그림 4-11〕아토피성피부염으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302 〔부그림 4-12〕아토피성피부염으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302 〔부그림 4-13〕말라리아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303 〔부그림 4-14〕말라리아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303 〔부그림 4-15〕쯔쯔가무시로 인한 표준화 입원일수 ···304 〔부그림 4-16〕쯔쯔가무시로 인한 표준화 외래방문일수 ···304

(18)
(19)

1 Ab st ra ct

Abstract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Health

Adaptation Programs on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is a global public health problem.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projected that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other weather variables due to climate change are likely to affect the health status of millions of people, particularly those with low adaptive capacity. we can better prepare to develop adaptive strategies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evaluation system of community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to investigate people'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ealth and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health adaptation programs.

We conducted telephone survey for 1,000 people. This study showed that Koreans perceived climate change as a moderate risk and their awareness of several public warning systems was influenced by gender, education level and their political stance. We also conducted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health adaptation programs and 69. 8% of PHC was responded to the

(20)

2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questionnaire. Over the past ten years, and the next 10 years they believed that we could experience climate change and related health problems but the priority of health adaptation strategy was not so high. And they perceived that heat wave was the most severe problem and the perspective of climate change related health was not fully included in the current public health interventions.

The evaluation system of community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was developed, which included the scope of preparedness, effectiveness and equity, 18 subcategories and 3-5 items for each subcategory. We applied this evaluation system to one predetermined PHC in Seoul. Based on the pilot test results,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rograms such as vector associated communicable disease management program was excellent.

Nowadays, there are considerable interest about climate change and health, but the priority is still not high. And the evaluation system of community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should be revised to be implemented softly. We are hoping that the evaluation system of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and the people's perception on the climate change and health from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help health policy maker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who are endeavoring to improve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We need a further research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system of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that fit into Korea's unique environment and healthcare system.

(21)

3 요 약

요 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지역사회가 기후변화 관련 건강 문제에 대한 적응 전략을 추진하는 주체가 되어,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함. ⧠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에 대한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며, 둘째,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 및 기초지자체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사회가 효과적 인 적응대책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

Ⅱ. 주요 연구내용

가.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인식도

⧠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에 대한 국민인식도는 지역별, 성별, 연령별 인 구규모에 따라 만 20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 표본추출 하여 전 화면접조사를 실시함. ○ 기후변화의 대표 현상인 폭염과 홍수나 가뭄 증가가 매우 높게 나타남. 반면에 우리나라 사람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는 사건

(22)

4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으로는 기후변화가 신종플루 다음으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지문 으로 제시된 황사나 방사능 오염과 같은 사회‧환경적 현상이 최 근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보건학적 문제로 대두되었기 때문에 기 후변화는 상대적으로 응답이 낮았을 것으로 추측됨. 또한 기후변 화가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준다고 답한 경우는 남자에 비해 여자 가, 젊은 연령군에 비해 노인 연령군이, 정치적 성향이 보수적인 사람에 비해 진보적인 사람이 더욱 그렇다고 응답함. ○ 기후변화가 건강위험이 되는 시점과 기후변화에 취약한 인구집단 에 대한 인식을 질문한 결과, 기후변화가 건강위험이 되는 시점 은 대부분의 사람이 지금 현재와 향후 10년 이내로 응답하여 비 교적 시급한 문제로 여기고 있었음. 기후변화에 취약한 인구집단 으로 어린이, 노인, 만성질환자와 여성 등 기존 연구를 통해 알려 진 집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국내 거주 외국인의 경우는 낮아서 우리나라의 외국인에 대한 폐쇄적인 태도를 일부 반영하 는 것으로 추측됨. ○ 기후변화가 영향을 미치는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기후변화로 인해 더 많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하는 질병으로는 천 식, 아토피 피부염, 알레르기 질환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열사병보 다 높았음.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나 사고의 빈도가 높은 편 인데 이에 대한 인식도가 낮은 편이므로 추후 관련 정책을 수립 할 때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 ○ 기후변화 관련 대국민 보건서비스 인지도를 파악한 결과, 각 정 부 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서 실시하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예보에 대하여 황사주의보가 가장 높았으며, 폭염주의보도 매우 높았음. 반면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여러 종류의 폭염 관련 서비 스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는데, 이는 관련 보건서비스가 전

(23)

5 요 약 국 단위로 제공되지 않고 일부 지역에만 실시되고 있어 발생한 결과임. 특히 여성, 중졸 이하, 육체직인 경우가 낮았으므로 정보 격차 해소를 위한 대책이 필요함. ○ 마지막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위한 예산 투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정부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위한 예산투자 확대 는 우리나라 국민 대부분이 동의하였고, 특히 정치적 성향이 진 보적인 경우 더욱 지지하였음.

나. 기후변화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 현황에 대한 보건소장 및 사업

담당자의 인식도

⧠ 기후변화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 현황에 대한 보건소장 및 사업 담당 자의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22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69.8%가 응답하였음. ⧠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보건소장의 인식도 조사에 서 나타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지난 10년간, 그리고 향후 10년간 기후변화를 경험할 것이라고 생각하였으나, 현재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적응대책이 우선순위 가 높은 사업이라고 응답한 경우는 적었음. ○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는 문제들 중 폭염 관련 건강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였으며, 보건소 및 지역 관계자 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편 이었음. ○ 각 지역 내에서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보건사업은 ‘식중독 및 장염’,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 ‘식품안전 및 보안’, ‘폭염 관련 건강문제’를 꼽았는데, 이들 사업을 기획하거나 수행하는데

(24)

6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 대책의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는 비율은 적었음. 아직은 기후변화 적응 대책 차원이 아닌 기존의 보건 사 업을 지속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보임. ○ 향후 적응 및 완화 프로그램 수행에 중요한 요인은 사업예산이라 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았고, 다음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 제라고 지적하였음. 그러나 적응 및 완화 전략을 도입하기 위해 서 선행되어야 할 것은 예산 규모에 따른 적절한 분배가 아니라, 어느 정도의 요구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즉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의 이환이나 사망을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일임. ⧠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보건소 실무자의 인식도에 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음. ○ 절반에 불과한 실무자만이 폭염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폭염 관련 건강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사업이 있다고 하였음. 중앙정부 의 주요 폭염정책 중 하나인 ‘에어컨이 있는 건물을 무더위 쉼터 로 지정’하는 사업을 수행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절반에 이르지 못하였음. 하지만 폭염관련사업은 구청이 주관하는 것으로 보건 소 담당자가 사업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또는 무더위 쉼터 가 냉방시설을 구비하지 않은 채 운영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음. ○ 천식 및 알레르기 사업이 최근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고 한 경우가 50% 이상이었으며, 교육, 정보제공과 같은 사업이 활발 한 것으로 나타났음. ○ 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이 최근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었다고 생 각하는 경우가 77.8%로 가장 높았으며, 최근 관련 사업 예산이 증가하고, 매개체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기상재해 중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응답한 것은 ‘태풍과 호우’

(25)

7 요 약 였으며, 기상재해로 인한 사업이 최근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었 는지, 최근 관련 사업이 더욱 활발해졌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그 렇지 않은 경향을 보였음.

다.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 개발 및 시범적용 결과

⧠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는 평가영역을 준비성, 효과성, 형평 성으로 하였으며, 대상 질환으로는 폭염 등 극단적 기온으로 인한 건강문제인 열성질환, 심뇌혈관질환, 곤충, 설치류 매개감염병으로 말라리아, 쯔쯔가무시, 대기오염, 꽂가루 등에 의한 건강문제로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함께 기상재해로 인한 손상 및 사망을 선정하 였음. 평가지표는 3개 영역 18개 부문이 있으며, 각 부문에 3-5개 세부지표로 구성되었음. ⧠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 시범적용 대상인 기초지자체는 구 로구로 선정되었으며, 구로구 주민의 기후변화와 관련성이 높은 질 환으로 인한 사망 및 의료이용을 서울시 전체와 비교하였음. ○ 구로구 지역주민의 허혈성심질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이 서울보다 높았으며, 천식으로 인한 표준화 사망률은 대 체로 서울보다 다소 낮은 수준이었음. ○ 또한 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입원환자수가 서울보다 많고, 외래 환자는 최근 서울 평균 수준보다 많아졌음.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의료이용, 그리고 열성질환, 천식으로 인한 의료이용에서도 구로 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알레르기성비염, 아토피성피부염은 서울시보다 낮거나 비슷한 수 준이었으며, 말라리아, 쯔쯔가무시로 인한 의료이용은 서울시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

(26)

8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를 시범적으로 적용한 결과는 다음 과 같음. ○ 준비성 영역에서 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 천식 및 아토피 질환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사업내용이 풍부한 것으로 판 단되었음. 반면에 열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기상재해로 인한 손 상 부문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건강관리 측면에서 적용하는 계획이 부족하였음. ○ 효과성 영역을 분석한 결과, 열성질환 및 심뇌혈관질환은 모니터 링되지 않고 있음. 곤충·설치류 매개감염병 및 천식 및 아토피질 환 관련사업 실적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Ⅲ. 결론 및 제언

⧠ 기후변화 관련 정책 수립과 평가 결과 환류를 위해, 대국민 인식 조 사를 정기적으로 수행하여 평가하고, 기본적인 인구 사회학적 변수 를 고려하여 각 집단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됨. ⧠ 보건소 실무자 대상조사와 기초지자체 사업에 대한 평가결과를 고려 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 기 위한 종합적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 해야 할 것임. ○ 첫째, 일부 사업에서 기후변화 건강문제가 갖는 특성이 잘 반영 되지 못하였음.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이 기존 사업의 강화 인지 혹은 새로운 사업이 필요한 부분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

(27)

9 요 약 하며, 또한 보건과 비보건분야의 연계 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져야 함. ○ 둘째, 전반적으로 정보제공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취 약집단에 대한 직접서비스 제공이 제한적이어서 이를 개선하는 대책 수립이 필요함. ○ 셋째, 예산과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아서 개선이 필요함. ○ 넷째,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를 평가하거나 적응대책을 수립 하는데 활용 가능한 지역 내 전문가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 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함. ○ 다섯째, 기후변화에 특화된 건강대책과 관련된 사업, 즉 모니터링 방법과 건강관리서비스 내용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되어야 함. ⧠ 기초지자체에 적용할 수 있는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 평가체계를 일 차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시범적으로 적용하였음. 기후변화 건강적응 대책 평가체계에 몇 가지 개선할 점이 발견되었음. 문제점을 지속적 으로 개선해서 향후 기후변화 관련 보건사업의 평가에 활용하는 것 이 바람직함.

(28)
(29)

K I H A S A

01

서 론

(30)
(31)

13 제 1 장 서 론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 들어와서 기후 온난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는 직업적으로 혹은 환경변화(해수면 상승, 폭염, 가뭄, 대기 오염, 해양 오염 등)를 통해서 인구집단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WHO(2007)가 기후변화로 인한 질병부담을 홍수로 인한 건강문제와 4개 질환(심혈관질환, 영양결핍, 설사, 말라리아)만을 포함해서 추정한 결과, 166,000명 사망과 5백5십만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 (DALY) 규모로 나타났다.

Intergovernmental Panel of Climate Change(IPCC)가 2001년 출 간한 3차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의 건강 영향을 미치는 주요 기후현상은 열 스트레스(열파), 극한 날씨현상(홍수, 폭풍, 가뭄), 대기오염(가스, 미 세입자, 알레르기물질), 감염병, 해안가 문제(해수면 상승, 해수오염 등), 식품안전 및 영양, 인구학적-경제적 붕괴 등이다. 보건의료체계에서 국제적인 기상 및 기후 변화에 따른 적절한 관리 대응체계의 구축이 필요함. 잠재적 위해 발생 분야와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전략은 크게 완화 (mitigation)와 적응(adaptation) 전략으로 구분된다. 완화(mitigation)는

(32)

14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기후 변화 속도를 줄이는 것이며, 적응(adaptation) 전략은 완화를 통해 서 예방할 수 없는 기후변화가 건강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 는 정책과 수단을 의미한다(그림 1-1 참조). 〔그림 1-1〕 기후변화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및 대응 전략

자료원: Portier et al.(2010). A human perspective on climate change: a report outlining the research needs on the human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Research Triangle Park, NC: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doi:10.1289/ehp.1002272 Available: www.niehs.nih.gov/climatereport

기후변화에 따른 보건의료체계의 적응 전략은 새로운 요구에 대응한 보건의료 서비스의 일시적 폭증에 대비한 운용체계, 감시체계, 의료서비 스 제공, 예방접종 등 감염질환관리 체계의 기능 개선, 극한기후로 발생 한 재난에 의한 스트레스, 정신적 질환에 대비한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 및 지역사회 지지 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차원에서 일어나고 있지만, 이로 인한 건강 문 제는 국가 혹은 지역에서 따라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즉, 동

(33)

15 제 1 장 서 론 일 국가 내에서도 지역의 물리적 환경 문제와 함께 사회구조 및 대응체 계의 취약 정도에 따라서 각 지역사회의 기후변화에 민감한 건강문제 양상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 지역사회가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문제의 예방 혹은 최소화 관점에 서 적응 전략을 추진하는 주체가 되어야 하여,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 로 한 정보제공, 예방과 치료 등을 효과적으로 추진하는 대응 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중앙 정부 및 광역 시도 행정기관에서 기후변화 적응정책이 정리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초 지자체의 대응 노력은 초기단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서 관련 연구를 수행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지역사회의 기후변화 관련 건강적응대책에 대한 평가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며, 둘째,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국 민 및 기초지자체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향후 지역사회가 효과적인 적 응대책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34)
(35)

K I H A S A

02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와 적응대책에

대한 고찰

(36)
(37)

19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제2장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와

적응대책에 대한 고찰

제1절 기후변화 관련 질환

기후변화 관련 적응대책의 평가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 관련 보건사 업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절에서는 기후변화의 영향 을 받는 건강문제에 대하여 분류하고 있는 몇 가지 국, 내외 연구를 검 토하고자 한다.

우선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에서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를 정리한 보고서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NIEHS 보고서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한 건강문제는 11가지이며, 1) 천식, 알레르기성 호흡기 및 기도 질환, 2) 암, 3)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 4) 식품관련 질환 및 영양, 5) 폭염과 관련된 이환 및 사망, 6) 인간발달에 미치는 영향, 7) 정신질환 및 스트 레스성 장애, 8) 신경학적 질환 및 장애, 9) 매개 및 동물원성 질환, 10) 수인성 질환, 11) 기상 관련 이환 및 사망이 포함된다. NIEHS에 서 11가지 영역을 설정한 근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최근 수십 년간 세계는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과 심각성에서 급

1) Portier et al.(2010). A human perspective on climate change: a report outlining the research needs on the human health effects of climate change. Research Triangle Park, NC: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doi:10.1289/ehp.1002272 Available:www.niehs.nih.gov/climate report

(38)

20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다. 몇몇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인 천식의 증 가가 간접적으로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한다. 모든 천식이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것은 아니나, 상당수가 공기오염, 스트레스, 다른 환경 변수들과 같은 요인과 관련이 있다. 결과적으 로 환경의 변화는 기후에 민감한 질병의 심각성에 부정적인 영향 을 미칠 수 있다. 천식과 알레르기성 호흡기 질환의 유병률과 상당 한 질병부담으로 보아 기후변화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우선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암은 미국에서 심장 질환 다음으로 두 번째 사망원인에 해당되는데, 암으로 인한 사망 중 폐암이 30%를 차지한다. 폐암의 주된 이유는 흡 연이지만, 실내공기오염과 미립자를 포함하는 공기오염 또한 폐암에 기 여한다. 기후변화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기후변화 완화전략은 간접적으 로 암에 영향을 미친다. 기후변화는 주위온도를 상승시키며, 이로 인해 물과 폐수로부터 대기로 휘발성 및 준 휘발성 혼합물의 전이가 증가하 고, 오염원으로부터 더 먼 곳으로 오염물질을 퍼뜨린다. 이에 따라 향후 인간의 노출 정도를 변화시킨다. 기후변화는 폭우, 홍수를 일으켜 독성 오염물질이 저장시설로부터 새나오거나, 독성 오염물질을 포함한 빗물이 땅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이가 인간의 화학물질 혹은 발암물질에 대한 노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것이 궁극 적으로 암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다. 사람 과 동물에 발생하는 모든 암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고 있 진 않지만, 암 발생의 원인들은 병원균, 환경 오염물질, 나이, 유전 등 이 포함된다. 암의 원인을 이해하는 문제에 있어서, 기후변화와 암의 관 련성은 사실과 가정이 혼재되어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폭염과 혹한 모두 직접적으로 심통, 급성 관동맥 증후군, 뇌졸중, 그 리고 심장부정맥으로 인한 입원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등 몇몇 심혈관

(39)

21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계 질환에 대한 기후민감성의 근거가 있다(노출-결과의 연관성의 규모 가 다양할지라도). 폭염과 같은 날씨는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는 개개인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며, 직접적으로 증상을 악화시킨 다. 또한 열기가 오존과 미립자가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을 증폭시킨다는 근거가 있다. 영양실조와 굶주림은 개발도상국에서 두드러지는 문제이지만, 미국과 기타 선진국들도 상당수의 인구가 여전히 불충분한 음식물과 영양부족 으로 영향을 받는다. 극한 날씨와 기온 및 강수량 패턴의 변화는 직접 적으로 농작물과 그 외 식량의 공급에 피해를 주거나 파괴하며, 또한 식품의 운반과 분배를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는 계절적으로 발생할 수 도 있으나, 기후변화로 인해 더 만성적인 문제가 될 것이라고 예상된다. 간접적으로 영양부족과 기근은 농작물 및 관련 무역, 경제적, 사회적 불 안정성, 기후변화의 완화 또는 적응하기 위한 농경법의 변화, 환경상태 와 물이용 가능성의 변화로 인한 농작물 재배 기능의 저하 등의 손해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기후변화가 식품매개 질병, 영양, 그리고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최 소한 미국에 있어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지만, 세계적으로 영향을 받는 사람의 수와 그에 따른 인류의 고통 측면에서는 매우 크다. IPCC는 기 후변화의 결과로 영양실조와 그에 따른 아동성장 및 발달에 관련된 것 을 포함한 장애의 증가를 예상했다. WHO는 기후변화로 인해 2000년 에 영양실조로 인해 77,000명 이상, 설사로 인해 74,000명 이상의 사 망자가 발생했다고 추정했다. 장기적인 열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건강영향은 열사병, 열경련, 일사 병, 사망 등이 있다. 폭염은 미국에서 매년 폭염 외의 모든 극한 날씨 에 의한 사망자를 합한 수 보다 더 많은 사망자를 일으킨다. 장기적인 열 노출은 호흡기계, 뇌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 다양한 기존의 만성병을

(40)

22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악화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질병과 사망을 야기할 뿐 만 아니라 온도 조 절 기능의 저하로 인해 정신장애의 치료로 향정신제를 복용하는 환자들 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인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 다. 기후변화로 인한 모계 영양의 변화와 자궁 내에서의 특정 화학물질 과 생물독소로의 노출의 변화는 수정 전, 임신 중의 후생적 변화를 통 해 후세대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발달변화는 고통스러운 생 애와 자원, 의료, 생산성 손실 면에서의 상당한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후변화의 정신적 영향은 가벼운 스트레스에서부터 만성적인 스트레 스나 그 외 정신건강 장애와 같이 일반적으로 간접적으로 나타나며, 최 근에 이르러서야 기후변화의 건강영향으로 고려되고 있다. 정신건강 영 향은 인간에게 미치는 고통 면에서 잠재적으로 엄청난 영향을 지니며, 수량화하는 등 다루기 가장 어려운 부분 중 하나이다. 다양한 정신적 영향은 극한 날씨 및 기타 기후관련 사건과 관련이 있다. 극한 날씨가 손실, 사회의 붕괴, 이동, 자연재해의 반복되는 노출을 일으키고, 그로인 해 정신건강장애를 야기하는 방식을 묘사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신경건강의 변화는 인구집단의 노화 때문일 수 있는 반면, 환경요인 이 신경증상의 발병률과 심각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지표가 있다. 신경증상은 일반적으로 환자와 돌봄자 모두의 삶 의 질 면에서 많은 비용을 일으키며, 의료에 있어서 경제와 인력의 필 요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요인의 조합은 미국 인구의 상당한 부분에 영 향을 미치며, 생산성에도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매개 및 동물원성 질환이 현재 미국에서 질병과 사망의 주된 원인은 아니다. 그러나 인간은 직접적으로 따듯한 기후에서 순환하는 매개 및

(41)

23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동물원성 질환에 민감하며, 세계적인 무역과 여행으로 인해 이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국내외 차원에서 이에 대한 위협에 대응하는 능력은 현 재 제한적이다. 기후변화가 매개 및 동물원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 한 예측이 부족하고, 과학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장소, 고도, 생태계, 그리고 숙주나 매개체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가 마련되어 야 한다. 매개 및 동물원성 질환으로 인한 건강영향은 앞으로 몇 세기 동안은 열려있을 것이며, 매개체의 범위가 확장되기 전에 예방 및 관리 가 필요하다.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설사질환의 발병을 높이고, 극한 날씨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는 등 수문학적 순환을 변화시키며, 가뭄은 부 적절한 예방 노력을 매우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이에 대한 이해를 높 이고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예방노력이 필요하다. NIEHS 보고서에서는 미국이 허리케인과 홍수에서부터 눈보라와 가 뭄에 이르는 다양한 극한 기상문제를 경험하고 있다고 하였다. 극한 기 상 문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할 수 있는데, 사망,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구이동, 수인성 질환의 발병과 같이 간접적 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은 WHO(2003)에서 제시하는 기후변화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았으며, [그림 2-1]과 같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 화는 다양한 복합성, 규모, 방향을 가진 경로를 통해, 그리고 각기 다른 시기에 인류의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환경과 지형, 그 리고 그 지역인구의 취약성 등에 따라 지리적으로 그 영향이 다양하며 그 영향은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 건강에 더 직접적인 영향 으로는 극한 날씨(혹서, 혹한)의 노출 변화로 인한 것, 그 외 극한 날씨 (홍수, 사이클론, 태풍, 가뭄)의 증가, 특정 공기오염물질과 알레르기 유 발 항원(포자, 곰팡이)의 생성 증가 등이 있다. 온난한 겨울로 인한 겨

(42)

24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울철 사망률 감소로 얻어지는 편익은 혹서로 인한 여름철 사망률의 증 가보다 클지도 모른다. 과도한 겨울철 사망률을 가진 나라들(예: 영국) 에서는 편익이 손해보다 더 클 수도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 날씨 의 빈도, 강도, 장소 등의 변화정도는 확실하지 않다. 덜 직접적인 메커 니즘을 통해 기후변화는 감염병(특히 수인성, 식품매개성, 매개체 감염) 의 전파와 지역의 식량생산(특히 곡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장기적으 로 그리고 인구집단 사이의 지리학 기능과 취약성의 차이를 고려했을 때, 이러한 간접적인 영향은 직접적인 것 보다 더 큰 규모이기 쉽다 〔그림 2-1〕 기후변화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자료: WHO(2003). Climate change and human health: Impact and adaptation.

국내에서는 장재연 외(2011)의 연구에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국 내 여건에 적합한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영향을 분류하였다. 6개의 분류 에는 폭염으로 인한 건강영향, 기상재해로 인한 건강영향, 곤충, 설치류 매개 감염병,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꽃가루, 알레르기원, 대기오염에 의한 건강영향, 심뇌혈관 질환 및 만성질환, 기타가 포함되며, 기타로

(43)

25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분류되는 것은 손상, 자외선, 정신건강 및 사회‧심리, 식량 및 영양이다. 이 분류는 앞서 검토한 WHO에서 분류하는 건강문제와 비슷하다. NIEHS에서 다루는 건강문제 중에서는 국내에서 시행하고 있는 사업, 자료의 이용 가능성, 건강영향에 대한 근거 등 국내 여건에서 고려하기 에 적절하지 않은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Portier 외(2010), WHO(2003), 장재연 외(2011)의 연구에서 다루는 건강문제들은 많은 부분에서 공통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장재연의 연구가 기존의 국내 연 구 현황 및 여건을 반영한 것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가급적 장재연 외 (2011)의 분류체계를 참고하려고 하였다. 한편 윤석준 외(2010)는 주요 기온, 재해, 오존의 세 가지 기후 요인 에 따른 주요 질환의 질병부담을 산출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선정한 질 환은 <표 2-1>과 같다. 〈표 2-1〉 한국의 환경위험인자와 그에 따른 질병 위험요인 질병 ICD-10 code 기온 고혈압질환 I10-I13 뇌혈관질환 I60-I69 허혈성심질환 I20-I25 설사

A00, A01, A03-A04, A06-A09 콜레라 살모넬라증 말라리아 쯔쯔가무시 재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F43.1, F01-F99, G06-G98 상해 오존 호흡기 질환 J40-J44, J45-J46 자료: 윤석준 외(2010). 환경성 위해의 질병부담 평가방안 마련에 관한 연구. 환경부.

(44)

26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제2절 폭염 등 극단적인 기후 현상

1. 건강문제의 임상적 내용

기후 변화로 인해 세계 평균 기온이 증가하고 있고,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 해 전반적인 기온이 올라가고 폭염도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것 은 여러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 발한을 통해 몸이 스스로 충분히 시 원해 지지 않을 때 사람들은 열성질환(heat-related illness)에 시달리게 된다. 발한은 우리 몸의 자연적인 공기조절 장치인데, 체온이 빠르게 올 라가면 이것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 열성 질환은 생명을 위협하 는 심각한 문제일 수 있다. 체온이 너무 높아지면 뇌, 또는 다른 중요 한 기관이 손상될 수 있고, 장애,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장기간 폭염에 노출되어 일어나는 문제에는 열피로(heat exhaustion), 열경련(heat cramps), 열사병(heat stroke), 사망이 있다. 열과 관련된 질환으로 경미한 예가 열성 실신(heat syncope)인데, 이것은 마라톤 같 은 운동을 하다가 갑자기 멈추었을 때 하지의 확장된 혈관에 혈액이 쏠 려서 생기는 것으로 선수를 눕히고 다리를 올려주면 된다. 열경련은 불 수의적으로 때로 통증을 동반하는 근육의 경련과 연축, 약간의 탈수, 반 응 시간의 감소 등을 특징으로 하며 휴식과 수분 공급, 피부 냉각으로 치료한다. 열피로는 피로와 허약감, 두통, 발한, 구역 등을 특징으로 한 다. 보통은 심박수가 빨라지고 체온이 상승하지만 직장 체온이 40.6℃ 를 넘지는 않는다. 발한 기능은 정상으로 유지되고 휴식과 수분 공급, 피부 냉각으로 치료한다. 옷을 모두 벗기고 미지근하거나 찬 물을 뿌려 주거나 몸을 닦아주며 이동을 시킬 때에도 주위에 얼음을 놓아준다. 병 원에서는 증발을 돕도록 큰 환풍시설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열 사병은 직장 체온이 40.6℃를 넘는 중요하고 생명에 위협을 주는 상황

(45)

27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이다. 중추신경계의 심한 장애와 순환 장애를 동반하고 발한 기능에도 이상이 생겨 환자는 뜨겁지만 건조하다. 치료는 몸을 식히는 것이 우선 이며 기도 유지 및 수분, 전해질 조절을 위해 집중 치료 및 관찰이 필 요하다(대한가정의학회, 1997). 열과 관련된 질환과 사망은 예방가능하기 때문에, 누가 가장 위험하 고, 어떻게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예전에 열성 질환이 있었던 경우는 물론이고 위장 질환이 있는 사람도 고위험군이다. 어린이의 경우도 어른에 비해 땀을 흘리는 것이 40% 정도 밖에 효과 가 없어서 고위험군이며, 체온조절계의 장애가 있는 노령층도 위험이 크다. 비만, 수면 부족, 조절되지 않은 당뇨 및 고혈압, 낭종성 섬유증, 알코올 중독 및 기타 물질 남용, 심장 질환 등도 추가 위험 요인이며 이뇨제, 신경이완제, 베타차단제, 항콜린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는 것 도 위험을 가중시킨다(대한가정의학회, 1997). 열성질환을 예방하는 방 법은 다음과 같다.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물이나 전해질 같은 비탄산 음료를 충분히 마셔서 수분을 공급하고, 알코올이나 카페인, 다량의 설 탕은 수분을 빠르게 손실하게 하기 때문에 피하도록 한다. 쇼핑몰, 도서 관, 극장 등과 같은 에어컨이 가동되는 장소에 머물고, 잠시라도 몸이 시원하게 하도록 한다. 너무 더위를 느낄 때에는 목욕이나 샤워를 하는 데, 창문을 열거나 선풍기를 트는 것으로는 열성 질환을 예방할 수 없 다. 아동을 알코올로 목욕시키지 않도록 하며, 차가운 순수한 물로 목욕 을 하거나 촉촉한 수건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다. 면 같이 가볍고, 옅은 색상이 옅고, 꼭 끼지 않는 옷을 입는다. 또한 더운 날씨에 밀폐 된 공간이나 주차된 차에 사람을 방치해서는 안 된다. 담요나 무거운 옷에 아기를 싸 두어서는 안 되는데, 아기는 땀샘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서 열을 잘 견디지 못 하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기상현상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심뇌혈

(46)

28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관 질환이 언급된다. 노출의 정도에 따른 영향의 정도는 다양하게 보고 되고 있을지라도 심혈관 질환이 기후에 민감하다는 근거가 있다. 극단 적인 추위와 극단적인 더위가 흉통,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졸중, 심부 정맥으로 인한 입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Portier et al., 2010). 심뇌혈관 질환에는 허혈성 심장질환(심근경색증, 협심증), 심부전증 등 의 심장질환과 뇌졸중(뇌출혈, 뇌경색)등 뇌혈관질환, 고혈압을 포함하 여 그 병태생리가 동일한 같은 질환군 전체를 말한다. 특히 허혈성심장 질환 및 뇌졸중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 원인이며 국가적으로 관 리하고 있는 중요 질환이며, 질환의 악화라는 측면에서 기후변화와 관 련성이 있는 것으로 논의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 중 심근경색증은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좁아져 있던 혈관이 혈전에 의해서 완전히 막힘으로써 심장근육이 죽는 것을 말한다. 환자들은 가슴통증, 흉부 압박감 및 호흡곤란을 경험하며, 즉각적인 치 료를 받아야 한다.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 져서 뇌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나는 질환으로, 뇌조직 이 망가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경색성과 출혈성을 구분된다. 뇌졸중의 증상은 사지마비, 언어장애, 시각장애, 심한 두통 등이 있다. 뇌졸중도 증상 발생시 즉각 치료를 받아야 사망과 합병증을 줄일 수 있 는 치명적 질환이다. 질환의 이환 및 악화뿐만 아니라 사망의 문제도 상당수 보고되고 있 는데, 미국의 경우 열과 관련된 사망이 연평균 688명에 이르렀다. 장기 간 폭염에 노출되면 기존에 있던 호흡기질환, 뇌질환, 심혈관질환과 같 은 만성 질환이 악화되어 다른 질환에 추가로 이환되거나 사망할 수 있 다. 뿐만 아니라 기온을 조절하는 신체 능력이 손상되어, 향정신약을 복 용하는 환자가 더욱 위험해 질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이환과 사망이 상당히 과소 추정 될 수 있다는 것이고, 폭염이 공식적인 사망 원으로

(47)

29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인정되는 경우가 드물다는 것이다. 65세 이상 노인, 어린이, 1세 이하 유아 등 여러 연령층이 과도한 열스트레스에 노출될 때 모든 원인의 사 망에 민감하다. 특정 원인으로 인한 사망을 살펴보면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일반적인 인구집단과 노인에서 민감하다는 것이 입증되어 왔으며, 일반적으로 열스트레스로 인한 호흡기 질환 사망의 위험은 심 혈관질환보다 더 크다.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민감성도 유럽에서 보고되고 있는데, 폭염과 관련된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노인 뿐 아니라 전체 인구집단에서도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노인 에서 고열로 인한 사망이 늘어나고 있다(Portier et al., 2010).

2. 기후변화와 관련성에 대한 근거 및 악화 기전

열 관련 질환에 대한 감수성은 생리적 적응능력부터 지역 환경, 사회 경제적 환경까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기후 변화에 대한 노출의 영향은 노출 인구집단의 취약성에 따라 달라진다. 심장질환, 당뇨와 같 이 폭염 관련 건강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는 다른 심각한 질환의 부담이 나 연령과 같은 숙주 요인이 중요하다. 사회경제적 요인 또한 취약성을 결정하는데, 경제적 상태가 나쁘거나,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들은 폭염 으로 인한 사망의 부담이 더 크다. 도시의 환경은 폭염의 영향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도시에 건물이 밀집되어 있어 열섬효과를 일으키고, 열을 흡수하고 발산하여 주변 지 역을 더 온난하게 만든다. 그러나 도시에 공원을 확장하고, 나무를 더 많이 심어 열섬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Portier et al., 2010). 우리 몸의 체온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열성 질환의 위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체온은 36.1~37.8℃ 사이 이며, 체온은 열의 발생과 손실을 계속적으로 조절하는 시상하부에 의

(48)

30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적 응 대 책 에 대 한 평 가 체 계 개 발 해 유지된다. 열을 밖으로 내보내는 방법은 네 가지이다. 적외선 형태의 전자기파 방사선, 피부 전반의 물 또는 공기 순환을 통한 대류, 피부에 차가운 물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전도, 땀의 증발이 그것이다. 방사 선, 대류, 전도는 피부와 주위 환경 간의 기온경도에 따라, 증발은 수증 기압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다. 과도하게 열에 노출되면 조직에 스트레 스가 가해지는데 특히 심혈관시스템에 영향을 준다. 열을 발산하는 메 커니즘보다 주변의 열이 과도해지면 심부체온이 올라간다. 1℃ 이하의 증가는 피부, 깊은 조직 및 장기에 퍼져있는 온도수용기가 즉시 감지해 낸다. 온도수용기가 시상하부의 체온조절 센터에 정보를 전달하면 열손 실을 증가시키기 위해 두 가지 강력한 반응이 나타나는데, 피부혈관의 흐름이 증가하고 발한이 시작된다. 피부의 혈관이 확장되면 피부의 혈 액 흐름과 심박출양이 눈에 띄게 증가한다. 외부 기온이 피부 온도보다 높아질 때 유일한 열 손실 메커니즘은 증발이다. 따라서 높은 습도, 원 활하지 않은 공기 흐름, 항콜린 효능성 약과 같이 증발을 방해하는 요 인들은 체온을 증가시키고, 결국 생명을 위협하는 열사병을 일으키거나 만성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Matthies et al, 2008)(그림 2-2 참조). 날씨, 날씨의 변화, 기후변화 등이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은 매우 다양하다. 공기의 질과 연관성 측면에서 볼 때, 특히 오존과 미 세입자로 인한 심혈관질환에 대한 부담은 날씨나 기후 변화에 의해 달라 지는 것으로 보인다. 기온의 증가로 인한 오존 생성이 증가하면 심장 부 하가 커지며 폐의 가스 교환이 나빠진다. 오존의 생성도 기온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연관성에 영향을 주며, 급성심근경색증 발생도 마 찬가지이다. 미세입자의 문제도 전신적 염증, 응고 및 혈전 장애, 혈관 기능 이상, 동맥경화 질환, 심장기능 이상, 심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과 같은 병태생리적 변화와 연관성이 있다. PM2.5 증가 부담은 심혈관질환 및 허혈성심질환으로 인한 입원과 사망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

(49)

31 제 2 장 기 후 변 화 관 련 건 강 문 제 와 적 응 대 책 에 대 한 고 찰 〔그림 2-2〕 인간의 체온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열성 질환의 위험

자료원: Matthies et al.(2008). Heat health action plans - a guidance document. Copenhagen: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극단적 날씨가 심혈관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경로가 있다. 직접적으로 스트레스와 불안감이 심근경색, 심정지 및 스트레스와 연관 된 심근병증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 간접적으로는 재난성 기후로 인해 서 만성질환에 대한 의학적 치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으로 인해서 심혈 관질환을 가진 환자가 증상 악화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이다. 기후도 심혈관질환의 간접적 위험요인일 수 있는데, 동물감염성 질환 및 벡터매개성 질환과 동반되는 심혈관 증상 발생률에 관한 것이다. 개 발도상국에서는 뇌졸중의 10% 정도는 벡터매개성 및 동물원성 질환과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위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기후변화가 심장질환 에 영향을 주는 직접 혹은 간접 경로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표 2-2 참조).

참조

관련 문서

The “Asset Allocation” portfolio assumes the following weights: 25% in the S&amp;P 500, 10% in the Russell 2000, 15% in the MSCI EAFE, 5% in the MSCI EME, 25% in the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stress perception, sufficiency of sleep,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on alcohol dr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blem solving and programming” area of ​​information subject on perception and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suicid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n the will of start-up according to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empower perception level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and job satisfaction to supply material that coul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