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보건소장 및 사업담당자 인식도

제2절 기후변화 건강영향에 대한 보건소장 및 사업담당자 인식도

1. 조사목적

본 연구는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보건소장의 인식 도 및 기후변화 적응대책 관련 보건사업의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실무 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 조사방법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인식도와 보건사업 현황에 대한 조사는 2011년 7월 22일부터 8월 24일까지 전국 252개의 보건소 장과 기후변화 적응대책 관련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설문 응답률은 69.84%였다.

3. 조사내용

전국의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도 조사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가)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보건소장의 인식, 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준비 정도, 다)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에 대한 적응 및 완화 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원으 로 구성된다.

기후변화 적응대책 관련 보건사업 현황 조사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행하였으며, 가) 현재 수행하고 있거나 계획 중인 사업, 나) 특정 기 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건강 적응대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05

106

〔그림 3-14〕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인식, %

나.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및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보건소장의 인식과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 에 대한 준비정도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와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보건소 의 준비정도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먼저,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한 비율이 ‘폭염 관련 건강문제’ 항목에 서 8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기상재해로 인한 손상’ 항목 에서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한 비율이 82.1%, ‘오존, 미세먼 지, 황사 등 지역 대기의 질’ 항목이 76.0%, ‘식중독 및 장염’이 75.0%로 뒤를 이었다. 한편,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 항목의 경 우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를 합한 비율이 41.5%로 나타

107

3

나 기후변화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응답이 비교적 많았다(표 3-14, 그림 3-15 참조).

〈표 3-14〉 기후변화가 건강문제 및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 N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폭염 관련 건강문제 176 22.7 67.0 10.2 0.0 동물, 곤충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 171 8.8 62.0 27.5 1.8 식중독 및 장염 176 13.6 61.4 24.4 0.6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증 175 13.1 58.9 27.4 0.6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 176 15.3 43.2 37.5 4.0 오존, 미세먼지, 황사 등 지역 대기의 질 175 16.6 59.4 22.3 1.7

식품 안전 및 보안 175 12.0 60.0 27.4 0.6

기상재해로 인한 손상 173 15.0 67.1 17.3 0.6

〔그림 3-15〕기후변화가 건강문제 및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

108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보건소와 지역 내 관계자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를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분석결과는 [그림 3-16]과 같다.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한 비율이 ‘보건소장’은 92.6%,

‘보건소직원들’ 80.7%, ‘지역 내 의사들’ 83.0%였다. ‘시장‧군수‧구청 장, 시‧군‧구의원등’은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의 비율이 82.4%로 보 건소장이 인식하는 보건소 및 지역 내 관계자들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 강문제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16〕 보건소장이 인식하는 보건소 및 지역 내 관계자들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 %

다음으로 지역의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적응대책에 대하여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파악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보건소장의 의견을 질문하였 다.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를 평가하거나, 효과적인 적응대책을 수립 하는데 도움 을 받을 수 있는 전문가를 지역 내에서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한 비율은

109

3

14.2%이고,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를 합한 비율은 84.7%

였다. 또한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도움을 줄만한 전문가를 확보 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를 합한 비율이 29.7%로 지역 내 보다는 보건복지부나 질병관리본부에 활용 가능한 전 문가가 많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그림 3-17 참조).

〔그림 3-17〕기후변화로 인한 적응대책에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에 대한 인식도, %

전국의 보건소장에게 여러 건강문제에 관련된 보건사업들이 각 지역 에서 얼마나 잘 수행되고 있는가를 물었다(표 3-15 참조).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를 합한 비율을 보면 ‘식중독 및 장염’ 항목에서 90.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이 81.3%, ‘식품안 전 및 보안’이 80.0%로 식품안전에 관한 사업을 잘 수행한다는 응답이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오존, 미세먼지, 황사 등 지역 대기의 질’

항목과 ‘기상재해로 인한 손상’ 항목에서는 각각 48.9%, 40.6%가 ‘그 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로 응답했거나 또는 관련 사업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110

〈표 3-15〉 보건사업에 대한 수행정도, %

  N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관련 사업이 없다 폭염 관련 건강문제 176 7.4 64.2 26.1 2.3 0.0 동물, 곤충으로 인한 감염성 질환 175 8.6 65.1 23.4 1.1 1.7 식중독 및 장염 176 13.1 77.3 9.1 0.6 0.0 정서적, 심리적 스트레스 및 우울증 176 5.1 56.3 35.8 1.1 1.7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 176 11.9 69.3 15.9 0.6 2.3 오존, 미세먼지, 황사 등 지역

대기의 질 176 4.5 46.6 38.1 5.7 5.1 식품 안전 및 보안 176 10.8 69.3 17.6 1.1 1.1 기상재해로 인한 손상 175 6.9 52.6 33.7 3.4 3.4

각 보건소에서 수행되는 보건사업과 기후변화가 보건사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보건소의 보건사업 중 수행정도가 높다고 응답한 항목이 ‘식중독 및 장염’, ‘깨끗한 식수와 충분한 공급’, ‘식품안 전 및 보안’의 순서로 나타났던데 비하여, 보건사업에 기후변화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항목은 ‘폭염 관련 건강문제’(89.8%), ‘기상재 해로 인한 손상’(82.1%), ‘오존, 미세먼지, 황사 등 지역 대기의 질’(76.0%)의 순서로 나타났다(그림 3-18 참조).

〔그림 3-18〕 보건사업의 수행 및 기후변화가 미치는 영향의 정도, %

111

3

기후변화 관련 건강문제에 대하여 더 적응 및 완화프로그램을 수행하 는데 중요한 요인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항목은

‘사업예산’으로 33.0%였고, 두 번째로는 18.6%로 나타난 ‘기후 변화로 인한 지역 주민의 건강 문제’였다. ‘중앙정부의 기술적 지원’, ‘지역주민 의 의식’ 등이 그 뒤를 이었으며, ‘기후변화의 경제적 영향’이 1.4%로 제시한 항목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그림 3-19 참조).

〔그림 3-19〕 기후변화 관련 적응 및 완화 프로그램 수행에 중요한 요인, %

각 보건소에서 더 나은 기후변화 적응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선순위를 물었다. 기타가 있으면 1순위부터 4순위까지, 없으면 1순위부터 3순위까지 응답한 결과는 <그림 3-20>과 같다. 1순 위로 응답한 경우 4점, 2순위 3점, 3순위 2점, 4순위 1점으로 할당하여 점수를 합산한 결과, ‘사업비’가 총점 628점으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 지했다. 그 뒤로는 ‘인력’, ‘장비’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기타의 내용으 로는 ‘지역주민과 직원들의 의식의 변화와 참여’, ‘중앙정부의 기술적 지원’, ‘지자체장의 리더십’, ‘관련 법규나 제도의 제정’, ‘교육 및 정보 의 제공’, ‘관련 연구와 홍보의 활성화’ 등이 있었다.

112

〔그림 3-20〕더 나은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원, 점수

5. “기후변화의 건강영향 및 적응대책에 대한 인식도 조사” 결과 고찰

기후변화에 대한 보건소장의 인식을 우편 설문으로 조사한 결과, 지 나간 10년보다 향후 10년이 기후변화를 크게 겪을 것이라는 응답이 높 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후변화를 경험하는 것에 비하여 이로 인한 건강 문제를 경험할 것이라는 응답의 비율은 낮았는데, 이는 보건소의 사업 중 기후변화 건강적응대책의 낮은 우선순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최 근, 전 세계적으로 기상재해의 발생건수가 점점 더 증가하면서 극심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기후변화가 국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인식은 그리 높지 않았고, 실제 관련 사업의 수행으로 이어 지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응답한 것은 ‘폭염, 기상재해, 대기의 질’등 이었지만, 아직 보건소에서 중요한 우선사업은 아니었고, 실제 수행한다고 한 응답 또한 낮았다.

또한, 보건소장이 인식하는 보건소 및 지역 내 관계자들의 기후변화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 정도는 8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

113

3

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를 평가하거나 적응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 능한 지역 내 전문가는 매우 적다는 의견이 높았다.

보건소에서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 수행의 중요한 요인은 사업예산 이 가장 높았고, 기후변화 적응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원 또한 사업비, 그리고 인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비해 실제 사

현재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비해 실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