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Audit Services Division

문서에서 건강증진정책의 평가 및 실천방향 (페이지 193-200)

캐나다의 공중보건 행정체계의 건강증진/만성질환예방과(Health Promotion and Chronic Disease Prevention Branch: HPCDP)와 공중보건실천/지역실천과(Public Health Practice and Regional Operations Branch: PHPRO)에서 주로 건강증진사업 을 수행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하부 구조와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표 3-30〉 캐나다 공중보건국의 건강증진/만성질환예방과(Health Promotion

〈표 3-31〉 캐나다 공중보건국의 공중보건실천/지역실천과(Public Health

(Skills Enhancement for Public Health) 2. 캐나다역학프로그램

(Canadian Field Epidemiology Program )

3. 공중 보건 훈련을 위한 기금조성 (Funding for Public

(Public Health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8. 정책연구기구(Policy Research Unit)

(Canadian Integrated Public Health Surveillance (CIPHS)) 10. 감시기준 (Surveillance Standards)

11. 자료조정/접근 프로그램

(Data Coordination and Access Program (DCAP)) 12. 건강감독조정 (Manitoba and Saskatchewan Region) 5. 앨버타 및 북서부 지방 정부 (Alberta & Northwest Territories Region)

3) 지방정부의 건강증진 사업

지방정부의 건강증진사업에는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에 일차보건의료와 건 강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사회보건센터(Community Health Center)를 운 영하고, 지역단위의 건강증진 사업을 계획 수행한다.

라. 국민건강증진 운동 ‘건강한 미래를 향하여’

1) 건강증진 정책형성 과정

1996년에 “캐나다의 건강보고서(Report of the Health of Canadians)”에서 건강 증진에 대한 계획을 세웠으며, 1999년에 연방정부의 보건부에서는 두 번째 보 고서인 “건강한 미래를 향하여(Toward a Healthy Future)”를 발간하여 중앙정부, 주정부 및 지방정부에 배포하여 건강증진에 대한 사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건강한 미래를 향하여(Toward a Healthy Future)”에서 캐나다의 모든 연령별 로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결정인자(determinants) 혹은 주요 요인을 검사하 여 공공보건정책을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국민건강조사(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전국아동/청소년조사(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n Children and Youth) 등의 결과를 통해서 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결정인자)을 파악하였다.

전국 조사자료에서 나타난 국민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결정인자를 파악 하여 이를 근거로 하여 전반적인 국가의 건강증진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캐나 다 국민의 보건통계보고서(Statistical Report of the Health of Canadians)”는 건강 증진정책의 계획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80가지의 보건주제에 대한 상세한 통계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두 보고서(전국민건강조사와 전국아동/청소년조사) 모두 연방정부, 주정부, 지 역정부의 국민건강자문위원단(Advisory Committee on Population Health)과 연방 정부의 보건부, 통계청, 캐나다보건정보연구원, 토론토 대학의 건강증진센터와 공동으로 협력하여 연구되었다.

2) 건강증진사업계획의 내용

“건강한 미래를 향하여(Toward a Healthy Future)”는 국민건강 접근(population approach)을 취하고 있다. 국민건강접근의 목적은 첫째, 전 국민의 건강을 유지 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며, 둘째, 다양한 계층의 인구집단의 건강 불평등을 감소 시키는 것이다. 이 접근법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태나 결정인자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자료에 근거하여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할지와 어떤 사업을 우선적으로 해야 할지 제안하고 있다.

“건강한 미래를 향하여(Toward a Healthy Future)”의 계획보고서는 다음 7가지 의 주제에 대하여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연령별, 성별, 사회계층별 보건수준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각장마다 보건정책과 실천을 어떻게 해야 할지 기술하고 있으며, 마지막 장 은 건강증진 사업활동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해 놓고 있으며, 국민건강에 대 한 미래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가) 건강상태

육체적, 사회심리적 건강, 기대여명, 사인, 불능(장애)에 대한 전반적인 자료 를 제시하고 있으며, 주요건강지표를 가지고 다른 나라의 보건수준과 비교하고 있다.

나) 사회경제적 환경

수입, 교육수준, 문맹률, 고용수준, 근로조건, 사회적 지원, 폭력, 시민참여, 건 강을 향한 노력 등의 현재 상태를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

다) 건강한 아동, 청소년 개발

각 성장연령대별로 건강과 발육상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라) 물리적 환경

자연환경(예를 들면 대기, 기후 및 태양노출 등)과 만들어진 환경(흡연 혹은 거주상태와 같은 환경)에서 건강과 몇몇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있다.

마) 개인의 건강생활실천

신체활동, 건강한 식습관, 체중, 흡연, 술과 다른 마약, 사고예방 실천, 도박, 안전한 성행동 실천, HIV 검사, 젊은 층에서의 중복적인 위험행동과 관련된 주 요 경향을 파악하고 있다.

바) 보건서비스

보건에 대한 소비패턴, 보건서비스의 접근성과 이용, 충족시키지 못하는 보건 욕구, 대체보건서비스 등에 대해서 전반적인 기술을 하고 있다.

사) 생물적, 유전적 자산

새로운 생식 및 유전기술, 두뇌발달, 노화생물학 등을 포함한 문제들을 취급 한다.

마. 건강증진사업 내용 1) 중앙정부의 공중보건 사업내용

중앙정부의 공중보건국은 다음 6가지의 영역인 건강영역의 전반적인 스펙트 럼 내에서 프로그램, 정책 및 중재(intervention)를 계획하고 실행한다. 이 7가지 영역(①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② 질병예방(disease/injury prevention), ③ 위 험요인관리(risk management), ④ 정책조정(policy coordination), ⑤ 의학치료(medical treatment), ⑥ 재활(rehabilitation), ⑦ 완화치료(palliative care))에 초점을 두어 질 병예방과 건강증진, 건강보호, 진단, 치료 등을 서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서

사업을 수행해 나가고 있다. 7가지 영역 중 건강증진과 관련된 내용을 보면 다 음과 같다.

가) 건강증진

건강증진은 국민건강(population health)을 이룩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이다.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물리적, 경제적 및 정치적 요인에 취 해지는 활동이다. 건강한 공공정책을 조성할 수 있도록 다른 부서와 협력하여 함께 활동하고 있으며, 건강증진 사업은 연방정부의 건강증진청(Health Canada's Health Promotion and Programs Branch)에서 주관하고 있다. 캐나다의 건강증진 청은 국민들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나) 질병예방

예방은 3가지 수준에서 예방할 수 있으며, 1차 예방(건강에 대한 문제를 일 으킬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활동), 2차 예방(잠재적으로 건강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것에 관해서 조기발견과 조기에 중재를 하는 활동), 3차 예방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예방하거나 질병으로 인한 손실 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누어 질병예방 사업을 벌이고 있다.

다) 위험요인관리

캐나다의 보건부는 “국민건강과 위험물질 관리와 의사결정(Integrating Population Health and Risk Management Decision)"이라는 보고서에서 국민건강에 대한 일반 적 개념과 위험요인 관리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국민건강과 위 험요인과의 관련성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위험요인을 관리함에 있어서 어 떻게 의사결정을 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2) 건강증진사업 프로그램

캐나다의 건강증진 사업은 2004년에 공중보건국(Public Health Agency of Canada)이 새롭게 출범함으로써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건강증진사업은 연방정부의 건강증진청(Health Canada's Health Promotion and Programs Branch)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캐나다의 건강증진청은 국민들이 건강 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생활습관에 초점을 둔 프로그램과 정책을 개발하는 역 할을 한다.

최근에 연방정부는 당뇨병, C형 간염과 HIV/AIDS를 중점사업 과제로 선정하 여 이 질병들의 예방과 관리에 힘쓰고 있다. 이들 사업과 더불어 건강한 청소 년의 육성에도 초점을 두어 건강한 학교(Healthy Schools)와 조기아동발달(Early Childhood Development)과 같은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2. 평가영역

평가는 통계청의 주관 하에 건강정보추진(The Health Information Roadmap Initiative)로부터 지원을 받아서 2년을 단위로 2년 동안 건강결정 요인, 건강상 태 및 지방정부(province)단위에서의 건강서비스에 관한 항목을 조사하여 평가 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캐나다지역사회건강조사가 있다. 또 다른 건강증진에 대 한 사업 평가로는 연방정부에서 계획된 사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사업마다 “평가프로젝트(Evaluation Projects)”를 하여 사업의 관련성, 성공여부 및 비용효과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캐나다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나타난 자료를 분석하여 국민의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결정인자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하여 전반적인 국가의 건강증진 정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어떤 영역에 더 중점을 두어서 사업해야 할지 결정하 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건강지표를 생산하여 건강증진사업의 평가 를 하는데도 활용하고 있다.

문서에서 건강증진정책의 평가 및 실천방향 (페이지 19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