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utcome ▶ Long-term Outcome

Outcomes ▶ final Outcomes

자료: Chen WW, Cato BM, Rainford N. Using a logic to plan and evaluate a community intervention

program: a case study. Quarterly of Community Health Education 1998-99; 18(4): 449-458

건강증진사업 평가 선행 연구 중에서 음주 및 약물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Edwards et al., 1995)와 학교보건사업 평가연구(Chen et al., 1998~99) 등에 적용되었다(Chen et al., 1998~99).

〔그림 2-2〕 논리모형2

Input ▶ Activities ▶ Output ▶ Short-term

Outcome ▶ Intermediate

Outcome ▶ Long-term Outcome

자료: CDC

논리모형은 미국 질병통제본부(CDC)에서도 건강증진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보건사업의 평가모형으로 적용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논리모형과 거의 유사하 지만 이론적 가정 대신에 투입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CDC에서 발표되는 논 리모형을 사용한 건강증진사업 평가 결과 중에서는 이론적 가정과 외부적 요인 을 포함하는 것도 있어서 논리모형은 기본적인 틀에서 평가 대상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사용된다고 할 수 있다.

〈표 2-6〉 미국 CDC의 금연사업 평가를 위한 로직 모델 구성 요소별 내용 사례

자료: CDC (2005) "Key Outcome Indicators for Evaluating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rograms"

2. PRECEDE-PROCEDE모형

PRECEDE-PROCEDE 모형은 최종 목표가 삶의 질 향상이며 건강은 삶의 질 을 결정하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다. Predisposing, Reinforcing and Enabling Causes in Educational Diagnosis and Evaluation의 첫 자를 딴 PRECEDE와, Policy, Regulatory, and Organizational constructs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의 첫 자를 딴 PROCEDE가 결합된 것이다. PRECEDE는 진단단계 를, PROCEDE는 발전단계로 실행과 평가 과정을 의미한다. 이 모형은 보건교 육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작성하기에 앞서 건강행위에 미치는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강화성 요인의 파악이 중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설정된 모형이다 (Green & Kreuter, 1999). 본 모형은 성공적인 건강증진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서 사회적, 역학적, 행위 및 환경적, 교육 및 조직적, 행정 및 정책적 진단을 실 시하고 이러한 진단을 토대로 건강증진 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다. 이러한 전략의 수행은 유도요인, 강화요인, 권한부여요인과 같은 과정 을 거쳐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고, 건강의 변화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PRECEDE-PROCEDE모형에서는 건강증진사업의 평가를 건강증진사업에 대한 과정평가, 영향평가 및 결과평가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그런데 이 모형이 특 징은 진단단계에서 시작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평가를 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 는데 시작의 방향이 목적을 향하고 있지 않으며, 목적에서 시작하여 목적으로 되돌아오는 순환형태를 이룬다는 것이다.

〔그림 2-3〕 PRECEDE-PROCEDE모형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Policy regulation

organization Enablingfactors Reinforcing

factors Predisposing

factors

Behavior and lifestyle

Environment

Health QOL

↓ ↓ ↓ 과정평가 영향평가 결과평가

자료: Green LW, Kreuter MW. 「Health Promotion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p35. Mayfield Publishing Company, California, 1999

3. 지역사회 건강증진기금사업(Community Health Promotion Grants Program:

CHPGP)의 평가모형

Henry J. Kaiser Family Foundation이 재정 지원을 하여 수행되었던 지역사회 건강증진기금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되어 관련 연구에 적용된 모형이다(Wagner et al., 2000). 이 모형은 인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증진사업은 지역사회 의 규범과 환경을 변화시켜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행동을 변화시킨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개발되었다.

〔그림 2-4〕 지역사회 건강증진기금사업의 평가모형

Kaiser Family Foundation intervention

Community organizations

Programs

Exposure

Program quality

Norms

Behavior models

Environment

Behavior

자료: Wagner EH et al. The Evaluation of the Henry J. Kaiser Family Foundation's Community Health Promotion Grant Program: Desig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1: 44(7):

685-699.

4. CDC(1999)의 보건사업 평가 틀

1999년 미국의 CDC에서는 공중보건사업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모형을 발 표하였다. 이 모형은 평가 전문가, 공중보건사업 관리자, 주정부 및 지방정부의 공중보건 관련 공무원, 교사, 연구자 등의 작업팀이 개발한 것이다. 어떠한 보 건사업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6단계로 구성하였는데 이러한 단계는 특정한 규 칙이라기보다는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단계는 관련 자를 참여시키는 것이며, 2단계는 문제를 기술하는 단계이며, 3단계는 평가 설 계를 수립하는 단계이고, 4단계에서는 근거를 수집하여, 5단계에서는 결론을 이 끌어내고, 6단계에서는 평가결과를 사용하고 발표하는 것이다. 그리고 6단계는 다시 1단계로 환류되는 체계를 가진다. 6단계와 더불어 효용성, 실행가능성, 윤 리적 타당성, 정확성의 기준으로 구성된다.

〔그림 2-5〕 CDC의 보건사업 평가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