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CT 관련 국제지수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30-35)

□ ICT 관련된 각종 국제지수를 활용하여 중남미 주요국의 ICT 현황을 분석

❍ ICT 관련 정보화 지수는 국가별 정보화의 발전 정도를 객관적이고 상대적, 절대적으 로 판단하고 비교 할 수 있는 척도임

❍ 동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 및 특성을 고려하여 ICT 발전지수, 네트워크 준비지수 및 전자정부 발전지수의 세 가지를 선정하여 ICT 현황 분석에 활용함

❍ 다양한 국제적인 정보화 지수 중 디지털경제지수는 일부 국가에 한정된 제한적인 데 이터만 포함하여 제외함

- 온라인 참여지수의 경우 산출된 지수 값의 국가간 차이가 크지 않고, 활용도 및 신뢰 도가 타 지수에 비해 낮아 제외함

기관 ICT 국제 정보화 지수

국제기구

ITU ICT 발전지수 (ICT Development Index, IDI)

UN

전자정부발전지수

(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온라인 참여지수 (e-Participation Index)

민간기관

WEF 네트워크 준비지수

(Networked Readiness Index, NRI) EIU 디지털경제지수 (Digital Economy Rankings)

<표 2-1> 주요 ICT 국제 정보화 지수 현황

□ ICT 발전지수(ICT Development Index, IDI)

❍ ICT 발전지수(IDI)는 국제기구인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발 표하는 지수로서, 각 국가의 ICT 현황과 국가 간 ICT 발전 정도의 기준을 정하는 것

❍ IDI 지수 값의 산출 방법

- 세부지표의 기준 값은 기본적으로 100%를 사용하나 해당지표의 최대 포화수준이 실 제 100%를 초과하거나 미치지 못할 경우 통계적 수 치를 사용함

- IDI는 설정된 기준 값을 바탕으로 국가별 점수와 기준 값의 차이를 정규화하였고, 이 후 각 지표들의 값을 1~10의 범위로 재조정하여 지표별로 부여된 가중치를 적용 및 합산하여 최종 지수 값을 산출함

❍ IDI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IDI는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의 ICT 발전 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다른 국가 간의 비 교 분석의 도구로서 용이함

- IDI는 3가지 세부 부문(ICT 준비도, ICT 이용도, ICT 활용도)을 설정함에 따라 ITU회 원국의 ICT 3단계 발전 흐름을 파악할 수 있음

- IDI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보경제의 전반적인 발전 정도를 측정하므로 정보경제 발 전과 경제 전반의 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

□ 네트워크 준비지수(Networked Readiness Index, NRI)

❍ 네트워크 준비지수는 WEF(World Economic Forum)에서 발표하는 지수로서 ICT와 직 접적으로 관련된 항목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발전 및 경쟁력 면에서 ICT 발전도와 활용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함

- 시장 환경, 법/제도 및 영향력 등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ICT 관련 정보화 지수임 - 2014년 네트워크 준비지수는 환경, 준비도, 활용도, 영향력 4개 분야, 10개 세부 항목,

54개 지표로 구성됨

※ 출처: WEF(2014) 않다’(not effective at all), 수치 7은 ‘매우 효과적이다’(extremely effective)로 구 분됨

□ 전자정부 발전지수(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EGDI)

❍ UN DESA(경제사회처 공공행정국: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가 격년 으로 발표하는 전자정부 발전지수는 ICT를 활용하는 공공행정 및 정부의 대국민 서

※ 출처: UN(2014)

❍ 전자정부 발전지수(EGDI) 지수 값의 산출 방법

- EGDI의 3개 지표(온라인 서비스, ICT인프라, 인적자본)는 통계적으로 정규화된 이후 가중평균치로 산출됨, 즉 EGDI=1/3[온라인 서비스+ICT인프라+인적자본(각각 정규화 된 값)]

- EGDI의 각 지표는 통계상의 정규화에 선행하여 Z점수로 표준화됨

❍ EGDI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 정책입안자들이 국가 개발을 위한 전자정부를 수립하도록 타당성 있는 정보를 제공 함

- 행정부의 대국민 ICT서비스 의지와 역량을 측정하는데 요긴하게 쓰일 수 있음 - 국가 개발 및 정부활동에 있어서 ICT의 핵심적 역할에 관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음 - ICT와 전자정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국가를 규명하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

문서에서 R&D연구결과보고서 (페이지 30-3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