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황사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56-159)

제3부 분야별 업무활동

1.2. 황사

지점명 지점번호 이전 연도 과거 관측 장소 현재 관측 장소

철원(농) 970 2011 철원자동기상관측소 철원군농업기술센터

수원(농) 971 - - 수도권기상청

안동(농) 972 2011 안동기상대 안동시 한국생명과학고

순천(농) 973 2011 순천자동기상관측소 화순군농업기술센터

진주(농) 974 2013 진주자동기상관측소 경상대학교 농업대학

전주(농) 975 2011 전주기상지청 전북농업기술센터

청주(농) 977 2011 청주기상지청 충북농업기술원

춘천(농) 978 2011 춘천기상대 강원도농업기술원시험포장지

서산(농) 979 - - 홍성기상대

서귀포(농) 980 2012 서귀포자동기상관측소 제주도 농업기술원

보성군(농) 981 2010 신설 보성군자동기상관측소

▶▶표 3-25 농업기상관측장비 이전 현황

고 있는 부유분진측정기에 대한 정도검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황사 관측자료를 제공하기 위 해 힘쓰고 있다.

그림 3-38 국내 황사관측망

1.2.2. 황사발원지 관측망 운영

(1)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기상청은 지난 2003년부터 2008년까지(6년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재정지원과 중 국 기상국(CMA)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2차례에 걸쳐 각 5개소씩 중국 내에 황사 관측장 비(PM10 측정기)를 설치함으로써 「한・중 황사공동관측망」을 구축하였다. 1차 사업(2003~

2005년)에서는 쥬리허, 통랴오, 유스, 후이민, 다렌 등 5개소에, 2차 사업(2006~2008년)에는 얼렌하오터, 스핑, 츠펑, 단둥, 칭다오에 황사관측장비를 설치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한-중 기상협력을 위한 양국간 합의에 따라 중국 기상국이 운영하는 5개소(하미, 둔황, 우 라터중치, 둥성, 옌안)와 한국 기상청이 운영하는 5개소(백령도, 관악산, 광주, 구덕산, 울릉 도)의 황사 농도 관측자료를 상호 공유하고 있으며, 한국 기상청은 중국 내 총 15개소에서 관측되는 PM10 농도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황사 예보현업 및 정량적 황사예보의 정 확도 향상을 위해 활용 중이다.

「한・중 황사공동관측망(10개소)」과 추가 5개 관측지점을 포함한 중국 내 15개 관측소는 황사 발원지 및 황사의 이동경로 상에 근접해있어 황사의 영향이 매우 빈번한 지점이다. 또 한 중국 현지 관측소의 열악한 관측환경으로 인해 관측 장비의 오작동 및 자료의 오류값이 빈번히 나타남에 따라, 관측자료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주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한국 기상청은 2007년부터 매년 1차례씩 중국 현지의 황사 관측장비에 대한 정 도검사와 관측환경 점검 및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기상청은 「한・중 황사협력회의」에서 양국이 합의한 내용에 따라, 「한・중 황사공동관측망」 자료의 품질 확보와 수신율 향상을 위 해 중국 현지 관측소를 방문하여 장비의 구조검사, 공시험, 정도검사 등을 실시하고(8월), 2010년부터 중국기상청(CMA) 황사담당자들을 매년 국내로 초청하여 황사장비 운영에 관련 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 황사감시 기상탑

기상청에서는 중국 나이만(Naiman)과 몽골의 에르덴(Erdene), 놈곤(Nomgon)에 연구용 황 사감시기상탑을 설치하여 황사 발원을 준실시간 감시할 뿐 아니라, 황사가 발생하는 기상조 건을 연구하여 황사예측 모델 개선에 적용하고 있다. 나이만은 베이징의 북동쪽으로 약 500 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북서쪽에는 커얼친(Horqin) 사막이 위치해 있다. 1990년대 이 후에 과대한 방목으로 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북서쪽 20km 떨어진 지점까지 모 래 사구가 있으며, 관측소 부근도 작은 모래 언덕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몽골의 에르덴 관 측소는 고비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2007년 11월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놈곤 관측소 는 몽골 남부 고비에 위치한 곳으로 2010년 10월부터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관측자료의 품

질 유지를 위해 자료의 실시간 점검 뿐 아니라 매년 두 차례에 걸쳐 현지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그림 3-39 황사발원지 관측망 현황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56-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