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상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51-156)

제3부 분야별 업무활동

1.1. 지상

1.1.1. 지상기상관측업무의 동향

2011년 1월부터 시행된 지방기상청 기능 효율화에 따라 지상기상관측망이 변경되면서 일 부 기상관서의 목측요소에 대한 관측자동화 요구가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2013년 7월에

‘기상관측 자동화 계획’을 수립하여 기상관측의 자동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기상 예측능력 향상과 위험기상 감시 강화, 미래 기상관측 수요에 대비한 첨단 기상관측센서 도 입을 연차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위 계획에서는 현재 목측관측 요소 중에 자동화가 가능한 요소에 대해서는 기상센서 도입 및 관측방법의 변경 등을 통해 관측 자동화로 추진하고, 자동화 필요성 및 효용성이 낮아 기술개발이 미비한 요소는 현재와 같이 목측 수행 또는 관측을 중지하여 관측업무의 효율성 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2016년 8월에는 국가 수요에 부합하는 목적 지향적 기상관 측 시스템 구축 운영을 위해 2017~2021년(5개년)에 추진할 관측업무발전 기본계획을 수립 하였다.

고품질 기상관측자료의 생산 및 품질 관리를 위해 매년 지상기상관측장비의 검정 계획을

수립하여 기상장비를 관리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관측장비 유지보수 및 점검을 통해 장애최 소화와 중단 없는 기상관측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2016년에는 기상청에서 관리・운 용하는 기상관측장비의 장애관리 및 이력관리를 위하여 기상관측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 였고, 2017년 3월부터 시스템 현업운영으로 장애관리 및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그림 3-37 기상관측 종합관리시스템 모니터링 화면

1.1.2. 지상기상관측장비 운영

기상청의 지상기상관측장비는 기상관서에서 운용하는 종관기상관측장비(ASOS)와 위험기 상 예측을 위해 무인으로 운용하는 방재기상관측장비(AWS)로 구분된다. AWS는 기온, 풍 향, 풍속, 강수량, 강수유무를 기본 관측요소로 하며, AWS 중 동네예보 편집지점에는 기압 계, 습도계, 시정・현천계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ASOS는 AWS 관측요소에 일조, 일사, 초 상온도, 지면온도, 지중온도 등의 관측이 추가되며, 향후 관측 자동화의 확대를 위해 시정・

현천계, 운고・운량계, 무게식강수량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도입연도 지점명 수량

2006 고창군 1

2007

철원, 동두천, 파주, 대관령, 충주, 청주, 추풍령, 안동, 상주, 진도, 진주, 강화, 양평, 이천, 인제, 홍천, 제천, 보은, 천안, 부여, 금산, 부안, 임실, 남원, 장수, 영광군, 김해시, 봉화, 영주, 문경, 영덕, 의성, 영천, 합천, 산청, 거제, 남해

37

2008 강릉, 서울, 울릉도, 부산, 순창군, 북창원, 양산시, 진도군 8

2009 독도, 순천, 보성군, 강진군 4

2010 고창, 제주, 정선군, 의령군, 함양군, 청송군, 경주시 7

2011 인천, 서산, 대전, 군산, 목포 여수, 성산, 광양시 8

2012 춘천, 수원, 울진, 포항, 대구, 울산, 통영, 고산 8

2013 속초, 백령도, 북강릉, 동해, 원주, 영월, 전주, 창원, 광주, 흑산도, 완도, 서귀포, 태백,

보령, 정읍, 장흥, 해남, 고흥, 구미, 거창, 밀양 21

2014

-2015

-2016

-▶▶표 3-20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교체 현황

ASOS는 지상기상관측업무의 자동화를 목표로 1995년부터 기상대급 이상의 기상관서에 설치하기 시작하였으며, 2013년에는 공동협력기상관측소에 설치된 ASOS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장비를 관리전환 받아 기상청 관측망으로 편입하였다. 2014년에는 진도읍 AWS를 진도군 ASOS로 변경하여 운영하였으며, 2016년에는 춘천기상대 이전에 따 라 북춘천 ASOS가 신설되었다. 따라서 2016년 현재 지방기상청 6개소, 기상지청 3개소, 기 상대 7개소, 고층・기후관측소 6개소, 자동기상관측소 73개소 등 총 95대를 운영하고 있다.

지점번호 지점명 변경날짜 변경 사유

152 울산 4. 1. 청사 신축에 따른 관측장소 이전

232 천안 4. 1. 청사 신축에 따른 관측장소 이전

245 정읍 11. 1. 청사 신축에 따른 관측장소 이전

▶▶표 3-21 2016년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이전 현황

순번 기존 변경

이전날짜 변경내용(사유)

지점번호 지점명 지점번호 지점명

1 926 진북 926 진북 4.20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2 549 용인 549 용인 4.28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3 725 우도 725 우도 5. 5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4 724 추자도 724 추자도 5.26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5 794 황전 794 황전 6.17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6 566 연곡 566 연곡 7.11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7 401 서초 401 서초 9.12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8 518 해안 518 해안 9.22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9 915 삼가 915 삼가 9.27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0 793 모슬포 793 대정 11. 3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1 865 오등 865 오등 11. 5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2 726 마라도 726 마라도 11. 6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13 779 한림 779 한림 11. 9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4 788 풍암 788 풍암 11. 9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5 855 가파도 855 가파도 11.10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16 664 영흥도 664 영흥도 11.21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17 680 평화 680 평화 11.28 관측장소 이전(지상 → 지상)

18 502 교동 502 교동 11.30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19 804 청하 804 청하 12.21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20 809 대덕 809 대덕 12.21 관측장소 이전(옥상 → 지상)

▶▶표 3-22 2016년 방재기상관측장비(AWS) 이전 현황

지점번호 지점명 관측개시일 신설 사유

93 북춘천 2016.10. 1. 춘천기상대 청사 이전

494 세종고운 2016.10.17. 세종특별자치시의 다양한 기상정보 수요에 대응 676 위성센터 2016. 7.27. 천리안기상위성 수신 안테나의 안정적 운영

▶▶표 3-23 2016년 지상기상관측장비 신설 현황

우리나라의 지상기상관측장비는 한반도 지형적 특성에 맞게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위험기 상을 감시하고자 미국, 유럽, 일본 등 기상선진국 수준의 관측 조밀도를 확보하였으며, 운용 환경 개선 및 관측 자료의 품질향상을 위해 측정방식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에 2010년 3월, 고품질 관측자료 생산을 위한 지상기상관측장비 측정방식 첨단화와 목측요 소 자동화를 주요내용으로 하는 「자동기상관측장비 첨단화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 획에 따라, 2010년에는 2대의 ASOS가 포함된 총 100개 지점을 교체하였고, 2011년에는 7 대의 ASOS가 포함된 총 49개 지점을 교체하였다. 2012년에는 7대의 ASOS가 포함된 총 57 개 지점을 교체하였고, 2013년에는 22대의 ASOS가 포함된 총 58개 지점을 교체하였다.

2015년에는 2개 지점, 2016년에는 1개 지점의 노후화된 자동기상관측장비를 교체하여 관측 자료의 품질향상을 이루었다. 또한, 목측 자동화 및 안개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자 시정・현천 계를 2013년도에는 22대, 2014년도에는 56대, 2015년에는 23대, 2016년에는 30대를 도입하 여 안개감시에 활용하고 있다.

장비 명 지점명 지점번호 관측요소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가곡 647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강수량, 강수유무

▶▶표 3-24 2016년도 지상기상관측장비 도입 및 교체 현황

기상청은 1964년부터 농업기상관측을 시작하여 1970년 전국에 76개소를 설치하였으며, 1988년에는 10개소의 기상관서로 조정하였고, 2010년 유관기관 협력을 통하여 보성군 공동 협력관측소를 신설하면서 농업기상관측을 위하여 보성군(농)을 신설하였다. 2011년 고랭지 농업 지역에 대한 관측을 위해 강릉(농)과 태백(농) 지점을 추가 하였으나, 2015년에 농촌진 흥청의 고랭지 농업기상관측 지원을 위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으로 관리 전환되어 현재 총 11개 지점에서 농업기상을 관측하고 있다. 농산물 생산량 증대 및 병충해 예방 등 에 필요한 농업기상 관측 자료 요구 수요가 증가하면서 그 동안 기상대에서 관측하던 농업 기상관측장비를 지역식생 대표지점으로 이전하는 것이 목적에 부합하다는 연구 결과에 따 라 농업기술원 등으로 농업기상관측장비를 이전하여 지역식생 대표지점에서 농업기상관측 을 수행하고 있다. 2011년에는 철원(농), 안동(농), 순천(농), 전주(농), 청주(농), 춘천(농), 2012년에는 서귀포(농), 2013년에는 진주(농)의 농업기상관측장비를 이전하였다.

지점명 지점번호 이전 연도 과거 관측 장소 현재 관측 장소

철원(농) 970 2011 철원자동기상관측소 철원군농업기술센터

수원(농) 971 - - 수도권기상청

안동(농) 972 2011 안동기상대 안동시 한국생명과학고

순천(농) 973 2011 순천자동기상관측소 화순군농업기술센터

진주(농) 974 2013 진주자동기상관측소 경상대학교 농업대학

전주(농) 975 2011 전주기상지청 전북농업기술센터

청주(농) 977 2011 청주기상지청 충북농업기술원

춘천(농) 978 2011 춘천기상대 강원도농업기술원시험포장지

서산(농) 979 - - 홍성기상대

서귀포(농) 980 2012 서귀포자동기상관측소 제주도 농업기술원

보성군(농) 981 2010 신설 보성군자동기상관측소

▶▶표 3-25 농업기상관측장비 이전 현황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5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