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정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61-165)

제3부 분야별 업무활동

1.4. 시정

1.4.1. 시정관측업무 현황

시정관측은 대기를 통해 어느 정도의 전망이 가능한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일기분석 외에 교통, 항만, 항공 등의 기관에서 시정장애 또는 대기오염관리 등의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기상청은 이를 1923년 1월 1일부터 1일 4회 현명도(賢明度)라 이름 붙이고, 지형, 물체를 볼 수 있는 거리를 동서남북 4방위에 대해 8단계로 구분하여 관측을 시작하였으며, 현재와 같 은 시정관측은 1972년 1월부터 거리를 km 또는 m 단위로, 안개 등 시정 장애 현상을 관측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유인기상관서에서 목측으로 수행되는 시정관측은 계측기술의 발달과 시정관측 공백지역 의 안개 등 시정장애 현상에 대한 수요 충족을 위해 2009년부터 도입한 시정・현천계를 활 용하여 현재 93개소 기상관서에서 자동으로 관측되는 시정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1.4.2. 시정・현천계 운영

기상청은 2009년부터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안개, 해무 등의 저시정 감시와 시정관측 공백 지역 해소, 관측업무의 효율화를 위하여 시정과 현천을 자동으로 관측하는 시정・현천계를 도입, 총 295대의 시정・현천계를 운영하고 있다.

도입 연도 설치지점 수량

2011

양양, 사내, 김화, 양구, 파주, 고양, 평창, 내면, 인제, 홍천, 강릉, 주문진, 원덕, 청일, 신동, 주천, 단양, 홍성, 진천, 세종연서, 논산, 청송군, 상주, 무주, 영광군, 담양, 김해, 광주, 순창군, 성주, 북항**, 남항**

32

2012

청호, 봉평, 남산, 옥계, 하장, 강남, 천부, 평택, 영양, 안계, 감포, 김제, 고령, 청도, 진안, 양산시, 의령군, 강진군, 광양시, 순천시, 유수암, 한림, 남원, 백천, 정선군, 풍도**, 도리도**

27

2013 포천, 청산, 양주, 북산, 성남, 과천, 안흥, 화성, 문화, 현서, 화서, 익산, 함라, 달성,

이양, 염산, 기장, 동래, 선흘, 서광, 성거, 청양 22

2014

고창군, 북창원, 보성군, 함양군, 경주시, 중문, 백령면, 태하, 북평, 시흥, 상동, 괴산, 대산, 공주, 서천, 증평, 청원, 태안, 예산, 노은, 아산, 양화, 계룡, 만리포, 현내, 구례, 나주, 완주, 진봉, 줄포, 화순, 벌교, 함평, 주천, 강진면, 포두, 곡성, 월야, 압해도, 후 포, 김천, 군위, 칠곡, 경산, 영덕읍, 두서, 삼천포, 진해, 서이만, 삼가, 사천, 고성, 창 녕, 함안, 하동, 북상

56

2015

구리, 한강, 영종도, 영흥도, 대연평도, 세종연기, 삽시도, 상조도, 가거도, 도양, 안좌, 매물도, 가덕도, 미시령, 성판악, 구좌, 횡계IC*, 강릉JCT*, 춘천IC*, 진천IC*, 금산IC*, 석곡IC*, 현풍IC*

23

2016

홍성(예), 임자도, 세종고운, 삽당령, 덕적도, 운평, 해안, 화촌, 서석, 임계, 안산, 오산, 금곡, 능곡 양양영덕, 대청, 연무, 외연도, 대곡, 광산, 선유도, 거문도, 추자도, 어리목, 위도, 복내, 학산, 수비, 김녕, 간절곶

30

* 고속도로 안개 감시를 위해 도로상에 설치된 시정・현천계

** 해무 감시를 위해 항만기상관측시스템에 설치

시정・현천계는 적외선을 발사하여 대기 중에 포함된 입자 및 에어로졸에 의해 방사되는 빛의 산란 혹은 흡수되는 광원의 양을 측정하여 시정을 산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센서에서 측정된 광원의 양과 센서 내부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현재의 기상상태를 WMO 기상전문 양 식으로 산출한다. 이와 같이 시정・현천계에서 생산된 매분 시정・현천 관측자료는 국지적으 로 발생하는 안개, 해무 등의 위험기상 감시 및 예측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시정・현천계는 2009년 종관기상관측장비(ASOS) 운용지점부터 우선적으로 설치를 하였으 며, 안개감시 및 저시정 현상 감시를 위하여 방재기상관측장비(AWS), 고속도로, 항만기상관 측시스템에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2016년 현재 총 295대 시정・현천계가 설치되어 매분 실시간 시정・현천 관측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고층기상

2

—• 관측기반국 / 관측정책과 / 방송통신사무관 / 김용업

기상청은 1964년 4월 1일 포항기상대에서 최초로 라디오존데를 이용한 고층기상관측을 시작하였으며, 2007년 5월부터 GPS 통신방식의 레윈존데 관측을 시작하여 지금까지 6개 지 점에서 고층관측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2016년 5월부터 고층관측에 사용된 레윈존데는 2015년 사용모델과 동일한 대한민국 진양공업 주식회사의 RSG-20A(수신기:GL-5000P) 제 품이다. GPS 라디오존데는 고층 대기의 기온과 습도를 센서로 관측하고, GPS 방식에 의해 바람과 기압을 산출한다.

또한 한반도 상층의 바람관측 시간 및 공간분해능 향상을 위하여 연직바람관측장비(Wind Profiler)를 2003년부터 파주, 군산, 강릉, 창원, 원주, 추풍령, 철원, 울진, 제1해양기상기지, 국가태풍센터 등 10개소에 연차적으로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2009년에는 상층의 기온과 습 도 관측을 위해 연직바람관측장비 설치 지점과 동일한 장소(국가태풍센터 제외)에 라디오미 터를 총 9대 설치하였다. 이로써 통합고층기상관측망을 구성・운영함으로써 9개 지점에서 고 층대기의 풍향・풍속, 기온, 습도의 수직적 분포를 10분 간격으로 측정 및 산출할 수 있게 되 었다.

2003년부터 도입된 연직바람관측장비가 노후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2016년에 강릉과 파주 의 장비 교체사업을 시작하였다. 현재 이 두 지점 모두 장비 설치가 완료되어 시험운영 중 에 있으며 2017년 상반기에 정식 현업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태풍에 대한 입체적인 관측망 강화를 위해 국가태풍센터 내에 연직바람관측장비를 신규로 도입하여 설치 운영 중에 있다.

▶ 고층기상관측망

∙ 레윈존데관측망 8개소(공군 2개소 포함)

∙ 통합고층기상관측망 10개소(공군 1개소 포함)

※ 통합고층기상관측망:연직바람관측장비+

라디오미터

∙ 고층기상관측 고도 및 요소

- 레윈존데관측장비:지상 ~ 약 35km (풍향, 풍속, 기압, 기온, 상대습도) - 연직바람관측장비:지상 ~ 약 5km

(풍향, 풍속, 대기의 연직운동) - 라디오미터:지상 ~ 약 10km

(기온, 상대습도, 노점온도, 액체물량)

그림 3-40 고층기상관측망

조직개편(2015.1.15.)의 체계적 이행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한 조직운영 효율화 추진 계획에 따라 속초 및 고산지역기상서비스센터의 고층기상관측 업무가 2015년에 강원(청) 및 국가태 풍센터로 이관되었다. 이에 따른 후속조치로 북강릉(47104)과 국가태풍센터(47186) 지점에 고층기상관측 비양 시설 신축을 추진하여, 북강릉은 2015년 12월 24일에, 국가태풍센터는 2016년 6월 1일부터 정식으로 고층기상관측 업무를 개시하였다.

한편, 지난 2012년부터 국립기상과학원에서 창원기상대 내에 설치하여 연구용으로 운영 하던 오토존데(Vaisala)를 현업 운영하기 위해 2015년에 장비 점검, 기능 업그레이드, 시범 운영 등을 거쳐 고층기상관측망 자동화 계획에 의거 2016년 9월부터 창원기상대에서 정식 으로 현업 운영하였다. 이에 따라 존데 관측횟수도 여름철과 겨울철 자연재난대책기간 동안 기존 일2회(09시, 21시)에서 4회(03시, 09시, 15시, 21시)로 확대하였고, WMO 고층관측지점 등록 및 BUFR 자료 GTS 전송을 개시하였다.

또한, 국내 고층기상관측 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위해 공군과의 고층자료의 공동활용을 추 진하였다. 기존 공유 중이던 레윈존데 자료 외 연직바람관측장비 고층관측자료를 수집하여 종합기상정보시스템 내 공동 활용 기반을 구축하였다. 이에 따라 2016년 7월부터 공군의 8 개소(태백, 수원, 청주, 예천, 대구, 서산, 광주, 경기도 광주) 연직바람관측장비 관측자료를 실시간 공유하고 있다.

해양기상

3

—• 관측기반국 / 관측정책과 / 방송통신사무관 / 김용업

—• 기후과학국 / 해양기상과 / 기상사무관 / 이호만

문서에서 기상연감 (페이지 16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