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기관의 위치 (교사 문항)

기관의 위치에 대하여 교사를 대상으로 질의하였다.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경우가 34.6%로 가장 많았으며 주택가가 29.5%, 상가건물 밀집 지역이 6.6% 순으로 나타났다. 기관의 위치에 대 하여 지역, 기관유형, 담당 연령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지역에 따라서는 대도시, 중소도 시, 읍/면지역 모두 아파트 단지 내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읍/면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하여 기 타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기관유형에 따라서는 어린이집은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많은 반면, 유치원은

구분 전혀 도움이

안 된다

별로 도움이 안 된다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매우 도움이

된다 평균 표준

편차 계()

법인 7.2 36.2 55.1 1.4 2.5 0.7 100.0 (69)

민간 6.4 34.0 53.2 6.4 2.6 0.7 100.0 (94)

직장 10.6 40.9 39.4 9.1 2.5 0.8 100.0 (66)

가정 4.9 34.3 52.0 8.8 2.6 0.7 100.0 (102)

F 8.6***

현원 규모

20명 미만 11.5 39.1 45.3 4.1 2.4 0.7 100.0 (243)

20-3912.1 39.1 44.3 4.6 2.4 0.8 100.0 (174)

40-7911.1 33.3 51.2 4.3 2.5 0.7 100.0 (207)

80명 이상 12.6 36.7 43.2 7.5 2.5 0.8 100.0 (199)

F 0.4

담당 연령

영아 7.4 34.2 52.7 5.7 2.6 0.7 100.0 (298)

유아 14.3 38.7 42.3 4.8 2.4 0.8 100.0 (525)

t 3.6***

최종학력

고졸 10.0 20.0 55.0 15.0 2.8 0.9 100.0 (20)

전문대졸 7.1 37.9 50.2 4.8 2.5 0.7 100.0 (311)

대학 졸업 13.5 36.7 43.9 5.9 2.4 0.8 100.0 (392)

대학원 졸업 20.0 39.0 40.0 1.0 2.2 0.8 100.0 (100)

F 5.4**

주택가에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세부 유형을 살펴보면 국공립유치원은 기타가 37.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택가가 34.3%로 다음 순이었다. 이는 국공립유치원의 많은 수가 병설유치원으 로 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는 현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사립유치원은 주택가와 아파트 단지 내가 30.0% 정도로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은 국공립과 가정어린이집은 아파 트 단지 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공립어린이집이 아파트 단지 내 관리동에 위치한 경우 가 많고 가정어린이집도 아파트 1층에 위치한 경우가 많은 현황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장어린이집은 50.0%가 기타로 나타나 직장 내 혹은 직장 인근에 위치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 다. 반면, 법인과 민간어린이집은 주택가에 위치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법인의 경우 기타 지역도 44.9%의 비율로 나타났다.

<표 3-18> 기관의 위치

단위: %(명)

구분 아파트 단지 내 주택가 상가건물 밀집

지역 기타 계()

전체 34.6 29.5 6.6 29.3 100.0 (823)

지역

대도시 39.0 31.4 9.8 19.9 100.0 (287)

중소도시 40.1 33.8 4.0 22.1 100.0 (299)

/22.4 21.9 5.9 49.8 100.0 (237)

χ2(df) 76.910(6)***

기관

유치원 22.9 32.1 8.0 37.0 100.0 (411)

어린이집 46.4 26.9 5.1 21.6 100.0 (412)

χ2(df) 53.963(3)***

기관 유형 (유치원)

국공립 14.9 34.3 7.0 43.8 100.0 (201)

사립 30.5 30.0 9.0 30.5 100.0 (210)

기관 유형 (어린이집)

국공립 61.7 21.0 3.7 13.6 100.0 (81)

법인 2.9 49.3 2.9 44.9 100.0 (69)

민간 37.2 43.6 4.3 14.9 100.0 (94)

직장 21.2 12.1 16.7 50.0 100.0 (66)

가정 88.2 10.8 1.0 0.0 100.0 (102)

χ2(df) 280.633(18)***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p < .001

나. 등하원로 ((학)부모 문항)

영유아의 주된 등하원로는 아파트 단지 내가 44.7%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도로변 으로 이동이 33.5%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기관의 위치 중 가장 많은 유형이 아파트 단지 내 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 연계하여 생각할 수 있다. 등하원로는 지역이나 기관의 유형에 따라서 차 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자녀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영아전담 어린이 집이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서 영아의 등하원로가 아파트 단지 내인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표 3-19> 자녀의 주된 등하원로

단위: %(명)

구분 아파트 단지

내로 이동

도로변으로

이동 주택가로 이동 주변 상가로

이동 기타 계()

전체 44.7 33.5 9.7 3.6 8.5 100.0 (412)

지역

대도시 47.0 27.5 14.1 4.7 6.7 100.0 (149)

중소도시 43.5 37.3 8.1 1.9 9.3 100.0 (161)

/43.1 36.3 5.9 4.9 9.8 100.0 (102)

χ2(df) 10.916(8)

소속기관

유치원 37.3 39.2 9.8 3.9 9.8 100.0 (102)

어린이집 47.1 31.6 9.7 3.5 8.1 100.0 (310)

χ2(df) 3.293(4)

자녀 연령

영아 52.8 29.2 10.4 3.3 4.2 100.0 (212)

유아 36.0 38.0 9.0 4.0 13.0 100.0 (200)

χ2(df) 18.506(4)**

기관 구분

어린이집(영아) 52.8 29.2 10.4 3.3 4.2 100.0 (212)

어린이집(유아) 34.7 36.7 8.2 4.1 16.3 100.0 (98)

유치원 37.3 39.2 9.8 3.9 9.8 100.0 (102)

χ2(df) 21.316(8)**

주: 1) 본 연구의 (학)부모 응답의 결과임 **p < .01

등하원로나 산책로의 상태에 대하여 (학)부모에게 질의해보았다. 영유아들이 다니는 길목에 주 차가 가능하여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는 응답이 58.7%로 가장 큰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시장이나 상가 지역이 별도로 안전 관리가 되지 않는 점과 건물 밀집 지역에서의 사각 지대가 42.5%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어린이보호구역 등 보호시설의 미설치가 39.6%로 나타났으며, 인도와 차도가 분리되지 않다는 인식이 36.2%, 등하원로나 산책로가 주변시설에서 보이지 않다는 응답이 29.6% 순이었다.

이에 따르면 영유아의 (학)부모들은 등하원로나 산책로가 안전하지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도로교통법 제12조 제1항에서는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 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유치원, 어린이집 등에 해당하는 시설이나 장소의 주변도로 가운데 일정 구간을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해 당 규정은 영유아의 등하원로 전체에 대한 규정이 아니고 유치원이나 어린이집과 인근 도로에 대 한 것으로서 아동의 안전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표 3-20> 등하원로나 바깥나들이(산책로)의 상태

단위: %(명)

문항 그렇다 그렇지 않다 계()

① 길이 좁아 사람이 다니는 길과 차가 다니는 길이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다 36.2 63.8 100.0 (412)

② 아이들이 다니는 길목에 주차할 수 있어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58.7 41.3 100.0 (412)

③ 시장이나 상가 지역을 거치게 되어 별도의 안전 관리가 필요하다 42.5 57.5 100.0 (412)

④ 건물이 밀집되어 아이를 쉽게 확인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있다 42.5 57.5 100.0 (412)

⑤ 주변 주거지, 시설 등에서 등하원로나 산책로 이동 상황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다 70.4 29.6 100.0 (412)

⑥ 어린이 보호구역, 스마트 가로등, CCTV, 옐로우 카펫 등 각종 보호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60.4 39.6 100.0 (412)

주: 1) 본 연구의 (학)부모 응답의 결과임 *p < .05, **p < .01

다. 기관의 주변 환경

다음으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주변 환경과 안전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에게 질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 바깥나들이 (산책) 공간

먼저 기관의 바깥나들이 공간에 대하여 (학)부모와 교사 모두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근 공원 및 놀이터를 주된 바깥나들이 공간으로 응답하였다(교사 64.5%, 부모 73.5%). 다음 순위는 교사 는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15.9%), (학)부모는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변 숲

(9.7%)으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이는 (학)부모가 교사에 비하여 기관의 산책로에 대한 상세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교사와 (학)부모의 응답을 통해서 기관의 주된 산책공간 은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근의 공원, 놀이터, 운동장, 숲이며, 차량으로 이동해야하는 시설의 이용은 적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5] 기관의 주된 바깥나들이(산책) 공간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와 (학)부모 공통 응답의 결과임

교사의 응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역, 기관유형, 아동의 연령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유치원은 어린이집에 비해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을 산책공간 으로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국공립유치원만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을 산 책로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국공립유치원이 초등학교 인근이나 초등학교 내에 위치한 경 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법인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인근 숲을 산책로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두 유형의 어린이집 이 다른 유형에 비하여 기타 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인근의 숲에 대한 접근성이 높기 때문으 로 보인다. 또한, 읍/면지역의 경우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변 숲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 지역의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 연령의 특성 및 발달로 인해 영아보다 유아가 다양한 지역을 산책로로 활용하고 있다.

<표 3-21> 기관의 주된 바깥나들이(산책) 공간 (교사 응답)

단위: %(명)

구분

도보로 이동 할 수 있는 인근 공원 및

놀이터

도보로 이동 할 수 있는 초등학교

운동장

도보로 이동할 수 있는 주변 숲

차량으로 이동해야 하는 시설

기타 계()

전체 64.5 15.9 10.9 4.4 4.3 100.0 (823)

지역

대도시 69.0 12.2 9.1 4.2 5.6 100.0 (287)

중소도시 70.9 11.4 9.4 4.0 4.3 100.0 (299)

/51.1 26.2 15.2 5.1 2.5 100.0 (237)

χ2(df) 40.168(8)***

기관

유치원 44.8 31.1 12.2 6.3 5.6 100.0 (411)

어린이집 84.2 0.7 9.7 2.4 2.9 100.0 (412)

χ2(df) 180.989(4)***

기관 유형 (유치원)

국공립 27.9 63.2 5.5 1.0 2.5 100.0 (201)

사립 61.0 0.5 18.6 11.4 8.6 100.0 (210)

기관 유형 (어린이집)

국공립 93.8 0.0 2.5 1.2 2.5 100.0 (81)

법인 60.9 1.4 24.6 7.2 5.8 100.0 (69)

민간 83.0 1.1 8.5 3.2 4.3 100.0 (94)

직장 77.3 1.5 18.2 0.0 3.0 100.0 (66)

가정 98.0 0.0 1.0 1.0 0.0 100.0 (102)

χ2(df) 552.145(24)***

담당 연령

영아 86.2 0.7 7.7 3.0 2.3 100.0 (298)

유아 52.2 24.6 12.8 5.1 5.3 100.0 (525)

χ2(df) 112.743(4)***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p < .001.

2) 기관 주변에 CCTV 또는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 설치 여부

기관 주변에 CCTV 혹은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의 설치 여부에 대하여 (학)부모와 교사 모두 에게 물어보았다. (학)부모의 54.6%와 교사의 36.7%가 CCTV나 스마트기술 설치 여부를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부모 모두 기관 주변에 CCTV나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이 설치된 경우가 20% 이하로 나타났다.

(학)부모의 응답은 유형별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사의 응답은 지역, 기관유형, 아동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대도시, 읍/면지역에 비하여 중소도시가 가장 낮은 설치비율 을 보였으며, 유치원보다는 어린이집 주변에 CCTV 또는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이 반영된 시설 이 더 많이 설치되어 있었다. 연령에 따른 차이는 영아가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기 때문으로, 시설 별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림 3-6] 기관 주변 CCTV 또는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 설치 여부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와 (학)부모 공통 응답의 결과임

<표 3-22> 기관 주변 CCTV 또는 범죄예방형 스마트기술 설치 여부

단위: %(명)

구분 교사 부모

예 아니오 모름 계() 예 아니오 모름 계()

전체 19.4 43.9 36.7 100.0 (823) 18.4 26.9 54.6 100.0 (412)

지역

대도시 21.6 39.4 39.0 100.0 (287) 18.1 24.8 57.0 100.0 (149)

중소도시 15.1 43.5 41.5 100.0 (299) 23.0 24.2 52.8 100.0 (161)

/22.4 49.8 27.8 100.0 (237) 11.8 34.3 53.9 100.0 (102)

χ2(df) 15.261(4)** 7.285(4)

기관

유치원 16.1 44.0 39.9 100.0 (411) 18.6 30.4 51.0 100.0 (102)

어린이집 22.8 43.7 33.5 100.0 (412) 18.4 25.8 55.8 100.0 (310)

χ2(df) 7.140(2)* 0.929(2)

연령

영아 24.8 43.0 32.2 100.0 (298) 17.9 26.9 55.2 100.0 (212)

유아 16.4 44.4 39.2 100.0 (525) 19.0 27.0 54.0 100.0 (200)

χ2(df) 9.628(2)** 0.092(2)

주: 1)본 연구의 교사와 (학)부모 공통 응답의 결과임 *p < .05, **p < .01

3) 기관 주변에 안전지킴이집(시설), 순찰대 설치 여부

다음으로는 기관 주변의 안전지킴이집이나 순찰대 등의 설치 여부를 물어보았다. 약 절반 정도 (48.8%)의 (학)부모가 안전지킴이집이나 순찰대의 설치 여부에 대하여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 나, 안전지킴이집이나 순찰대에 대한 부모 대상 홍보가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의 응답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49.9%의 교사가 기관 주변에 안전지킴이집과 순찰대가 설 치되어있다고 응답하였다. CCTV나 스마트 기술 관련 설치물이 20% 남짓이었던 것에 비하여 시 설이나 순찰대의 설치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설치여부는 기관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어린이집보다 유치원 인근에 더 많이 설치되어있었으나, 이를 세부유형으로 살펴 보니, 국공립유치원이 78.6%로 월등히 높았고 민간유치원의 경우 39.0%로 국공립, 민간, 직장, 가정어린이집 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경우는 법인어린이집으로 29.0%로 이는 법인어린이집의 대부분이 주택가나 기타 지역에 있어, 입지의 특성인 것으로 보인다.

[그림 3-7] 기관 주변에 안전지킴이집(시설), 순찰대 설치 여부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와 (학)부모 공통 응답의 결과임

<표 3-23> 기관 주변 아동 안전 지킴이집, 순찰대 유무

단위: %(명)

구분 교사 ()부모

예 아니오 모름 계() 있다 없다 모름 계() 전체 49.9 21.1 28.9 100.0 (823) 22.6 28.6 48.8 100.0 (412) 지역

대도시 50.2 19.2 30.7 100.0 (287) 30.9 21.5 47.7 100.0 (149)

중소도시 49.2 19.4 31.4 100.0 (299) 17.4 29.8 52.8 100.0 (161)

/50.6 25.7 23.6 100.0 (237) 18.6 37.3 44.1 100.0 (102)

χ2(df) 6.643(4) 13.581(4)**

기관

유치원 58.4 14.6 27.0 100.0 (411) 25.5 23.5 51.0 100.0 (102)

어린이집 41.5 27.7 30.8 100.0 (412) 21.6 30.3 48.1 100.0 (310)

χ2(df) 29.417(2)*** 1.8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