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기관 내부의 안전한 환경 (교사 문항)

다음으로는 교사를 대상으로 기관의 안전한 환경에 대하여 질의하였다. 기관의 환경에 대하여 교실/보육실, 화장실, 지원공간, 이동공간의 공간으로 구분하여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위험 상황 관리 체계를 추가로 문의하였다.

1) 교실/보육실 환경

기관의 교실/보육실 환경에 대하여는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질문하였다. 먼저 교육/보육실 환경의 시야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가구, 물품, 교구로 인한 사각지대가 있는지, 다른 교실이나 복 도에서 교실/보육실이 잘 보이는지, 창문 또는 출입문에 부착물이 있어서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 는지에 대하여 각각 82.0%, 91.1%, 91.3%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여 대부분의 교실/보육실이 개 방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실의 크기와 면적이 영유아 수에 적절한지에 대하여도 89.4%가 그렇다고 응답하였고, 교실/보육실이 위험하지 않게 정돈된 상태로 유지관리 되고 있다는 응답도 98.4%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대부분의 환경이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응답 중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은 문항은 가구, 물품, 교구로 인한 사각지대 유무(18%)로 나타났고,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고려할 때 교실 환경의 사각지대에 대한 주의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표 3-25> 기관의 교실/보육실 환경

단위: %(명)

문항 그렇다 그렇지 않다 계()

① 가구, 물품, 교구로 인한 사각지대가 있다 18.0 82.0 100.0(823)

② 다른 교실이나 복도에서 잘 볼 수 있다 91.1 8.9 100.0(823)

③ 창문 또는 출입문에 부착물이 있어 내부를 볼 수 없다 8.7 91.3 100.0(823)

④ 크기와 면적은 반의 유아 수에 적절하다 89.4 10.6 100.0(823)

⑤ 유아가 위험하지 않게 정돈된 상태로 유지관리 되고 있다 98.4 1.6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2) 화장실 환경

기관의 화장실 환경에 대하여는 교사가 밖에서 화장실 상황을 볼 수 있는지 여부와 성별의 구

분을 확인하였다. 86.4%의 기관의 화장실 환경은 교사가 유아용 화장실 상황을 볼 수 있고, 79.2%가 화장실의 성별이 구분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정어린이집의 85.3%는 화장실의 성별이 구분되어있지 않았고 교사가 화장실 상황을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부표 1-3> 참조). 가정어 린이집은 영아반이 많고, 영아의 발달특성 상 아직 기저귀를 떼지 않아, 혼자 화장실을 이용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낮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표 3-26> 기관의 유아용 화장실 환경

단위: %(명)

문항 그렇다 그렇지 않다 계()

① 교사가 밖에서 유아용 화장실 상황을 볼 수 있다 86.4 13.6 100.0(823)

② 남아용, 여아용으로 분리되어 있다 79.2 20.8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3) 지원공간(특별활동실, 급식실, 유희실) 환경

지원공간으로 특별활동실, 급식실, 유희실 환경을 살펴보았다. 먼저 지원공간의 개방성과 관련 하여 지원공간 환경의 시야확보에 대하여는 74.8%가 사각지대가 없고, 81.4%가 다른 교실이나 복도에서 잘 보이며, 88.2%가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지원공간의 개방성은 교실 /보육실과 비교하여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지원공간 환경의 적절한 사용 여부에 대하여 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응답이 80.1%, 건물 내부 상황을 확인하고 통제 가 가능한 위치 및 형태라는 응답이 91.4%, 개별공간의 목적에 부합하게 사용된다는 응답이 88.9%로 나타났다.

지원공간이 정돈된 상태로 유지관리 되고 있는 정도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교사가 지원 공간이 매우 정돈되거나(66.2%) 대체로 정돈된(30.4%) 상태로 유지관리 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표 3-27> 기관의 지원공간 환경

단위: %(명)

문항 그렇다 그렇지 않다 계()

① 가구, 물품, 교구로 인한 사각지대가 있다 25.2 74.8 100.0(823)

② 다른 교실이나 복도에서 잘 볼 수 있다 81.4 18.6 100.0(823)

③ 창문 또는 출입문에 부착물이 있어 내부를 볼 수 없다 11.8 88.2 100.0(823)

④ 사용하지 않는 경우 출입을 통제할 수 있다 80.1 19.9 100.0(823)

⑤ 다양하게 활용되어 건물 내부 상황을 확인 및 통제 가능한 위치/

태이다 91.4 8.6 100.0(823)

⑥ 개별공간의 목적에 부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88.9 11.1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그림 3-8] 기관의 지원공간 정돈 정도 (정돈된 상태로 유지관리 되고 있다: 평균 3.6점)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2) 평균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 2점, 대체로 그렇다 = 3점, 매우 그렇다 = 4점으로 평정한 값임.

4) 이동공간(출입문, 복도, 계단 등) 환경

다음으로는 출입문, 복도, 계단 등의 이동공간의 환경에 대하여 문의하였다. 대부분의 기관에 서 이동공간의 환경은 사각지대가 없는 단순한 구조이며(91.4%), 출입구가 내외부에서 잘 보이 고(94.2%)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의 시설이 출입구 근처에 별도의 방문객 대기공간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러한 환경은 가정어린이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32.4%). 이는 가정어린이집 의 공간적 특성으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부표 1-6> 참조).

<표 3-28> 기관의 이동공간 환경

단위: %(명)

문항 그렇다 그렇지 않다 없음 계()

① 사각지대가 없는 단순한 구조/형태이다 91.4 8.6 100.0(823)

② 출입구는 건물 내외부에서 잘 보이는 구조/위치이다 94.2 5.8 100.0(823)

③ 출입구 근처에는 방문객 대기공간이 지정되어 있다 77.0 23.0 100.0(823)

④ 옥상층, 지하층은 이용이 없는 경우 출입통제 장치가

있다 (없는 경우 없음이라 응답) 46.9 5.1 48.0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출입문, 복도, 계단 등의 이동공간의 위험성, 특히 아동학대 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에 대하여 질의하였더니, 4점 만점 중 평균 1.2점의 수준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86.5%)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나, 이동공간에서의 아동학대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3-9] 기관의 이동공간이 아동학대의 공간으로 활용될 가능성/위험성 (평균 1.2점)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2) 평균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 2점, 대체로 그렇다 = 3점, 매우 그렇다 = 4점으로 평정한 값임.

5) 위험상황 관리 체계

기관의 위험상황 관리체계에 대하여 건물의 출입구 상황과 내부 문제 및 위험상황 각각의 통제 체계여부를 확인하였다. 건물의 출입구 방향을 확인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추어져있다 는 응답은 4점 만점에 3.5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물 내부의 문제나 위험상황을 확인하거나 통 제할 수 있는 체계 역시 4점 만점에 3.4점으로 나타나 많은 기관에서 위험상황 관리 체계를 구축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3-29> 기관의 위험상황 관리 체계

단위: %(명)

문항 평균 표준편차 계()

① 건물의 출입구 상황(방문객 방문 등)을 확인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 있다 3.5 0.7 100.0(823)

② 건물 내부의 문제나 위험상황을 확인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체계가 갖춰져

있다 3.4 0.6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2) 평균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 2점, 대체로 그렇다 = 3점, 매우 그렇다 = 4점으로 평정한 값임

6)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 대응 매뉴얼

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 대응 매뉴얼에 대하여는 교사 대상 교육, 영유아 대상 교육, 학 부모대상 교육과 조기발견 관리/대응 매뉴얼 공유 및 숙지의 4가지 항목으로 질의하였다. 4점 만

점 중 교사 대상 교육은 3.9점, 영유아 교육은 3.8점, 학부모 교육은 3.7점 순으로 나타나 전반적 으로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에게 아동학대 조기발견 및 관리/대응 매뉴얼 공유 및 관리 역시 3.8점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표 3-30> 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 대응 매뉴얼

단위: %(명)

문항 평균 표준편차 계()

① 교사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예방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3.9 0.4 100.0(823)

② 영유아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예방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3.8 0.4 100.0(823)

③ 학부모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아동학대 예방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3.7 0.5 100.0(823)

④ 아동학대 조기발견 및 관리/대응 매뉴얼을 기관에서 교사들에게 공유

하고, 잘 숙지하도록 관리하고 있다 3.8 0.4 100.0(823)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2) 평균값은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 2점, 대체로 그렇다 = 3점, 매우 그렇다 = 4점으로 평정한 값임

나. 기관의 안전한 환경 ((학)부모 문항)

(학)부모를 대상으로 기관의 안전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문의하였다. (학)부모는 주출입구의 안 전성에 대하여 71.1%가 안전하다고 응답하였고, 건물 내외부가 잘 보이는 구조라는 응답에 56.1%의 동의, 건물 내외부가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는 응답에 63.8%가 동의하였다.

이는 교사의 응답의 수준(94.2%)과 상이하게 나타나, 교사와 (학)부모가 인식하는 기관의 안전 성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 3-31> 외부 사람들로부터 기관의 주 출입구 안전 여부

단위: %(명)

구분 그렇다 아니다 계()

① 기관의 주 출입구는 외부 사람들로부터 안전하다고 생각한다 71.1 28.9 100.0 (412)

② 기관은 건물 내외부가 잘 보이는 구조이다 56.1 43.9 100.0 (412)

③ 기관은 건물 내외부가 잘 보이는 위치에 있다 63.8 36.2 100.0 (412) 주:1) 본 연구의 (학)부모 응답의 결과임

다. 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조치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각각 기관에서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질문하였다. 교사의 응답을 살펴보면, 기관에서는 86.1%가 구성원의 법정 의무교육 준수를 하고

있었으며, 72.5%가 법정교육 외 구성원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도 아동학대 발생 시 조치에 대한 상세 매뉴얼/가이드를 공유(67.9%)하고 있었다. 다만 아동 학대 발생 시 유관기관과의 사후 대응 방안 연계는 47.6%만이 응답해,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 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10] 기관의 아동학대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조치 (복수 응답, 교사 문항) (단위: %)

주: 1) 본 연구의 교사 응답의 결과임

다음으로 기관의 구성원 중 하나인 (학)부모들에게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 교육을 실시한 적이 있는지 질의한 결과, ‘실시한 적 있다’고 명확히 응답한 (학)부모는 27.9%에 불과해 (학)부모교육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림 3-11] 아동학대 예방과 대응 관련 (학)부모교육 실시 여부 ((학)부모 문항) (단위: %)

주: 1) 본 연구의 (학)부모 응답의 결과임

다음은 교사와 (학)부모에게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아동학대의 주요 원인과 예방을 위해 필요한 지원은 무엇인지 질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