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조사 내용

2.3.3 호주국립도서관(NLA) 8)

호주국립도서관(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이하 NLA)은 건물 자체가 도 서관이라기보다는 미술관 혹은 박물관과 유사하게 도서관 입구 정면에서부터 설형문자와 기록을 의미하는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고, 로비에는 세 개의 커다 란 천으로 된 장식 벽걸이가 높이 걸려 있으며, 도서관의 창은 스테인드글라 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로비의 정면 1층에는 메인 리딩룸(Reading Room)이 있고, 홀을 따라 들어가다가 보면 왼쪽에 위치한 갤러리는 공간을 둘로 나누 어서 왼쪽은 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진귀한 물품들을 상설 전시하고 있으며, 나머지 한쪽에서는 매년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이는 NLA가 도서관과 기록 관 그리고 박물관의 기능이 융합된 라키비움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캔버라에 있는 NLA는 호주의회도서관에서 시작하여 1960년 국립도서관으로 승격하였으며, 호주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NLA는 호 주국가대표도서관으로 호주 및 호주 국민과 관련된 국가 장서를 구축하고 있 으며 국내외 다른 도서관 및 단체와 계약 및 협력을 통해 누구나 자료를 이용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컬렉션마다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고 납본, 기부 및 구매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그 결과, 600만 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신문, 원고, 영화 등 매체별 컬렉션과 아시아, 태 평양, 민속, 미술 등 주제별로 컬렉션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정책인

‘Service Charter’를 개발·도입하여 온·오프라인을 통해 이용자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Oral Collection의 경우, NLA의 통합 목록을 통해 검색이 가능하며, 원하는 정보는 검색 후 특수 열람실이나 ‘Trove’를 통하 여 이용할 수 있다.

▫ 역사

NLA는 1901년 의회도서관으로 시작하여 처음에는 멜버른에 위치하였으나

8) 호주국립도서관 홈페이지, https://www.nla.gov.au/

1927년 의회가 이전되면서 현재의 위치인 캔버라로 이전하였다. 1960년 의회 법이 개정됨에 따라 NLA는 의회도서관에서 분리되었으며, 1968년 8월 현재의 건물이 완공되면서 국가대표도서관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Oral History and Indigenous Program은 1950년대 Hazel de Berg가 인터뷰 한 자료를 기증한 것이 그 출발이었다. 이후 John Meredith의 민속자료가 추 가되면서 현재의 구술 및 민속 컬렉션의 배경이 되었다. 이후 1970년대에서부 터 1990년대 호주 유명인들의 경험, 삶 그리고 활동을 인터뷰하였으며, 대규모 의 사회사 인터뷰도 진행되어 현재 51,000시간 이상의 구술자료가 수집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 관련 법령

「National Library Act(1960)」가 제정됨에 따라 호주의회도서관에서 분리된 NLA는 현재 호주 정부의 위임을 받아 국가 장서를 구축하고 보존할 의무가 있 다. NLA는 관련 법에 따라 정책 수립, 도서관 위원회 구성, 장서개발, 조직형 성, 예산집행 등 그 기준에 따라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동법에 근거한 National Library Regulation을 수립하였으며, 해당 규정은 도서관 자료에 대한 수집, 접근, 사용 등을 기술하고 있다. 한편 NLA는 Communications and the Arts에 속하는 정부 기관으로 「Public Governance, Performance and Accountablilty Act(2013)」

의 영향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NLA는 「Copyright Law(1968)」에 따라 국 가가 지정한 법정납본도서관으로, 호주 내에서 출판된 모든 인쇄자료는 1부씩 의무적으로 NLA에 납본하도록 정하고 있다. 이때, 납본의 대상은 도서, 신문, 악보, 지도, 포스터, 연속간행물 등의 인쇄자료이다. 하지만 자료의 형태가 변 화와 디지털 자료의 증가에 따라 NLA는 디지털 자료까지 수집하기 위하여 2014년에 「Digital Legal Deposit(2014)」를 제정하였다. 이에 따라 NLA는 인 쇄자료 및 전자책을 비롯한 디지털 자료까지 납본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그러 나 구술자료는 미간행물로서 납본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기술하고 있어 인쇄자료 및 디지털자료와는 다른 특성의 자료로 구분하고 있다.

▫ 조직

NLA은 크게 다섯 개의 부서로 나누어져 있으며 구술 컬렉션은 Collection 아래 Oral History and Indigenous Program에 속해 있다. 총 부서의 인원은 12 명으로, 기획, 수집, 정리, 보존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 원을 살펴보면, Senior Curator 1명, 보존 전문가 4명과 수집, 정리, 기술, 서비 스 등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직 구성원으로 보았을 때 기획부터 보 존까지 한 부서에서 진행됨을 알 수 있다. 구술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외 부 인력으로는 100여 명으로 구성된 전문 면담자가 있으며, 이들은 면담자 리 스트를 통해 관리되고 있다.

▫ 아카이브

Oral History and Indigenous Program Collection은 호주 최대의 컬렉션을 보 유하고 있다. 호주 유명인들과의 구술사 인터뷰, 평범한 호주인들의 목소리를 포함하여 특별한 경험이나 주제에 대한 사회사 인터뷰, 호주인들의 전통적인 대중문화, 노래, 춤, 이야기들을 반영하는 민속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1950년 부터 시작하여 현재까지 총 51,000시간 이상의 녹음자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년 1,000시간 이상의 자료가 추가되고 있다. 대부분의 자료가 음성으로 수집 되며, 일부 자료는 영상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외 구술사 인터뷰뿐만 아니라 개인 일기, 사진, 강연, 연설 등 관련 문서자료도 함께 수집하고 있다. NLA에 서는 매년 10만 달러의 예산을 가지고 컬렉션을 확장하여 보존하고 있다.

컬렉션은 크게 네 가지 주제로 나눠질 수 있다. 첫 번째, 민속녹음이다. 호 주 원주민의 노래, 춤, 음악, 구전 이야기에서부터 현재 호주의 대중문화까지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두 번째로, 각 분야에서 국제적 명성을 가지고 있는 호주인의 인터뷰이다. 과학자, 작가, 예술가, 스포츠, 정치인 등 각자의 분야에서 저명한 호주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세 번째, 호주 전체에 큰 영향을 준 사회적 사건과 관련된 인물, 단체를 대상으로 컬렉션을 구성하고 있다. 실례로, 1920년대 대량 실업, 1992년 에이즈 확산으

로 인한 호주인의 대응 등과 같은 큰 사건에 영향을 미친 개인, 단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그 시대에 발행된 뉴스, 신문, 사진도 함께 수집하여 컬렉션 을 구축하고 있다. 네 번째로, 소리 컬렉션이 있다. 해변의 파도 소리, 희귀 동 물의 울음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녹음하여 소장하고 있다. 컬렉션은 통합 Catalog를 통해 검색이 가능하며, 온·오프라인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온라 인의 경우 Trove를 통해 서비스하고 있다.

▫ 수집

NLA은 주제 컬렉션에 따라 수집 정책을 달리하고 있다. Oral History and Indigenous Program Collection은 NLA 장서개발정책 아래 Unpublished Collection의 수집 정책을 따르고 있으며, Library Corporate Plan에 따라 결정 하고 있다. 수집 정책에는 Oral History and Folklore에 대한 정의, 수집 목적, 대상 범위, 접근 제한, 우선순위 등이 기술되어 있다.

Oral History and Indigenous Program Collection은 각계각층의 호주인 인터 뷰와 호주인들의 전통문화, 노래, 춤 등 민속기록을 수집하여 후세에 전승하는 것을 목표로, 그 범위를 한정하고 있다.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첫 번째, 한 분야에서 국가적 명성을 얻은 호주인, 두 번째 인종, 직업, 특정한 장소 거 주인, 소아마비 경험 등 같은 경험을 공유한 호주인의 기억과 경험을 공유하 는 사회사 인터뷰, 마지막으로 호주의 사회적, 언어적, 민족적 다양성을 반영 하는 민속자료가 포함된다.

NLA는 지금까지 기록을 남길 수 없었던 소외된 사람과 사건, 문헌기록이 담아낼 수 없었던 삶과 경험을 찾아서 인터뷰하고 침묵 및 감정을 담는 소리 등을 수집하여 음원, 문서화 하는 것을 주요한 수집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자체 구술사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수집하고 있으며, 국가적 컬렉션을 구 축하기 위한 세 가지 원칙을 반영하고 있다. 첫째, 미래에 중요한 자원이 될만 한 것을 수집한다. 둘째, 지역사회를 국가적 컬렉션에 연결시킨다. 셋째, 문화 적 컬렉션의 국가적 영향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다른 기관과 협력한다. 이처 럼 NLA는 세 가지 원칙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여 기획하고 수집하고 있다. 예

를 들어 Australian Generation Project는 3년이 걸린 자체 구술사 프로젝트이 다. 2년간 기획하여 실제 채록은 1년이 걸렸으며, 면담자와 1대1 계약을 통해 위탁 운영되었다. 면담자에게는 시간당 100달러와 여비, 조사 시간에 대한 추 가 비용이 지급되는 반면 구술자들에게는 인터뷰 사례를 지급하지 않는다. 생 산된 구술자료에 대한 접근은 구술자의 요구 사항에 따라 면담자가 접근에 대 한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면담자는 구술자가 사망할 때까지 일정 기간 동안 열람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일부 자료의 경우 비공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장서 정책에는 협력 및 타 기관 지원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첫째, 중복 수집을 피하기 위하여 타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 인 협력을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NLA의 경우 호주 방송위원회, 전쟁기 념관, 국립 영화 및 음향 자료 아카이브, 국립기록원, 호주 원주민 연구소 및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아카이브와 협력을 하고 있다. 둘째, 구술사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자신들 만의 구술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려하는 것이다. 셋째, 구술자료의 디지털화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형식의 자료를 권장 및 장려하고

이 외에도 장서 정책에는 협력 및 타 기관 지원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첫째, 중복 수집을 피하기 위하여 타 기관과의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 인 협력을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NLA의 경우 호주 방송위원회, 전쟁기 념관, 국립 영화 및 음향 자료 아카이브, 국립기록원, 호주 원주민 연구소 및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아카이브와 협력을 하고 있다. 둘째, 구술사 프로그램을 처음 시작하는 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자신들 만의 구술사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장려하는 것이다. 셋째, 구술자료의 디지털화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형식의 자료를 권장 및 장려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