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대표성

국립중앙도서관의 종합관리체계 방안

3.3 국립중앙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구축

3.3.2 국립중앙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대표성

▫ 구술자료의 정리 및 기술 표준화

가) 상황진단

현재 구술자료의 정리 및 기술 표준 지침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는 모든 구술채록기관들이 개별적으로 정리 및 기술을 진행해왔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관들은 구술자료의 공유나 활용에는 큰 관심이 없어서 표준화를 할 의향이 없는 상황이다. 구술자료의 정리 및 기술의 표준화는 구술자료의 조직화와 검 색, 활용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므로 국립중앙도서관이 선도적으로 이를 준비해 야 한다.

나) 추진방향

앞으로 전국적으로 구술자료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구술사업 결과물에라도 적용할 수 있는 구술자료의 정리 및 기술 표준 지침서 를 개발해야 한다. 구술자료의 정리 및 기술을 적절히 하고 원활한 검색 및 활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구술 자료의 분류 및 시소러스 구축, 구술자료 기 술(description) 및 표준 메타데이터(속성)를 개발해야 하며 이를 전국 도서관에 보급할 수 있어야 한다.

▫ 구술사 관련 교육과정(일반, 전문) 개설과 교육지침 제작 및 배포

가) 상황진단

현재 구술 관련 교육과정이 대학교나 유관기관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쉽게 접할 수 있는 교육 지침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공공도서관에서 구술채록을 시작하는데 힘든 상황이다.

나) 추진방향

우선 구술채록 단기 교육과정을 사서 대상으로 개설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교육과정의 교재를 기반으로 구술사에 관해 기초적인 내용부터 구술자료 기획과 수집, 관리와 활용에 이르는 전(全) 과정에 대한 교육지침서를 제작하 여 우선 도서관을 중심으로 배포해 나가야 한다. 또한 구술채록을 수행한 공 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사례집을 발간하여 도서관에 배포하여 구술자료 수집에 대한 자신감과 사명의식을 키워줘야 할 것이다.

▫ 구술자료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인적 인프라 마련

가) 상황진단

국립중앙도서관에는 구술자료 관리 전문인력이 부재한 상황인데, 이는 구 술자료가 전무한 상황에서 당연한 결과이다.

나) 추진방향

무엇보다도 구술자료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전문인력 채용이 시급하다. 이 를 위해서는 국립중앙도서관 내의 구술자료 수집 및 관리를 어느 부서에서 맡 을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구술자료 수집 및 관리를 위한 조직 개편 또는 신설이 필수적이다. 구술자료 관련하여 확충해야 할 전문인력으로는 기 록연구사, 학예연구사, 사서, 보존전문가, 전산 등 구술자료 수집단계부터 정 리, 기술, 보존, 서비스 등 자료 관리 및 활용에 이르는 과정을 유기적으로 수 행하기 위한 전문인력들이 모두 포함된다. 이와 함께 구술자료 관리 관련 전 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해외 국가대표도서관 구술사 컬렉션 사례조사, 구술 면담자, 시민채록단으로 구성된 구술채록전문가 집단 양성, 도서관의 구술자료 를 갖고 진행되는 정기 포럼이나 워크숍을 개최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 구술자료 관리 및 보존 환경 개선

가) 상황진단

현재 전국적으로 구술자료 관리 및 보존 시설이 미비한 편이다. 특히 개인 들이 개별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구술자료 결과물은 개별적으로 관리 및 보존 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정보 기술 환경은 구술자료의 결과물에 있어서도 마이그레이션을 지속적으로 필요 로 하는데, 이것을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은 없는 상황이다.

나) 추진방향

우선 국립중앙도서관 내 구술자료 관리 및 보존 시설을 확충하여 구술자료 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 연구자들의 기증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구술자료 수 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술자료 제작실을 마련하여 구술자들이 언 제라도 구술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구술자료의 열람을 자유 롭게 할 수 있는 공간과 온도와 습도가 매체별로 제공되는 충분한 수장고 등

을 설치하여야 한다. 더불어 구술자료 장기보존 장비, 보존용품 및 기타 시설 을 확충하는 구술자료의 장기보존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특히 구술자료의 장기보존을 위한 구술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은 필수적이 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구술자료에 대한 온라인 검색 및 접근은 물론 구술자 료 등록, 관리, 서비스 등 각 단계별 처리자 접근 권한 설정, 구술자료 생산기 관의 구술자료 링크나 검색 기능 탑재, 이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 구현까지 가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