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함수의 극값

문서에서 미적분학 첫걸음 2022년판 (PDF 파일) (페이지 121-124)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리 4. 함수 가 열린구간

에서 미분 가능하다고 하자. 만약 ∈

이고 가 에서 극값을 가지 면  ′  이다.

함수 의 정의역에 속하는 점 중에서 의 미분계수가 이거나 가 미분 불가능한 점을 의 임계점 (critical point)이라고 부른다. 정리 4에 의하면 닫힌구간에서 정의된 함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려 면 구간의 끝점과 의 임계점에서만 의 함숫값을 조사하면 된다.

보기 3. 구간     에서   이라고 정의된 함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 보자.

함수 의 도함수는  ′  이므로  ′  인 점은    뿐이다. 즉 의 임계점은  뿐이다.

이제 구간의 끝점과 의 임계점에서 의 함숫값을 구하자.

    ,   ,   .

이 중에서 가장 큰 값은 이며, 가장 작은 값은 이다.

그러므로 함수 는 에서 최솟값 을 가지며, 에서 최댓값 를 가진다.

보기 4. 함수    를 살펴보자.  ′   이므로 모든 에 대하여  ′  이 다. 그러므로 는 어떤 점에서도 극값을 갖지 않는다.

보기 5. 함수   을 살펴보자. ′  이므로 ′  인 점은    뿐이다. 그러나

 일 때

이므로 는 모든 곳에서 순증가하는 함수이다. 즉 는 에서 극값을 갖 지 않는다. 이 예를 통해 정리 4의 역이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함수가 미분 가능하면 극값을 갖는 점에서 미분계수가 이다. 그러나 미분계수가 이라고 해서 함수가 그 점에서 반드시 극값을 갖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몇 가지 조건이 추가되면 미분계수가 인 점에서 함수가 극값을 가진다.

함수 가 열린구간

에서 미분 가능하고 ∈

이며  ′  이라고 하자.

∙ 만약 점 의 좌우에서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의 좌우에서 순증가하다가 순감소하 므로 에서 극댓값을 가진다.

∙ 만약 점 의 좌우에서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의 좌우에서 순감소하다가 순증가하 므로 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따라서 미분 가능한 함수 가 점 에서 극값을 갖는지 여부는  ′의 부호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판정할 수 있다.

정리 5. 함수 가 열린구간

에서 미분 가능하고 ∈

이며  ′  이라고 하자.

(1) 만약 의 좌우에서 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뀌면 는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가진다.

(2) 만약 의 좌우에서  ′의 부호가 음에서 양으로 바뀌면 는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가진다.

보기 6. 함수    의 극값을 구해 보자.

 ′           

이므로 ′  인 점은   과    뿐이다.

  일 때 ′  이고      일 때 ′  이므로 는   에서 극댓값을 가진다.

     일 때 ′  이고   일 때 ′  이므로 는   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보기 7. 구간  에서 정의된 함수    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 보자.

 ′      이므로  ′  인 점은    뿐이다.

  일 때  ′  이고,   일 때  ′  이므로 는   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이제 구간의 양 끝점인 , 과 의 미분계수가 인 점 에서 의 함숫값을 비교하자.

     ,      ,    이므로 는 에서 최솟값 을 가지며, 에서 최댓값 를 가진다.

이계도함수를 사용하여 함수의 극대와 극소를 판정해 보자.

함수 가 열린구간

에서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고 ∈

이며  ′  이라고 하자.

∙ 만약  ″  이면 이계도함수의 연속성에 의하여 이 아니면서 에 가까운 에 대하여 열린구간

     에서  ″  이 성립한다. 이때 열린구간      에서  ′은 순감소하고

 ′    이므로 의 좌우에서 ′의 부호가 양에서 음으로 바뀐다. 따라서 는 에서 극대이다.

∙ 같은 방법으로, 만약  ″  이면 함수 가 에서 극소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리 6. 함수 가 열린구간

에서 연속인 이계도함수를 갖고 ∈

이며  ′  이라고 하자.

(1) 만약  ″  이면 는 에서 극대이고, 극댓값 를 가진다.

(2) 만약  ″  이면 는 에서 극소이고, 극솟값 를 가진다.

보기 8. 함수    를 살펴보자.

 ′           

이므로 ′  인 점은   과    뿐이다. 그런데

″    

이므로 ″   이고 ″  이다.

그러므로 함수 는  에서 극댓값 를 가지며, 에서 극솟값  를 가진다.

문서에서 미적분학 첫걸음 2022년판 (PDF 파일) (페이지 12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