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

문서에서 미적분학 첫걸음 2022년판 (PDF 파일) (페이지 127-132)

함수   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조사하여 그릴 수 있다.

①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② 곡선과 좌표축의 교점 ③ 곡선의 대칭성과 주기

④ 함수의 증가와 감소, 극대와 극소 ⑤ 그래프가 볼록한 방향, 변곡점 ⑥ 그래프의 점근선

보기 14. 함수    의 그래프를 그려 보자. 의 함수식을 인수분해하면

      

이다. 의 도함수를 구하면

 ′         ,

 ″          

이다. 여기서   ,  ′  ,  ″  인 점 를 구하고 이 점을 기준으로 의 증가와 감 소를 표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표를 바탕으로   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이 함수는  에서 최솟값  을 가지며 최댓값은 갖지 않는다. 함수   의 그래프는

  인 범위와   인 범위에서 아래쪽으로 볼록하며,      인 범위에서 위쪽으로 볼록 하다. 또한 이 그래프의 변곡점은    과  이다.

한편 함수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고, 임의의 실수 , 에 대하여

lim

 → ∞

       ∞,

lim

 →  ∞

       ∞ 이므로,   의 그래프는 점근선을 갖지 않는다.

보기 15. 함수    

 의 그래프를 그려 보자.

의 정의역이 실수 전체 집합이고   이므로,   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난다.

또한    이므로   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그러므로  ≥ 일 때 의 그래프의 모양만 조사하면 충분하다.

 ′    

 

 

,  ″  

 



 

이므로  ′   또는  ″  인 점 를 구하고 이 점을 기준으로 의 증가와 감소를 표로 만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또한

lim

 → ∞ 

  

이므로   의 그래프의 점근선은 축이다. 가 모든 실수에서 연속이므로   의 그래프 는 수직점근선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함수   의 그래프를 그리면 다음과 같다.

이 함수는 에서 최댓값 을 갖고  에서 최솟값  을 가진다. 또한   의 그래프의 변곡점 은 세 점

   

,  ,

  

이다.

연습문제

개념에 익숙해지기 위한 문제

1. 함수 가 실수 전체 구간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을 때, 함수 의 극값을 모두 구하시오.

(1)       (2)   

     (3)        

2. 함수 가 닫힌구간     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      이때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3. 함수 와 구간

가 다음과 같을 때, 구간

에서 함수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1)     ,

   

(2)   

     ,

   

(3)       ,

   

(4)      ,

  

4. 열린구간  에서 함수     cos 의 그래프가 위쪽으로 볼록한 의 범위를 구하시오.

5. 함수 가 열린구간  에서   sin 라고 정의되어 있을 때, 의 그래프의 변곡점을 모두 구하시오.

6. 함수 가    라고 정의되어 있을 때, 닫힌구간     에서 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시오.

7. 다음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시오.

(1)   

   

(2)     

8. 다음 함수의 그래프의 사선점근선을 구하시오.

(1)     

(2)     

 

(3)     

 

(4)     

 

(5)   

 

(6)   

 

극한을 계산하지 않고 분수함수의 사선점근선을 구하는 방법이 존재하는가?

개념을 다지기 위한 문제

9.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    의 최솟값이  일 때, 상수 의 값을 구하 시오.

10. [ 이상인 모든 에 대하여     ]을 만족시키는 양수 를 구하시오.

11. 함수 가       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때 닫힌구간    에서 가 순증가 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2. 함수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       

이때 닫힌구간     에서 함수 가 순증가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3. 함수 가       라고 정의되어 있고, 닫힌구간     에서 의 최댓값이  이다. 이때 구간     에서 의 최솟값을 구하시오.

14. [ ≥ 인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5. 함수 와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      그리고      .

구간     의 모든 점 에 대하여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6. 함수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      그리고    .

이때 [모든 실수 에 대하여   ]가 성립하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7. 함수 가       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때 함수 가 열린구간   에서 극댓값과 극솟값을 모두 갖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18. 에 대한 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개의 근을 갖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문제

19. 에 대한 방정식       가 서로 다른 두 양의 근과 하나의 음의 근을 갖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0. 에 대한 방정식      이 서로 다른 두 양의 근과 하나의 음의 근을 갖도록 하는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1. 함수 가     라고 정의되어 있고 와 는 상수이며   이다. 또한 닫힌구간

    에서 의 최댓값은 이고 최솟값은  이다. 이때   의 값을 구하시오.

22. 함수 가       이라고 정의되어 있고, 이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합이

이다. 이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3. 함수 가       라고 정의되어 있고 는 상수이다. 또한 함수 가 극댓값

과 극솟값 을 가지며

 이다. 이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4. 함수 가         이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열린구간    에서 극 댓값을 갖고 열린구간   ∞에서 극솟값을 가진다. 이때 상수 의 값을 구하시오.

25.

가 길이가 양수인 열린구간이고 가

에서 정의된 함수라고 하자. 만약

의 임의의 점 에 대하 여 ∈

인 열린구간

가 존재하여 가

에서 상수함수이면, “가

에서 국소적으로 상수이 다”라고 말한다. 함수 가 구간

에서 국소적으로 상수이면, 는

에서 상수함수임을 보이시오.

더 깊이 공부하고 싶은 사람을 위한 문제

26.   을 만족시키는 서로 다른 자연수 , 의 쌍을 모두 구하시오.

27. 함수 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   

  if  ≠ if   

(1) 가 ℝ에서 연속임을 보이시오.

(2) 가 ℝ에서 미분 가능함을 보이시오.

(3)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의 계도함수  이 존재함을 보이시오.

(4)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 임을 보이시오.

28. 함수 가 미분 가능할 때 는 연속이지만 도함수  ′은 연속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가 미분 가능할 때  ′은 항상 사잇값 성질을 가진다. 가 닫힌구간    에서 연속이고 열린구간  

에서 미분 가능하며  ′≠  ′라고 하자. 만약 이  ′와  ′ 사이에 있는 점이라면

 ′

 을 만족시키는 점 이 열린구간  에 존재함을 보이시오. 이 정리를 다르부의 정리 (Darboux's theorem) 또는 도함수의 사잇값 성질(intermediate value property)이라고 부른다.

29.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함수 의 예를 드시오.

(ⅰ) 함수 는 열린구간   에서 정의되어 있고, 이 구간에서 연속이다.

(ⅱ) 함수 는 에서 미분 가능하고  ′  이다.

(ⅲ) 열린구간

가 ∈

⊂   을 만족시키면, 함수 는

에서 단조증가함수가 아니다.

열 번째 이야기

문서에서 미적분학 첫걸음 2022년판 (PDF 파일) (페이지 127-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