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 어휘 유형별 지도방안

4.2. 한자어

국어 어휘에서 한자어의 비중은 절대적이다. 인명, 지명은 물론 사물의 명칭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이 한자어다. 그것은 역사적, 지리 적으로 볼 때에 중국과 인접한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특성인데 이는 개화기에 일본에서 전래된 어휘들도 일본어 어휘보다 일본에 서 만들어진 한자어 어휘가 많은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한자어란 한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단어들(김광해, 1993)을 말하 는데 이것은 한자어가 단순히 중국어와 등식을 이루는 관계가 아니 라는 의미를 내포한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가 일치할 수 없었던 시 대에서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자어는 우리말과 비슷한 위 치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자어는 일본어 어휘나 영어를 비롯한 서구 외래어 어휘와는 다 른 차원에서 이해해야 한다. 일본어 어휘는 일제강점기하 일본의 언 어정책에 의해, 서구 외래어는 무분별한 사용과 급격히 밀려오는 신 문물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사이에 국어에 자리잡았다.

그런데 일본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어휘에 대해서는 또다른 잣대 를 필요로 한다. 일본은 한국이나 중국과 비교할 때 먼저 서구에 대 해 문호를 개방했고 그에 따라 신문물도 빨리 받아들였다. 그런 이 유로 중국 역시 20세기의 시작을 전후한 시기에 등장한 신문물에 대해서는 일본의 한자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의 일본어 어 휘는 배척의 대상이라고 할 수 없다. 우리 스스로 개화하고 근대화 를 이루지 못한 이유이기에 안타깝지만 일면 고마움을 가질 수 있 는 경우이다.

한자어는 국어와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한글이 보편화되

기 전의 것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자어 교육은 지금까지도 그래왔듯 외국어 교육의 차원이 아닌 조상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도구이다. 특히 한자어는 양반으로 대표되는 상층 귀족문화에 대한 이해에 큰 의의가 있다. 현대와는 달리 과거의 상층이라 하면 경제 적인 것뿐만 아니라 사상적인 것과 크게 연관성을 갖는데 이것은 우리 전통문화의 전 영역에 걸쳐 영향력을 행사하는 유불선(儒佛仙) 과 깊은 관계가 있다.

한자어는 고유어만으로 그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없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값 : 가치-금액-가격-대가 글 : 문자-문장-문서 옷 : 의류-의상-의복-피복

생각 : 소감-상념-사상-이념-의식-견해-의견-의중-의사-의향 -의도-심중

생각하다 : 사고하다-사색하다-사유하다-고려하다-고찰하다 -궁리하다-구상하다

이를 통해 고유어는 다의어의 모습을, 한자어는 유의어가 군(群) 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한자어군(漢子語群)은 상황에 따라 그 경계가 매우 유동적이다. 한자어를 개개의 어휘만으로 파악 할 수 없는 학습자라 하더라도 짧은 문장을 만들어 보면 그 쓰임새 가 달라지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값’을 쓰는 경우인 “그 정도 ( )은/는 치뤄야지!”의 경우 ‘대가’ 하나만이 어색하지 않다.

다음은 고유어 ‘생각’과 바꾸어 쓸 수 있는 한자어들이 문장에서

쓰인 예이다.

소감 : 이 영화를 본 너의 소감을 적어서 제출해라.

의식 : 그 사람이 의식 있는 사람인지 매우 의심스럽다.

의견 : 다른 사람에게선 다 들었으니 이제 너의 의견을 말해 보아라.

의중 : 평소에도 말이 없는 사람이라 의중을 알기 힘들어.

위의 예는 모두 고유어 ‘생각’과 바꾸어 볼 수 있으나 한자어들끼 리는 서로 바꿀 경우 어색하거나 의미가 달라진다. 그 쓰임새가 매 우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의견’과 ‘의중’처럼 미묘한 차이는 있지만 서로 바꿀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의견 → 의중 :

다른 사람에게선 다 들었으니 이제 너의 의중을 말해 보아라.

이런 방법을 통한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응관계를 밝히는 학습은 어휘의 정확한 사용에 큰 도움을 주며, 왜 한자어가 외래어와는 다 른 위상을 갖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그 외에도 국어에서 차지하는 양(量)과 전통 계승 측면, 앞으로 계속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에 한자어에 대한 특 별한 이해와 충분한 학습이 필요하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