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도 대상 어휘

2. 어휘 교육 이론

2.3. 지도 대상 어휘

지도 대상 어휘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도 대상 어휘의 대략적인 범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김광해(1993)는 어휘를 일차 어휘와 이차 어휘로 구분하여 인간이 성장 하면서 획득하는 어휘를 습득의 측면과 관련하여서 일차 어휘, 학습의 측 면과 관련하여서는 이차 어휘라고 하였다. 그리고 학습 기본 어휘에는 일 차 어휘와 이차 어휘가 모두 해당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차 어휘 로 처리될 수 있는 어휘들은 고등 교육에서 추구하는 바 지식의 확대 문 제에 직결되는 어휘, 즉 지적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어휘이므로 이들 이 차 어휘를 중심으로 어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일차 어휘와 이차 어휘는 각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 일차 어휘와 이차 어휘의 특징 >

어휘를 습득의 차원과 학습의 차원으로 나누어서 일차 어휘와 이차 어 휘로 구분한 것은 일면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실제로 어휘의 획득 이 습득의 결과인지 학습의 결과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차 어휘에 포함을 시켜야 할 것인가, 아니 면 이차 어휘에 포함을 시켜야 할 것인가 판단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 이다. 그리고 이차 어휘의 특징으로 ‘언중에게 공유된 것이라기보다는 나 뉘어진 전문분야에 따라 분포가 한정된다’는 것과 ‘어휘의 의미 영역이 협소하며 용법상의 제약이 존재하며 전문적이고 특수한 용법으로 사용되 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는데, 그렇다면 일상 생활에서의 언 어 사용 기능의 신장을 목표로 하는 국어과 교육에서 특정 전문 분야로 그 분포가 제한된 어휘를 중심으로 어휘 지도를 하는 것이 과연 타당한 것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특정 전문 분야로 그 분포가 제한된 어휘는 국어과에서 가르치는 것보다 해당 전문 분야에 서 가르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일 것이다. ‘언중 전체의 공동 자산으로서 기본적인 통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되며, 어휘의 의미 영역이 광범위하여 전문적인 의미 내용보다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의미 내용을 지니는’ 일 차 어휘가 오히려 일상 생활에서의 언어 사용기능의 신장을 위해서는 더 필수적이며, 따라서 이차 어휘보다는 일차 어휘가 국어과의 지도 대상 어 휘의 중심이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런데 문제는 일차 어휘를 체계적인 교육 활동이나 전문적인 훈련과 관계없이 일상 생활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어과에서의 일차 어휘 지도는 불필요한 것이 된다.

이에 대해 손영애(1992)는 국어과 교육은 일반 보통 교육으로서 일상 생활에서의 효과적이고 원만한 언어 생활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기 때문 에, 국어과에서는 일상 생활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어휘의 정확한 의미

역시 지도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리고 언어 감각의 세련과, 정확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기르기 위해서도 일차 어휘는 어휘 지도의 대상이 되어 야 할 것이며, 이차 어휘의 지도는 도구 교과로서의 국어과의 성격을 더 욱 뚜렷하게 부각시킬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주장을 따른다면 지도 대상 어휘의 범위가 또다시 매우 불분명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차 어휘가 일상 생활 속에서 습득된다고 하나 학교에서의 어휘 지도는 실상을 점검하며 더욱 활성화되도록 자극과 촉매가 될 수 있 을 것이다. 그리고 이차 어휘 지도는 일차 어휘 지도를 바탕으로, 또 한 그와 병행하여 전통 문화와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고 깊이 있는 교양을 쌓아 나갈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 3장에서 일상 생활어 외에 전문 분야어를 다루는 것은 이에 따르는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