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Baldwin과 Ford(1988)는 “학습자특성 요인들은 능력(ability),기술(skill),동기(motivation), 성격(personality)등을 포함하는 개념”(Baldwin& Ford,1988,p.64)이라고 정의하였다.이들 의 제안에 따라,이후의 많은 연구들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이 교육훈련 전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가정하고,다양한 변인들을 교육훈련 전이 모형에 포함시켰다.이는 개 인의 능력,또는 동기적 요인이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심리학 연구의 기본적인 개념화에 근거하고 있다(Sackett,Gruys& Ellingson,1998).

위와 같은 개념화에 따라,학습자의 성격요인,인지적 능력,자기효능감,학습동기,성별, 나이 등이 교육훈련 전이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다.또한,특정 조직 또는 직무와 관련된 변인들 또한 언급되었는데,조직몰입,직무몰입,경력몰입,경력탐 색,경력계획 등의 수준이 교육훈련 전이라는 행동을 설명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안되었고 실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검증되기도 하였다.

한편,Locke와 Latham(2004)은 그간의 업무 동기(workmotivation)와 관련된 이론을 정 립하기 위해 다양한 동기이론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특정 행동에 대한 동기적 요인들은 일반적인 특성(generaltrait)과 상황특수적(situationallyspecific)요인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그 연구에서는 각 개념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았지만,여기서 일반적 동기 요인은 성격,일반적 자기효능감,A형 성격,숙련욕구,자아존중감 등과 같이 비교적 변하지 않는 개인의 속성을 의미하며,상황특수적 동기 요인은 특정 과업이나 상황에 초점

을 두고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교육훈련 전이와 관련된 학습자특성 요인 중 에 성격요인,인지적 능력,자기효능감과 같은 변인들은 일반적 특성 요인에 해당하며,조직 몰입,직무몰입,경력몰입과 같은 변인들이 상황특수적 동기 요인에 해당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교육훈련 전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학습자특성 요인들은,주로 성격요인,일반 적 자기효능감,학습동기,통제소재(locusofcontrol)등 일반적인 동기 요인들이 교육훈련 전이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확인하였고,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에서는 교육훈련 참가자,즉 학습자들의 일반적인 동기 요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학습동기를 향상시켜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물론,이론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개인의 일반적인 특성 요인의 역할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연구 성과임에 틀림없고,또한,HRD의 영역이 교육훈련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경력개발,조직개발,수행관리의 영역까지 확장(Gilley,Eggland& Gilley,2002) 되었다는 관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교육훈련 전이 연구가 특정한 기간, 즉 교육훈련 실행 전,중,후에 한정되어 있으며,HRD 담당자로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된다는 측면에서,자기효능감,성격요인 등의 영향요인을 제안하는 것은 다소 현 실적이지 못하다.다시 말해서,일반적인 동기 요인들을 연구에 포함시키는 것은 HRD 현장 에 현실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맹점을 갖는다.

위와 같은 논의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특성 요인에 포함될 변인을 선정함에 있어, 두 가지 기준을 적용하였다.①첫째,통합적 문헌고찰,또는 메타연구에서 교육훈련 전이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변인을 선정하였다.이는 다양한 변인들 중에서 HRD 현장 에서 중점적으로 관심을 두어야 하는 변인들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였다.②둘째,앞의 기준에 의해 선정된 변인 중 상황특수적(situationally specific)동기 요인들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 교육훈련을 담당한 HRD 담당자가 접근 가능한 요인에 초점을 맞출 수 있 게 하여 현실적인 제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학습자특성 요인을 선정하기 위한 첫 번째 기준은 통합적 문헌고찰,또는 메타연구에서 교육훈련 전이를 강력하게 설명하는 변인들을 선정하는 것이다.그동안 교육훈련 전이 이론 을 종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지만,각 변인들이 교육훈련 전이 또는 전이동기 를 얼마만큼 잘 설명하는지에 대해 구분한 4개 연구(Colquitt,LePine& Noe,2000;Burke

& Hutchins,2007;Blume,Ford,Baldwin& Huang,2010;김진모,곽재덕,이유진,2010)를 선정하였으며,국외 연구 뿐 아니라 국내 연구의 맥락을 반영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를 종 합한 연구를 함께 포함시켰다.

먼저,Colquitt,LePine과 Noe(2000)는 교육훈련 동기에 대한 통합적 이론을 제시하기 위 해 교육훈련 전이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메타분석적 경로분석(meta-analytic path analysis)를 통해 규명하였다.이들은 교육훈련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개인적 특성 요인과 상황적 특성,그리고 학습성과로 구분하고,다양한 문헌 고찰을 통해 교육훈련 동기 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선정하였다.먼저,개인적 특성 변인에서는 통제소재,성실성,성 취동기,불안감,직무몰입,조직몰입,경력몰입,경력탐색,경력계획,유인가,교육훈련전 자기 효능감,학습동기,인지적 능력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학습성과 변인 중 에서는 절차적 지식(declarativeknowledge),기술습득(skillacquisition),교육훈련 후 자기효 능감,반응이 포함되었다.각 변인의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메타분석 결과,유인가(rc=.70), 기술습득(rc=.69),학습동기(rc=.58),교육훈련 후 자기효능감(rc=.50),교육훈련 전 자기효능감 (rc=.47),조직몰입(rc=.45),인지적 능력(rc=.39),절차적 지식(rc=.38),경력계획(rc=.29),성실성 (rc=.29),통제소재(rc=.27),경력탐색(rc=.22)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음으로,Burke와 Hutchins(2007)는 Torraco(2005)의 통합적 문헌고찰의 방법을 활용하 여 교육훈련 전이의 영향요인을 규명한 연구들을 종합하였는데,학습자특성 요인,개입설계 및 전달 요인,업무환경 요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질적으 로 연구하였다.이들은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특성 요인을 인지적 능력,자 기효능감,동기(교육훈련 전 동기,학습동기,전이동기,내재/외재적 동기),성격(불안감,성실 성,개방성,외향성),인식된 유용성,경력계획,조직몰입,통제소재의 14개로 설정하였다.그 들은 각 변인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물들에 대한 질적인 분석을 통해 ‘강하거나 보통 이상의 관계(strong ormoderaterelationshipwith transfer)’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된 8개 변인을 인지적 능력,자기효능감,교육훈련 전 동기,불암감,개방성,인식된 유용성,경력계획,조직 몰입으로 선정하였다.

한편,Blume,Ford,Baldwin과 Huang(2010)은 그간의 교육훈련 전이 연구들이 수없이 이 루어졌지만 전이 측정에 있어서의 비일관성,그리고 연구결과의 혼재로 인해 전이문제가 지 속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89개의 실증적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그들은 전이 관련 요인을 피훈련자 특성(traineecharacteristics),업무 환경(workenvironment),교 육훈련 개입(traininginterventions)으로 구분하였으며,피훈련자 특성으로 나이,성별,학력, 경험,인지적 능력,성실성,신경증(neuroticism),호감성(agreeableness),외향성,개방성,통 제소재,학습목표지향성,성과목표지향성,교육훈련전 자기효능감,동기,자발적참여,직무몰 입(jobinvolvement)으로 선정하였다.이들은 연구의 주요한 목적으로 동일측정자 또는 동일 방법측정 방식(same-sourceandsamemeasurment-context,SS/SMC)의 연구가 영향력을

과대추정할 것이라는 점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시켰는데,동일방법측정방식에 의한 효과를 배제하였을 때에도 인지적 능력(ρ=.37),성실성(ρ=.28),자발적 참여(ρ=.34)는 교육훈련 전이 와 보통 이상의(moderate)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국내의 맥락에서 김진모,곽재덕,이유진(2010)은 현장에서 효과가 가장 크며 적용 가능한 교육훈련 전이촉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26편의 국내․외 실증연구를 질적으 로 분석하였으며,Caffarella(2002)가 제시한 개념적 틀을 활용하여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을 시점에 따라 프로그램 운영 전,중,후로 구분하고,교육훈련 담당자 및 교수자특성 요 인,학습자특성 요인,조직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다양한 실증연구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특성 요인으로는 교육훈련 참여자의 심리적 특성,반응,학습,메타인지,자기효 능감,자기조절학습능력,학습동기,전이동기,전이능력,과제가치,지속적 학습기회창출,성 격,학습/목표지향,수단성,통제소재,참여자에 대한 정보제공 및 관여,개인-환경 적합성 등 17개 변인이 도출되었다.이 중 전이동기 또는 전이에 영향력이 높은 수준(上)인 변인들 로는 자기효능감,전이동기,반응,수단성이었다.

총 4개의 통합적 문헌고찰 또는 메타분석 연구를 고찰한 결과,첫 번째 기준에 만족하는 변인은 성격 5요인 중 불안감,개방성,성실성이었고,그 외에도 학습동기,인지적 능력,자 기효능감(일반적/교육훈련 전/교육훈련 후),학습 및 목표지향성,조직몰입,유인가,기술습 득,교육훈련 전 동기,인식된 유용성(수단성,기대가치),경력계획,조직몰입,자발적 참여, 반응,전이동기 등으로 나타났다.학습자특성 요인의 변인을 선정하기 위한 두 번째 기준은 상황특수적(situationallyspecific)동기 요인만을 선정하여 포함시키는 것이었다.이를 위해 첫 번째 기준을 만족한 변인들,다시 말해서 전이동기 또는 교육훈련 전이에 비교적 강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일반적 특성(generaltrait)의 속성을 띄는 것과 상황특수적 속성을 띄는 것으로 구분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인의 속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해당 연구에서 변인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경우,참고한 연구물을 추적하여 개념을 확인하였다.예를 들어,학습동기의 경우 일반적인 학습동기와 특화된 학습동기로 구분할 수

이 과정에서는 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변인의 속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였으며,해당 연구에서 변인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지 않은 경우,참고한 연구물을 추적하여 개념을 확인하였다.예를 들어,학습동기의 경우 일반적인 학습동기와 특화된 학습동기로 구분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