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전이의도의 개념과 측정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전이동기와 관련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전이동 기는 전이에 대한 ‘열망’에만 초점을 맞추지는 않고 있었다.여기서는 동기(motivation)가 지 니는 다차원적 속성 중 열망에 초점을 맞추기 위한 개념으로서의 ‘의도’(intention)에 대해 고 찰하고,교육훈련 전이과정에서 발현되는 의도인 ‘전이의도’의 개념과 측정에 대해 확인한다.

1) 의도

의도(intention)란 국어사전에서는 ‘무엇을 하고자 하는 생각이나 계획,또는 무엇을 하려 고 꾀함’으로 정의된다.즉,어떠한 사람이 “나는 어떤 행동을 할 의도가 없어.”라고 말한다 면,그 사람은 그 행동을 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하는 것이 된다.의도라는 용어는 주로 소비 자행동과 관련된 학문에서 주요한 변인으로 사용되고 있으며,상품에 대한 구매의도,관광지 에 대한 방문의도 등에 관한 연구에서 다루어지고 있다.경영학,교육학 등에서는 이직의도 라는 변인을 통해 소개된 바 있고 지난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Trevor, 2001),이직의도에서도 의도라는 용어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주로 이직 에 대한 개인의 의지로 간단하게 다루고 있다(Egan,Yang& Bartlett,2004,p.280).

학술적인 관점에서 의도란 “주어진 행동을 수행하려는 개인의 의지(willingness)에 대한 인지적 반영으로 정의되며,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선행조건이면서 계획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Al-Eisa,Furayyan& Alhemoud,2009,p.1224).이와 같은 의도의 학술적 정의는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주요한 이론인 ‘계획행동이론’(Ajzen, 1991)과 ‘행동단계모 형’(Heckhausen& Gollwitzer,1987)에서 잘 다루어지고 있다.

먼저,Ajzen(1991)의 ‘계획행동이론(TheoryofPlannedBehavior,TPB)’은 최근 의도 관 련 연구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론이다([그림 Ⅱ-8]참조).이는 특정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행위의 주체가 가지고 있는 의도를 확인하는 이론으로서,행동에 대한 태 도,주관적 규범,지각된 행동 통제력이라는 세 가지 핵심 변수들을 토대로 행위 주체의 행 동의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본다.특히,의도를 태도적 요인으로부터 분리시키고,이것이 실 제 행위에 가장 근접한 심적 상태라고 강조한다.계획행동이론은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서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으며,실제 행동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양상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통찰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Davis,Ajzen,Saunders& Williams.2002).

[그림 Ⅱ-8]Ajzen(1991)의 계획행동이론(TPB)모형

출처:Ajzen,I.(1991).The theoryofplanned behavior.OrganizationalBehaviorand Human DecisionProcesses,50(2),179-211.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획행동이론에서는 행위의 주체가 특정 행동을 수행하기 전에 행동적 의도(behavioralintention)를 형성하게 되며,그것을 행동에 가장 근접한(proximal) 요소로 본다.행동적 의도에는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towardthebehavior),주관적 규범 (subjectivenorm),행동적 통제 인식(perceivedbehavioralcontrol)의 세 가지 요인들이 영 향을 미치게 된다.

‘행동에 대한 태도’는 행동에 대해 가지는 호의적/비호의적 반응으로서,일관성을 가지는 학습경향을 의미하고,‘주관적 규범’은 가족,친구 등과 같이 주변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집 단들이 행위의 주체가 수행하는 특정 행위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것 으로 개인이 느끼는 사회적 압력이나 사회규범을 지칭한다.마지막으로 ‘행동적 통제 인식’

은 실제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 개인이 얼마나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으로 지 각된 용이성이나 어려움 정도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판단의 지각 정도를 의미한다(Ajzen, 1991).즉,계획행동이론은 행동에 대한 본인의 태도,주변의 인식,행동에 대한 용이성에 대 한 인식이 특정 행동을 할 것인지,하지 않을 것인지에 대한 의도(intention)를 형성하게 되 고,그것이 곧 행동으로 발현된다고 주장하며,의도가 행동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 다는 점을 강조한다.

한편,앞서 언급한 Heckhausen과 Gollwitzer(1987)의 ‘행동단계모형(Themodelofaction phases)’또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모형으로 활용되고 있다([그림 Ⅱ-9]참조). 이 모형은 행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의사결정 전 단계(predecisionalphase),행동 전 단계 (preactionalphase),행동 단계(actionalphase),행동 후 단계(postactionalphase)의 4단계로

구분하고,각 단계에서의 행위자의 바램(wishes)과 목표설정(goalsetting)에 대한 자각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특히 이 모형은 개인이 설정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들을 목표설정 이론에 빗대어 구체화했다는 측면에서 가치 있는 모형으로 언급되고 있다.

[그림 Ⅱ-9]Heckhausen과 Gollwitzer(1987)의 행동단계 모형

출처:Heckhausen,H.,& Gollwitzer,P.M.(1987).Thoughtcontentsandcognitivefunctioningin motivationalversusvolitionalstatesofmind.MotivationandEmotion,11(2),101-120.

Heckhausen과 Gollwitzer(1987)의 행동단계 모형에서도 의도(intention)는 중요한 매개체 로 다루어지고 있다.이 모형에서는 의도를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목표의도와 실 행의도가 그것이다.먼저,목표의도는 행동을 위한 초기의 의사결정 단계로 다양한 바램 (wishes)과 욕구(desires)들 중에 행동하고자 하는 것을 선택하고,그것들을 구속력이 있는 목표(goals)로 바꾸어낸 것을 의미한다.이러한 의도는 주로 목표설정 이론에서 다루어지는 것(Brandstatter,Helmbeck,Malzacher& Frese,2003)이기도 하다.먼저,목표의도를 형성하 는 것은 인지적인 기능,즉 사고방식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중대한 전환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다음으로,실행의도는 목표의도가 형성된 이후 목표지향적 행동을 개시하는 단계 에서 중요한 단계로 다루어지는데,목표한 바가 실현되지 않는 다양한 원인들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재로서의 자기조절적(self-regulatory)도구로 표현된다.Brandstatter외(2003, p.41)는 실행의도를 “만약 X의 상황이 닥치더라도,나는 Y의 행동을 할꺼야!”와 같은 유형 의 의지라고 표현하기도 하였다.위와 같은 두 가지 의도는 행동을 개시하는데 있어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며,인간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있어 중요한 변인이 된다.

위의 두 모형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의도(intention)’라는 개념은 특정한 행동을 설명하 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특히 특정 행동에 대한 즉각적인 선행조건이라는 점에서 행동

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특히,HRD 담당자는 교육훈련이 이루어지 는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으며,학습자들이 현업으로 돌아가고 나면 그 영향력이 급격히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교육훈련 전이,그 자체 보다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것을 현업에 적용하려는 학습자들의 의지(willingness)에 초 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따라서,전이의도(transferintention)는 전이 연구에 있어 보다 현 실적인 목표가 된다.

2) 전이의도의 개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이의도는 교육훈련 전이라는 행동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변인임에도 불구하고,전이 과정에서 전이의도를 염두에 둔 연구는 많지 않다.특히,국 내에서는 전이의도를 다룬 연구를 찾아보기 힘들다.이와 관련하여 Al-Eisa,Furayyan과 Alhemoud(2009,p.2)는 전이의도 관련 연구에서 “개인과 조직적 특성들이 전이의도(transfer intention)에 어떻게,그리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그리고 전이의도는 어떠한 양상으로 교육훈련 전이를 촉진하는지에 대해 밝혀진 바가 적다.”고 언급하였다.

전이의도라는 개념은 Magjuka와 Baldwin(1991)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언급되었다.이들은 교육훈련 전 신호(signals)들이 교육훈련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을 전이하려는 의도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으며,제조업 분야 한 개 회사의 설계부서의 학습자 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이 연구에서는 전이의도에 대해 특별한 정의를 내리지 않 고 전이동기(motivationtotransfer)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활용하였다.단,전이의도를 교육 훈련 전 동기(pretraining motivation)와는 차별적인 개념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Baldwin과 Magjuka(1991)의 연구에서 전이의도가 처음으로 소개된 2년 후,호주교육공학 연구(AustralianJournalofEducationalTechnology)에 소개된 Foxon(1993)의 연구는 전이 의도의 개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그는 교육훈련 전이를 과정적 관점에서 구 체화하였는데,교육훈련 종료 후 시간에 따라 전이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특히 부분적 전이(partialtransfer)와 유지(maintenance)를 구분하고,의식적(conscious)유지와 무의식적 (unconscious)유지를 구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그림 Ⅱ-10]참조).

[그림 Ⅱ-10]Foxon(1993)의 교육훈련 전이 프로세스의 단계(Stage) 출처:Foxon,M.J.(1993).Processapproachtothetransferoftraining:Part1:Theimpactof

motivation and supervisor support on transfer maintenanc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alTechnology,9(2),130-143.

Foxon(1993)은 전이 과정의 단계적 모형에서 전이를 시작(initiation)하기 전에 전이의도 (intentiontotransfer)가 시발점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이는 위에서 고찰한 ‘계 획행동이론(Ajzen, 1991)’과도 일맥상통하는 주장이다. 그는 전이의도를 Huczynski와 Lewis(1980),그리고,Noe(1986)가 제시한 개념에 따라,‘교육훈련에서 학습한 내용을 업무 현장에서 활용하려는 교육훈련 후 동기(motivation)’로 정의하였다.

Foxon(1993)의 연구 이후에 전이의도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졌다.

Clemenz(2001)는 서비스 산업에서의 교육훈련의 질(Quality)을 측정하는 연구에서 교육훈련 활용 의도(intentiontousetraining)라는 변인을 주요한 교육훈련의 성과로 규정하고,행동 적 의도(behavioralintention)에 초점을 맞추어 전이의도를 정의하였으며,전이의도를 전이 가 발생하기 위한 중요한 연결고리(linkage)로 다루었다.이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활용 의도 를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현업에 적용하려는 열망(desire)’을 의미하는 전이동기와 유사한 의미로 바라보았다([그림 Ⅱ-11]참조).

[그림 Ⅱ-11]Clemenz(2001)의 연구모형

출처:Clemenz,C.E.(2001).Measuringperceivedqualityoftraininginthehospitalityindustry. Unpublisheddoctoraldissertation,VirginiaPolytechnicInstituteandStateUniversity.

이 외에도 Machin과 Fogarty(2003,2004)는 전이 실행의도(transfer implementation intention)라는 변인을 통해 전이의도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하려고 시도했다.전이 실행의 도는 앞서 언급된 바 있는 행동단계 모형(Heckhausen& Gollwitzer,1987)의 실행의도와 밀 접하게 관련이 있는 변인이다.이들은 교육훈련 종료 후 도출되는 학습자의 준비상태(state

이 외에도 Machin과 Fogarty(2003,2004)는 전이 실행의도(transfer implementation intention)라는 변인을 통해 전이의도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하려고 시도했다.전이 실행의 도는 앞서 언급된 바 있는 행동단계 모형(Heckhausen& Gollwitzer,1987)의 실행의도와 밀 접하게 관련이 있는 변인이다.이들은 교육훈련 종료 후 도출되는 학습자의 준비상태(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