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 도덕교육의 특성과 원리

Ⅱ. 학교 도덕과 교육의 이론적 기반

1. 학교 도덕교육의 특성과 원리

1) 도덕교육의 목적

도덕교육은 사회를 구성하는 개개인이 건전한 도덕적 신념체계를 갖고 인격의 통합을 기 하도록 돕는 동시에, 그 개개인이 바람직한 사회를 성립시키는 원리를 공유하고, 또 그것에 기꺼이 따르는 성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덕적인 인간과 사회를 함께 구현하는 데 공헌해야 하는 것이다.3) 그러므로 도덕교육이란 인간을 인간답게 통합된 인격을 완성하 려고 하는 계획적인 움직임인 것으로 자연상태의 인간을 가치적, 이상적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교육에서 만의 특정의 시간에 행하여지는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전 영역에 걸쳐서 시행되어야 한다.4)

다시 말하면 도덕교육은 자라나는 세대들이 인간과 사회의 도덕적 삶에 필요한 가치 규 범을 진정으로 깊이 깨달아 내면화하고, 이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면서 몸으로 구현해 가는 그러한 도덕적 덕성과 인격 특성을 기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남과 더불어 함께 복된 삶 을 살려는 공동체 의식에 터하여 공동체의 복지 증진을 위해 참여하고 책임을 다하는 가운 데 자신을 실현해 가는 도덕적 인간을 기르고자하는 것이다.5)

윌슨(J. wilson)은 도덕교육의 목적을 도덕판단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그에 의거하여 도덕 적 행위를 하도록 하는데 두었다.6)

이 때 도덕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인 자율성을 발달시키는 데 있다. 도덕적으로 자 율적인 사람은 법이나 관습과 같은 사회적 질서와 도덕적 질서를 구분할 수 있다. 그는 도 덕적으로 선한 것과 옳은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그것을 스스로 추구할 수 있다. 그런데 자 3) 이택휘․유병열(2001), 「도덕교육론」, 양서원, p. 28.

4) 박익종(1994), 「도덕과 교육론」, 형설출판사, pp. 17∼18.

5) 이택휘․유병열(2001), 전게서, p. 58

6) 강민석(1999), “도덕과 교육의 정상화 문제”. 「도덕윤리과교육」제10호, 한국도덕윤리과 교육학회, p. 125.

율적인 인간은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에 따라 행위하며 규칙에 위배되게 행동했을 때는 죄의식을 느끼거나 서로 상충되는 가치들의 우선 순위를 판단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 스스로 도덕적인 규칙을 세우고 그것을 실제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도덕적으로 합리적이고 자율적인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덕적인 지식을 습 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덕적인 지식의 습득에서 유념해야 할 점은 두 가지로 첫째, 사람 은 해야 할 것과 해서는 안 되는 것에 대한 지식, 즉 도덕적 지식을 습득해야만 한다. 둘째, 그는 행위의 정당화에 관한 지식을 습득해야 한다. 그러나 도덕적 지식을 습득했다고 반드 시 도덕적인 행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도덕적 지식이 도덕적 행위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도 덕적인 행위를 하는 것은 아니다. 도덕적 지식이 도덕적 행위로 승화되기 위해서는 도덕적 인 감정과 의지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도덕적인 행위를 하려는 마음 자세와 온갖 어려움 을 무릅쓰고 도덕적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려는 굳은 결의가 요구된다.

도덕적 지식과 감정 그리고 의지를 소유한 사람, 도덕적인 인간은 도덕적인 상황과 비도 덕적인 상황을 구별할 수 있고, 자신이 직면한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행동할 것이다. 그는 특수한 상황에 직면하여 자신이 규정한 규칙에 따라 행위를 선택하고 그것을 실천에 옮길 것이다. 그는 다른 사람의 감정, 욕구, 이익 등도 자신의 감정이나 욕구나 이익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여길 것이며, 자기 행위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보편적이고 자율적으 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덕교육에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첫째, 도덕교육은 바람직한 행위를 의도적으로 바람직하게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둘째, 도덕교육은 도덕적 지식에 대한 이해와 지적 안목을 포함해야 한다.

셋째, 도덕적 지식은 내면화되어 행동과 일치되어야 하며 도덕교육의 과정은 학생의 자발 성과 기지를 근거로 삼아야 한다. 그리하여 보상, 칭찬, 사회적인 비난, 처벌 등과 같은 외적 인 동기가 아니라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도덕적 지식을 바탕으로 도덕적인 판단을 내려야 하며, 자신의 도덕적인 원리와 지식을 바탕으로 일관성 있게 행동해야 한다. 또한 도덕적인 지식을 가지고 도덕적인 판단을 내리기 때문에 어떤 대가나 처벌에 관계없이 자율적으로 도덕적인 행위를 할 것이다.

남궁달화는 도덕교육이란 교사가 학생들에게 도덕규범이 무엇인가를 일러주어, 그들이 생활 속에서 도덕적인 문제를 만나게 되면, 어떻게 하는 것이 도덕적이 되는가를 도덕규범

을 준거로 사고하고 결정(판단)하여, 그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그들의 도덕성을 함양시 켜 주는 일 7)이라고 하였다. 즉 도덕교육의 주제는 도덕적 행동이라기보다는 도덕성이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덕목을 모두 습득시키거나 덕 목의 가르침을 그대로 실현시키는 일이 아니라, 피교육자가 처해 있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 서 덕목의 의미를 음미하게 하여 그 실현 방법을 탐구하게 한다든지, 덕목의 규범을 처리하 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스스로 찾아내게 함으로써 올바른 판단력을 갖도록 하여 도덕적 행위로 인도하는 것이다.

이 때 도덕교육에서 지적인 면과 실천적인 면 중에서 어느 것을 강조할 것인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지적인 면을 강조하는 쪽에서는 모르고 한 행동에는 도덕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들 수 있고, 또 인지적인 배경이 없는 행동은 자발성이 없는 행동이기 때문에 자발성 이 없는 행동은 더더욱 도덕성을 인정할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행동으로 나타나 지 않는 도덕이라 허상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천의 중요성도 무시할 수 없다.

듀이는 도덕교육을 학교 안에서나 사회생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여겼으며 지적 수준을 높여 세련된 가치판단들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에서의 문제상황을 학교 안에서 체험하고 해결하는 연습이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특히 듀이는 학교와 사회를 구분하지 않았고 학교에서는 사회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문제해결의 훈련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교육은 그 자체가 목적이어야 하며 교육이 그 자체가 목적일 때는 도 덕교육 밖에서 목적을 찾을 수 없으며 학교교육이 도덕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통합되어야 한 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언급한 도덕교육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능력과 판단한 것을 실천에 옮기게 하는 도덕적인 감정의 순화와 도덕적인 의지의 습득을 통해서 합리적이고 자율적으 로 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돕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도덕적 행동이 도덕교육의 궁극적 목적임에도 불구하고, 교실수업을 통해서 직접 다룰 수 없는 성질의 것이다. 도덕적 행동은 인간의 삶 그 자체이다. 삶은 연습할 수도 실 험할 수도 없다. 도덕교육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은 있을 수 있는 도덕적 행동 또는 있 었던 도덕적 행동이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는 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이 궁극적 목적임을 항 상 염두에 두고 도덕교육을 해야 한다.8)

7) 남궁달화(2000), 「도덕교육과 수행평가」, 교육과학사, p. 13.

2) 도덕교육의 특성

9)

도덕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덕교육 담당자들이 우선적으로 도덕교육의 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도덕교육은 한마디로 농사를 짓는 것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농부들이 정성을 다하여 씨를 뿌리고, 땀을 흘려 김을 매주고, 묵묵히 결실을 기다리 지만 예기치 않은 자연 재해에 의하여 하루아침에 모든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도 있는 것처럼, 도덕 교육은 아주 부서지기 쉬운 연약한 기획(enterprise)에 불과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학교에서 도덕교육을 실시하기만 하면, 아이들 이 저절로 바람직한 인간성을 지닌 인간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지극히 낙관적인 기대를 갖 고 있는 것 같다. 개인만 올바르게 변화시키면 우리 사회가 잘 될 수 있다는 이러한 방법론 적 개체주의(methodological individualism)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하나의 커다란 체계로서의 사회 환경을 무시하는 중대한 잘못을 범하는 것이 된다. 우리는 도덕교육의 실질적인 성과 를 거두기 위하여 방법론적 전체주의(methodological holism) 입장도 함께 견지해 나가야만 한다. 인간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사회의 구조나 제도, 정책을 바꾸려는 꾸준한 노력이 되 지 않는 한, 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은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노력이 경 주되지 않는다면, 아이들은 학교에서 배우는 당의의 세계 와 그들이 실제로 살고 있는 현실 세계 를 오가며 필요에 따라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는 이중적 자아를 지닌 인간 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도덕교육은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들을 지니고 있는가?

도덕교육은 다음과 같은 상반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잘 이해하고 조화롭게 실행

도덕교육은 다음과 같은 상반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잘 이해하고 조화롭게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