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마. 학교 교육에 대한 인식별 대안학교 만족

< 표 5-47 > 공동체 의식별 대안학교 만족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전체

만족 빈도 19 81 461 561

% 47.5% 71.1% 90.9% 84.9%

불만족 빈도 21 33 46 100

% 52.5% 28.9% 9.1% 15.1%

전체 빈도 40 114 507 661

% 100.0% 100.0% 100.0% 100.0%

값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쪽검정) Pearson 카이제곱 74.943(a) 2 .000

< 표 5-47 >은 공동체 의식별 대안학교 만족에 대한 표이다. 학교 생활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느끼는 것이 중요한지 여부를 묻고 이를 대안학교에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묻는 질문과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학교 생활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40명의 학생 가운데 19명(47.5%)은 학교에 만족한다 고 응답하였으며, 21명(52.5%)은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다. 공동체 의식에 대 하여 보통으로 느낀다는 학생의 경우 전체 114명 가운데 81명(71.1%)은 학 교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공동체 의식을 느끼고 있는 학생 507명 가운데 461명(90.9%)이 학교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46명(9.1%)은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P값은 0.000으로 연구가설의 채택역에 해당하므로 연구가설은 채택한다. 따라서 공동체 의식과 대안학교 만족은 상호 관련이 있다. 교차 표를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공동체 의식을 느낄수록 학교에 대한 만족이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 표 5-48 > 개성의 존중별 대안학교 만족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전체

만족 빈도 44 179 337 560

% 50.6% 84.4% 93.4% 84.8%

불만족 빈도 43 33 24 100

% 49.4% 15.6% 6.6% 15.2%

전체 빈도 87 212 361 660

% 100.0% 100.0% 100.0% 100.0%

값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쪽검정) Pearson 카이제곱 99.828(a) 2 .000

< 표 5-48 >는 개성의 존중별 대안학교 만족에 관한 표이다. 학교에서 학 생의 개성을 존중해 주는 정도를 물은 질문과 대안학교에 대한 만족여부를 비교한 표이다.

전체 응답학생 가운데 87명은 학교가 자신의 개성을 존중해 주지 않는다 는 응답을 했다. 응답학생의 44명(50.6%)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에 만족 한다고 응답했으며, 43명(49.4%)은 학교에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다. 개성의 존중에 대하여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 212명 가운데 179명(84.4%)이 학교 에 만족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33명(15.6%)은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다. 학교 가 자신의 개성을 인정해 주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모두 361명이었는데 그 가운데 학교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이 337명(93.4%)이었으며, 불만족 한다는 학생이 24명(6.6%)이었다.

결과적으로 P값이 0.000으로 연구가설의 채택역에 해당하므로 연구가설을

채택한다. 따라서 개성의 존중과 대안학교 만족은 상호 관련이 있다. 분석 결과 학생의 개성을 존중해 줄수록 대안학교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표 5-49 > 지식의 습득방법별 대안학교 만족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전체

만족 빈도 32 144 385 561

% 54.2% 81.8% 90.6% 85.0%

불만족 빈도 27 32 40 99

% 45.8% 18.2% 9.4% 15.0%

전체 빈도 59 176 425 660

% 100.0% 100.0% 100.0% 100.0%

값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쪽검정) Pearson 카이제곱 55.599(a) 2 .000

< 표 5-49 >은 지식의 습득방법별 대안학교 만족에 대한 표이다. 학교에서 지식을 가르쳐 주기 보다는 스스로 발견하고 깨닫기를 원하는지 여부를 물 은 질문문항과 대안학교 만족여부를 물은 질문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학교가 원하는 지식의 습득방법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59명이었으며, 이 중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은 32명(54.2%)이고, 불만 족 하는 학생은 27명(45.8%)이었다. 보통이라고 응답한 학생 176명 가운데 학교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144명(81.8%)이었으며, 불만족 하는 학생 은 32명(18.2%)이었다. 또한 학교가 지식을 가르쳐 주기보다는 스스로 발견 하고 깨닫기를 원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425명이었는데 이 중 385명(90.6%) 은 학교에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40명(9.4%)은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다.

결과적으로 P값은 0.000으로 연구가설의 채택역에 해당하므로, 연구가설은 채택한다. 따라서 지식의 습득방법은 대안학교 만족에 상호 관련이 있다.

지식을 가르쳐주기 보다는 스스로 발견하고 깨닫기를 원할수록 대안학교 만족은 증가한다.

< 표 5-50 > 수업을 받는 장소별 대안학교 만족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전체

만족한다 빈도 457 81 20 558

% 88.2% 77.1% 57.1% 84.8%

만족하지 못한다

빈도 61 24 15 100

% 11.8% 22.9% 42.9% 15.2%

전체 빈도 518 105 35 658

% 100.0% 100.0% 100.0% 100.0%

값 자유도 점근 유의확률 (양쪽검정) Pearson 카이제곱 30.262(a) 2 .000

< 표 5-50 >는 수업을 받는 장소별 대안학교 만족에 대한 표이다. 수업을 받는 장소는 언제나 교실이며, 어떠한 경우에도 수업은 교실에서 진행하는 지의 여부를 물은 질문문항과 대안학교 만족에 관한 질문문항을 비교하였 다. 그렇지 않다고 응답한 학생 즉 교실 이외의 어떠한 장소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518명이며 그 중 457명(88.2%)의 학생은 학 교에 만족하고 있으며 61명(11.8%)은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학생은 105명이며, 그중 81명(77.1%)은 학교에 만족하고 있으며, 24 명(22.9%)은 불만족하고 있다. 또한 그렇다고 응답한 학생, 즉 수업이 항상 교실에서만 진행된다고 응답한 학생은 35명이었으며 이중 20명(57.1%)의 학 생은 학교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15명(42.9%)은 불만족 한다고 응답 하였다.

결과적으로 P값은 0.000으로 연구가설의 채택역에 해당하며, 연구가설은 채택한다. 따라서 수업을 받는 장소와 대안학교 만족은 상호 관련이 있다.

교차표를 보면 수업을 받는 장소가 교실이 아닐수록 대안학교 만족이 증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