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국내 문헌

간디학교 내부자료를 재구성.

강선보. (1998). “대안교육이 나아갈 길”, 『새교육』, 통권 521호, 1998(3).

강태중 외. (1996). 『‘새학교’ 구상 : 좋은 학교의 조건과 그 구현방안 탐 색』,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96-16.

곽병선. (1995).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 『처음처럼』, 창간호.

국제복음고등학교 내부자료.

권현숙. (1999). “대안교육의 교육관과 실천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영화 외. (2001). 『도시형 대안학교 설립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정 책연구과제.

교육부자료. (2002). 대안교육 특성화학교 현황, 2002.3현재.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각호를 재구성.

교육학 용어사전. (199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김운순. (2001). “대안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가콜 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형기. (1997). “우리나라 대안교육 실천사례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동명고등학교 내부자료 재구성.

두레자연고등학교 내부자료 재구성.

문지영. (1994). 『열린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박용석. (1997). “니일에 있어서의 자유와 자율의 개념에 관한 연구”, 연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박의수. (1994). “루돌프 슈타이너와 발도르프 교육”, 『안암교육학연구』, 안암교육학회, 1(1).

박의수. (1996).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교육적 처방”, 『도산학술논총』, 제5 집.

서울평화교육센터. (1997). “작은학교 큰 교육 이야기(1)-대안학교의 모델과 실천”, 내일을 여는 책.

송순재. (1997).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대안교육 둘러보 기-”, 『처음처럼』, 5-6월호, 창간호, 내일을 여는책.

송순재. (1998). “학교를 위한 삶인가, 삶을 위한 교육인가”, 『신정부, 청소 년 대안 교육정책 어떻게 할 것인가?』, (사)맥지청소년사회교육원.

심성보. (1998). “한국 교육의 새로운 모색”, 『내일을 여는 책』.

안병철. (2000). “대안교육, 열린교육, 일반인문계교육의 비교 연구-자기주도 적학습,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양희규. (1998). “대안학교의 현황과 전망”, 『강원대학교교육연구』, (8).

오익수 외. (1998). “탈 비행화 과정에 대한 현장 연구”, 『비행청소년 상담 프로그램개발Ⅵ』, 아름기획.

이규봉. (2000). “학교 부적응 청소년의 현황 및 실태”, (사)맥지청소년사회 교육원 제3회 대안교육 시민대토론회 자료집.

이병환. (1999), “한국 대안학교의 특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선숙. (2001). “우리나라 대안학교의 성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성진. (2000). “학교에서 일어나고 있는 교실붕괴”, 『학교가 무너지면 미 래는 없다.』, p31.

이종태. (2001). “대안교육과 대안학교”, 도서출판 민들레.

이종태. (1997). “학교 폭력을 보는 시각과 대안교육의 시사점”, 『처음처

럼』, 통권 제4호.

이혜영. (1997). “홈스쿨링운동의 현황과 전망”, 『새교육』, 통권 518호.

전승필. (1998). “한국 대안교육의 실천사례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종호. (2000). “학교 붕괴 현상에 대한 교육주체의 의식조사 연구”, 전국 교직원노동조합 참교육 토론회 자료집.

정범모. (1991). 『교육 난국의 해부』, 서울: 나남출판사.

정병호. (2000). “한국 사회의 공동체 교육현장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 : 풀 무학교와 공동육아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민족과 문화』, 한양대 학교.

정유성. (1997). “대안교육이란 무엇인가”, 내일을 여는 책.

정인성. (1995). “미래 교육 환경으로서의 재택교육”, 『교육개발』, 통권 94 호.

정진곤. (1998). “대안학교에서의 자유의 의미와 비판적 분석-섬머힐 학교를 중심으로ㅡ”, 『교육철학』, (22).

정충영·최이규. (2001). SPSS 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한빛고등학교 내부자료.

한준상. (1997). “새로운 학교교육을 위한 외국의 실험학교”, 『교육사회학 연구』.

한창진. (1998). “우리나라 대안교육운동의 사례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외국 문헌

A. S. Neill. (1960). Summerhill : A Racial Approach to Child Rearing, New York : Hart Publishing Company, Inc.

B. S. Cooper. (1994). Alternative School and Programs, Husen. T. &

Posttlewaite, T. (Eds).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2nd Ed). New York : Elsevier Science Inc.

Carl Weinberg. (1975). The Meaning of Alternatives : The Conventional and The Alternative in Educ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D. Randle. (1989). Teaching Green : A Parents Guide to Education for Site on Earth London.: Green Print.

M. J. Bowman. (1994). Alternative Schools and Program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 Kidington : Elservier Science Ltd.

T. W Young. (1990). Public Alternative Education : Options and Choice for Today's Schools, New York :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V. H. Smith. (1974). Alternative School : The Development of Options in Public Education. Lincoln, NE : Professional Educators Publict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