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분석

Ⅳ. 결과 및 해석

3.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분석

1) 전체적인 관계분석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사들의 의사결정 참여 점수의 상위 30%를 참여적 의사결정 유형으로, 하위 30%를 독단적 의사결정 유형으로 구분한 다음,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평균 (M) 표준편차(SD)를 구하고 그 차의 유의도를 검증한 결과는 <표-11>과 같다.

<표-11>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

의사결정 유형

성취동기 수준

t P

N M SD

참여형 161 3.65 .63

3.137 .002**

독단형 184 3.44 .60

** : P < .01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을 비교한 결과는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참여적 의사결정 유형(M=3.65)의 학교장과 같이 근무 하고 있는 교사들의 성취동기 수준이 독단적 의사결정 유형(M=3.44)의 학교장과 같이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성취동기수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를 t검증해 본 결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1)

따라서 의사 결정 과정에 있어 학교장은 독단형보다는 교사들을 많이 참여시 켜 결정하는 참여형일 때 교사들의 성취동기 수준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2)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학교 규모별 분석

학교규모에 따른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표 -12>과 같다.

<표-12>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학교규모별 분석

학교규모 유형 성취동기 수준

t P

N M SD

중규모학교 참여적 99 3.73 .55

3.572 .000***

독단적 78 3.42 .59

대규모학교 참여적 62 3.51 .72

.597 .552

독단적 106 3.45 .61

*** : P < .001

학교규모에 따른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을 분석해 본 결과는 <표-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규모 학교에서 참여적 유형(M=3.73)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성취동기 수준이 독단적 유형(M=3.42)에 근무하는 교사 들의 성취동기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t검증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러나 대규모 학교에서는 두 집단 간 차

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규모 학교에서는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이 참여형으로 교사들이 학교 의사결정에 많이 참여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어 느 정도 가능하나 대규모 학교에서는 조직의 관료화, 조직의 효과성 등의 조직의 성격상 참여적으로 의사결정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때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해 석된다.

3)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성별 분석

교사 성별에 따른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을 교사의 성별로 분석해 보면 <표-13>과 같다.

<표-13>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성별 분석

성별 유형 성취동기 수준

t P

N M SD

남교사

참여적 28 3.76 .69

1.581 .120

독단적 29 3.48 .63

여교사

참여적 133 3.62 .61

2.688 .008**

독단적 155 3.43 .60

** : P < .01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을 교사의 성별로 분석해본 결과는 <표-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교사 집단에서 참여적 유형(M=3.62)이 독 단적 유형(M=3,43)보다 성취동기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그러나 남교사 집단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교사들이 남교사들보다 학교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심리적인 만족감이 동기화 되어 더 높은 성취동기수준을 나타 냈음을 알 수 있다.

4)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직위별 분석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직위별로 분석해본 결과 <

표-14>과 같다.

<표-14>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직위별 분석

직위 유형 성취동기 수준

t P

N M SD

부장교사 참여적 42 3.92 .61

2.048 .044*

독단적 41 3.64 .64

교사 참여적 119 3.55 .60

2.295 .023*

독단적 143 3.38 .58

* : P < .05 교사 직위에 따른 학교장의 의사결정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표 -14>에서 알 수 있듯이 부장교사 집단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 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 유형(M=3.92)이 독단적 유형(M=3.64)보다 성취동 기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p<.05) 또한, 일반 교사 집단에서도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 유형(M=3.55)이 독단적 유형(M=3.38)보다 성취동기수 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p<.05) 따라서 학교장의 참여적인 의사결정 유형은 모든 교사들의 사기를 북 돋아 주고 교사들이 심리적인 만족감을 가지고 학교의 의사결정에 참여하게 되 므로 교사들의 성취동기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경력별 분석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경력별 분석해본 결과는 <

표-15>와 같다.

<표-15>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경력별 분석

경력별 유형 성취동기 수준

t P

N M SD

10년이하

참여적 44 3.51 .64

1.595 .114

독단적 64 3.34 .51

11년∼

20년이하

참여적 58 3.54 .64

1.057 .293

독단적 61 3.42 .64

21년이상

참여적 59 3.85 .55

2.518 .013*

독단적 59 3.57 .64

* : P < .05

교사 경력에 따른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 성취동기 수준차는 <표-15>

에서 알 수 있듯이 21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 집단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 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 유형(M=3.85)이 독단적 유형(M=3.57) 보다 성취동기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t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그러나, 11년∼20년 이하 경력의 교사집단과 10년 이하 의 경력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교의 의사결 정에 참여하여 경험과 인정감이 동기화 되어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참여적인 의사결정 유형에서 더욱 더 높은 성취동기를 나타냈음을 알 수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