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요약 및 결론

1.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본 연구의 중심 과제는 다음 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수준을 알아보고, 이를 학교 변인별(규모별) 과 교사의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 았다.

둘째, 교사들의 성취동기 수준을 알아보고 이 수준이 학교 변인별과 교사 배경 변인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가 학교 변인별과 교사 배경 변인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 및 표집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0개교 를 학교의 크기에 따라 임으로 선정하였으며, 학교별로 부장교사를 포함한 일반 교사 20명씩 모두 60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는데, 미회수 및 부적격 매수를 제외한 28개교 568명을 중심으로 자료 처리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측정도구는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 측정 질문

지는 구영모의 질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 측정 질 문지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행정 연수원이 개발한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의 행동 특성’을 참고하여 김길준이 제작 활용한 질문지를 재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질문지 문항마다 Likert의 5단계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수량화하였 다.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각 변인별 평균치(M)와 표준편차(SD)를 구하고 변인간 평균차이 검증은 t/F검증을 하였으며, 변인간 차이의 유의도를 5%, 1%, 0.1% 수 준에서 알아보았다. 통계처리는 사회과학 통계기법인 SPSS/ WIN+을 이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 참여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는 M=3.69로 중간보다 높게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는 교육과정운영(M=3.93), 학생인사(M=3.76),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M=3.64) 등의 순으로 참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사들이 학교 의사결정에 보통 이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 학교장의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의 참여 정도를 학교 규모별로 살펴보면 대 규모 학교(M=3.59)보다는 중규모 학교(M=3.80)에서 의사결정에 더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학교장의 의사결정에 대한 교사 개인별 지각차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남교사(M=3.87)가 여교사(M=3.66)보다 의사결정에 더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P<.05) 또한 경력이 많은 교사(M=3.92)가 경력이 적은 교사(M=3.45)보 다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1), 부장교사(M=4.00)가 일반 교사(M=3.59)보다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1)

4) 교사 성취동기 수준은 전체적으로 (M=3.50) 보통 수준보다는 높게 나타났 다. 이를 교사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남교사(M=3.58)가 여교사(M=3.48) 보다 더 높은 성취동기수준을 보였으며,(P<.05) 부장교사(M=3.73)가 일반교

사(M=3.43)보다 더욱 더 높은 성취동기수준을 보였다.(P<.01) 21년 이상의 경력교사(M=3.64), 11년∼20년 경력교사(M=3.44), 10년 이하 경력교사 (M=3.41)순으로 성취동기수준을 보이고 있으며,(P<.01) 중규모 학교 (M=33.56)가 대규모 학교(M=3.44)보다 더욱 더 높은 성취동기수준을 보이고 있다.(P<.05)

5)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위 30%를 참여적 의사결정 유형으로, 하위 30%를 독단적 의사결 정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을 비교한 결과 참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있는 학교장과 같이 근무 하고 있는 교사들의 성취동기수준(M=3.65)이 독단적인 의사결정유형의 학교 장과 같이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의 성취동기수준(M=3.44)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1)

6) 중규모 학교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의 차는 참여적 유형(M=3.73)이 독단적 유형(M=3.42)보다 성취동기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여교사 집단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 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 유형(M=3.62)이 독단적 유형(M=3.43)보다 교 사의 성취동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P<.01)

7) 부장교사 집단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인 유형(M=3.92)이 독단적인 유형(M=3.64)보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P<.05) 일반교사 집단에서도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 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 유형(M=3.55)이 독단적 유형(M=3.38)보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21년 이상의 고경력 교사 집단 에서 학교장의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교사의 성취동기 수준차는 참여적인 유형(M=3.85)이 독단적인 유형(M=3.57)보다 성취동기 수준이 높게 나타났 다.(P<.0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