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프로 스포츠 산업의 특성 분석

문서에서 스포츠 산업의 현실적 괴리 (페이지 69-74)

경제력 및 스포츠 산업 규모에 비하여 스포츠부문 과잉

□ 우리나라 스포츠 산업은 경제력이나 스포츠시장 규모에 비하여 스포츠 부문의 비중이 다소 과다한 것으로 평가

- 우리나라 경제 및 스포츠 산업 관련 주요지수를 미국의 현황과 비교하 였을 경우, 경제력이나 스포츠시장의 비율보다 프로 스포츠부문의 비율 이 높아 다소 과잉 상태로 나타남

・경제력과 스포츠관련 7가지 지수를 선정하여 미국을 1로 보았을 경우 각각의 우리나라 지표 수준을 비교

<표Ⅲ- 23> 경제력 및 스포츠관련 현황의 미국 대비 우리나라 수준

구분 미국(A) 한국(B) B/A

인구규모(천명) 275,802 46,858 0.16

GDP(10억달러) 8,511 321 0.04

스포츠

산업규모(10억달러) 152 5 0.03

프로팀수(개) 109 28 0.26

프로모터직원수(명) 200 20 0.10

경기당관중(명) 30,000 5,000 0.16

방송중계료(만달러) 8,390 692 0.08

주 : 1. 인구규모 및 GDP는 1999년 기준,

2. 스포츠 산업의 규모에 있어 미국은 Affie Meek의 1995년 기준 추정치이며 한국은 본 보고에서 추정한 1999년 기준 수치임

3. 프로팀 수는 미국은 미식축구, 야구, 농구, 아이스하키의 4대 프로리그, 한국은 야구, 축구, 농구의 3대 프로리그 프로팀 수를 적용

4. 프로모터 직원수는 미국 프로야구(MLB)의 직원수이며, 우리나라는 3대 리그 프로모터 직원수의 평균치임

5. 경기당 관중수는 미국과 한국 모두 프로야구의 경우를 비교 6. 방송중계료는 미국은 1993년 우리나라는 2000년 기준임

- 시장 규모와 관련된 GDP와 스포츠시장 규모는 미국시장 대비 0.03~

0.04포인트 수준이나 프로팀 수는 0.26, 프로모터 직원수, 경기당 관중 수, 방송중계료는 0.1포인트 내외로 상대적으로 높음

□ 현재의 우리나라 프로스포츠 시장은 한정된 규모의 시장에 제품이 과다 출하되는 것과 같은 실정으로 제품의 가격이 낮아질 수밖에 없고 고부 가가치 창출이 어려운 구조

- 많은 팀이 한정된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에 각 팀의 시장규모도 그만큼 줄어들게 되어 경쟁이 심하고 수익이 낮아짐

- 물량을 조정하여 시장가격을 정비하는 것과 같이 프로스포츠도 경기 수를 제한하거나 더 이상 확대하지 말아야 함

<그림Ⅲ- 10> 미국대비 우리나라 스포츠 관련 주요지표 비교

프로스포츠부문 관련

시장규모 관련

□ 외형적 성장 억제, 내부역량 강화 필요

- 향후 우리나라 프로 스포츠 시장의 정책 방향은 외형적 성장보다는 개 별 팀의 수익구조 개선과 같은 내부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어야 함

- 새로운 팀의 창단은 기존의 시장을 더욱 세분화하고 팀간 경쟁을 강화 하는 것으로서 신중히 접근해야 함

경기라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미흡

□ 현재 우리나라 프로팀은 적자규모가 총 수입의 3배에 이를 정도로 매우 열악한 상황

- 이러한 수익성의 악화는 스포츠시장 전반의 수익성이 부족함에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으나 팀의 마케팅 노력 등 수익을 높이기 위한 고부 가가치화 노력이 미흡한 점도 이유

- 같은 내용의 제품이라도 포장 등 다양한 변화를 주어 부가가치를 증대 시킬 수 있는 것처럼 경기라는 제품의 고부가가치화가 필요

□ 기존 수입원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신규 수입원의 발굴을 통해 프로 팀의 수익성을 극대화해야 함

- 전통적 수입원의 고부가가치화

・해외의 경우, 서비스 제공의 수준을 통하여 입장권의 형태나 종류가 4 가지30)에 이를 정도로 고부가가치화가 이루어짐

30) 본문 3장의 티켓세일즈 참조

- 신규 수입원의 발굴을 통한 수익성 증대

・우리나라 프로 팀의 주요 수입원은 입장료와 광고료의 두 가지(약 80~90% 수준)이나 이외 다양한 수입원 발굴 필요

<표Ⅲ- 24> 신규 수입원 발굴 안(案)

내용

① 연맹에 귀속되는 공중파 중계료를 각 팀에 분배하고 지역방송 중계료 등 신규수입 발굴

② 현재 총 수입대비 1~2% 수준인 캐릭터 상품의 판매 비중 증대

③ 팬 서비스 관련한 출판 등 신규 사업전개

프로 스포츠 활성화의 핵심인 관중에 대한 유인책 부족

□ 관중은 프로 스포츠 활성화를 가늠하는 척도로서 프로 스포츠 수익원 전반에 매우 큰 영향을 줌

- 전체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있어 입장료의 비중은 적어지는 추세 이나 최근 매우 중요한 수입원으로 등장하고 있는 중계권료와 기업 스폰서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관중수임

<그림Ⅲ- 11> 관중의 증감이 타 부문 수입에 미치는 영향

- 관중수의 증대는 중계권료와 기업 스폰서 비용의 상승을 유발하며 캐 릭터 상품 판매 등 관련시장의 확대를 가져옴

□ 프로 팀, 프로모터(연맹)는 경기장의 관중 증대와 그 유지를 위하여 노 력해야 하나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한 실정

- 우리나라 프로 스포츠는 관중의 변동폭이 너무 커서 팀이나 연맹의 노 력 여하에 따라 관중수의 증가 여지가 많음31)

- 프로야구의 경우, 최대 관중이 동원된 1995년에 540만명을 기록하였으 나 2000년엔 250만명으로 약 절반수준으로 감소

- 프로 축구의 관중 변동폭은 더욱 커서 최대 관중수를 기록한 해(1995 년 260만명)와 최소를 기록한 해(1994년 76만명)32)가 약 3배 차이

□ 각 팀과 프로모터(연맹)는 관중을 모으기 위한 유인책 마련이 시급

- 프로팀은 좋은 경기만 있으면 관중이 늘어날 것이라는 고정관념을 깨 고 보다 폭넓은 차원의 고객 증대방안 강구 필요

・일반 기업에서 단지 물건을 판매하는 수준을 넘어 개별 고객의 문제를 실시간 내지 사전적으로 해결하는 CRM 기법을 도입

- 프로모터(연맹)은 각 구단의 이익을 대변 또는 조정하는 측면에만 머무 르는 것이 아니라 흥행을 위해서는 리그를 어떻게 관리하고 흥미를 높 일 수 있는 방법은 어떠한 것인지를 지속적으로 발굴

31) 본문 3장 (2) 경기관중 부문 참조

32) 원년인 1990년은 52만명을 기록하였으나 제외

문서에서 스포츠 산업의 현실적 괴리 (페이지 6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