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최근 스포츠 산업의 발전구조

문서에서 스포츠 산업의 현실적 괴리 (페이지 32-35)

국가역할의 감소와 민간역할의 증대

□ 과거 스포츠분야는 복지차원의 국가 정책적 영향이 매우 큰 분야였으나 최근 민간의 역할과 시장의 논리가 증대

- 과거 각국의 스포츠 정책은 생활 스포츠, 엘리트 스포츠 진흥을 병렬적 인 정책목표로 설정하여 각각의 정책을 추진

□ 최근 사회전반에 걸쳐 재정과 관련한 정부역할의 축소와 민영화의 확대 경향에 따라 스포츠 분야에서도 국가의 역할이 감소

- 엘리트 스포츠부문은 선수의 육성과 경기인 수급이 정책적 결정이 아 닌 시장원리에 의하여 변화

・프로화를 통하여 선수, 팀의 경기력을 가치의 원천으로 하고 이를 수 요자에게 여러 형태로 가공해서 상품화하고 시장을 확대

- 생활 스포츠부문에서도 정부의 역할은 최소화되고 스포츠시설업, 스포 츠 교습업, 스포츠 여행업 등 다양한 스포츠 관련 민간업체의 공급능력 이 확대

・1990년대 영국의 경우, 인구집단을 이원화하여 민간 스포츠시설을 이 용할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을 정책적으로 구분하고 후자만을 정책 의 대상으로 설정(박영옥 외, 1998)

□ 스포츠에서 차지하는 민간부문의 역할증대는 프로 스포츠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결과를 초래

프로 스포츠는 스포츠 산업 전체의 성장동력으로 등장

□ 스포츠를 수직적 구조로 보았을 경우, 상위부문의 상당부문이 민간의 역 할로 전환되어 자체적인 생존 모델의 구축이 필요

- 상층부는 엘리트부문으로서 프로부문, 중간부문은 아마추어 부문, 하위 부문은 생활스포츠 부문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프로스포츠와 아마추어 부문의 상당부문이 시장논리에 노출되어 자체적인 성장모델이 필요

- 상층부의 프로부문은 중・하위 부문 성장의 동기부여와 촉진역할을 담 당하고 중・하위 부문은 수요자 확대와 상층부의 인력 Pool을 제공하 는 선순환 구조 구축 필요

<그림Ⅱ-3> 스포츠부문의 수직적 구조

□ 인위적인 스포츠 수요자의 확대와 인력 Pool의 확대는 불가능함으로 이 를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 스포츠가 전체 스포츠의 활성화를 달성할 수 있는 강력한 동인으로 부각

□ 스포츠 산업의 원활한 발전을 위하여 프로 스포츠가 부가가치를 창출하 는 비즈니스로 성립하는 것이 필요

- 프로스포츠는 경기라는 제품을 생산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로 정착되어 하위부문인 아마추어 부문과 생활체육부문을 견 인할 수 있어야 함

- 프로 스포츠의 활성화는 스포츠 마케팅분야의 활성화와 수요기반 확대 및 소비증가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스포츠 산업 전체의 확대를 가져옴

<그림Ⅱ-4> 프로 스포츠의 활성화와 관련 스포츠 산업의 발전 구조

□ 우리나라의 프로 스포츠는 스포츠 산업의 발전동인으로서 역할을 수행 하지 못하고 있음

- 우리나라의 인기 스포츠인 야구, 축구가 프로화 한지 약 20년이 지났으 나 각 구단이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등 비즈니스로 정착되지 못함

- 그에 따라 관련 스포츠 산업과 수요기반도 위축되고 이는 다시 프로스 포츠의 위축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로 연결

문서에서 스포츠 산업의 현실적 괴리 (페이지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