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 평가 도구의 개발 절차

현장실습 운영 평가는 그 목적에 비추어 기관 평가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장실습은 학교 교육과정의 일부로 운영되기 때문에 현재 수 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기관 평가와는 달라 영역이나 항목을 설정하는 데는 그 방법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실습 운영 평가가 '각급학교현장실습운영에관 한규칙 '에 의해 수행된다는 전제를 가지고 동 규칙 제 8조에서 현장실습 운 영 평가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① 현장실습 대상자 선발 및 산업체 모집 관리, ②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운영 및 학습 인정 과정, ③ 현장실습 과 정 중 관리 운영 실태, ④ 기타 학교장 및 시・도 교육감이 필요하다고 요 구한 사항 등을 근간으로 하여 본 연구의 제 Ⅲ장 현장실습 운영 방안 에서 제시되고 있는 운영 요소를 절차화 하여 평가 영역 초안을 연구진이 개발하 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평가 영역에 대해 시・도 교육청 현장실습 담당자, 전문 대학 및 산업 대학교와 실업계 고등학교의 현장실습 관련 교원, 산업 체 현장실습 담당자와의 2차에 걸친 현지 면담 조사를 통해 의견을 수렴, 수정・보완을 거쳐 평가 영역을 확정하였다. 1차 현지 면담 조사에서는 연 구진이 개발한 평가 영역에 대해 면담 대상자가 대체로 동의를 하였고, 다 만 현장실습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평가임으로 단위 학교 에서 자체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현장실습 운영 평가에서는 이에 대한 합 리적 검증을 하는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2차 현지 면담 조사에서는 연구 진이 수정・보완한 평가 영역에 대해 대체로 동의하였다.

평가 항목 개발은 1차 현장 면담 조사에서 제안된 의견을 수렴하여 작성 된 평가 영역별로 연구진이 초안을 작성하여 1차와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2차 현장 면담 조사에서 검토하였다. 이 때 검토된 의견은 평가 항목이 너 무 많고 세부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평가 항목 자체가 세부적이면 동일한 시기에 전국적으로 평가를 실시할 때에 많은 장점이 있겠지만 장기적인 안 목에서는 활용도가 떨어지고 평가 시행 기관이나 평가자의 자율성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항목의 내용을 융통성 있게 구성해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또한 동일 집단을 대상으로 영역별로 가중치 부여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다음과 같은 원칙에 합의를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산출되는 평가 도구는 모든 단위 학교에 획일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평가 시행 기관에서 이를 참조로 하여 지역적, 시기 적 여건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평가 영역의 점수 부여도

융통성 있게 하여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 영역별로 배점된 점수는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둘째, 현장실습 운영의 모든 영역이 중요하겠지만 현장실습의 목적을 고 려할 때, 현장실습 목표의 설정, 현장실습 대상업체의 선정, 현장실습 프로 그램 개발, 현장실습 교육의 실시, 현장실습의 학습 인정, 학교에서의 현장 실습 프로그램 평가 영역 등 6개 영역에 대해 다른 영역 보다 가중치를 부 여한다.

셋째, 평가 영역별 평가 항목도 기본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내용 중심으로 구성하되 평가 시행 기관이 자율성을 가지고 가감할 수 있도록 융통성을 부 여한다. 따라서 평가 점수는 평가 항목별 배정하기보다는 평가 영역에 배정 하여 평가 시행 기관의 업무의 수월함과 평가자의 재량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연구진이 2차에 걸친 현장 면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평가 영역, 평가 항목, 가중치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한 1차 전문가 협의 회를 개최하였다. 이 전문가 협의회는 교육부 관계자, 시・도 교육청 담당 장학사, 전문 대학 및 산업 대학교 교수, 실업계 고등학교 현장실습 담당 교 사, 평가 전문가 등 총 20인의 외부 인사가 참석하였다. 회의 결과를 요약하 면 평가 영역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현장실습생 선발 및 사후 관 리에 대한 항목을 추가할 것이 요구되었다. 가중치에 대해서는 현장실습 실 시, 현장실습의 학습 인정, 학교에서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평가 영역에 대해 다른 영역보다 더 많은 가중치가 부여하는 것으로 의견이 수렴되었다.

마지막으로 1차 전문가 협의회 검토된 내용을 수정・보완한 평가 영역과 평가 항목 및 가중치와 연구진이 제안한 현장실습 운영 평가 시스템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1차 협의회와 동일한 대상으로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여기 에서는 평가 영역과 평가 항목 및 가중치에 대해 참석자들이 대체로 동의를 하여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평가 시스템에 대해서도 부분 수정이 이루어 졌다. 협의회 후 연구진 자체 협의회를 통해 평가 도구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의 〔그림 Ⅳ- 3〕과 같다.

기초 연구

평가 영역 초안 작성

평가 영역 초안 현장 검토

평가 영역 수정・보완 평가 항목 초안 작성

평가 항목 및 평가 영역별 가중치 현장 검토

평가 영역, 평가 항목, 가중치 타당성 검토 협의회

평가 시스템 검토 전문가 협의회

평가 도구 개발

[그림 Ⅳ- 3] 평가 도구 개발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