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친환경적 건설엔지니어링업체 육성의 애로점

3.3 인력 측면

<표 3-13> 건설환경 관련학과 설치 학교

학 교 명 단과대학 학 과(전공) 비고

한동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경원전문대학

건설환경기술연구센터 울산과학대학

건설환경연구소

공주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4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 〃

연세대학교 사회환경건축공학부 토목․환경공학전공 〃

안동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토목환경공학 〃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 〃

경동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경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단국대학교 공 학 부 토목환경공학 〃

동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동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명지대학교 이공대학 토목환경공학 〃

배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토목환경공학 〃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원광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전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 〃

탐라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공학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

건설환경시스템공학 〃

호남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학 교 명 단과대학 학 과(전공) 비고

경주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토목공학전공, 환경공

학전공 4년

한동대학교 건설도시환경공학부 토목공학

환경공학 4년

경성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토목공학

환경공학 4년

청운대학교 건축환경설비학과 4년

여수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해양토목공학전공

환경공학 전공 4년

우송대학교 토목환경공학 4년

한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 〃

강원전문대학 환경시스템공학 2년

경남정보대학 건설환경 〃

경도대학 건설환경공학 〃

김포대학 환경토목 〃

남해전문대학 토목환경시스템 〃

대구공업대학 건축환경설비 〃

세경대학 토목환경 〃

익산대학 토목환경공학 〃

인덕대학 건설환경 〃

정인대학 토목환경 〃

제주산업정보대학 토목환경 〃

조선이공대학 건축환경 〃

(대구 경북)

성덕대학 건설환경 〃

부산정보대학 건설환경시스템과 3년

경북전문대학 건설환경과 2년

충청대학 건설환경시스템과 2년

건축학부 건축환경설비전공 3년

울산과학대학 공간디자인학부 건설환경

건설시공감리 3년

<표 3-14> 전문대, 대학, 개방대 토목 및 건축관련학과 배출추이

단위: 명

구 분 3) 실업계고교 전문대 대학

졸업 취업 졸업 취업 졸업 취업 졸업 취업 졸업

토목1)

1989 13,295 7,857 7,290 5,802 2,782 893 3,223 1,162 576 1990 13,173 8,684 7,450 5,936 2,409 1,112 3,314 1,636 584 1991 13,160 9,586 7,170 6,037 2,518 1,373 3,472 2,176 577 1992 13,228 9,773 6,910 5,966 2,911 1,619 3,407 2,188 625 1993 13,100 9,067 6,573 5,405 2,898 1,459 3,629 2,203 748 1994 12,836 8,467 6,424 4,866 3,037 1,546 3,306 2,055 721 1995 12,461 8,116 5,986 4,300 3,180 1,702 3,216 2,114 ­

건축2)

1989 13,687 7,622 6,331 4,837 3,914 1,380 3,442 1,405 537 1990 13,475 8,620 6,415 4,954 3,603 1,660 3,457 2,006 653 1991 13,835 9,881 6,419 5,155 3,704 2,075 3,712 2,651 574 1992 13,815 9,650 5,993 5,014 4,248 2,230 3,574 2,406 695 1993 14,190 9,333 5,780 4,731 4,517 2,212 3,893 2,390 787 1994 13,884 9,068 5,679 4,477 4,758 2,352 3,447 2,239 844 1995 14,775 9,978 5,887 4,376 5,423 3,136 3,418 2,437 ­ 주1) 토목관련학과에는 토목과, 농업토목과, 녹지토목과, 광산토목과, 광산과, 철도보선과, 해양토목

과, 토목공학과, 농공학과, 해양토목공학과, 토목공학교육과, 토목환경공학과, 해양토목학과, 구 조시스템공학과, 농업토목공학과가 포함됨

2) 건축관련학과에는 건축과, 실내건축과, 건축설비고, 전산건축설계과, 농업건축과, 건축물관리과, 건축설계과, 건축디자인학과, 건축공학과, 건축설비공학과, 건설구조공학과, 건축설계학과, 건 축학과, 건축공학교육과, 건설시스템공학과, 건축공학부, 실내건축학과가 포함됨

3) 졸업자와 취업자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취업자통계가 없는 개방대 졸업자는 제외함 자료: 교육부. 각년도. 「교육통계연보」

한국엔지니어어링진흥협회. 1997.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사의 수급실태 및 대책방안」. p15에서 재인용.

<표 3-15> 전문대 및 대학 토목 및 건축관련학과 졸업자 취업률 추이

단위 : %

연도 토목 건축

전문대 대학 전문대 대학

1989 32.1 36.1 35.3 40.8

1990 46.2 49.4 46.1 58.0

1991 54.5 62.7 56.0 71.4

1992 55.6 64.2 52.5 67.3

1993 50.3 60.7 49.0 61.4

1994 50.9 62.2 49.4 65.0

1995 53.5 65.7 57.9 71.3

주) 취업률 = (취업자)/(졸업자) × 100

자료: 한국엔지니어어링진흥협회. 1997. 「건설엔지니어링 기술사의 수급실태 및 대책방안」. p16에서 재인용.

□ 친환경적 건설엔지니어링 실무교육 부재

◦ 건설환경관련 학과내 교육프로그램이 미비

◦ 대학 졸업 후 재교육 프로그램조차 학교 교과목하고 차별화가 되지 않으며 경력이나 수준이 지났다고 해도 매번 동일한 교육과정을 강제적으로 이수하 고 있는 실정

※ 교육의 이수가 전문성 제고보다는 평가를 받기 위한 자격 요건 구비에 불과 한 수단으로 전략

◦ 건설엔지니어링산업의 특성상 전문기술인력의 확보가 핵심이므로 대학의 교 육과정 및 체계를 친환경 건설엔지니어링 실무교육 중심으로 개편해야 함

◦ 전문기술인력의 질적 고도화를 위해 자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이 대폭 강화되어야 하며, 중소기업을 위한 공공교육프로그램도 정부차원 혹은 민간단 체차원에서 준비되어야 할 것임

□ 건설환경분야의 전문성, 기술성 인정평가체계 미흡

◦ 기술인력에 대한 평가 기준과 방법이 사업 위주로 되어 있지 않고, 보유인력 중심으로 되어 있음

◦ 현행의 제도 하에서는 엔지니어링과 시공 등 사업에서 핵심적으로 필요로 하 는 건설환경기술이나 전문성을 인정하고 평가해 주는 시스템 부재

◦ 건설환경 전문성 평가 방법 부재 혹은 전통적인 교과목 위주로 평가되는 국 내건설기술인력 평가 방식은 ‘건설환경’이라는 새로운 수요를 수용하기가 구 조적으로 한계

<표 3-16> 국내 건설공사 기술인력 평가기준 분석

발주기관 사업자 선정기준 평가항목 평가대상 평가방법 평가기준

조달청 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기준

기술자 보유현

기술자 보유회

점수화 보 유 기 술 자 의

경험년수 한 국 고 속 철 도

공단

고속철도공사 사전심사기준 한국전력공사 당진화력 1, 2호기

사전심사기준 인 천 국 제 공 항

공사

여객터미널공사 사전심사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