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건설산업의 환경친화적 육성의 필요성

o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에서 경제 개발 과 환경 보전을 조화시킨다는 원칙 아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 발(ESSD : Environment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을 선언하 고, 행동강령인 「Agenda 21」를 채택한 이후 ‘환경친화적인 건설’이 범세계적인 이슈로 대두된 바 있음.

o ‘환경친화적 건설’이란 법적으로 명확하게 정의된 바는 없으나 건설 과정에서 자연 환경 및 생태계를 배려하고, 자원 및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며, 건설 과 정에서 공해나 폐기물 등 환경 오염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그림-1> ‘환경친화적 건설’의 개념

o 일반적으로 건설 행위와 환경 보전은 상호 대립되는 요소가 많으며, 우리나라 에서도 그 동안 대규모의 건설투자에 기인한 환경 오염과 자연 훼손이 우려되 어 왔으나, 그 동안의 건설 사업에 있어서는 환경친화적인 요소가 너무 부족했 던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 또한, 최근 들어 생활의 질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건설공사에 기인 한 소음․진동, 비산먼지 등에 대한 민원이 급증하는 추세에 있음.

o 건설사업에 의한 자연 환경 및 생태계의 훼손 실태

­ 하천 정비에 있어 콘크리트 제방이 일반화되고, 하천의 직강화가 심화되면서 생태계 파괴를 초래

­ 하천 복개 및 하천구역내 도로 건설로 인하여 친수공간이 급속도로 소실

­ 댐이나 수중보를 건설하면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어도(fish way)를 설치한 사례가 미흡

­ 고속도로․국도 등의 건설에 의하여 85,070km의 녹지축이 단절

­ 백두대간에 28개소의 도로와 약 80개의 임업도로가 개설되어 생태계의 단절 을 초래

­ 도로를 건설하면서 생태계의 단절을 복원하는 오버브릿지(over bridge)나 박 스컬벗(box culvert) 등과 같은 생태 통로를 미고려

․동물의 도로 횡단에 따른 자동차와의 충돌사고가 연간 300여건에 달하고 있음

­ 단지 조성에 있어서 소생태계(biotop)을 조성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움.

­ 산지부를 통과하는 고속도로나 교량구간 등에 설치된 가설도로로 인하여 자 연생태계를 교란하고, 대기․수질오염이나 건설폐기물 등 2차 오염을 유발 o 건설공사 과정에서의 공해 실태

- 건설현장 가운데 소음․진동, 비산먼지 등 환경관련 민원이 발생한 현장이 전 현장의 70%를 넘고 있음.

․ 특히, 재개발․재건축 현장과 지하철 현장에서의 민원 발생율이 높음.

- 환경부 및 시․도에서 건설현장의 환경관리 위반 실태를 지도․점검한 결과 를 보면, 비산먼지 등 대기오염과 연관된 사항이 60% 정도로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o ‘환경친화적인 건설’이란 개발 행위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발은 하 되, 개발 과정에서 자연 환경과 생태계를 배려하고, 더 나아가 환경을 창조하 거나 복원하는 작업과 병행하는 등 환경친화적인 요소가 중시되어야 한다는 것임.

- 예를 들어 건설 사업의 발주․설계 단계에서 환경 오염을 극소화할 수 있는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환경친화적인 공법이나 구법의 적용을 확대하는 한편, 시공 단계에서 환경오염방지설비에 대한 투자를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함.

o 최근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친화적 건설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건설 교통부내에 건설환경과를 신설하고, ‘새천년 친환경 건설 선언(1999)’을 통하여 환경친화적 건설에 대한 새로운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천명한 바 있음.

- 그러나 공공발주기관과 엔지니어링, 건설회사에서는 건설공사를 계획․설계 함에 있어 환경친화적인 요소의 도입을 아직까지 부수적이고 전시적인 업무 로 취급하는 경향이 강하며, 환경 보호를 우선하기보다는 효율성 및 경제성 의 논리가 더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려움.

o 따라서 건설산업을 환경친화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는 환경친화적 자재․공법 의 적용이나 환경관리비용의 확보 등에 대하여 제도적으로 강제성을 부여하고, 나아가 건설공사 입찰 제도나 인증제도 등을 통하여 환경친화적인 건설 사업 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