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산물 판로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45-49)

5.1. 친환경농산물 시장 형성

○ 1987년 이후 우리나라의 자유주의 시민운동은 농업생산 및 소비와 관련하 여 생활협동조합(이하 ‘생협’)운동과 친환경농업 등으로 나타남.

○ 생협은 1970년대 이후 시민운동의 주체들이 유기농산물의 직거래운동을 조 직한 형태임.

○ 1989년 농산물 시장이 개방되고 식량자급률이 급락하자 먹을거리 안전성 문제가 급부상하게 되었고, 이에 생협은 환경을 고려하며 더욱 안전한 유기 농산물 거래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협력하여 해결하고자 함.

○ 한편 1990년대 중반 이후 생협 등 소비자단체가 우리나라 친환경농산물 유 통에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면서 생산자가 시작하고 주도한 유기농업운동과 직거래운동이 1990년대에 들어 소비자에게 확산됨.

○ 또한 친환경농산물 시장은 유기재배, 무농약재배와 같은 재배 방법에 따른 상품 특성에 의해 일반 농산물과 다른 시장을 형성하고 있음.

○ 재배 방법에 따라 생산비가 달라지기 때문에 친환경농산물의 거래가 성립되 기 위한 두 가지 조건 필요함: 1) 재배 방법에 대해 거래 당사자가 서로 인정 하고 신뢰해야 함. 2) 거래당사자가 재배 방법에 따라 생산비 차이를 인정하 고 그에 따른 상품 가격 차이를 인정해야 함(정은미, 2007).

○ 친환경농산물의 주요 유통 주체인 생산자(단체), 소비자단체인 생협, 전문유 통업체 등은 친환경농산물의 가치 속성에 대해 서로 합의된 상대와 거래함.

5.2. 친환경농산물 주요 판로

구분 소비자 수 매출액 2005 2011 2005 2011

한살림 115 296 809 2,191

iCoop 16 155 601 3,000

두레 34 103 271 750

자료: “99%의 경제:협동조합이 싹튼다 ② 동네생협, 이마트에 도전하다”

(한겨레, 2012. 6. 7일자).

○ 친환경농업의 주요 판로인 생활협동조합에는 한살림, iCoop 생협연합회, 여 성민우회생협, 두레생협연합회 등이 있으며 생산자 또는 생산자조직과 주로 계약재배 방식을 맺고 있음.

○ 계약재배 방식은 출하 기간 내내 큰 가격변동이 없어(고정가격) 출하가격 및 소득이 안정적인 편이기 때문에 생산자의 선호도가 높은 출하처임. 소비자 조합원에게도 판매가격이 연중 내내 거의 고정되어 있어 가격의 예측 가능 성이 높음.

○ 이밖에 소비자조합원의 사전주문을 통해 주 1~2회 가정별로 공급하거나 직 영매장에서 조합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을 병행함.

5.3. 생활협동조합 현황

○ 주요 생활협동조합의 2011년 조합원 수는 한살림 29만 6천 명, iCoop 생협 15만 5천 명, 두레생협 10만 3천 명이었고, 매출액은 iCoop 생협 3천억 원, 한살림 2,191억 원, 두레 750억 원이었음.

표 3-9. 주요 생협 소비자 및 매출 현황

단위: 천명, 억 원

서울경기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제주 전국 생산 공동체

2013년 기준 2 17 12 14 5 2 19 23 8 102 가공 공동체

2012년 기준 15 12 5 4 8 5 7 8 3 67

자료: 한살림생산자연합회 홈페이지.

서울경기 강원 경남 경북 전남 전북 충남 충북 제주 전국

생산 4 2 2 2 2 1 1 14

가공 14 3 3 4 5 3 2 34

자료: 두레생협연합 홈페이지.

○ 주요 생협의 소비자 수와 매출액은 대체로 증가세이며, 특히 iCoop의 증가 세가 현저함.

○ 한살림 생산자연합회는 2013년 기준으로 약 102개 생산 공동체와 2012년 기준으로 67개의 가공 공동체로 이루어져 있고, 20개 지역의 소비자 조합원 수는 30만 명이며 전국에 161개의 직영매장이 있음.

표 3-10. 한살림 생산자연합회 현황

단위: 개

○ iCoop 생협은 2013년 기준으로 전국 75개의 회원생협이 있고, 전국 129개 자연드림 직영매장이 있으며 생산자 2,909명, 소비자 조합원 17.1만 명임.

○ 두레생협은 2013년 기준으로 전국 28개의 회원생협이 있고, 전국 94개 직영 매장이 있으며 생산 및 가공 단위는 48개임.

표 3-11. 두레생협 생산단위 현황

단위: 개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4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