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친환경농산물 생산 추이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33-37)

○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유기농업 제품을 포함해서 무농약 저농약농산물을 모 두 친환경농산물로 간주하고 있음. 친환경농산물을 유기합성농약 및 화학비 료 사용량에 따라 유기 무농약 저농약농산물로 구분함. 저농약농산물의 경 우 인증제가 2015년에 폐지될 예정임.

○ 2012년 친환경농산물 총 인증량은 1,498톤으로 전체 농산물 대비 9.6%를 차 지하고 있으며 그 중 유기농산물이 약 11%, 무농약농산물 56%, 저농약농산 물 33%의 비중을 보이고 있음.

○ 친환경농산물 인증량 추이를 살펴보면 2000~2012년에 농가 수는 연평균 57%, 면적은 63%, 인증량은 52% 증가하였음.

- 이러한 증가세는 2000년대 초반(2000~2004년)의 급격한 증가 때문으로 보임(이 기간 전체 인증면적은 93%의 증가율 보임).

- 반면에 최근 4년 동안(2009~2012년)은 전체 인증면적 증가율이 -5%로 증 가추세가 꺾이고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2012년 저농약 신규 인증 중단 및 친환경인증 내실화를 위한 사후관리 강화 결과 인증면적 감소로 생산량이 줄어들었음(통계청, 2012).

○ 인증 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인증량을 보면 2008년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2010년 이후 2012년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

- 유기농산물은 2008년까지 빠르게 증가하다가 2009년 다소 감소하였으나 이후 2012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 2012년 유기농산물 인증 량은 168,000톤으로 전년 대비 37% 증가함.

- 무농약농산물은 2010년 최대 인증량을 기록한 이후 2012년까지 감소하고 있으나, 2012년 842,000톤을 생산하여 여전히 친환경농산물 중 가장 많은

구분 2000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자료: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표 3-1. 연도별 친환경농산물 인증실적 변화 추이 환경농산물의 재배면적은 2000년 2,039ha에서 2008년 174,107ha로, 2009년 까지 급격히 증가하다가 2012년 164,289ha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그러나 2003년 전체 경지면적 대비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이 단 1.2%이었 던 반면 2012년 9.5%로 증가함. 이는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감소가 전체 경지면적 감소와 연결되어 있어서 나타난 현상으로, 전체 경작지 감소에 비 해 친환경농산물 경작지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인 차원에서는 줄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려움을 시사함.

- 유기농산물의 재배면적은 꾸준히 증가해 왔으나 2012년 전체 친환경농산 물 재배면적의 16%로 여전히 제일 작은 비중을 차지함.

- 무농약농산물의 재배면적 역시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12년 전체 친환경 농산물 재배면적의 55%를 차지하며 2010년 이후 저농약농산물의 재배면 적을 초과함.

- 저농약농산물의 경우, 전체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 중 가장 큰 부분을 차 지했으나, 2009년 이후 계속 감소하여 2012년에는 전체의 23%를 차지함.

그림 3-1. 국내 총 경작지 대비 유기농 경작 면적 비중

출처: FAOSTAT(유엔식량농업기구). 2011.

분 류 유기농산물 무농약농산물 저농약농산물

소 계 1,498,235 168,256 841,513 488,46

자료: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친환경인증통계정보<http://www.enviagro.go.kr>.

○ 인증 단계별 친환경농산물 재배 농가 수 역시 2009년을 최고점으로 2012년

연령 연도 2000년 2005년 2010년 2011년 2012년

전체 4,031(100.0) 3,434(100.0) 3,063(100.0) 2,962(100.0) 2,912(100.0) 유소년

(0~14세) 459(11.4) 355(9.8) 270(8.8) 236(7.9) 216(7.4) 청장년

(15~64세) 2,696(66.9) 2,099(61.1) 1,820(59.4) 1,726(58.3) 1,658(56.9) 노년

(65세 이상) 876(21.7) 999(29.1) 973(31.8) 1,000(33.8) 1,038(35.7) 자료: 통계청 농업조사(2013), 농업총조사(2011).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