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업 농촌에 대한 인식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40-45)

4.1. 농업 농촌 인식 전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012년 10월 27일부터 11월 23일까지 농업인과 도시 민,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중요도, 현재와 미래 의 농업 농촌의 역할, 농산물시장 개방에 대한 인식, 농업 개방에 대한 정부 의 대책 마련과 시행 정도 등 농업 농촌에 대한 2012년 국민의식 조사 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함.

○ 국가 경제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중요성은 도시민(89.6%), 전문가(89.5%), 농 업인(83.7%) 모두 전반적으로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평가함.

○ 농업 농촌의 역할 중 현재 중요한 역할로 도시민과 농업인, 전문가 모두 ‘안 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가장 높았고, ‘자연환경 보전’ > ‘국토의 균형발 전’ > ‘전통문화 계승’ > ‘전원생활 공간’ > ‘관광 및 휴식장소’ 순으로 응답 함. 특히 농업인과 전문가 그룹에서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중요하 다는 응답이 각각 44.5%와 45.3%로 도시민(39.3%)보다 중요성을 높게 인식 하고 있음. 자세한 내용은 <표 3-5> 참조.

○ 도시민 중 ‘평소 농업 정책 또는 농업 농촌 문제에 관심이 많다’고 대답한 사람은 40.5%, ‘관심 없다’는 응답은 30.3%로 나타났음. 도시민 중 ‘농업 정 책 또는 농업 농촌의 문제가 나와 관계 있다’는 응답은 49.6%, ‘관계 없다’

는 응답이 46.1%로 비슷함. 또한 우리나라 농업의 실상과 농촌 문제에 관해 도시민 중 32.5%는 ‘알고 있다’고 대답하여 ‘모른다(29%)’에 비해 6.2%p 높 게 조사됨.

구분 농업인 도시민 전문가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 44.5 39.3 45.3

국토의 균형 발전 16.3 15.8 18.6

자연환경 보전 24.4 22.9 20.3

전통문화의 계승 4.2 10.9 4.1

관광 및 휴식의 장소 3.5 4.3 5.2

전원생활의 공간 6.9 6.7 6.4

기타 0.1 0.1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농업 농촌에 대한 2012년 국민의식 조사 결과.

표 3-5. 현재 중요한 농업‧농촌 역할에 대한 인식

단위: %

○ 농업 농촌에 대한 일반적 의견 중 ‘농업이 잘못되면 국가 경제 전체가 잘못 될 가능성이 높다’에 농업인 78.3%, 도시민 68.5%로 동의 의견이 높았고,

‘농업이 우리나라 경제 발전에 기여해 온 바가 크다’는 의견도 농업인 74.4%, 도시민 62.7%로 찬성 의견이 높게 나타남(<표 3-6> 참조).

○ ‘우리 농산물은 외국 농산물에 비해 안전하다’는 문항에 농업인 79.0%, 도시 민 76.0%로 두 그룹 모두 찬성 의견이 높은 반면 가격에 대한 문항인 ‘농산 물 가격이 공산품 물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싸다’에서는 찬성 의견이 농업인 은 72.0%, 도시민은 46.7%로 농업인과 도시민의 의견에 차이가 나타남.

○ ‘농산물 가격이 생산비에 미치지 못하면 국가가 소득을 보상해 주어야 한다’

는 의견에 대해서는 농업인 87.7%, 도시민 63.2%로 농업인의 비율이 더 높 지만 도시민의 동의 비율도 높은 편임.

○ 이 외에 ‘초 중 고 교과과정에 농업 농촌 체험을 포함시켜야 한다’에 대해 서는 두 그룹 모두 찬성이 높았던 반면(도시민 66.7%, 농업인 78.3%), ‘자녀

가 원한다면 농업에 종사하도록 하겠다’는 의견에는 두 그룹 모두 찬성 비율

구분 전혀

4.2. 친환경농업에 대한 인식

○ 2007년 친환경농업 특화지역 농업인들을 대상으로 한 생산 및 소득구조, 농 업 농촌의 지속가능성, 농업 후계인력 양성 및 친환경농업 발전 과제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허승욱, 2007).

- 사례지역 응답자들의 전체 재배면적 가운데 수도작 재배를 하는 쌀이 7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60.4%가 향후 유망 작목으로 쌀을 선 택함.

- 소득은 연간 1~2천만 원 미만이 27.6%로 가장 많았고, 친환경농업 실천농 가들의 소득수준이 지역 내 일반 농가들보다 비슷하거나 높다는 의견 (85.9%)이 많았고 향후 소득은 점차 감소할 것이라는 견해가 40.7%로 나 타남.

- 농업의 지속 여부와 농촌 거주 의향은 89.2%로 높은 반면, 자녀들의 주거 지나 농업기술 전수에 대한 의지는 29.9%로 낮게 나타남.

- 농업 후계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소득안전망 구축 등 경제적 측면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복지시설 확충, 의료시 설 확충, 교육 인프라 구축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 친환경농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친환경농업 기술 개발 보급, 친 환경농산물의 가격 보전, 친환경 농자재의 보급 확대, 친환경 농가 확대 등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친환경농산 물을 먹게 되면서 가족의 건강이 좋아졌고(57.5%), 자녀의 성장 발육에 도움 이 된다(63.4%)고 느끼고 있으며, 가정에서의 식사에 대해 안심하게 되었다 (67.2%)는 비율이 높게 나타남. 또한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함으로써, 친환경 농업에 기여하고 있다는 의견(60.3%)과 도농 교류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의 견(74.9%), 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58.3%)는 의견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음(김호 등, 2010).

문서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의 사회성 평가 (페이지 40-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