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나. 취업지도 직무 관련 선행연구

1) Wynne(2006)의 연구

Wynne(2006)은 장애인을 위한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한 국제 정책 동향 파악 및 현황조사 연구에서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를 ‘개인과 잠재적 고용주간의 연계성을 창출하고 유지시켜 고용시장에의 진입을 위한 메커니즘’으로 정의하며, 일 반적인(general)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의 영역을 직업매칭(job matching), 능력평 가(skills assessment), 고용주와 접촉하기(initiating contact with employers), 취업정 치(placement) 및 취업정치 사후 지원(post-placement support) 등의 다섯 가지 영역 으로 제시하였다.

Wynne은 이러한 일반적인 수준에서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 영역을 바탕으로 장 애인을 위한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를 직업 평가(vocational assessment), 직업 매 칭(job mathcing), 지도 및 상담(guidance and counselling), 보조금 지원(assistnace in accessing grants), 변호(advocacy), 정보 제공 및 조언(information and advice), 사례 관리(case management), 전문 직업 교육/훈련 (specilized vocational

연구자 직무영역 과업

Wynne(2006)

Ÿ 직업매칭(job matching) Ÿ 지도 및 상담(guidance and counselling) Ÿ 직업 코칭(job coaching)

Ÿ 사전 직업 훈련 (pre-vocational training), Ÿ 능력평가(skills assessment), Ÿ 직업 평가(vocational assessment)

Ÿ 사례 관리(case management) Ÿ 전문 직업 교육/훈련 Ÿ 고용주와 접촉하기(initiating contact with

employers) Ÿ 보조금 지원(assistnace in accessing grants) Ÿ 취업정치(placement) Ÿ 정보 제공 및 조언(information and advice) Ÿ 취업정치 사후 지원(post-placement support) Ÿ 심리적 지원(psychological supports)

Ÿ 복직(vocational rehabilitation),

education/training), 복직(vocational rehabilitation), 사전 직업 훈련 (pre-vocational training), 심리적 지원(psychological supports), 직업 코칭(job coaching)의 12개의 영 역으로 세분화 시키고 유럽연합에 속한 14개 국가(오스트리아, 덴마크, 핀란드, 프랑 스, 독일, 아일랜드, 이탈리아, 말타, 네덜란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 베니아, 영국)를 대상으로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 정책의 범위(delivery of services), 서비스의 성격, 정책적 맥락의 차이(differences in policy contexts), 표준의 유무(existence of standards), 서비스 제공자의 차이의 국가 정책 비교를 위한 분석틀 을 제시하였다. 먼저 서비스 정책의 범위는 서비스가 전달되는 방식의 차이를 의미한 다.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는 장애를 가진 구직자를 일반적인 구직자와 구분하지 않는 통합적 접근 방식으로 제시되거나 그들과 구분 짓는 형태의 서비스 제공을 의 미한다. 서비스의 성격은 서비스 제공의 수준을 초기 고용 시장으로의 진입으로 설정 할 것인지 혹은 통합적인 생애 설계의 수준까지로 확장할 것인지에 대한 구분을 의 미한다. 정책적 맥락의 차이는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의 설계와 시행 단계에서 나 타나는 국가의 정책적 의도에 따른 차이를 의미한다. 표준의 유무는 국가 수준의 취 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에 대한 인증 체계를 의미하며, 개인 수준에서는 서비스 수행 을 위한 자격 획득으로 나타난다. 서비스 제공자의 차이는 영리 기관, 공공기관 또는 비영리 기구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 유형의 차이에 따른 취업지도 및 상담 서비스 의 구분을 의미하며, 이는 즉 취업 지도 시장의 성격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Ⅱ-5>와 같다.

<표 Ⅱ-5> Wynne(2006)의 취업지도 직무영역과 과업

2) Žadeikaitė과 Railienė(2009)의 연구

Žadeikaitė과 Railienė(2009)은 직업안내자(vocational advisor)로서 교사에게 요구되 는 능력(competency)과 기능(function)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직업지도(vocational guidance) 활동의 목적을 평가(assessment), 상담(counselling), 교정(correctional), 예 방적(preventive), 법률적(legal) 지원으로 정의하고 능력을 각각 일반 능력(general competency), 기능 능력(functional competence), 인지 능력(cognitive competence)으 로 구분하였다. 이들에 따르면 일반 능력은 인간 활동에 필요한 개인적 특성, 가치, 능력, 기술, 지식으로 타인의 활동에 전이가 가능한 것으로 학습, 의사소통, 정보 관 리, 프로젝트 관리, 변화 관리, 연구 활동 능력이 이에 해당한다. 기능 능력은 특정 활동의 수행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직업정보, 직업 상담, 생애 설계 능력, 협업, 활 동의 조정, 요구 평가 및 분석, 설계 및 개발 능력 등이 포함된다. 인지 능력은 다양 한 영역의 지식, 능력, 기술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직업 상담에 대한 지식, 활동의 평 가, 조직화 및 지원에 대한 이해 등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정의된다.

한편 Žadeikaitė과 Railienė는 직업안내자로서 교사에게 필요한 취업지도의 영역을 연구 활동(research activity), 조직 활동(organizational activity), 교육 활동(educative activity, educational activity), 상담(counselling), 파트너십(partnership), 평가 및 향상 (evaluation and improvement)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제시한 세 가지 능력과 연계되어 구성된다고 언급하였다. 첫째, ‘연구 활 동’은 직업 탐색에 요구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취합하며, 요구 분석 및 평가 활동을 포함한다. 둘째, ‘조직 활동’은 직업에 대한 정보를 조직화하며, 계획하고 상담과 지도 활동을 의미한다. 셋째, ‘교육적 활동(educative activity)’은 학습자, 학부모, 동료 교사 를 대상으로 직업 정보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나 넷째, ‘교육활동 (educational activity)’은 생애 설계 능력의 향상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상담’은 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직업에 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활 동을 의미하며, 여섯째, ‘파트너십’은 기업 및 기업 내부 담당자와의 협력 활동을, 일 곱째, ‘평가 및 향상’은 직업 정보, 상담 및 지도 서비스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Ⅱ-6>과 같다.

연구자 직무영역 과업

Žadeikaitė과 Railienė(2009)

Ÿ 연구 활동(research activity)

Ÿ 직업 탐색

Ÿ 채용정보 수집 및 관리 Ÿ 대상의 요구 분석 및 평가 Ÿ 취업희망조사

Ÿ 조직 활동(organizational activity)

Ÿ 직업에 대한 정보 조직화 Ÿ 계획수립

Ÿ 상담 Ÿ 지도 활동 Ÿ 교육 적 활동(educative activity

Ÿ 교육활동(educational activity)

Ÿ 학생 정보 제공

<표 Ⅱ-6> Žadeikaitė과 Railienė(2009)의 취업지도 직무영역과 과업

3) 기타 취업지도 직무관련 선행연구

London(1973)의 연구에서는 직업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개인에 관 한 조사 서비스(research services relating to personal), 직업정보 서비스(vocational information service), 상담서비스(counseling service), 취업정치(placement), 추수지도 및 평가(follow-up & appraisal)에 관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고 제시되었다. 개인

향은 무엇인지를 평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UNESCO(2002)에서는 직업 및 기술 교육에 대한 워크숍에서 직업 지도에 대한 개 념 정의와 서비스 영역에 관한 논의의 기초를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지 도(guidance)는 개인의 행복과 사회적 유용성을 위해 스스로의 잠재력을 개발하고 발 견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을 지원하는 과정이며, 직업 지도 활동은 첫째, 자신의 적성, 능력, 흥미, 기술, 장단점 등의 특성에 대한 이해, 둘째, 다양한 직업세계에서의 성공 요건, 유불리점, 보수, 발전성, 직업적 전망 등에 대한 지식, 마지막으로 개인과 직업 세계를 연결하는 정보통합을 통한 합리적(true reasoning) 직업 선택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정의를 바탕으로 UNESCO(2002)에서는 직업지도(vocational guidance) 서비스의 영역은 직업정보(vocational information service), 평가(individual appraisal service), 상담(counseling service), 직업 준비(vocational preparatory service), 정치/

취업(placement or employment service), 추수지도/ 조정(follow-up or adjustment service), 연구(research service) 등으로 구분된다. 첫째, 직업 정보 서비스는 학생들 이 직업에 관련된 계획을 세우거나 선택 이전에 직업, 근무 조건, 진로 등 취업에 관 련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학생들이 변화하는 산업 및 직업의 트렌드를 인식하고 현명한 직업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평가 서 비스는 직업 선택과 관련된 학생들의 관심사와 능력 목록 전반에 대한 다양한 대안 을 제시한다. 셋째, 상담 서비스는 의사결정 과정과 직업 선택 전략에 대해 지원함으 로써 취업 기회나 요건에 대해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지식, 스킬, 태도를 의미하는 자 산(asset)과 제한점을 인식하고 취업 시장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사결정 또는 목표 설정 활동을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직업준비 서비스는 학생이 고 용 기회에 따라 적절한 직업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다섯째, 취업정치/취업 서비스는 학생이 자신의 직업 준비를 위해 고용의 기회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학생의 능력, 태도 및 흥미에 대한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관련된 직업과 연계시키는 것으로 활동이 이루어진다. 여섯째, 추수지도/ 조정 서비스는 개인들에게 제공된 직업 지도의 연속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육기관에서 제공된 지도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취업 및 승진에 대한 결정과 직업적 성공을 기대하는 고용인에 대한 지원을 의미한다. 마지막 으로 연구 서비스는 직업, 경제 및 산업의 전반적인 트렌드 인식 및 기술과 관련된

기타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재성 외(2011)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명확한 진로목표를 수립하고 졸업 후 직업세계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원기능강화 학 교운영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모형은 취업지원기능 강화를 위한 전반적인 학교운영의 내용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취업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단계를 크게 취업지원 계획단계, 취업지원 실행단계, 취업지원 평가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계획 단계는 취업지원과 관련된 조직 구성, 요구 분석, 내부능력 및 외부능력 진단, 프로그램 및 운영방법 결정, 운영계획 작성의 단계 를 의미하였으며, 실행 단계는 학생선발 및 적응지원, 진로탐색 및 계획 수립 지원, 진로선택 및 실행 지원, 구직 및 취업지원, 사후관리 등의 단계로 취업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행동단계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는 취업지원 평가계획 수립, 취 업지원 운영 결과 평가, 취업지원 운영개선 등의 단계로 취업지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의미한다.

4) 취업지도 직무관련 선행연구 종합

지금까지 살펴본 취업지도 직무영역(고재성 외, 2011; London, 1973; UNESCO, 2002; Wynne, 2006; Žadeikaitė & Railienė, 2009)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내용 과 의미의 유사성으로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고재성 외 (2011)의 계획지원 및 평가계획 영역은 취업지도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취업지도 계획으로 통합된다. 둘째,

지금까지 살펴본 취업지도 직무영역(고재성 외, 2011; London, 1973; UNESCO, 2002; Wynne, 2006; Žadeikaitė & Railienė, 2009)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내용 과 의미의 유사성으로 종합하면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고재성 외 (2011)의 계획지원 및 평가계획 영역은 취업지도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취업지도 계획으로 통합된다. 둘째,